KR20150039343A -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43A
KR20150039343A KR20130117799A KR20130117799A KR20150039343A KR 20150039343 A KR20150039343 A KR 20150039343A KR 20130117799 A KR20130117799 A KR 20130117799A KR 20130117799 A KR20130117799 A KR 20130117799A KR 20150039343 A KR20150039343 A KR 2015003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cosmetic composition
derived
skin
cel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석
어경준
Original Assignee
황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우석 filed Critical 황우석
Priority to KR2013011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343A/ko
Publication of KR2015003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에 안전하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보습, 미백 및 홍반 개선 등 피부 상태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tem cell medium for improving skin state}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층의 세포들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여 질병을 방지하고, 생리적, 기능적, 구조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피층의 각질화된 세포는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가 분화하여 형성되며,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신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진피층은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결합되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피부의 지지체의 역할을 한다(Wollina 외 3인 Dermatol Ther. 21(2):118, 2008).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일본국 특공소56-18569호, 특개소 53-3538호 공보),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 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었다. 그 중 하이드로퀴논이 색소침착에 대해서 수 십년 동안 가장 효과적인 성분으로 사용되어 왔었으나, 장기간 사용에 대하여 알러지 반응 등 부작용(흰반점, 검은 반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여러 나라에서 사용의 제약을 받는 추세이다.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thiol)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와 경피 흡수에 문제가 있어 사용되기에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되기에는 문제가 있다. 미백용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에는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9345호), 신규한 크로만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56974호),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36180호)등이 있다.
또한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그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palmitate),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dipalmitate),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 마그네슘 포스페이트(Ascorbyl magnesium phosphate)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특수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기 어렵고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량으로도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저해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의 재생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줄기세포는 모낭(hair follicle)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세포의 일부는 모발과 표피의 재생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표피의 기저층(the basal cell layer of epidermis)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줄기세포는 표피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여 피부재생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chis. Cell Stem Cell. 4(6):499, 2009).
인간과 동물의 세포를 배양하는 배지는 세포치료제의 생산과 유전자 재조합방식에 의한 생리활성물질과 생물의약품의 생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물의약품은 다양한 생물종에서 생산되므로, 세포배양법을 이용하여 생산할 경우 인간의 건강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배양된 세포의 특성을 분석하고 세포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여 세포의 특이적 증식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으로 배지조성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상용화된 배지는 연구용 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으로, 인체에 투여가 제한된 페놀레드, 항생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Blattner 외 10인, Science 196:161 1977), 동물에서 유래된 물질이나, 타가세포에서 유래된 성분이 포함되어 교차감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하다(화장품 안전성 정보관리규정, 식약청고시 제2011-10호, 2011.03.08).