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270A -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 Google Patents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270A
KR20050075270A KR1020040061936A KR20040061936A KR20050075270A KR 20050075270 A KR20050075270 A KR 20050075270A KR 1020040061936 A KR1020040061936 A KR 1020040061936A KR 20040061936 A KR20040061936 A KR 20040061936A KR 20050075270 A KR20050075270 A KR 2005007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ner segment
fuselage
segmen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 케이 졍커스
Original Assignee
죤 케이 졍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케이 졍커스 filed Critical 죤 케이 졍커스
Publication of KR2005007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25B29/02Bolt tens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16B39/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with spring washers fastened to the nut or bolt-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conical locking parts, which may be split, including use of separate rings co-operating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와샤에 있어서, 이 와샤가 일측단부가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대상물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롯드를 갖는 고정구와 협동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동체로 구성되고, 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동체가 축선을 가지고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단부에서 롯드에 나선결합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제1 외면과,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구비함으로서, 공구가 결합되어 너트가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고 고정력이 동체를 고정시키고 있는 동안에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와샤를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방법과 동력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 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본 발명은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 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부슬리이브, 외부슬리이브 및 와샤를 포함하는 다중부품으로 구성된 대체형 너트를 갖는 고정구를 이용하는 동력공구로 대상물을 서로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체형 너트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341,560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대체형 너트가 미국특허 제6,254,323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이 특허문헌에서 볼트는 그 상측나선부의 하측에 스플라인을 가지며 이에 와샤가 회전되지 않게 열결되고 , 볼트는 또한 반작용력을 가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반면에, 동일한 공구의 작용력이 볼트나선부와 와샤면에서 너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언급된 두 특허문헌에 기술된 고정구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특징이 하나의 공구의 작용 및 반작용력의 이용, 동력공구에서 반작용 암의 제거, 토크의 토션없는 볼트 스트래칭으로의 변환과, 초기에 토크 보다는 요구된 잔류볼트부하를 얻는 것이며, 여기에서 잔류볼트부하는 실제의 마찰 또는 텐션 보다는 힘이 신장된 볼트로부터 손으로 조이는 너트에 전달될 때 추정볼트이완에 기초하는 계산된 마찰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일부의 해결방법이 본 발명자의 미국특허출원 제10/010,377호, 제10/112,101호, 제10/120,343호 및 제 10/427,10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기술된 와샤는 볼트 또는 스터드의 나선부에 회전저항면을 제공하는 제3회전저항면을 갖는다. 볼트 또는 스터드가 단순히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나선부를 가지고 하측부가 만곡되어 있으므로 이들 특허문헌에 기술된 와샤는 이러한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커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너트에 결합되기 위하여 제공된 나선을 가지고 나선부뿐만 아니라 하측에 원형부를 갖는 모든 나선형 롯드와 모든 볼트 밑 스터드에 적용할 수 있는 와샤, 와샤를 갖는 고정구,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법 및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동력공구를 제공하여 전체 와샤를 교체하는 대신에 단순히 와샤의 세그먼트만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해결방식을 더욱 개선한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 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과 이후에 명백하게 되는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징으로서, 본 발명의 와샤는 일측단부가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대상물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롯드를 갖는 고정구와 협동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동체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고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단부에서 롯드에 나선결합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제1 외면,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구비함으로서, 공구가 결합되어 너트가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고 고정력이 상기 동체를 고정시키고 있는 동안에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고정구가 제공되는 바, 이 고정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된 타측단부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가 형성된 롯드,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롯드에 결합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동체를 포함하는 와샤를 제공하고, 상기 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고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단부에서 롯드에 나선결합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제1 외면,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구비함으로서, 공구가 결합되어 너트가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고 고정력이 상기 동체를 고정시키고 있는 동안에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대상물에서 고정구를 조이거나 푸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이 방법이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된 타측단부를 가지고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가 형성된 롯드를 갖는 고정구를 취부하는 단계,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에 축선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갖는 동체와 롯드에 결합될 수 있게 배치된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와샤를 배치하여 상기 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와샤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하는 와샤의 배치단계, 와샤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된 동체의 제1 외면에 결합하도록 롯드의 타측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너트를 연결하는 단계, 와샤의 축방향 반대측에 배치된 동체의 제2 외면을 통하여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에 와샤를 결합하는 단계, 동체에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내면을 제공하는 단계,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공구를 통하여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단계와, 동체를 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공구를 통하여 와샤의 동체에 고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동력공구가 제공되는 바, 이 동력공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타측단부를 갖는 롯드를 포함하는 고정구,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축선을 갖는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갖는 와샤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단부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는 상기 너트와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 외면,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가지며, 최소회전저항으로 상기 고정구의 일측부를 회전시키고 최대회전저항으로 고정부의 타측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방향으로 동일한 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가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하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롯드가 이에 따라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외면에 의하여 마찰이 증강되는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에 가하여질 때,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가 고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신장 또는 이완되는 상기 롯드에 의하여 상기 롯드를 축방향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동력공구가 제공되는 바, 이 동력공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타측단부를 갖는 롯드를 포함하는 고정구,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동체, 롯드에 결합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의 결합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는 와샤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며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단부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는 상기 너트와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 외면,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가지며, 최소회전저항으로 상기 고정구의 일측부를 회전시키고 최대회전저항으로 고정부의 타측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방향으로 동일한 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삽입되며 상기 너트가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하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롯드가 이에 따라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외면에 의하여 마찰이 증강되는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에 가하여질 때,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가 고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신장 또는 이완되는 상기 롯드에 의하여 상기 롯드를 축방향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1)를 보이고 있다. 이 와샤(1)는 동체(2)를 갖는다. 와샤(1)의 동체(2)는 축선 A1을 가지며, 또한 축방향 일측면에 배치되고 롯드에 나선결합되는 너트에 접할 수 있게 된 제1외면(3), 축방향의 반대측 타측면에 배치되고 대상물에 접할 수 있게 된 제2외면(4)과, 내면(5)을 갖는다. 또한 와샤(1)는 롯드를 갖는 고정구에 결합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6)(도 1a 및 도 1b의 실시형태에서 와샤는 두개의 내부세그먼트 6을 갖는다)를 갖는다. 와새의 동체(2)는 동체의 내부세그먼트(6)와 롯드의 단부 사이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특히,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구의 롯드는 일측 단부가 조이거나 풀리는 대상물의 일측부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 단부는 대상물의 타측부측으로 연장된다. 와샤의 동체는 내부세그먼트(6)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결합을 강화한다.
