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956B1 - 로크 너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로크 너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956B1
KR101418956B1 KR1020130128418A KR20130128418A KR101418956B1 KR 101418956 B1 KR101418956 B1 KR 101418956B1 KR 1020130128418 A KR1020130128418 A KR 1020130128418A KR 20130128418 A KR20130128418 A KR 20130128418A KR 101418956 B1 KR101418956 B1 KR 10141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fixing
groov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병모
Original Assignee
길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병모 filed Critical 길병모
Priority to KR102013012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956B1/ko
Priority to PCT/KR2014/003301 priority patent/WO20150648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conical locking parts, which may be split, including use of separate rings co-operating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너트를 이용하여 너트가 볼트에서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볼트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너트에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너트에서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양 단부면에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너트와 상기 볼트의 결합방향으로 양쪽 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본체면과 상기 본체면의 내경에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플랜지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플랜지 와샤일수 있다.

Description

로크 너트 어셈블리 {Locking nut assembly}
본 발명은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너트를 이용하여 너트가 볼트에서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단단히 조인 너트가 느슨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 잠금 너트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실용신안 JP1973-29257에 기재의 풀림방지 잠금 너트는,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너트에는, 각각 서로 겹치도록 결합하는 테이퍼-상태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어느 쪽이든 한편의 중심이 조임볼트의 축심 선에 대해서 약간 편심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및 하부의 너트를 단단히 조이면, 볼록부와 오목부가 일부분으로 접해 나사 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의 전단력을 발생시켜 너트가 볼트에 단단히 결합되므로,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 특허 JP2002-195236에 기재된 풀림방지 잠금 너트는, 상부 너트의 측면의 하부 위치에 접촉부가 돌출되어 있어 이 접촉부에 단단히 조여 단부가 단단히 결합하기 때문에, 하부 너트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접촉부의 위치에 의해 상부 너트의 회전 양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술된 선행기술문헌들은 볼트와 너트가 편심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볼트와 너트의 결속이 더욱 단단해 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편심결합 너트는, 도난이 용이한 H-빔의 상호 결합, 송신탑의 트러스 구조 결합, 고속도로 등의 가드레일, 철로의 결합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난 방지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풀리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편심 결합에 의하더라도 편심결합력보다 큰 힘이 가해진다면 너트와 볼트가 풀릴 수 있고, 큰 힘이 아니더라도 반복적인 진동이나 떨림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너트가 풀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편심결합 너트는 필수적으로 한 쌍의 너트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단가절감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JP 1973-29257 JP 2002-1952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 힘 또는 진동이나 떨림에 의하더라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로크 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너트를 사용하여 상호 상대 풀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적 변경으로 단단한 결속이 가능한 로트 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는 볼트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너트에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너트에서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양 단부면에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너트와 상기 볼트의 결합방향으로 양쪽 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본체면과 상기 본체면의 내경에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플랜지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플랜지 와샤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직경은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가장 큰 부분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가장 큰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에 결합할 때 회전방향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면에는 마찰증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마찰증가수단은,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격자형 홈, 일자형 홈 및 나사산형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잠금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너트에는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 양쪽 면에 각각 단차홈이 구비되고, 상기 단차홈에 상기 플랜지 와샤가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단차홈은 상기 플랜지 와샤의 본체면이 결합하는 제1단차홈과, 상기 제1단차홈에서 상기 너트의 중앙부를 향해서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와샤의 플랜지가 위치하는 제2단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너트의 내측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큰 힘 또는 진동이나 떨림에 의하더라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로크 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너트를 사용하여 상호 상대 풀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적 변경으로 단단한 결속이 가능한 로트 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너트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잠금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가 볼트에 결합되는 일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볼트의 길이 방향, 즉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경우 이동되면서 결합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반경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 즉, 볼트 또는 너트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에서 볼트 또는 너트의 외측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원주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 즉, 볼트 또는 너트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에서 볼트 또는 너트의 외측면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소정 부재의 길이방향 끝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길이방향 끝단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소정 부재에서 상기 단부를 제외한 외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소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210); 및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211)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단 볼트(100)와 너트(210)가 일단 상호 회전결합한 후에는 결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대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된 상기 볼트(100)와 너트(210)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상으로는, 상기 고정홈(211)이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3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구비되는 고정홈(211)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 단부의 반경방향 간격이 가장 큰 잠금부재 안착부(211a)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서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211)의 내면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 즉, 나사선이 형성되는 원주방향에 대해 직선 내지는 둥근 형상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는 잠금부재(21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13)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의 직경은 상기 잠금부재(213)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크거나 거의 같은 사이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상호 결합되도록 상대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00)와 상기 잠금부재(213)가 접촉하더라도 상기 잠금부재(213)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잠금되도록 상대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일단 잠금 방향으로 회전되고 난 후에 상기 너트(210)를 잠금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 상기 볼트(100)와 상기 잠금부재(213)가 접촉하는 마찰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13)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 내에서 이탈하는 힘이 발생하고, 상기 잠금부재(213)는 잠금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홈(211)의 간격이 상기 너트(210)가 상기 볼트(100)에 잠길 때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잠금부재(213)는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홈(21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 사이에 단단히 걸림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일단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잠긴 후에는 단단히 락킹되어 풀수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210); 및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211)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213)는 고정수단(215)에 의해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부재(213)는 상기 고정수단(215)에 결합되더라도 회전이 자유로우며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너트(21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고정홈(211)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하여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홈(211)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 단부의 반경방향 간격이 가장 큰 잠금부재 안착부(211a)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서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211)의 내면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 