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201A -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201A
KR20150038201A KR1020157004458A KR20157004458A KR20150038201A KR 20150038201 A KR20150038201 A KR 20150038201A KR 1020157004458 A KR1020157004458 A KR 1020157004458A KR 20157004458 A KR20157004458 A KR 20157004458A KR 20150038201 A KR20150038201 A KR 2015003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erminal apparatus
vehicle
operation inpu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치 츠노다
다이키 이소가이
야스토모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3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조작자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차재 장치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전달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PORTABLE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EXECUTED BY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ARDLE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실 내에 반입된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를 근거리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하는 차재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차재 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 장치와 차재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차재 장치를 통하여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이 차재 통신 시스템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 중일 때의 탑승자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한 일절의 조작의 접수를 금지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5338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은, 차재 장치 대신으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 또는 차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로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상기 서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차재 장치 대신으로서 사용되거나, 혹은 차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는,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재 장치와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상기 차재 장치 사이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상기 차재 장치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은, 차실 내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로서, 휴대 단말 장치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홈 버튼을 덮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상기 서술한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재 장치 대신으로서 사용되거나, 혹은, 차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대시보드 상의 도크에 도 1 의 휴대 단말 장치를 장착했을 때의 차실 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다른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 은, 대시보드 상의 도크에 도 5 의 휴대 단말 장치를 장착했을 때의 차실 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2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을 실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 도 2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정면도이고, 도 3 은, 대시보드 상의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이하, 「도크」라고 한다.) (30) 에 휴대 단말 장치 (100) 를 장착했을 때의 차실 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탑승자가 휴대하는 단말 장치로, 예를 들어, 휴대전화,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형 게임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스마트 폰이고, 주로, 제어 장치 (1), 홈 버튼 (2), 터치 패널 (3),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기억 장치 (5), 표시 장치 (6), 음성 입력 장치 (7), 음성 출력 장치 (8) 및 위치 검출 장치 (9) 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를 제어하는 장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제어 장치 (1) 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경로 안내부 (12) 의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 으로부터 판독하여 RAM 에 전개하고,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처리를 CPU 에 실행시킨다. 또한, 각 기능 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홈 버튼 (2) 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탑재하는 조작 입력 장치의 하나이고, 조작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소정의 기능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이하, 「APP」라고 한다.) 에 관한 화면을 중단시키는 기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능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현재 실행 중인 APP 에 관한 화면을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홈 화면 (초기 화면) 으로 되돌리는 홈 기능이다. 또한, 홈 기능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현재 실행 중인 APP 의 처리를 중단하는 것이어도 되고, 그 처리를 종료시키는 것이어도 되며, 혹은 그 처리를 백그라운드에서 계속하게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소정의 기능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 기능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 버튼 (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케이싱 표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드웨어 버튼이다. 단, 홈 버튼 (2) 은, 다른 조작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홈 버튼 (2) 은, 표시 장치 (6) 에 표시되는 버튼 화상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3) 상의 영역으로서 정해지는 소프트웨어 버튼이어도 된다.
터치 패널 (3) 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탑재하는 조작 입력 장치의 하나로, 예를 들어, 표시 장치 (6) 상에 배치되는, 멀티터치 제스쳐 기능을 서포트하는 터치 패널이다.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는 RFID 리더이고, 도크 (30) 에 장착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로서의 RFID 리더는 그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 출력한다.
또,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에 장착되었을 때에 온·오프의 상태가 바뀌는, 하드웨어 버튼, 자기 (磁氣) 스위치, 근접 스위치 등의 스위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로서의 하드웨어 버튼은, 도크 (30) 내의 돌기에 의해 압하되어 온 상태가 되었을 때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하드웨어 버튼은 그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 출력한다.
또,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재 장치와의 통신을 개시하는 통신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로서의 통신 장치는, 차재 장치와의 통신을 개시했을 때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그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 출력한다.