도 3은 예를 들어 함께 고정되어야 할 두 판체(7)(8)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조이고 있다. 롯드(9)는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대상물인 두 판체(7)(8)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측단부(10)와, 판체(7)(8)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12)를 갖는 타측단부(11)를 갖는다. 너트(13)가 롯드(9)의 나선부(12)에 결합된다.
와샤(1)에는 내부세그먼트(6)와 롯드(9)의 타측단부(11) 사이의 접촉정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변경수단은 와샤의 동체(1)의 외측으로 일측단부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14)(도 1 및 도 1b에서 두개의 가동부재 14를 보이고 있다)를 포함한다. 도 1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가동부재(14)는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는 축선 A1을 향하여 경사지고 세그먼트(6)의 외면에 결합되는 내면(15)을 가지며, 세그먼트의 외면은 동일하게 축선 A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b에서 보인 초기 위치에서, 가동부재(14)의 상측단부는 와샤 동체(2)의 제1외면(13)을 지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공구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동력공구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서 작동하고 피스턴 롯드가 구비된 피스턴을 포함하는 유체작동형 구동장치의 형태로 구성된 동력구동장치(20)를 포함하는 공구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구동장치의 왕복운동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499,55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래치트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동력공구는 도 3에서 보인 고정구와 같이 구성되고 와샤(1), 롯드(9) 및 너트(13)를 포함하는 고정구부분을 갖는다. 이 고정구부분은 와샤의 동체(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와샤(1)에 결합되는 부동돌출부(22)를 갖는 하우징(21)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부동돌출부(22)는 동체(2)의 다각형의 외형에 일치하는 내부 다각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구부분은 래치트에 의하여 회전되고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너트(13)에 결합되는 가동형의 내부돌출부(23)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가동형의 내부돌출부(23)는 너트(13)의 다각형의 외형에 일치하는 내부 다각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대상물에 고정구를 고정하고 조이기 위하여, 롯드(9)가 대상물인 판체(7)(8)에 삽입되고 대상물의 일측단부가 예를 들어 롯드의 단부(10)에 결합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대상물의 일측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와샤가 롯드(9)에 배치되어 와샤 동체의 외면(4)이 대상물의 판체(8)의 상부면(8)에 배치되고, 너트(13)가 롯드(9)의 단부(11)에 나선결합되며, 부동돌출부(22)가 와샤(1)의 동체(2)의 외면에 결합되고, 동력구동장치(20)의 작용하에 회전가능한 내부돌출부(23)가 회전되어 너트(13)를 회전시키며, 부동돌출부(22)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대응고정력이 와샤의 동체(2)를 고정하고 있는 동안에 롯드(9)가 회전되고, 내부세그먼트(6)는 롯드(9)의 단부(11)에 대하여 마찰을 일으켜 롯드(9)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너트(13)의 계속된 회전으로 롯드(9)가 축방향으로 신장 또는 이완되어 대상물인 판체(7)(8)에서 롯드(9)를 조이거나 풀어지게 하고, 내부세그먼트(6)가 롯드(9)가 신장 또는 이완될 때 동체(2)의 내면(5)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내부세그먼트(6)가 도 1b에서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할 때 롯드(9)를 조이는 중에, 가동부재(14)의 경사진 내면(15)과 세그먼트(6)의 경사진 외면(16) 사이의 쐐기작용으로, 세그먼트(6)는 방사상 내측으로 가압되고 세그먼트(6)와 롯드(9) 사이의 마찰은 증가하여 롯드(9)의 회전이 신뢰가능하게 방지된다.
