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81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819A
KR20150038819A KR20130116602A KR20130116602A KR20150038819A KR 20150038819 A KR20150038819 A KR 20150038819A KR 20130116602 A KR20130116602 A KR 20130116602A KR 20130116602 A KR20130116602 A KR 20130116602A KR 20150038819 A KR20150038819 A KR 2015003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osed
display region
base substrat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712B1 (ko
Inventor
남궁준
박순룡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712B1/ko
Priority to US14/231,400 priority patent/US9299755B2/en
Publication of KR2015003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우측으로 연장된 제1 서브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좌측으로 연장된 제2 서브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플라스틱(plastic)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요성 표시 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나 전자신문 또는 스마트카드 그리고 책, 신문, 잡지 등의 인쇄매체를 대체하고 있는 차세대 표시 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와 배선부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영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때, 평면 상에서 상기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상기 비표시영역 또는 표시영역에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휘어지게 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선부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배선부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화소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평면상에 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폴딩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벤딩되고 적어도 상기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폴딩선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경계선과 평행하며, 상기 신호배선들 및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및 구동 전원 배선부 및 이들의 신호배선의 말단이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우측으로 연장된 제1 서브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좌측으로 연장된 제2 서브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 벤딩되어 적어도 일부의 상기 신호배선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소자층 및 상기 표시소자층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필름은 위상차필름 및 편광필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를 휨에 따른 신호 배선부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보호필름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 7에서 보호필름이 벤딩된 후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b 및 8c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설명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일렉트로웨팅 표시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apparatus), MEMS 표시 장치(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apparatus)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가요성 표시 패널(DP)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필름(PF)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으로 구분되는 베이스 기판(BS),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상기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되는 화소(PX) 및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상기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된 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평면상에 볼 때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DA)을 포함하는 제1 영역(R1) 및 폴딩선(FL)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벤딩되고 적어도 상기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하는 제2 영역(R2-1, R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폴딩선(FL)은 상기 표시영역(DA)과 상기 비표시영역(NDA)의 경계선과 평행하며, 상기 신호배선들 및 상기 표시영역(DA)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폴딩선(FL)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폴딩선들(FL1, FL2)을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는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선들(FL1, FL2)은 상기 표시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방향(D1)과 평행한 것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영역(DA)의 우측에 위치한 폴딩선을 제1 폴딩선(FL1)으로 하고, 상기 표시영역(DA)의 좌측에 위치한 폴딩선을 제2 폴딩선(FL2)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영역(R2-1, R2-2)은 상기 제1 폴딩선(F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벤딩되는 부분을 제1 서브영역(R2-1) 및 상기 제2 폴딩선(FL2)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벤딩되는 부분을 제2 서브영역(R2-2)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상기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GD), 데이터 드라이버(DD) 및 구동 전원 배선부(PL) 및 이들의 신호배선의 말단(G1, D1, P1)이 위치하는 패드부(PD)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PD)는 상기 제1 영역(R1)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DA)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D) 상에는 반도체 칩을 직접 장착할 수 있는 얇은 필름의 형태의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DD)는 상기 제1 서브영역(R2-1)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배선들은 상기 제1 서브영역(R2-1) 및 제1 영역(R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GD)는 상기 제2 서브영역(R2-2)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PX)에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배선들은 상기 제2 서브영역(R2-2) 및 제1 영역(R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원 배선부(PL)는 상기 제1 영역(R1)에서 상기 패드부(PD)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화소(PX)에 구동 전압을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배선부들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필름(PF)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의 기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PF)은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필름(PF)은 가요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PF)은 상기 제1 영역(R1) 및 상기 제2 영역(R2-1, R2-2)의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PF1) 및 상기 제1 부분(PF1)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PF2-1, PF2-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상기 제1 부분(PF1)의 우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서브영역(R2-1)에 인접한 제1 서브부분(PF2-1) 및 상기 제1 부분(PF1)의 좌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서브영역(R2-2)에 인접한 제2 서브부분(PF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상기 제1 부분(PF1)으로부터 연장 벤딩되어 적어도 일부의 상기 신호배선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된 표시소자층(LE) 및 상기 표시소자층(LE)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OF)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상기 제1 영역(R1)에 위치하는 제1 베이스 부분(미도시) 및 상기 제2 영역(R2-1, R2-2)에 위치하는 제2 베이스 부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상기 제2 베이스 부분(미도시)으로부터 연장 벤딩되고 상기 보호필름(PF)의 상기 제2 부분(PF2-1, PF2-2)과 중첩하는 보조부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신호배선들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상기 베이스 기판(BS)과 상기 표시소자층(LE) 사이에 배치되는 베리어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막(미도시)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막(미도시)은 불필요한 성분이 상기 베이스 기판(BS)을 투과해 상기 표시영역(DA)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표시소자층(LE)은 상기 표시영역(DA)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소(PX)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표시 소자는 액정표시소자, 전기 영동 소자 등 다양한 표시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PX)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 커패시터(Cap),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 상기 커패시터(Cap), 및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 화소(PX)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 및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다. 