즉, 나사선이 형성되는 원주방향에 대해 직선 내지는 둥근 형상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너트(210)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양단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는 잠금부재(21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13)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의 직경은 상기 잠금부재(213)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크거나 거의 같은 사이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상호 결합되도록 상대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00)와 상기 잠금부재(213)가 접촉하더라도 상기 잠금부재(213)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잠금되도록 상대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13)는 고정수단(215)에 의해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부재(213)는 상기 고정수단(215)에 결합되더라도 회전이 자유로우며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잠금부재(213)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215)에 걸림되는 고정돌기(213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15)은 본체면(214a)과 상기 본체면(214a)의 내경에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214b)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214b)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213a)가 상기 플랜지(214b)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213)가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플랜지 와샤(214)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13a)는 상기 잠금부재(2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210)에는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 양쪽 면에 각각 단차홈(212)이 구비되고, 상기 단차홈(212)에 상기 플랜지 와샤(214)가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다. 끼움결합은 상기 플랜지 와샤(214)를 상기 단차홈(212)에 압입하거나, 슬라이드 끼움 후 용접하는 등 다양한 고정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홈(212)은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본체면(214a)이 결합하는 제1단차홈(212a)과, 상기 제1단차홈(212a)에서 반경방향 내측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플랜지(214b)가 위치하는 제2단차홈(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본체면(214a)의 외경이 상기 제1단차홈(212a)을 형성하는 외경면에 압입되거나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본체면(214a)의 외경의 직경은 상기 제1단차홈(212a)을 형성하는 외경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어 압입되거나, 미소하게 작게 구비되어 슬라이드 결합 후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214b)의 내경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100)가 상기 너트(21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랜지(214b)의 내경이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214b)와 상기 볼트(100)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거나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210); 및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211)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213)는 고정수단(215)에 의해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부재(213)는 상기 고정수단(215)에 결합되더라도 회전이 자유로우며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와 동일하다. 다만, 잠금부재(213)를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 상술한다.
상기 너트(210)는 볼트(100)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211)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고정홈(211)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하여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홈(211)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볼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측 단부의 반경방향 간격이 가장 큰 잠금부재 안착부(211a)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서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너트(2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볼트(100)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211)의 내면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 즉, 나사선이 형성되는 원주방향에 대해 직선 내지는 둥근 형상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너트(210)에 상기 볼트(100)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양단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에는 잠금부재(21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13)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의 직경은 상기 잠금부재(213)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크거나 거의 같은 사이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상호 결합되도록 상대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00)와 상기 잠금부재(213)가 접촉하더라도 상기 잠금부재(213)가 상기 잠금부재 안착부(211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가 잠금되도록 상대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13)는 고정수단(215)에 의해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부재(213)는 상기 고정수단(215)에 결합되더라도 회전이 자유로우며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잠금부재(213)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215)과 결합하는 고정돌기(213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15)은 상기 너트(2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쪽 단부가 상기 고정홈(211)에서 상기 너트(210)와 상기 볼트(100)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잠금부재(213)의 양쪽 단부가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고정수단(215)의 양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213a)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움되도록 끼움홀 내지는 끼움홈(215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너트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너트(210)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기 너트(210)에는 잠금부재(213)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플랜지 와샤(214)가 고정될 수 있는 단차홈(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212)은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본체면(214a)이 결합하는 제1단차홈(212a)과, 상기 제1단차홈(212a)에서 반경방향 내측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플랜지(214b)가 위치하는 제2단차홈(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 와샤(214)의 본체면(214a)의 외경이 상기 제1단차홈(212a)을 형성하는 외경면에 압입되거나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와샤(214)는 본체면(214a)과 상기 본체면(214a)의 내경에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214b)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214b)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213a)가 상기 플랜지(214b)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213)가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210)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기 너트(210)에는 잠금부재(213)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수단(215)이 삽입 내지는 안착될 수 이는 삽입홀(217)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8의 (b)는, 'ㄷ'자 형상의 고정수단(215)에 있어서, 양 단부의 절곡된 부분이 안착되는 수평 삽입홀(217a)을 구비하는 너트(210)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215)이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너트(210)에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10)의 결합방향 면으로 상기 고정수단(215)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형이 좋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더욱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도 8의 (b)는 'ㄷ'자 형상의 고정수단(215)에 있어서 중앙 부분은 여전히 볼트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되므로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도 8의 (c)는 'ㄷ'자 형상의 고정수단(215)에 있어서 중앙 부분까지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삽입홀(217b)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잠금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213)의 잠금력을 향상시키고자 상기 잠금부재(213)의 외측면에 마찰력 증가수단이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잠금부재(213)의 외측면에 격자형 홈이 구비되는 것이고, (b)는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이며, (c)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 즉, 나사선형 홈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215)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형상의 고정수단(215)이 활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 와샤(214)는 본체면(214a)과 상기 본체면(214a)의 내경에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214b)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214b)가 상기 너트(210)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213a)가 상기 플랜지(214b)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213)가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5)을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실시예이고,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5)을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한 실시예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가 볼트에 결합되는 일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먼저, 도 10a를 참고하면, 상호 결합할 제1 부재(1)와 제2 부재(2)를 맞댄 후, 일측에 볼트헤드(110)가 걸리도록 볼트(100)를 끼우고, 타측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를 일반 너트결합 방식으로 끼움결합한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고하면, 상기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가 상기 볼트(10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부재(1)와 제2 부재(2)를 단단히 결합한 상태를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도 10c를 참고하면, 상기 로크 너트 어셈블리(200)에는 일단 너트(210)가 볼트(100)에 결합되면, 잠김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상기 너트(210)는 상기 볼트(100)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100: 볼트
200: 로크 너트 어셈블리
210: 너트
211: 고정홈
213: 잠금부재
215: 고정수단
217: 고정수단 삽입홈