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상용화된 줄기세포 배지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피부 수분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및 피부 홍반 개선 등의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는 최적의 요소로 이루어진 줄기세포 배양액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시스틴 (L-Cystine), L-타이로신 (L-Tyrosine), 구연산철 (Ferric Citrate (C6H5FeO7)) 및 올레산 (Oleic Acid)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하기 표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 즉 미분화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모든 조직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골수 유래, 제대혈 유래, 혈액 유래, 간장 유래, 피부 유래, 위장관 유래, 태반 유래, 신경 유래, 부신 유래, 상피 유래 또는 자궁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배아줄기세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지 조성물 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보습, 미백 또는 홍반 개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에 안전하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보습, 미백 및 홍반 개선 등 피부 상태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 배양액이란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배지에 포함된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 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로션 또는 팩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에 안전하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보습, 미백 및 홍반 개선 등 피부 상태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를 이용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4일간 배양한 후 관찰한 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상용화된 배지를 이용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4일간 배양한 후 관찰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 증발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Parallel 촬영 (도6) 또는 CROSS 촬영 (도7)을 통해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Parallel 촬영 (도8 및 도 10) 또는 CROSS 촬영 (도9 및 도 10)을 통해 피부 홍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줄기세포 배양액의 수득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의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배지의 구성을 변형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배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 (Modified DMEM/F-12) L-글루타민이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성분은 분해되는 속도가 빨라 추가적으로 더 첨가하였다. 그 구성 성분 및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으며, Modified DMEM/F-12 내의 성분 및 함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비율 (농도)
Modified DMEM/F-12 98%
Non-essential amino acids 1% (0.1mM)
L-glutamine 1% (2mM)
성분 농도 (mg/L)
글리신 (Glycine) 18.75
L-알라닌 (L-Alanine) 4.45
L-아르기닌 염산염 (L-Arginine hydrochloride) 147.5
L-아스파라긴 (L-Asparagine-H2O) 7.5
L-아스파르트산 (L-Aspartic acid) 6.65
L-시스테인 염산염 (L-Cysteine hydrochloride-H2O) 17.56
L-시스틴 (L-Cystine) 30.04
L-글루탐산 (L-Glutamic Acid) 7.35
L-글루타민 (L-Glutamine) 365
L-히스티딘 염산염 (L-Histidine hydrochloride-H2O) 31.48
L-이소류신 (L-Isoleucine) 54.47
L-류신 (L-Leucine) 59.05
L-라이신 염산염 (L-Lysine hydrochloride) 91.25
L-메티오닌 (L-Methionine) 17.24
L-페닐알라닌 (L-Phenylalanine) 35.48
L-프롤린 (L-Proline) 17.25
L-세린 (L-Serine) 26.25
L-트레오닌 (L-Threonine) 53.45
L-트립토판 (L-Tryptophan) 9.02
L-타이로신 (L-Tyrosine) 57.98
L-발린 (L-Valine) 52.85
L-바이오틴 (Biotin) 0.0035
염화콜린 (Choline chloride) 8.98
엽산 (Folic Acid) 2.65
나이신아미드 (Niacinamide) 2.02
피리독신 인산염 (Pyridoxine hydrochloride) 2
리보플라빈 (Riboflavin) 0.219
염산티아민 (Thiamine hydrochloride) 2.17
이노시톨 (i-Inositol) 12.6
염화 칼슘 (Calcium Chloride (CaCl2) (anhyd.)) 116.6
구연산철 (Ferric Citrate (C6H5FeO7)) 0.02
염화마그네슘 (Magnesium Chloride (anhydrous)) 28.64
황산마그네슘 (Magnesium Sulfate (MgSO4) (anhyd.)) 48.84
염화칼륨 (Potassium Chloride (KCl)) 311.8
탄산수소나트륨 (Sodium Bicarbonate (NaHCO3)) 2438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NaCl)) 6995.5
제이인산나트륨 ((Sodium Phosphate dibasic (Na2HPO4) anhydrous)) 71.02
제일인산나트륨 ((Sodium Phosphate monobasic (NaH2PO4-H2O)) 62.5
황산아연 (Zinc sulfate (ZnSO4-7H2O)) 0.432
글루코오스 (D-Glucose (Dextrose)) 3151
리놀레산 (Linoleic Acid) 0.042
올레산 (Oleic Acid) 0.03
피부르산 (Sodium Pyruvate) 55