상기 i번째 게이트 라인(GLi) 및 상기 j번째 데이터 라인(DLj)은 상술한 상기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된 신호배선들에 포함되며, 상기 i번째 게이트 라인(GLi)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GD)에 연결되고, j번째 데이터 라인(DLj)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DD)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는 상기 i번째 게이트 라인(GLi)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는 상기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화소(PX)는 서로 다른 레벨의 제1 전압(ELVDD)과 제2 전압(ELVSS)을 수신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로부터 상기 제1 전압(ELVDD)에 대응하는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압(ELVSS)을 수신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한다. 그러나, 상기 화소(PX)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은 상기 표시소자층(LE) 상에 상기 표시소자층(LE)을 봉지하는 봉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재는 가요성 있는 봉지 박막(S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박막(SC)은 복수의 무기 절연막들, 또는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박막(SC) 상에는 상기 광학필름(OF)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필름(OF)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DA)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박막(SC)와 상기 광학필름(OF)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OF)은 위상차필름 및 편광필름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위상차필름은 색보상, 시야각 확대, 반사방지 등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편광필름은 일정한 투과광을 제공하며, 상기 투과광의 색조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하부에는 상기 보호필름(PF)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BS)과 상기 보포필름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폴딩선들(FL1, FL2)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벤딩된 표시 장치(100B)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폴딩선들(FL1, FL2)은 보호필름(PF)의 제1 부분(PF1)과 상기 보호필름(PF)의 제2 부분(PF2-1, PF2-2)이 중첩하는 부분을 각각 지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장치(100B)에 있어서, 제1 폴딩선(FL1)을 따라 벤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영역(R1)에서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PF)의 제1 서브부분(PF2-1)은 베이스 기판(BS)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필름(PF)의 제1 부분(PF1)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부분(PF2-1)이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PF1)과 상기 제1서브 부분(PF2-1)이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의 광학필름(OF)이 배치된 부분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필름(PF) 및 상기 광학필름(OF) 각각의 두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벤딩된 상기 표시 장치(100B)는 상기 제1 영역(R1)과 제1 서브영역(R2-1)이 약 90°를 이루며 벤딩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1 서브영역(R2-1)이 중첩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1 서브영역(R2-1)이 중첩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R1)에 위치하는 상기 보호필름(PF)의 하부에 상기 제1 서브영역(R2-1)에 위치하는 상기 보호필름(PF)이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00B)의 벤딩되는 정도는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1 서브영역(R2-1)이 약 10° 내지 약 180°를 이루는 정도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보호필름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보호필름이 벤딩된 후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b 및 8c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PF)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필름(PF)은 가요성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된 제1 부분(PF1) 및 상기 제1 부분(PF1)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PF2-1, PF2-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신호배선들 및 패드부(PD)가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분(PF1)에서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1 서브부분(PF2-1) 및 상기 제1 부분(PF1)의 제2 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부분(PF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상기 제2 영역(R2-1, R2-2)에 인접한 제3 영역(R3-1, R3-2)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영역(R3-1, R3-2)은 상기 제1 서브부분(PF2-1)이 위치하는 제3 서브영역(R3-1) 및 상기 제2 서브부분(PF2-2)이 위치하는 제4 서브영역(R3-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3 영역(R3-1, R3-2)의 폭은 상기 제2 영역(R2-1, R2-2)의 폭과 같거나 길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영역(R3-1, R3-2)의 폭은 상기 제2 영역(R2-1, R2-2)의 폭보다 길다. 즉,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벤딩되어, 상기 폴딩선들(PL1, PL2)과 중첩할 수 있다. 이때, 패드부(PD)는 노출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제3 방향(D3)으로 벤딩되어 상기 신호배선들 및 패드부(PD)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벤딩되어 상기 폴딩선들(FL1, FL2)과 중첩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상기 신호배선들 및 패드부(PD) 및 상기 패드부(PD) 상에 배치된 상기 칩 온 필름(미도시) 전체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영역(R3-1, R3-2)의 폭은 상기 제2 영역(R2-1, R2-2)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벤딩되어, 상기 폴딩선들(PL1, PL2)과 맞닿을 수 있다. 이때, 패드부(PD)는 노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중첩된 제1 서브부분(PF2-1)은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받고, 상기 베이스 기판(BS)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서브부분(PF2-1)과 중첩되는 제1 부분(PF1)은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을 받는다. 상기 제1 서브부분(PF2-1)이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인장 응력(tensile stress) 및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중립면(NP)이 상기 베이스 기판(BS)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기판(BS)이 벤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기판(BS)상에 배치된 신호배선들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8c의 경우에는, 상기 중립면(NP)이 상기 베이스 기판(BS)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중심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서브부분(PF2-1)에 의해 상기 중립면(NP)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된 상기 신호배선들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필름(PF)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부분(PF1) 및 상기 제1 부분(PF1)으로부터 연장된 제2 부분(PF2-1, PF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신호배선들 및 패드부(PD)가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분(PF1)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F2-1, PF2-2)은 상기 신호배선들 및 패드부(PD)의 일부분과 중첩하여 표시 장치(200)가 벤딩됨에 따른 상기 신호배선들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잇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BS : 기판 DP : 가요성 표시 패널
PF : 보호필름 PF2-1, PF2-2 : 제2 부분
PF1 : 제1 부분 R1 : 제1 영역
폴딩선 : FL1, FL2 SC : 봉지 박막
OF : 광학필름 PD : 패드부
R2-1, R2-2 : 제2 영역

Claims (10)