작동전에 와샤(1)가 롯드(9)에 결합될 때 가동부재(14)가 동체(2)의 하부내측으로 완전히 가압되지 않고 이들의 단부가 동체의 외면(8)을 지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세그먼트(6)와 롯드의 단부(11) 사이의 접촉은 작다. 이러한 작은 접촉은 롯드(9)에 와샤(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너트(13)가 와샤(1)에 가압되어 가동부재(14)가 와샤의 동체(2)의 내부하측으로 가압될 때, 세그먼트(6)와 롯드(9)의 단부(11) 사이의 접촉정도가 증가한다. 와샤(1)가 롯드(9)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때, 가동부재(14)는 예를 들어 스프링(24)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서 내부세그먼트(6)와 롯드(9)의 단부(11) 사이의 접촉정도가 감소되고 와샤(1)가 롯드(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동체(2)의 제2 외면(4)은 예를 들어 대상물인 판체(7)(8)에 의하여 마찰고정되는 것이 강화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동체(2)의 제1 외면(3)은 예를 들어 이 외면(3)에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와샤(1)의 내부세그먼트(6)는 나선부가 형성되지 않은 내면을 갖는 반면에 롯드(9)는 그 단부(11)에 너트(13)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롯드(9)는 그 단부(11)에서 나선부(12)의 하측에 비나선부, 즉 평활부를 갖는다. 비나선형의 내면을 갖는 세그먼트(6)는 롯드(9)의 나선부(12)의 하측에 위치하는 롯드(9)의 단부(11)의 상기 언급된 비나선부와 결합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와샤(6)의 내부세그먼트(6a)는 나선형의 내면을 갖는다. 도 3a로 보인 바와 같이, 내부세그먼트(6a)의 나선형 내면은 롯드(9)의 단부(11), 특히 너트(13)가 결합되는 최초 언급된 나선부(12)의 하측에 배치된 롯드(9)의 단부(11)의 나선부를 구성하는 나선에 결합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는 마찰이 와샤(1)의 세그먼트(6)의 비나선형 내면과 롯드(9)의 단부(11)의 비나선형 외면 사이에서 일어나나,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찰이 세그먼트(6a)의 내부나선면과 롯드(9)의 단부(11)의 외부나선면 사이에서 일어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 와샤는 도 1b에서 보인 와샤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가동부재(14')가 반대측 축방향에 위치하고 대상물인 판체(7)(8)에 접할 수 있도록 와샤 동체(2)의 제2 외면(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5에서 보인 와샤의 작동은 도 1 및 도 2에서 보인 와샤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인 와샤는 롯드(9)가 신장될 때 세그먼트(6)(6a)와 롯드(9)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고 롯드가 이완될 때 세그먼트(6)(6a)와 롯드(9) 사이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이 명백한 것으로 믿어진다. 세그먼트(6)(6a)를 롯드(9)의 단부(11)측으로 가압함으로서 가동부재(14)는 내부세그먼트(6)(6a)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롯드(9)의 단부(11)에서 내부세그먼트(6)가 쐐기형태로 협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 보인 와샤(31)는 내면(33)을 갖는 동체(32)를 갖는다. 또한 이 와샤는 동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동체(32)의 내면과 결합하는 외면을 갖는 세그먼트(34)를 갖는다. 스프링탄지형의 핀(35)이 세그먼트(34)에 결합되고 도 2 및 도 5의 가동부재(14)(14')와 유사한 가동부재를 구성한다. 그러나, 가동부재(14)(14')가 동체(2)의 외면(3)과 그 반대측 외면(4)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경우, 핀(35)은 동체(32)의 주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내부세그먼트(34)는 비나선형이고 너트(13)에 결합될 수 있게 된 나선부의 하측에서 롯드(9)의 단부(11)와 결합된다. 환언컨데, 롯드(9)의 단부(11)는 너트(13)가 나선결합되는 나선부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나선부의 하측에는 나선부의 하측에서 세그먼트(6)가 결합되는 비나선부를 가질 수 있다. 작동전에, 스프링(36)이 핀(35)을 방사상 외측으로 밀고 있으므로 세그먼트(34)는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와샤를 손으로 롯드(9)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공구의 부동돌출부(22)가 와샤의 동체(32)에 가압될 때, 핀(35)이 방사상 내측으로 강제이동되고 내부세그먼트(34)와 롯드(9)의 단부(11) 사이의 접촉이 증가된다. 롯드로부터 와샤를 분리하고자 할 때, 부동돌출부(22)가 와샤의 동체(32)로부터 분리된다. 스프링(36)이 핀(35)을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세그먼트(34)는 롯드(9)의 단부(11)와의 접촉을 줄이고 와샤가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핀(35)은 와샤(31)의 동체(32)의 외주연 밖으로 연장되어 공구에 의하여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있다.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동체(32)의 내면은 축선 A1에 대하여 비원형인 면 부분을 가지며 내면(33)의 각 부분을 따라 반경이 상이한 반면에 세그먼트(34)는 상기 내면에 일치하는 비원형의 외면을 갖는다. 이로써 작동시에 쐐기작용이 가하여져 세그먼트(34)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어 세그먼트(34)의 내면과 롯드(9)의 표면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킨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인 와샤(41)는 내면(43)을 갖는 동체(42)를 갖는다. 동체(42)의 내면(43)은 예를 들어 축선 A1에 대하여 비원형인 여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와샤는 동체(42)의 내면에 일치하는 외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44)를 갖는다. 세그먼트(44)에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접속면(45)을 갖는 턱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47)에 의하여 탄지된 핀(46)은 세그먼트(44)에 스프링의 힘을 가하여 세그먼트의 외면과 동체(42)의 내면(43)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킨다. 이들 도면에서 세그먼트(44)는 단일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동일한 형상인 수개의 세그먼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서 보인 와샤(51)는 내면(53)을 갖는 동체(52)를 갖는다. 이 와샤는 동체(52)의 내면(53)에 결합하는 외면을 갖는 세그먼트(54)를 갖는다. 