기억 장치 (5) 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 장치 (5) 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 (50) 를 기억한다. 지도 데이터 베이스 (50) 는, 교차점, 인터체인지 등의 노드 위치, 노드 간을 접속하는 요소인 링크의 거리, 링크를 통과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시간, 비용 등의 정도인 링크 비용, 시설 위치 (위도, 경도, 고도), 시설 명칭 등을 체계적으로 기억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표시 장치 (6) 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음성 입력 장치 (7) 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마이크이다. 음성 출력 장치 (8) 는 각종 정보를 음성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위치 검출 장치 (9)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검출 장치 (9) 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하여 GPS 위성이 출력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이다. 위치 검출 장치 (9) 는,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위치 (위도, 경도, 고도) 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 (1) 가 갖는 각종 기능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전환하는 기능 요소로,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 (이하, 「접수 가능 상태」라고 한다.) 와 접수하지 않은 상태 (이하, 「접수 거부 상태」라고 한다.) 를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의 출력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와 접수하지 않은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소정의 APP 가 동작 중인 경우에,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으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혹은, 소정의 APP 가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소정의 APP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상에서 동작하는 APP 로, 예를 들어, 조작 입력에 관한 조작 입력 APP 를 포함하고, 특히, 각종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를 포함한다. 터치 제스처는, 터치 패널 (3) 상에서 손가락 등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행위로, 예를 들어, 탭, 더블 탭, 드러그, 스와이프, 플릭, 핀치 인, 핀치 아웃 등을 포함한다.
또, 소정의 APP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등의 조작 입력에 관한 조작 입력 APP 를 통합한, 내비게이션용 APP 등의 통합형 APP 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APP 는,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를 통합하는 내비게이션용 APP 이다.
또, 소정의 APP 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기동한다. 단, 소정의 APP 는 수동으로 기동되어도 된다. 소정의 APP 가 수동으로 기동되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라도, 소정의 APP 이외의 다른 APP 의 수동에 의한 기동을 허가해도 된다.
또,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 (1) 는, 내비게이션용 APP 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만 있으면,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기능 요소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접수 거부 상태에 있는 경우,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접수 거부 상태에 있는 경우,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접수 거부 상태에 있는 경우, 홈 버튼 (2) 이 압하되었다고 해도, 홈 버튼 (2) 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한다.
또,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주행 중에 실행해서는 안되는 APP 를 기동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자에 의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해도 된다.
또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 경우라도, 제어 장치 (1) 는,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 이외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1) 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가 금지된 경우라도,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여, 내비게이션용 APP 에 있어서의 확대 축소 표시, 화면 스크롤 등의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경로 안내부 (12) 는, 소정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 요소로,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용 APP 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안내부 (12) 는 내비게이션용 APP 를 실행하고, 위치 검출 장치 (9) 가 검출한 현재 위치와 터치 패널 (3) 을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의 위치와 기억 장치 (5) 에 기억된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의 최적인 경로를 도출한다.
또, 경로 안내부 (12) 는, 예를 들어,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으로서 다익스트라법을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한다. 또한, 경로 안내부 (12) 는, 최단 경로 외에, 가장 빨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속 경로나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로 등을 탐색해도 된다.
또, 경로 안내부 (12) 는, 탐색한 추천 경로를 다른 경로로부터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 (6) 에 표시시켜 조작자가 추천 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안내를 음성 출력 장치 (8) 로부터 출력시켜 조작자에 의한 운전을 지원한다.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면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금지하는 처리 (이하, 「제 1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라고 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 는, 제 1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제 1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에 탑재되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 로서의 하드웨어 버튼이 온 상태인 경우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제어 장치 (1) 는, 하드웨어 버튼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도 3 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 은, 도크 (30) 를 구성하는 좌측 가이드부 (30L), 우측 가이드부 (30R) 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소정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좌측 가이드부 (30L), 우측 가이드부 (30R) 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좌측 가이드부 (30L), 우측 가이드부 (30R) 는, 대시보드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좌측 가이드부 (30L), 우측 가이드부 (30R) 는, 대시보드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을 도크 (30) 의 상방으로부터 좌측 가이드부 (30L) 및 우측 가이드부 (30R) 의 각각에 있어서의 내측 가이드 홈 (도시 생략.) 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여 도크 (30) 에 장착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운전자 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도크 (30) 에 유지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가로로 놓여진 상태, 즉, 그 장변이 횡 방향이 되는 상태에서 도크 (30) 에 유지된다. 좌측 가이드부 (30L) 및 우측 가이드부 (30R)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가능한 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가이드부 (30L) 및 우측 가이드부 (30R) 는,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덮는 경우가 없도록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단변을 따라 그 단변의 3 분의 2 정도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 홈 버튼 (2) 은 우측 가이드부 (30R) 에 의해 덮여 운전자가 압하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홈 버튼 (2) 은,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에 유지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크 (30) 는, 주행 중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낙하하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차시에는 휴대 단말 장치 (100) 를 도크 (30) 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스냅핏 기구 등의 고정 기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도크 (3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상하 반대로 혹은 좌우 반대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크 (30) 는, 소정의 방향을 향한 휴대 단말 장치 (100) 만을 받아들이고, 그 이외의 방향을 향한 휴대 단말 장치 (100) 를 받아들이지 않는 형상 적합형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60) 을 잡은 손을 뻗어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운전자는,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6) 와, 속도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 미터 (70) 와,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통신 상태 및 배터리 상태 등을 표시하는 멀티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80) 를 필요에 따라 시인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 의 예),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에서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에서 내비게이션용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3 은, 휴대 단말 장치 (100) 에서 내비게이션용 APP 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2 의 예),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 즉,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한다 (스텝 S3). 이 경우,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홈 버튼 (2) 이 압하되었을 때라도, 홈 버튼 (2) 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의 실행을 금지한다.