상기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DMEM/F12 배지는 아미노산, 당, 광물질 등 총 51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중에서 12개의 성분 (L-시스테인 염산염 (L-Cystine 2HCl), L-Tyrosine disodium salt dihydrate, D-칼슘 판토텐산염 (D-Calcium pantothenate), 비타민 B12, 황산동 (Cupric sulfate (CuSO4-5H2O)), 질산제이철 (Ferric Nitrate (Fe(NO3)3"9H2O)), 황산제이철 (Ferric Sulfate (FeSO4-7H-O)), 히포크산틴 (Hypoxanthine Na), 리포산 (Lipoic Acid), 페놀레드 (Phenol Red), 푸트레신 염산염 (Putrescine 2HCl)), 티미딘 (Thymidine))을 제외하고, 4개의 성분 L-시스틴 (L-Cystine), L-타이로신 (L-Tyrosine), 구연산철 (Ferric Citrate (C6H5FeO7)) 및 올레산 (Oleic Acid)을 추가하여 총 43개의 요소로 구성된 배지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적 조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동물 혈청이나 호르몬의 함량이 높은 혈청 대체제(serum replacement, SR)는 배제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배지와 기존의 DMEM/F12를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를 4일간 배양하고, 그 형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배지를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였을 때, 기존의 DMEM/F12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형태적으로나 콜로니의 크기에 있어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가 충분히 자란 3일~6일 경 사이의 배아줄기세포에서 24 시간 마다 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생산제품 및 형태 줄기세포 배양액 함유량 (%)
스킨 1%
로션 1%
에센스 1%
크림 1%
아이크림 1%
마스크팩 2%
실험예 1.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크림 형태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수분 함유량, 경피 수분 감소량, 피부 미백 개선, 피부 홍반 개선 등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생활화장품 피부과학연구소(대한민국)에서 18~37세 (평균연령 27.7+/- 3.2세)의 건강한 여성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8주동안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크림 형태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1일 2회 사용하도록 한 후, 사용 전과 사용 후 (4주 또는 8주) 피부 개선 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최종 실험 종료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1-1.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DermaView-PRO를 이용하여 이마, 볼, 턱에서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해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개선율은 “(after treatment(4W)- initial treatment(0W))/ initial treatment X 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N 평균값 p-value 개선률 (%)
0W 4W
이마 10 195 352 0.03* 80.5%
10 204 369 0.002* 80.1%
10 278 351 0.041* 26.3%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compared with before
표 4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4주간 사용하였을 때, 이마, 볼 및 턱의 피부 수분 함유량이 증가하여, 피부 수분을 개선하는 우수한 보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경피 수분 감소량 측정
DermaView-PRO를 이용하여 피부색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피 수분 감소 정도를 측정하였다. 개선율은 “(after treatment(8W)- initial treatment(0W))/ initial treatment X 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N 평균값 p-value 8주 뒤 개선률 (%)
0 week 4 week 8 week
UV 측정에 의한 경피 수분 감소 10 79.2 50.6 39.6 0.021* -50%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compared with before
표 5,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8주간 사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하여, 경피 수분 증발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3. 피부 미백 개선 측정
DermaView-PRO를 이용하여 멜라닌에 의한 피부색의 변화를 Parallel 및 CROSS 촬영해서 관찰하였다. 개선율은 “(after treatment(4W)- initial treatment(0W))/ initial treatment X 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N 평균값 p-value 8주뒤 개선률 (%)
0 week 4 week 8 week
parallel측정에 의한 피부 멜라닌 10 26.4 31.7 36.2 0.043 37.3%
감소
CROSS 측정에 의한 피부 멜라닌 10 45.4 48.6 54.5 0.061 20%
감소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compared with before
표 6,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8주간 사용하였을 때, 멜라닌이 감소되어 피부색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1-4. 피부 홍반 측정
DermaView-PRO를 이용하여 홍반에 의한 피부색의 변화를 Parallel 및 CROSS 촬영해서 관찰하였다. 개선율은 “(after treatment(4W)- initial treatment(0W))/ initial treatment X 100”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7 및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N 평균값 p-value 8주뒤 개선률 (%)
0 week 4 week 8 week
parallel측정에 의한 홍반 피부 10 24.9 37.1 45.7 0.031* 83.2%
감소
CROSS 측정에 의한 홍반 피부 10 30.4 35.7 41.5 0.047* 36.6%
감소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compared with before
표 7 및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8주간 사용하였을 때, 홍반이 감소되어 피부색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1-5. 관능평가
8주간의 실험이 종료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바를 때의 느낌, 제형, 촉촉함 및 흡수력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해 바를 때 느낌이 좋았으며, 제형 및 촉촉함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줄기세포 배양액 1 %
