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336A - 로크 너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로크 너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36A
KR20150039336A KR20130117787A KR20130117787A KR20150039336A KR 20150039336 A KR20150039336 A KR 20150039336A KR 20130117787 A KR20130117787 A KR 20130117787A KR 20130117787 A KR20130117787 A KR 20130117787A KR 20150039336 A KR20150039336 A KR 2015003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overlapping
groove
overlap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용
Original Assignee
박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용 filed Critical 박준용
Priority to KR2013011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336A/ko
Publication of KR2015003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 F16B39/1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by means of eccentrical or spiral interengag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너트를 이용하여 너트가 볼트에서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볼트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가 마련된 제1 너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가 마련된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 결합되도록 편심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의 회전을 일체화시키는 회전일체화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크 너트 어셈블리 {Locking nuts assembly}
본 발명은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너트를 이용하여 너트가 볼트에서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단단히 조인 너트가 느슨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 잠금 너트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실용신안 JP1973-29257에 기재의 풀림방지 잠금 너트는,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너트에는, 각각 서로 겹치도록 결합하는 테이퍼-상태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어느 쪽이든 한편의 중심이 조임볼트의 축심 선에 대해서 약간 편심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및 하부의 너트를 단단히 조이면, 볼록부와 오목부가 일부분으로 접해 나사 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의 전단력을 발생시켜 너트가 볼트에 단단히 결합되므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 특허 JP2002-195236에 기재된 풀림방지 잠금 너트는, 상부 너트의 측면의 하부 위치에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어 이 접촉부에 단단히 조여 단부가 단단히 결합하기 때문에, 하부 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접촉부의 위치에 의해 상부 너트의 회전 양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술된 선행기술문헌들은 볼트와 너트가 편심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볼트와 너트의 결속이 더욱 단단해 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편심결합 너트는, 도난이 용이한 H-빔의 상호 결합, 송신탑의 트러스 구조 결합, 고속도로 등의 가드레일, 철로의 결합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난 방지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풀리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편심 결합에 의하더라도 편심결합력보다 큰 힘이 가해진다면 너트와 볼트가 풀릴 수 있고, 큰 힘이 아니더라도 반복적인 진동이나 떨림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너트가 풀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편심 결합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단단히 고정된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이들을 풀기가 쉽지 않아, 강제로 이들을 해체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JP 1973-29257 JP 2002-1952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 힘 또는 진동이나 떨림에 의하더라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너트를 사용하여 상호 상대 풀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적 변경으로 단단한 결속이 가능한 로트 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 결합 등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풀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로커 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가 마련된 제1 너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가 마련된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 결합되도록 편심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의 회전을 일체화시키는 회전일체화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회전일체화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에 회전 중심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열리는 홈 또는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에 상기 제1 끼움부에서 연장되도록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끼움부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끼움되는 고정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끼움부 및 상기 제2 끼움부에 압입끼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회전일체화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4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끼움부 및 상기 제4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이 끼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겹침부는, 일단이 상기 제1 너트의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 원통부; 및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겹침부는, 상기 제2 너트의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너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통부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너트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편심결합수단은, 상기 제1 너트의 제1 겹침부가 상기 제2 너트의 제2 겹침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 테이퍼부가 상기 제2 테이퍼부를 타고 일측으로 편심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테이퍼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이퍼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볼트의 회전중심과 편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가 마련된 제1 너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가 마련된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이중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이중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5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6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끼움부 및 상기 제6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이 끼움되면서, 상기 제1 겹침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제2 겹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단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5 끼움부 및 상기 제6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은 직경이 상기 고정핀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홈 또는 구멍에 압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2 홈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2 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큰 힘 또는 진동이나 떨림에 의하더라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로크 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너트를 사용하여 상호 상대 풀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적 변경으로 단단한 결속이 가능한 로트 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 결합 등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풀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로커 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가 볼트에 결합되는 일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볼트의 길이 방향, 