한편,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2 의 아니오),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가능 상태, 즉,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로 한다 (스텝 S4). 이 경우,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홈 버튼 (2) 이 압하되었을 때에는, 홈 버튼 (2) 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의 실행을 허가한다. 또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가 이미 접수 가능 상태이면, 그 접수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 의 아니오) 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가능 상태로 한다 (스텝 S4). 이 경우에도,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가 이미 접수 가능 상태이면, 그 접수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텝 S1 및 스텝 S2 의 실행 순서는 동일하지 않고, 제어 장치 (1) 는,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에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되고, 2 개의 판정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 장치 (100) 의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 (1) 는, 내비게이션용 APP 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휴대 단말 장치 (100) 가 도크 (30) 내에 있기만 하면,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자신이 차실 내의 소정 위치에 있는 것을 OS 레벨로 검출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홈 버튼 (2) 을 무효화할 수 있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 는, 도크 (30) 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비게이션용 APP 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자가 홈 버튼 (2) 에 대해 조작 입력을 실시했을 경우라고 해도, 내비게이션용 APP 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내비게이션용의 화면 표시가 초기 화면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다른 휴대 단말 장치 (100A)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 도 6 은, 대시보드 상의 크레들 (도크) (30A) 에 휴대 단말 장치 (100A) 를 장착했을 때의 차실 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존재 위치 검출 장치로서도 기능하는 통신 장치 (4A) 를 갖는 점, 위치 검출 장치 (9), 경로 안내부 (12), 및 지도 데이터 베이스 (50) 를 생략한 점, 그리고, 제어 장치 (1) 에 조작 입력 통지부 (13) 를 갖는 점에서 도 1 의 휴대 단말 장치 (100) 와 상이하지만 그 밖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장치 (4A) 는, 차재 장치 (200) 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 (4A) 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이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을 통하여, 차재 장치 (200) 의 통신 장치 (4V) 에 접속된다. 또한, 통신 장치 (4A) 와 통신 장치 (4V) 사이의 통신에는, Bluetooth (등록상표), Wi-Fi (등록상표)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사용되어도 되고, 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 (4A) 는,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 통신 장치 (4V) 는, 그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통신 장치 (4A) 에 회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 (4A) 는,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장치 (4V) 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또한, 통신 장치 (4V) 가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해도 되고, 통신 장치 (4A) 및 통신 장치 (4V) 의 각각이 주기적으로 응답 요구 신호를 발신해도 된다.
또, 통신 장치 (4A) 는, 통신 장치 (4V) 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했을 때에,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도크 (30A)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 (1) 에 대해 출력한다.
차재 장치 (200) 는, 예를 들어, 차재 네비게이션 장치로, 주로, 경로 안내부 (12V) 를 갖는 제어 장치 (1V), 터치 패널 (3V), 지도 데이터 베이스 (50V) 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5V), 차재 디스플레이로서의 표시 장치 (6V), 음성 출력 장치 (8V) 및 위치 검출 장치 (9V) 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입력 통지부 (13) 는, 조작자가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해 실시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장치 (200) 에 통지하기 위한 기능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입력 통지부 (13) 는, 터치 제스처 인식 APP 를 실행하고,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장치 (200) 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 통지부 (13) 는, 조작자에 의한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장치 (200) 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용 APP 에 전달한다. 또한, 차재 장치 (200) 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용 APP 는,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APP 이다.