베타-1,3-글루칸 1.0 %
부틸렌글리콜 2.0 %
프로필렌글리콜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
폴리소르베이트 80 0.4 %
에탄올 10.0 %
트리에탄올아민 0.1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줄기세포 배양액 1 %
베타-1,3-글루칸 1.0 %
밀납 4.0 %
폴리소르베이트 60 1.5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
유동파라핀 0.5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3.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3. 영양크림의 제조
줄기세포 배양액 1.0 %
베타-1,3-글루칸 5.0 %
밀납 10.0 %
폴리소르베이트 60 1.5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유동파라핀 10.0 %
스쿠알란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5.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Claims (8)

  1. L-시스틴 (L-Cystine), L-타이로신 (L-Tyrosine), 구연산철 (Ferric Citrate (C6H5FeO7)) 및 올레산 (Oleic Acid)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하기 표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Figure pat0000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유래, 제대혈 유래, 혈액 유래, 간장 유래, 피부 유래, 위장관 유래, 태반 유래, 신경 유래, 부신 유래, 상피 유래 및 자궁 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보습, 미백 또는 홍반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로션,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7799A 2013-10-02 2013-10-02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9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799A KR20150039343A (ko) 2013-10-02 2013-10-02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799A KR20150039343A (ko) 2013-10-02 2013-10-02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43A true KR20150039343A (ko) 2015-04-10

Family

ID=5302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799A KR20150039343A (ko) 2013-10-02 2013-10-02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3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519A (zh) * 2016-01-12 2018-10-23 康干细胞生物技术有限公司 干细胞衍生的含有大量生长因子的外来体
KR102016027B1 (ko) 2018-06-04 2019-08-29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240028110A (ko) 2022-08-24 2024-03-05 (주) 테라베스트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28586A (ko) 2022-08-24 2024-03-05 (주) 테라베스트 인간 세포 유래 미세소포체 및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519A (zh) * 2016-01-12 2018-10-23 康干细胞生物技术有限公司 干细胞衍生的含有大量生长因子的外来体
KR102016027B1 (ko) 2018-06-04 2019-08-29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240028110A (ko) 2022-08-24 2024-03-05 (주) 테라베스트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28586A (ko) 2022-08-24 2024-03-05 (주) 테라베스트 인간 세포 유래 미세소포체 및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8422B2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comprising a nutrient medium phase
EP4014960A1 (en) Fat extract without added ingredient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JP2010132639A (ja) Dna損傷抑制剤及び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産生抑制剤
CN107106459B (zh) 包含细胞培养基、表皮生长因子和牛血清白蛋白的用于改善皮肤状态的药物组合物
EP1908454A1 (en) Wrinkle-preventive/ameliorating agent
EP1609462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comprising a nutrient medium phase
KR101413686B1 (ko) 피부줄기세포 배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JP7300988B2 (ja) 外用組成物
JP2017114814A (ja) 化粧料
JP2007210915A (ja) 皮膚外用剤
KR20150039343A (ko)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2B1 (ko) 생체 모방 영양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5241054B2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用組成物
JP2005263794A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用組成物
CN112368367A (zh) 包含α-硫辛酸或α-硫辛酸盐、维生素C衍生物和透明质酸的组合物及其用途
WO2006101119A1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KR20150085546A (ko) 피부세포 배양배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532533A (ja) 化粧料
CN111329783A (zh) 一种即时提亮肤色的组合物及其应用
TWI687235B (zh) 抗老化用皮膚外用劑
KR20090091505A (ko) 산소수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203325B2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11063527A (ja) カルニチン産生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CN113545998B (zh) 羟基磷灰石和胶原蛋白组合物及其用于祛痣、祛斑、降低色素沉着、美白的用途
JP2014210762A (ja) 皮脂分泌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