즉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경우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반경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 즉, 볼트 또는 너트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에서 볼트 또는 너트의 외측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원주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 즉, 볼트 또는 너트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에서 볼트 또는 너트의 외측면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소정 부재의 길이방향 끝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길이방향 끝단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소정 부재에서 상기 단부를 제외한 외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소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211)가 마련된 제1 너트(210); 및 상기 볼트(100)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211)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221)가 마련된 제2 너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210) 및 상기 제2 너트(220)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100)와 편심 결합되도록 편심결합수단(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너트(210) 및 상기 제2 너트(220)의 회전을 일체화시키는 회전일체화수단(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너트(210)는 몸체 역할을 수행하고 볼트(10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몸체부(217)와 상기 제1 몸체부(217)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겹침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부(217)는 통상적인 너트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게 단순히 상기 볼트(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겹침부(211)는 이하 설명할 편심결합수단(240)과 회전일체화수단(250)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겹침부(211)는, 일단이 상기 제1 너트(210)의 제1 몸체부(217)에서 연장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100)와 나사 결합하는 제1 원통부(212) 및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원통부(212)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너트(220)는 몸체 역할을 수행하고 볼트(10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몸체부(227)와 상기 제2 몸체부(227)에서 상기 제1 너트(220) 방향(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 겹침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몸체부(227)는 통상적인 너트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게 단순히 상기 볼트(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겹침부(221)는 상술한 제1 겹침부(211)와 함께 이하 설명할 편심결합수단(240)과 회전일체화수단(250)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겹침부(221)는, 상기 제2 너트(220)의 제2 몸체부(227)에서 상기 제1 너트(2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통부(222)가 상기 제2 몸체부(227)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너트(210)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테이퍼부(223)의 내측면은 상기 제1 테이퍼부(213)의 외측면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겹침부(211)가 상기 제2 겹침부(221)의 내측면을 따라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 테이퍼부(213)는 상기 제2 테이퍼부(223)의 내측면을 따라 편심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제1 너트(210)의 제1 겹침부(211)가 상기 제2 너트(220)의 제2 겹침부(221)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 테이퍼부(213)가 상기 제2 테이퍼부(223)를 타고 일측으로 편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테이퍼부(213)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이퍼부(223)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볼트(100) 또는 상기 너트(210)(220)의 회전중심과 편심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도시에서는 제1 너트(210)에 구비되는 제1 테이퍼부(213)의 외측면이 상기 볼트(100) 또는 상기 너트(210)(220)의 회전중심과 편심되고 제2 테이퍼부(223)의 내측면은 상기 볼트(100) 또는 상기 너트(210)(220)의 회전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도 도시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테이퍼부(223)의 내측면이 상기 볼트(100) 또는 상기 너트(210)(220)의 회전중심에 편심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너트(210)가 상기 볼트(100) 또는 상기 너트(210)(220)의 회전중심에 편심되어 결합되면,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테이퍼부(213)는 상기 제1 너트(210)를 회전중심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전단력을 형성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테이퍼부(223)에 인접하는 제2 겹침부(221)는 상기 제2 너트(220)를 회전중심 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전단력을 형성한다.
이에, 상기 제1 너트(210)의 단부인 제1 테이퍼부(213)의 끝단과 상기 제2 너트(220)의 제2 몸체부(227)와 제2 테이퍼부(223)가 만나는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볼트는 상기 제1 너트(210) 및 상기 제2 너트(220)와 전단력에 의한 편심결합이 이루어져서 다른 부분보다 더욱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볼트와 너트가 전단력에 의한 편심결합이 이루어져서 상호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에 구비되는 제1 테이퍼부(213)와 제2 테이퍼부(223)를 포함하는 편심결합수단(240)에 의해 너트(210)(220)는 볼트(100)에 편심결합에 의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편심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편심결합력보다 큰 힘이 가해진다면 너트와 볼트가 풀릴 수 있고, 큰 힘이 아니더라도 반복적인 진동이나 떨림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너트가 풀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회전일체화수단(250)을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회전일체화수단(250)은 볼트와 너트가 기본적으로 나선형상의 나사선이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이다.
이에,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를 상호 상대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해준다면,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는 상호 상대회전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는 상기 볼트(100)에 편심결합에 의해 단단히 결합된다. 하지만, 편심결합력보다 큰 외력이나 기타 떨림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제1 너트(210)가 상기 제2 너트(220)에 상대회전하게 되면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220)은 풀릴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 간의 상대회전만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면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220)는 절단하지 않는 한은 영구적으로 풀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회전일체화수단(250)은 상기 제1 겹침부(211)에 회전 중심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열리는 홈 또는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끼움부(215)와 상기 제2 겹침부(221)에 상기 제1 끼움부(215)에서 연장되도록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끼움부(225)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끼움되는 고정핀(2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끼움부(215)는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에 다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끼움부(225)는 상기 제1 끼움부(215)에 연속한 방향이어야 하므로,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에 다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일체화수단(250)은 상기 제1 겹침부(211)와 상기 제2 겹침부(225)를 상기 고정핀(230)에 의해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의 상대회전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230)은 단단한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끼움부(215)와 상기 제2 끼움부(225)에 압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가 회전일 일체화되도록 상호 고정되면, 나사결합을 해제, 즉, 너트(210)(220)를 볼트(100)에서 풀기 위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가 실질적으로 상대이동해야한다는 점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100)와 너트(210)(220)의 영구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실질적으로, 