이 와샤에는 내면(53)에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내부세그먼트(54)가 내면(5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이 장애물은 동체(52)의 내면(53)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부(55)로 구성된다. 이 돌출부(55)는 내부세그먼트(54)의 외면에 형성된 요구(56)에 삽입된다. 동체(52)의 내면(53)과 내부세그먼트(54)의 외면은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축선 A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장애물인 돌출부(55)는 와샤의 동체(52)의 내면(53)에 대하여 세그먼트(54)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나, 롯드(9)가 신장되거나 이완될 때 내부세그먼트(54)가 축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과 도 12에서 보인 와샤(61)는 예를 들어 포켓형상의 부분을 갖는 내면(63)을 갖는 동체(62)를 갖는다. 또한 이 와샤는 동체(62)의 내면(63)에 결합하는 외면을 갖는 내부세그먼트(64)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내부세그먼트(64)와 롯드(9)의 단부(11)사이의 접촉정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내부세그먼트(64)를 와샤의 동체(62)에 연결하는 연결수단(6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연결수단(65)은 클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그먼트(64)에 형성된 슬로트와 와샤(61)의 동체(62)에 형성된 슬로트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클립의 형태인 이 연결수단(65)의 내측각부는 롯드(9)가 신장되거나 이완될 때 내부세그먼트(64)의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내부세그먼트(64)와 롯드(9)의 단부(11) 사이의 마찰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13에서 보인 와샤(71)는 내면(73)을 갖는 와샤 동체(72)를 갖는다. 또한 이 와샤(71)는 내면(73)에 결합되는 외면을 가지며 예를 들어 이들 면은 널링가공되어 서로 억지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한 이 와샤에는 와샤 동체(72)와 세그먼트(74)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장된 교체가능한 파단형 핀(75)이 구비되어 있어 초기에 이들 동체와 세그먼트가 서로 접촉하여 있고 롯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롯드의 나선과 세그먼트(74)의 나선 사이에 카운터 너트의 효과가 있도록 한다. 작동중에 롯드(9)는 회전이 방지되고 신장되기 시작하여 핀(75)이 파단되며 와샤 동체(72)와 세그먼트(74) 사이의 널링부분 억지끼워맞춤과 극복되어야 하는데 필요한 관성이 롯드의 신장중에 롯드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핀(75)은 와샤 동체의 내면(73)에 제공되고 내부세그먼트(74)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을 구성한다.
도 14에서 보인 와샤(81)는 예를 들어 타원형 형상의 비원형인 내면(83)을 갖는 동체(82)를 갖는다. 또한 이 와샤는 동체의 내면(83)에 대향하는 외면을 갖는 세그먼트(84)를 갖는다. 또한 두개의 원형 전환부재(85)로 구성되는 전환장치가 제공된다. 전환부재(85)는 작은 톱니의 결합, 마찰결합 또는 널링면의 결합과 같은 결합으로 세그먼트(84)의 외면에 결합하는 외면을 갖는다. 전환부재(85)를 회전시킴으로서 세그먼트가 주연방향으로 이동된다. 롯드(9)가 조여질 때, 롯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전환부재(8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세그먼트(8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들이 롯드(9)가 회전이 정지되는 지점까지 이동하여 쐐기효과를 보일 때까지 회전하는 롯드(9)에 의하여 끌어당기어진다. 롯드가 풀리는 동안에는 이러한 과정이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 15에서 보인 와샤(91)는 내면(93)을 갖는 동체(92)를 갖는다. 또한 이 와샤는 동체(92)의 내부에 배치된 세그먼트(94)를 갖는다. 동체(92)의 내면(93)은 세그먼트(94)의 외면과 협동한다. 이를 위하여 동체(92)의 내면(93) 과/또는 세그먼트(94)의 외면에는 억지끼워맞춤은 이루어지지 않는 널링부분, 스플라인, 요구, 슬로트 등으로 구성되는 결합부(9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세그먼트(94)가 와샤의 동체(92)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너트가 회전되고 회전하는 롯드(9)가 세그먼트(9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을 보일 때, 세그먼트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할 수록 이들은 예를 들어 동체(92)의 경사진 내면(93)과 세그먼트(94)의 경사진 외면의 작용하에 더욱 롯드 측으로 가압된다. 세그먼트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할 수록 이들은 롯드가 회전되는 것이 중단될 때까지 롯드측으로 더욱 가압된다. 세그먼트(94)가 신장되는 롯드(9)에 의하여 상측으로 당기어질 때 롯드(9)와 세그먼트(94) 사이의 결합은 더욱 증가되어 롯드가 신장되면서 부하가 증가할 때 너트(13)에 의하여 롯드(9)에 증가하여 가하여지는 견인마찰을 극복한다. 이러한 방식은 롯드의 나선부나 비나선부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언급된 모든 실시형태는 세그먼트가 너트결합부분의 하측의 롯드의 비나선부 또는 롯드의 너트결합부분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하여 작동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각 요소 또는 둘 이상의 이들 요소는 상기 언급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의 다른 형태로서도 유용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의 고정방법과 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수정이나 구조적인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달리 분석함이 없이 이상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요지가 명확하게 되며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이면 종래기술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반적인 관점 또는 특수한 관점의 중요한 특징을 구성하는 구조를 생략함이 없이 다양한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와샤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되고 또한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 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될 때,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매우 유리한 결과는 모든 나선형 롯드와 너트가 결합되는 나선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가적인 나선을 가지고 너트가 결합되는 나선부의 하측에 부가적인 나선부를 갖지 않는 대신에 너트가 결합되는 나선부의 하측에 원형부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모든 볼트와 스터드에 적용될 때 얻을 수 있고 전체 와샤를 교체하는 대신에 간단히 세그먼트만을 교체할 수 있다.