  1.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신호배선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 벤딩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신호배선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중첩되는 부분을 가로지르는 폴딩선을 따라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선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경계선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선은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서브부분과 제2 서브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부분과 상기 제2 서브부분 각각은 상기 신호배선들의 패드들 중 대응하는 패드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배선들의 상기 패드들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일측에 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비표시영역의 또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배선들 중 일부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배선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중첩되는 부분의 중립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신호배선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패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상기 화소가 정의된 표시소자층, 및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게 상기 표시소자층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영역의 중립면은 상기 표시소자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위상차필름 및 편광필름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116602A 2013-09-30 2013-09-30 표시 장치 KR10212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02A KR102126712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 장치
US14/231,400 US9299755B2 (en) 2013-09-30 2014-03-31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be b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02A KR102126712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19A true KR20150038819A (ko) 2015-04-09
KR102126712B1 KR102126712B1 (ko) 2020-06-26

Family

ID=5273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602A KR102126712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99755B2 (ko)
KR (1) KR1021267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5840A (zh) * 2017-04-01 2017-06-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80127606A (ko) * 2017-05-19 2018-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9559645A (zh) * 2017-09-27 2019-04-0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008262A (ko) * 2019-07-12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03B1 (ko) * 2013-09-06 2020-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78951B1 (ko) * 2014-04-28 2020-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05398B1 (ko) * 2014-09-0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59838B1 (ko) * 2016-04-08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3197B1 (ko) * 2016-07-05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74377B1 (ko) 2016-07-29 2019-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8049193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80038618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7309B1 (ko) 2016-11-30 2023-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940966B (zh) 2017-05-17 2019-07-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模组和电子设备
CN207473963U (zh) * 2017-10-31 2018-06-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效显示区具有倒角区域的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570760B (zh) * 2019-08-13 2022-01-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显示装置
CN110707120B (zh) * 2019-10-30 2021-05-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制造方法以及拼接显示面板
KR20210073662A (ko) * 2019-12-10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013688A (ko) * 2021-07-1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2489A1 (en) * 2005-07-14 2007-01-18 Young Kim Display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20098471A (ko) * 2011-02-28 2012-09-05 애플 인크. 보더들을 최소화한 디스플레이들
US20130006268A1 (en) * 2007-09-30 2013-01-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User interface methods for alternate tool modes for robotic surgical tools
KR20130032111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44B1 (ko) 2004-11-29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47275B1 (ko) 2005-11-28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18468A (ja) 2008-03-12 2009-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携帯電話
JP5516048B2 (ja) 2010-05-12 2014-06-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バイス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720222B2 (ja) 2010-12-13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20385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82629B1 (ko) 2011-06-30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12172B1 (ko) * 2012-07-31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표시 장치
US9516743B2 (en) * 2013-02-27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stress flexible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2489A1 (en) * 2005-07-14 2007-01-18 Young Kim Display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30006268A1 (en) * 2007-09-30 2013-01-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User interface methods for alternate tool modes for robotic surgical tools
KR20120098471A (ko) * 2011-02-28 2012-09-05 애플 인크. 보더들을 최소화한 디스플레이들
KR20130032111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06875840A (zh) * 2017-04-01 2017-06-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180127606A (ko) * 2017-05-19 2018-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962024A (zh) * 2017-05-19 2018-12-07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CN108962024B (zh) * 2017-05-19 2022-06-17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CN109559645A (zh) * 2017-09-27 2019-04-0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008262A (ko) * 2019-07-12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927987B2 (en) 2019-07-12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712B1 (ko) 2020-06-26
US9299755B2 (en) 2016-03-29
US20150091012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712B1 (ko) 표시 장치
US11556199B2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US1091514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5163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085915B2 (ja) 表示装置
KR20200084495A (ko) 표시 장치
US20190245283A1 (en) Display device
US98978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13077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62291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69090B1 (ko) 표시 장치
US101413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reflectance
US10896943B2 (en) Display device
KR20160118416A (ko) 표시 장치
JP202001286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基板
US10884300B2 (en) Display device
US11031452B2 (en) Display panel
KR1025421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402680B2 (en) Electronic device
KR10238428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75850B1 (ko) 플렉서블 장치
KR20210054088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