편심결합된 너트를 볼트에서 풀기 위해서는 제1 너트(210)와 제2 너트(22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풀어야지, 이들 한 쌍의 너트를 한꺼번에 회전하여 푼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겹침부(211)는 상기 제2 겹침부(22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 겹침부(211)가 충분히 상대이동하면 선단부의 편심확장수단(240)에 의해 볼트(100)와 너트(210)(220)가 편심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겹침부(211)와 상기 제2 겹침부(221)에 구비되는 제1 끼움부(215)와 제2 끼움부(225)가 상호 정렬되게되며, 상기 제2 겹침부(221)의 외부에서 상기 제2 끼움부(225)를 통해 상기 제2 끼움부(225)와 상기 제1 끼움부(215)에 동시에 끼움되는 고정핀(230)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230)은 상기 제1 겹침부(211)와 상기 제2 겹침부(221)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의 길이방향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와 회전일체화수단(250')을 구성하는 고정핀(230')이 끼움되는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상술하며 나머지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211)가 마련된 제1 너트(210); 및 상기 볼트(100)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211)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221)가 마련된 제2 너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210) 및 상기 제2 너트(220)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100)와 편심 결합되도록 편심결합수단(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너트(210) 및 상기 제2 너트(220)의 회전을 일체화시키는 회전일체화수단(25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일체화수단(250')은, 상기 제1 겹침부(211)의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끼움부(215'))와, 상기 제2 겹침부(221)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홈부(225-1)와 상기 제1 홈부(225-1)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221)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225-2)를 구비하는 제4 끼움부(225')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끼움부(215') 및 상기 제4 끼움부(225')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260')이 끼움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은 상기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접선 방향 또는 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관통구(225-2)는 상기 제1 홈부(225-1)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 홈부(225-1)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225-1)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230')은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의 (a) 및 (b)를 참조한 설명을 참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겹침부(211)는 상기 제2 겹침부(22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 겹침부(211)가 충분히 상대이동하면 선단부의 편심확장수단(240)에 의해 볼트(100)와 너트(210)(220)가 편심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겹침부(211)와 상기 제2 겹침부(221)에 구비되는 제3 끼움부(215')와 제4 끼움부(225')가 상호 정렬되게되며, 상기 제2 겹침부(221)의 외부에서 상기 제4 끼움부(225')를 통해 상기 제4 끼움부(225')와 상기 제3 끼움부(215')에 동시에 끼움되는 고정핀(230')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230')은 상기 제1 겹침부(211)와 상기 제2 겹침부(221)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너트(210)와 상기 제2 너트(220)의 길이방향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2)는, 편심결합수단과 상대회전방지수단(또는 회전일체화수단)이 일체로 구비되는 이중결합수단(450)을 구비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제1 너트(410)와 제2 너트(420)는 테이퍼부를 구비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2)는, 볼트(300)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300)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411)가 마련된 제1 너트(410); 및 상기 볼트(300)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411)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421)가 마련된 제2 너트(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410) 및 상기 제2 너트(420)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300)와 편심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너트(410) 및 상기 제2 너트(420)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이중결합수단(45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결합수단(450)은, 상기 제1 겹침부(411)의 외측면에 접선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5 끼움부(415)와, 상기 제2 겹침부(421)의 내측면에 접선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홈부(425-1)와 상기 제2 홈부(425-1)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421)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425-2)를 구비하는 제6 끼움부(425)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끼움부(415) 및 상기 제6 끼움부(425)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430)이 끼움되면서, 상기 제1 겹침부(411)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제2 겹침부(42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단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너트(410) 및 상기 제2 너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300)와 편심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결합수단(450)은, 전단력에 의해 제1 너트(410) 및 제2 너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볼트(300)와 편심결합되는 것과, 제5 끼움부(415) 및 상기 제6 끼움부(425)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430)이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핀(430)은 제1 겹침부(411)와 제2 겹침부(421)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걸림되는 것의 이중 효과를 내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전단력은, 제5 끼움부(415) 및 제6 끼움부(425)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은 직경이 상기 고정핀(430)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430)은 상기 홈 또는 구멍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도시에서 보듯이, 도면의 도시상 제1 겹침부(411)가 상부로 이동되는 전단력(①)과 제2 겹침부(421)가 하부로 이동되는 전단력(②)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단력(①)에 의해 제1 겹침부(411)의 일측이 볼트(300)와 단단히 밀착되는 편심결합력이 형성되고, 전단력(②)에 의해 제2 너트(420)의 제2 몸체부(427)의 길이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볼트(300)와 밀착되는 힘(③), 즉, 편심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편심 결합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단단히 고정된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이들을 풀기가 쉽지 않아, 강제로 이들을 해체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편심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관통구(425-2)는 상기 제2 홈부(425-1)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제2 관통구(425-2)를 통해 고정핀(430)을 일단 압입하면, 절단에 의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핀(430)을 빼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가 편심 결합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단단히 고정된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이들을 풀기가 쉽지 않아, 강제로 이들을 해체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관통구(425-2)는 상기 제2 홈부(425-1)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고정핀(430)이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일단 상기 고정핀(430)이 삽입된 후라고 하더라도, 어느 일측으로 소정 부재를 삽입하면서 힘을 가하면 다른 일측으로 상기 고정핀(430)을 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고정핀(430)은 압입되기 때문에 이보다 큰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430)을 해체할 수 있게되면, 제1 너트(410)와 제2 너트(420)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므로, 큰 힘 또는 진동력을 가해서 상기 볼트(300)와 상기 너트(410)(420)를 풀 수 있다.