업체들은 볼트와 너트를 재고로 준비하는것처럼 본 발명의 와샤도 재고로 준비할 것이다. 나선형 롯드만을 사용하는 업체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업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 하측의 나선부에 나선결합된다. 너트에 결합되는 나선부를 가지고 그 이외의 부분은 원형인 나선형 롯드를 사용하는 업체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업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샤는 수요자의 재고를 줄이기 위하여 특히 이러한 와샤가 사용되는 롯드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앞의 문단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교체되어 너트의 나선부 하측에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세그먼트가 원형봉의 결합을 위하여, 즉 너트의 하측 비나선형 부분의 결합을 위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너트가 결합되는 나선부를 가지고 그 이외의 부분은 원형인 롯드만을 사용하는 업체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업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롯드의 원형부분에 맞추어질 수 있다. 적용분야, 롯드의 코스트 및 정기적인 유지보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는 원형이거나, 또는 롯드가 너트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너트가 결합되는 나선부의 하측에서 롯드의 원형부분에 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롯드는 스터드, 스크류, 핀, 나선단부를 갖는 롯드 또는 나선형 롯드 등의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구는 너트가 결합될 있도록 적어도 일측단부에 나선부를 갖거나 또는 원형인 롯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고정구는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까지 나선형 롯드로 되어 있다. 일부의 고정구는 양단에 너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선부를 가지고 이들 나선부 사이는 테이퍼형의 원형이다. 일부 고정구는 일측단부가 대상물의 일측부에 용접되고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물은 플랜지, 케이스, 휠, 일측을 타측에 취부한 취부구조물, 적어도 두 부분을 연결한 연결구조물 등일 수 있다.
작동중에 너트는 회전시에 와샤 동체의 제1 외면에 대하여 회전마찰을 일으키고, 대상물은 와샤 동체의 제2 외면에 대하여 회전저항을 보이며,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세그먼트에 회전저항을 가하고 이는 다시 고정력이 동체에 가하여질 때 회전저항을 롯드에 가하게 된다.
와샤의 동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력은 와샤 동체의 제2 외면이 고정대상물상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지마찰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잠정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력이 동체에 가하여져야 한다.
작용력이 너트를 회전시키고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작용력이 동체를 고정시키는 공구는 동체를 회전시킬 수 없을 것이다. 너트에 의하여 제1 외면에 가하여지는 회전마찰은 동체와 제1 외면이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받으므로 동일하다. 회전하는 너트에 의하여 롯드에 가하여지는 견인마찰은 세그먼트를 회전시켜 동체를 너트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동체에 가하여지는 반작용력은 동체와 세그먼트를 반대항향으로 회전시켜 이들이 같아지도록 할 것이다. 제2 외면과 대상물 사이의 정지마찰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이 동시에 너트와 동체에 가하여지는 경우 동체가 고정되도록 한다. 환언컨데, 롯드가 너트를 따라 회전되지 않는 경우, 너트는 단순히 동체의 제1 외면에 동체에 가하여지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에 의하여 같게 되는 회전마찰만을 가하여 동체는 제2 외면의 정지마찰 때문에 고정된 상태에 놓인다. 동체가 최소저항으로 회전하므로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이 가하여질 때 너트만이 회전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것으로 도 1a와 도 1b와 같은 평면도와 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서 보인 와샤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도.
도 3a는 도 3과 같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와샤와 고정구를 이용한 고정방법을 설명하고 이러한 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공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보인 본 발명의 와샤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보인 본 발명의 와샤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보인 본 발명의 와샤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와샤를 보인 단면도.