Claims (14)

  1. 볼트와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경우 내면이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진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너트; 및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너트에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너트에서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양 단부면에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너트와 상기 볼트의 결합방향으로 양쪽 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본체면과 상기 본체면의 내경에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너트의 내측면에 끼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플랜지에 걸림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플랜지 와샤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직경은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가장 큰 부분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은 로크 너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볼트의 외측면과의 간격이 가장 큰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에 결합할 때 회전방향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면에는 마찰증가수단이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증가수단은, 상기 잠금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격자형 홈, 일자형 홈 및 나사산형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로크 너트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잠금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에는 상기 볼트와의 결합방향 양쪽 면에 각각 단차홈이 구비되고,
    상기 단차홈에 상기 플랜지 와샤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은 상기 플랜지 와샤의 본체면이 결합하는 제1단차홈과,
    상기 제1단차홈에서 상기 너트의 중앙부를 향해서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와샤의 플랜지가 위치하는 제2단차홈을 포함하는 로크 너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너트의 내측면의 직경보다 큰 로크 너트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28418A 2013-10-28 2013-10-28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10141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18A KR101418956B1 (ko) 2013-10-28 2013-10-28 로크 너트 어셈블리
PCT/KR2014/003301 WO2015064863A1 (ko) 2013-10-28 2014-04-16 로크 너트 어셈블리 및 로크 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418A KR101418956B1 (ko) 2013-10-28 2013-10-28 로크 너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956B1 true KR101418956B1 (ko) 2014-07-16

Family

ID=5174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18A KR101418956B1 (ko) 2013-10-28 2013-10-28 로크 너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422B1 (ko) * 2015-10-02 2016-03-22 강순구 단조가공에 의한 로크 너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로크 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4A (ja) * 1999-02-04 2000-08-08 Hamanaka Nut Kk ねじの緩み止め構造
KR20050075270A (ko) * 2004-01-15 2005-07-20 죤 케이 졍커스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KR20060037803A (ko) * 2004-10-28 2006-05-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일방향 체결 너트
KR101328802B1 (ko) 2013-05-28 2013-11-20 이연심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4A (ja) * 1999-02-04 2000-08-08 Hamanaka Nut Kk ねじの緩み止め構造
KR20050075270A (ko) * 2004-01-15 2005-07-20 죤 케이 졍커스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KR20060037803A (ko) * 2004-10-28 2006-05-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일방향 체결 너트
KR101328802B1 (ko) 2013-05-28 2013-11-20 이연심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422B1 (ko) * 2015-10-02 2016-03-22 강순구 단조가공에 의한 로크 너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로크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2075B (zh) 周向鎖止機構、電池鎖定裝置、動力電池組及車輛
KR20090051062A (ko) 고정 시스템 및 체결요소
JP6100804B2 (ja) 特に配管用の安全接続デバイス、前記デバイス用の端部連結器、並びに、そのためのナットを製造する方法
TW201525310A (zh) 螺紋體的逆旋轉防止構造
US2010000307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bar
KR102048264B1 (ko) 풀림방지 너트
JP2014523829A5 (ko)
KR102065742B1 (ko) 강관 파일 연결구
KR101418956B1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JP2015072056A (ja) 締結部の逆回転防止構造
KR101913401B1 (ko) 강관 연결장치
JP6653492B1 (ja) スプリングワッシャ一体型ボルトナット
JP5619975B2 (ja) 杭の継手構造
JP2014118983A (ja) 螺合金具離脱防止具及びクランプ装置
KR20010099773A (ko) 패스너
KR101534442B1 (ko)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20150039336A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JP4837963B2 (ja) ねじの弛み止め構造
KR20150039335A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EP1001176B1 (en) Connector device assembly
KR20130011244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볼트
JP6215601B2 (ja) ボルト・ナットの弛み止め構造
RU104604U1 (ru) Ручка дверная
JP4084315B2 (ja) ブレース連結構造及びその設置方法
JP3176444U (ja) ね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