100: 볼트
200, 201, 202: 로크 너트 어셈블리
210, 410: 제1 너트
211. 411: 제1 겹침부
212: 제1 원통부
213: 제1 테이퍼부
215: 제1 안착홈
217, 417: 제1 몸통부
220, 420: 제2 너트
221, 421: 제2 겹침부
222: 제2 원통부
223: 제2 테이퍼부
227, 427: 제2 몸통부
240: 편심결합수단
250: 상대회전방지수단
450: 이중결합수단

Claims (14)

  1. 볼트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가 마련된 제1 너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가 마련된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 결합되도록 편심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의 회전을 일체화시키는 회전일체화수단이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일체화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에 회전 중심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열리는 홈 또는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에 상기 제1 끼움부에서 연장되도록 구멍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끼움부에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끼움되는 고정핀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끼움부 및 상기 제2 끼움부에 압입끼움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일체화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3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4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끼움부 및 상기 제4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이 끼움되는 것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1 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착탈 가능한 것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겹침부는, 일단이 상기 제1 너트의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1 원통부; 및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겹침부는, 상기 제2 너트의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너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통부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너트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결합수단은,
    상기 제1 너트의 제1 겹침부가 상기 제2 너트의 제2 겹침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 테이퍼부가 상기 제2 테이퍼부를 타고 일측으로 편심결합되는 것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이퍼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볼트의 회전중심과 편심된 로크 너트 어셈블리.
  10. 볼트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겹침부가 마련된 제1 너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겹침부가 마련된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이중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겹침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5 끼움부와, 상기 제2 겹침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 겹침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6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끼움부 및 상기 제6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에 고정핀이 끼움되면서, 상기 제1 겹침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제2 겹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단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볼트와 편심결합되는 것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끼움부 및 상기 제6 끼움부가 함께 형성하는 홈 또는 구멍은 직경이 상기 고정핀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홈 또는 구멍에 압입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2 홈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2 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은 착탈 가능한 것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20130117787A 2013-10-02 2013-10-02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20150039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787A KR20150039336A (ko) 2013-10-02 2013-10-02 로크 너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787A KR20150039336A (ko) 2013-10-02 2013-10-02 로크 너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36A true KR20150039336A (ko) 2015-04-10

Family

ID=5302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787A KR20150039336A (ko) 2013-10-02 2013-10-02 로크 너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3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999A (ko) * 2016-06-08 2018-11-21 하드 로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설치 장치
KR101973010B1 (ko) * 2018-12-14 2019-04-26 주식회사 이노디스 관 피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999A (ko) * 2016-06-08 2018-11-21 하드 로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설치 장치
EP3470695A4 (en) * 2016-06-08 2020-01-15 HARDLOCK INDUSTRY CO., Ltd. FIXING DEVICE
KR101973010B1 (ko) * 2018-12-14 2019-04-26 주식회사 이노디스 관 피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1399A1 (zh) 周向锁止机构、包括其的电池锁定装置、动力电池包及车辆
JP5994148B2 (ja) ボルト
RU2108499C1 (ru) Замок для фиксирова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муфты (варианты)
TWI732075B (zh) 周向鎖止機構、電池鎖定裝置、動力電池組及車輛
WO2006028327A1 (en) Bolt structure, and bolt and nut assembly structure
WO2012102401A1 (ja) 雌ねじ構造
KR101270301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US20130004260A1 (en) Connection means and lock mounting device with such connection means
WO2011158824A1 (ja) ボルト
KR20180038303A (ko) 풀림방지와셔 및, 이를 구비한 체결장치
JP2009097707A (ja) ボルト
KR20140055028A (ko) 풀림방지기능을 구비한 체결용 볼트와 너트
JP5643582B2 (ja) ねじ付きボルト及びナットを有するねじ継手
KR20150039336A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JP4855440B2 (ja) ボルト
EP2134973B1 (en) Connection arrangement and a locking bolt included therein
JP5340001B2 (ja) 緩み止め構造
US10927879B2 (en) Threaded couplings with locking
KR101669549B1 (ko)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형 풀림방지 체결구
TWI493117B (zh) 驅動銷總成
KR200451199Y1 (ko)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418956B1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20150039335A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102561319B1 (ko)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나사결합 어셈블리
KR200372270Y1 (ko) 볼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