Claims (165)

  1. 와샤에 있어서, 이 와샤가 일측단부가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대상물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롯드를 갖는 고정구와 협동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동체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고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단부에서 롯드에 나선결합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제1 외면과,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된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구비함으로서, 공구가 결합되어 너트가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고 고정력이 상기 동체를 고정시키고 있는 동안에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억제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다른 내부구조물로 교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1 세그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2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로 또는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동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에 손으로 삽입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가 롯드에 손으로 분리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와샤가 롯드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상기 제1 외면에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상기 측부를 지나 연장되어 고정력이 가하여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회전되어 상기 동체를 대상물에 가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동체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내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신장될 때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이완될 때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접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전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비원형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를 따라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비원형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쐐기효과의 작용을 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쐐기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롯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내에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손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2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에 쐐기형태로 협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측으로 가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때에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을 가하고 너트를 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다시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동체가 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힘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에 의하여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의 마찰이 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의 마찰이 작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
  34. 고정구에 있어서, 이 고정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된 타측단부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가 형성된 롯드,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롯드에 결합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동체를 포함하는 와샤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고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단부에서 롯드에 나선결합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제1 외면과,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구비함으로서, 공구가 결합되어 너트가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고 고정력이 상기 동체를 고정시키고 있는 동안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다른 내부구조물로 교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8. 제3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1 세그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2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로 또는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동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에 손으로 삽입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 보다 낮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가 롯드에 손으로 분리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 사이의 마찰 보다 작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와샤가 롯드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상기 제1 외면에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상기 측부를 지나 연장되어 고정력이 가하여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회전되어 상기 동체를 대상물에 가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동체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내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1.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신장될 때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이완될 때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접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전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비원형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를 따라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비원형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쐐기효과의 작용을 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쐐기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롯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내에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손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1.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에 쐐기형태로 협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측으로 가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때에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을 가하고 너트를 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다시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동체가 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힘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에 의하여 고정력이 가하여지는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의 마찰이 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의 마찰이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 보다 작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7. 대상물에서 고정구를 조이거나 푸는 대상물고정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된 타측단부를 가지고 너트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가 형성된 롯드를 갖는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에 축선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갖는 동체와 롯드에 결합될 수 있게 배치된 내부세그먼트를 갖는 와샤를 배치하여 상기 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 와샤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하는 와샤의 배치단계, 와샤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된 동체의 제1 외면에 결합하도록 롯드의 타측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너트를 연결하는 단계, 와샤의 축방향 반대측에 배치된 동체의 제2 외면을 통하여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에 와샤를 결합하는 단계, 동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내면을 제공하는 단계, 롯드가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롯드와의 나선마찰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공구를 통하여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단계와, 동체를 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와샤의 동체에 고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롯드를 축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이완시켜 신장 또는 이완되는 롯드에 의하여 롯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고정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다른 내부구조물로 교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1 세그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2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로 또는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동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에 손으로 삽입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가 롯드에 손으로 분리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와샤가 롯드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7.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상기 제1 외면에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8.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상기 측부를 지나 연장되어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회전되어 상기 동체를 대상물에 가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동체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내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신장될 때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이완될 때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접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전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7.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비원형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를 따라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비원형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쐐기효과의 작용을 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쐐기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롯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내에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손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에 쐐기형태로 협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측으로 가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때에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을 가하고 너트를 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다시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동체가 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힘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7.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에 의하여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의 마찰이 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의 마찰이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 보다 작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0. 동력공구에 있어서, 이 동력공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타측단부를 갖는 롯드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축선을 갖는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갖는 와샤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단부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는 상기 너트와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 외면과,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가지며, 최소회전저항으로 상기 고정구의 일측부를 회전시키고 최대회전저항으로 고정부의 타측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방향으로 동일한 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가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하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롯드가 이에 따라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외면에 의하여 마찰이 증강되는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에 가하여질 때,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가 고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신장 또는 이완되는 상기 롯드에 의하여 상기 롯드를 축방향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다른 내부구조물로 교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2.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3.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에서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4. 제10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1 세그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에서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2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로 또는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동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5.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에 손으로 삽입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 보다 낮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6.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가 롯드에 손으로 분리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7.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8.