내비게이션용 APP 를 실행하는 차재 장치 (200) 의 경로 안내부 (12V) 는, 조작 입력 통지부 (13) 로부터 조작 입력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수신된 정보에 따른 기능은, 예를 들어, 표시 장치 (6V) 에 표시된 지도 화상의 확대 축소 표시, 화면 스크롤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면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금지하는 처리 (이하, 「제 2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라고 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 은, 제 2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제 2 조작 입력 접수 금지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에 탑재되는 통신 장치 (4A) 가 차재 장치 (200) 의 통신 장치 (4V) 와의 사이에서 NFC 에 의한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있는 경우에,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제어 장치 (1) 는, NFC 에 의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도 6 은,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도크 (30A)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6 은, 도크 (30A) 를 구성하는 하측 가이드부 (30BA), 우측 가이드부 (30RA) 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소정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하측 가이드부 (30BA), 우측 가이드부 (30RA) 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가이드부 (30BA), 우측 가이드부 (30RA) 는, 대시보드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또, 하측 가이드부 (30BA), 우측 가이드부 (30RA) 는, 대시보드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그 좌측부를 도크 (30A) 의 좌방으로부터 하측 가이드부 (30BA) 의 내측 가이드 홈 (도시 생략.) 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여 도크 (30A) 에 장착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운전자 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도크 (30A) 에 유지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가로로 놓여진 상태, 즉, 그 장변이 횡 방향이 되는 상태에서 도크 (30A) 에 유지된다. 우측 가이드부 (30RA)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가능한 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가이드부 (30RA) 는, 터치 패널 (3) 및 표시 장치 (6) 를 덮는 경우가 없도록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단변을 따라 그 단변의 3 분의 2 정도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 홈 버튼 (2) 은 우측 가이드부 (30RA) 에 의해 덮여 운전자가 압하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홈 버튼 (2) 은,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도크 (30A) 에 유지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크 (30A) 는, 주행 중에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낙하하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차시에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를 도크 (30A) 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스냅핏 기구 등의 고정 기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도크 (30A)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상하 반대로 혹은 좌우 반대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크 (30A) 는, 소정의 방향을 향한 휴대 단말 장치 (100A) 만을 받아들이고, 그 이외의 방향을 향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를 받아들이지 않는 형상 적합형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60) 을 잡은 손을 뻗어 터치 패널 (3)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운전자는,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6V) 와, 속도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 미터 (70) 와,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통신 상태 및 배터리 상태 등을 표시하는 멀티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80) 를 필요에 따라 시인할 수 있다. 또, 도 6 은,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표시 장치 (6) 에 터치 제스처 인식 APP 용의 화면인, 터치 패드의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었을 경우, 즉, 도크 (30A) 에 장착된 경우에, 표시 장치 (6) 의 화면 표시를 중단해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1 의 예),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에서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에서 터치 제스처 인식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6 은, 휴대 단말 장치 (100A) 에서 터치 제스처 인식 APP 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2 의 예),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 즉,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한다 (스텝 S13). 이 경우,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홈 버튼 (2) 이 압하되었을 때에도, 홈 버튼 (2) 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의 실행을 금지한다.