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와샤가 롯드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0.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상기 제1 외면에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1.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상기 측부를 지나 연장되어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2.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회전되어 상기 동체를 대상물에 가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3.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4.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5.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동체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내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6.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7.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신장될 때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이완될 때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19.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접촉정도를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전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0.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비원형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를 따라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비원형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2.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쐐기효과의 작용을 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쐐기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롯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내에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3.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4.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5.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손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6.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7.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8.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에 쐐기형태로 협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측으로 가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29.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때에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을 가하고 너트를 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다시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동체가 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힘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0.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에 의하여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의 마찰이 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2.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의 마찰이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 보다 작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3. 동력공구에 있어서, 이 동력공구가 조이거나 풀어야 할 대상물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 일측단부와 대상물의 타측단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를 갖는 타측단부를 갖는 롯드를 포함하는 고정구, 상기 롯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동체와, 롯드에 결합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롯드의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 하측에서의 결합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는 와샤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가 축선을 가지며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단부에서 상기 롯드의 상기 나선부와 나선결합되는 상기 너트와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 외면과,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대상물에 결합할 수 있게 제2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을 가지며, 최소회전저항으로 상기 고정구의 일측부를 회전시키고 최대회전저항으로 고정부의 타측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방향으로 동일한 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삽입되며 상기 너트가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하나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롯드가 이에 따라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상기 동일한 회전력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외면에 의하여 마찰이 증강되는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에 가하여질 때, 상기 와샤의 상기 동체가 고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롯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이 신장 또는 이완되는 상기 롯드에 의하여 상기 롯드를 축방향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다른 내부구조물로 교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5.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6.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7. 제1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1 세그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의 하측의 비나선부에 결합토록 구성된 제2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세그먼트의 다른 하나로 또는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동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8.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에 손으로 삽입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39.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상기 동체가 롯드에 손으로 분리시키는 와샤가 설치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마찰이 와샤가 롯드에 설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 사이의 마찰 보다 작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0.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을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1.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의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2.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와샤가 롯드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의 접촉이 감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3.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상기 제1 외면에서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4.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상기 측부를 지나 연장되어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질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5.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을 지나 연장되어 너트가 회전되어 상기 동체를 대상물에 가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향하여 내측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6.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7.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8.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동체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내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49.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0.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신장될 때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1.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롯드가 이완될 때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2.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접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전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3.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와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비원형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롯드를 따라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비원형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5.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쐐기효과의 작용을 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쐐기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롯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내에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 사이에 쐐기형태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6.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7.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상기 동체의 상기 내면과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8.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손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59.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0.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1.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에 쐐기형태로 협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를 롯드의 타측단부측으로 가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2.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을 조이거나 풀 때에 롯드의 타측단부에 마찰을 가하고 너트를 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재가 다시 상기 동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동체가 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세그먼트에 힘을 가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3.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가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는 공구에 의하여 대응고정력이 가하여지는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의 마찰이 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165.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기 제1 외면의 마찰이 상기 동체의 상기 제2 외면 보다 작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KR1020040061936A 2004-01-15 2004-08-06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KR20050075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58,319 US20050155461A1 (en) 2004-01-15 2004-01-15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US10/758,319 2004-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270A true KR20050075270A (ko) 2005-07-20

Family

ID=3470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936A KR20050075270A (ko) 2004-01-15 2004-08-06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20050155461A1 (ko)
JP (1) JP2005201443A (ko)
KR (1) KR20050075270A (ko)
CN (1) CN1648475A (ko)
AU (1) AU2004237822A1 (ko)
BR (1) BRPI0500114A (ko)
MX (1) MXPA04010376A (ko)
TW (1) TWI235796B (ko)
ZA (1) ZA20040639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56B1 (ko) * 2013-10-28 2014-07-16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WO2015064863A1 (ko) * 2013-10-28 2015-05-07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및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101534442B1 (ko) * 2014-04-10 2015-07-07 길병모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20210053530A (ko) * 2019-11-04 2021-05-12 강충호 탄성 부재를 구비한 풀림 방지용 와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5213B2 (en) * 2001-12-06 2006-10-24 Junkers John K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FR2902473B1 (fr) * 2006-06-15 2009-11-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formant ecrou a montage rapide
JP5276447B2 (ja) * 2006-11-29 2013-08-28 メイラ株式会社 ナット
US8978232B2 (en) * 2009-03-23 2015-03-17 John K. Junkers Method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threaded connectors
TW201341677A (zh) * 2012-04-13 2013-10-16 Yi-Fu Chen 快速鎖卸螺帽結構(一)
TW201341678A (zh) * 2012-04-13 2013-10-16 Yi-Fu Chen 快速鎖卸螺帽結構(二)
CN103375475B (zh) * 2012-04-24 2015-04-22 陈启川 快速锁卸螺帽结构
US20140010615A1 (en) * 2012-07-09 2014-01-09 Kinichi KAWAKAMI Low torque nut
CN102878149B (zh) * 2012-10-23 2015-09-23 湖南特力液压有限公司 密封件安装结构及密封件安装方法
CN103962818B (zh) * 2013-01-30 2016-06-2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将工作头装卸于动力工具的操作方法
WO2015095425A2 (en) * 2013-12-17 2015-06-25 HYTORC Division Unex Corporatio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CN106545561A (zh) * 2017-01-12 2017-03-29 北京中昊创业交通科学应用技术研究发展中心 一种防松止退螺母及防松止退螺母组件
CN107989882B (zh) * 2018-01-02 2024-02-20 福建泉州市金正机械有限公司 一种抱紧式防松螺栓副
CN110630619A (zh) * 2019-10-21 2019-12-31 杜建龙 一种结构精密的防松组合紧固件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8A (en) * 1863-09-08 Apparatus for throwing projectiles
US601249A (en) * 1898-03-29 Nut-lock
US1005227A (en) * 1910-12-27 1911-10-10 Daniel Palmer Jones Device for gripping fastening, or locking purposes.
US1678409A (en) * 1926-11-11 1928-07-24 Ward Ernest Lock washer
US1678404A (en) * 1927-03-28 1928-07-24 Moore George Loop Rail anchor
US3701372A (en) * 1967-04-07 1972-10-31 Lamson & Sessions Co Lock bo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581383A (en) * 1967-12-13 1971-06-01 Taisei Corp Method for tightening a nut and bolt assembly
US3627334A (en) * 1969-03-13 1971-12-14 Robert R Reddy Fluid-sealing washer and joint assembly
US3728933A (en) * 1971-03-11 1973-04-24 Mac Lean Fogg Lock Nut Co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nsion in a threaded member
US4191389A (en) * 1977-10-26 1980-03-04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aling washer
US4362449A (en) * 1979-11-30 1982-12-07 Maclean-Fogg Company Fastener assemblies
US4572718A (en) * 1984-03-29 1986-02-25 General Signal Corporation Anti-rotation locking assembly
KR950008505B1 (ko) * 1985-11-04 1995-07-31 카롤 앤 맥키 윤활유 제한장치
US4684284A (en) * 1986-06-12 1987-08-04 Pneumo Abex Corporation Anti-rotation lock assembly
US4702657A (en) * 1986-06-27 1987-10-27 Parker Hannifin Corporation Self centering seal
US4836727A (en) * 1987-06-08 1989-06-06 Volkmann Josef F Torque limited pressed and forged metal nut members
FR2622648B1 (fr) * 1987-11-03 1990-03-09 Caillau Ets Rondelle deformable, permettant notamment de predeterminer la force minimale de serrage d'un ecrou ou d'une vis
DE8812655U1 (ko) * 1988-10-08 1989-03-3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uenchen, De
US4983084A (en) * 1989-09-26 1991-01-08 Northrop Corporation Double locked threaded fastener
WO1992003666A1 (en) * 1990-08-17 1992-03-05 Junkers John K Fastening device
US5090854A (en) * 1991-03-06 1992-02-25 Artifex Ltd. Self locking nut
US5533852A (en) * 1991-11-01 1996-07-09 Matthews; Norman L. Fastener bearing assembly
US5318397A (en) * 1992-05-07 1994-06-07 Junkers John K Mechanical tensioner
WO1995015835A1 (de) * 1993-12-08 1995-06-15 Frank Hohmann Hydraulische gewindebolzenspannvorrichtung
US5946789A (en) * 1995-10-18 1999-09-07 Junkers; John K. Method of and device for elongating and relaxing a stud
US5539970A (en) * 1994-10-21 1996-07-30 Junkers John K Method of and device for elongating and relaxing a stud
US5538379A (en) * 1995-02-15 1996-07-23 Junkers John K Mechanical tensioner for and method of elongating and relaxing a stud and the like
US5640748A (en) * 1996-01-16 1997-06-24 Harrison; Richard L. Pipeline assembling apparatus for use with large diameter pipes
US5779413A (en) * 1996-02-23 1998-07-14 Fairchild Holding Corp. Fastener system having improved locking element
US5865581A (en) * 1997-04-16 1999-02-02 Huck International, Inc. Free running prevailing torque nut
US6244806B1 (en) * 1997-12-09 2001-06-12 T. Kato Co., Ltd. Locking washer and loc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135687A (en) * 1999-07-02 2000-10-24 Simpson Strong-Tie Co., Inc. Direct tension indicator for embedded anchor members
US6254323B1 (en) * 1999-10-22 2001-07-03 John K. Junkers Bolt for connecting two parts with one another, and fastening device provided with the bolt
US6461093B1 (en) * 2000-09-05 2002-10-08 John K. Junkers Threaded fastener
US6609868B2 (en) * 2001-12-06 2003-08-26 John K. Junkers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and method of fastening with the use of the wash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56B1 (ko) * 2013-10-28 2014-07-16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WO2015064863A1 (ko) * 2013-10-28 2015-05-07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및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101534442B1 (ko) * 2014-04-10 2015-07-07 길병모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20210053530A (ko) * 2019-11-04 2021-05-12 강충호 탄성 부재를 구비한 풀림 방지용 와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5461A1 (en) 2005-07-21
AU2004237822A1 (en) 2005-08-04
BRPI0500114A (pt) 2005-09-06
CN1648475A (zh) 2005-08-03
US20050278932A1 (en) 2005-12-22
JP2005201443A (ja) 2005-07-28
TW200523482A (en) 2005-07-16
ZA200406396B (en) 2005-02-14
US20050279190A1 (en) 2005-12-22
MXPA04010376A (es) 2005-07-19
TWI235796B (en) 2005-07-11
US20050286991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5270A (ko)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KR100582463B1 (ko) 체결구와 이러한 체결구가 구비된 체결장치
AU2002313371C1 (en)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and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with the use of the washer
US20050163592A1 (en)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JP3827648B2 (ja) 座金及び座金付き固定金具
US20060042423A1 (en) Holding socket for a washer nut
JP2005127502A (ja) 座金、座金付き締め具、物体の締付け方法及び締付け用動力工具
KR20050093675A (ko) 와샤와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US11859652B2 (en) Bolts and bolt and nut fasteners
EP1555444A2 (en) Washer, fastener provided with such a washer, method of and power tool for fastening objects with same
KR0146033B1 (ko) 볼트와 스터드 등의 기계적인 긴장방법과 장치
AU2006200183A1 (en) A washer, a fastener provided with the washer, and method of and a tool for fastening with the use of the washer
JP2004316715A (ja) ナットの弛み止め部材
JPH07127618A (ja) ボルト緩め構造およびボルト緩め装置
JP2002266831A (ja) 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