한편,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2 의 아니오),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상태를 접수 가능 상태, 즉,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로 한다 (스텝 S14). 이 경우,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1) 는, 홈 버튼 (2) 이 압하되었을 때에는, 홈 버튼 (2) 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의 실행을 허가한다. 또한,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상태가 이미 접수 가능 상태이면, 그 접수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1 의 아니오) 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상태를 접수 가능 상태로 한다 (스텝 S14). 이 경우에도, 단말 상태 전환부 (10)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상태가 이미 접수 가능 상태이면, 그 접수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텝 S11 및 스텝 S12 의 실행 순서는 동일하지 않고, 제어 장치 (1) 는,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에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되고, 2 개의 판정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 제어 장치 (1) 는,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소정의 APP 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 장치 (100A) 의 상태를 접수 거부 상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 (1) 는, 내비게이션용 APP 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휴대 단말 장치 (100A) 가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기만 하면,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 (2) 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자신이 차재 장치 (200) 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OS 레벨로 검출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홈 버튼 (2) 을 무효화할 수 있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도크 (30A) 에 장착된 상태에서 터치 제스처 인식 APP 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자가 홈 버튼 (2) 에 대해 조작 입력을 실시한 경우라도, 터치 제스처 인식 APP 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터치 제스처 인식용의 화면 표시가 초기 화면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자신이 갖는 경로 안내부를 사용하여 경로 안내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 장치 (100A) 는, 기억 장치 (5) 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 및 차재 장치 (200) 의 기억 장치 (5V) 에 기억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 (50V) 의 어느 쪽을 사용해도 되고, 또, 자신이 탑재하는 위치 검출 장치의 출력 및 차재 장치 (200) 가 탑재하는 위치 검출 장치 (9V) 의 출력의 어느 쪽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추가할 수 있다.
1 : 제어 장치
2 : 홈 버튼
3, 3V : 터치 패널
4 : 존재 위치 검출 장치
4A, 4V : 통신 장치
5, 5V : 기억 장치
6, 6V : 표시 장치
7 : 음성 입력 장치
8, 8V : 음성 출력 장치
9, 9V : 위치 검출 장치
10 : 단말 상태 전환부
11 : 조작 입력 접수 금지부
12, 12V : 경로 안내부
13 : 조작 입력 통지부
30, 30A : 도크
30BA : 하측 가이드부
30L : 좌측 가이드부
30R, 30RA : 우측 가이드부
50, 50V : 지도 데이터 베이스
60 : 스티어링 휠
70 : 속도 미터
80 : 멀티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100, 100A : 휴대 단말 장치
200 : 차재 장치

Claims (7)

  1.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재 장치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조작자에 의한 당해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의 내용을, 차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상기 차재 장치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전달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차재 장치에 접속되는, 휴대 단말 장치.
  4.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상기 차재 장치 사이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스텝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5.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차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상기 차재 장치의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는, 조작자에 의한 홈 버튼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 차실 내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로서,
    휴대 단말 장치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홈 버튼을 덮는 가이드부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가로로 놓여진 상태로 장착된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단변을 따라 그 단변의 3 분의 2 정도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KR1020157004458A 2012-08-24 2012-08-24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KR20150038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1513 WO2014030263A1 (ja) 2012-08-24 2012-08-24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携帯端末装置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用クレード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201A true KR20150038201A (ko) 2015-04-08

Family

ID=5014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458A KR20150038201A (ko) 2012-08-24 2012-08-24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205430A1 (ko)
EP (1) EP2890093A4 (ko)
JP (1) JPWO2014030263A1 (ko)
KR (1) KR20150038201A (ko)
CN (1) CN104584518A (ko)
BR (1) BR112015003861A2 (ko)
IN (1) IN2015DN01542A (ko)
WO (1) WO20140302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38B1 (ko) * 2018-02-28 2019-04-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태블릿 pc와 차량간 인터페이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9320B2 (ja) * 2015-06-19 2019-09-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160155412A1 (en) * 2014-11-28 2016-06-02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JP6451261B2 (ja) * 2014-11-28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6616654B2 (ja) * 2015-10-22 2019-12-04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装置操作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移動体通信端末及び開閉装置操作システム
CN113467357B (zh) * 2020-03-31 2022-06-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平整线平整机区域的便携式智能同步近控装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505B2 (ja) 2003-08-06 2009-08-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衝突回避装置
JP4317549B2 (ja) * 2003-09-02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ナビゲーション手段を有する携帯型通信装置
US20060277555A1 (en) * 2005-06-03 2006-12-07 Damian Howard Portable device interfacing
JP2006129504A (ja) * 2005-11-08 2006-05-18 Denso Corp 車載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
JP4308245B2 (ja) * 2005-12-21 2009-08-05 政弘 井筒 携帯情報通信装置及び該携帯情報通信装置と情報をやり取りするWebサーバ
US7606660B2 (en) * 2005-12-31 2009-10-20 Alpine Electronics, Inc. In-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removable navigation unit
US20080132278A1 (en) * 2006-11-02 2008-06-05 Jack Howard Dovey Cell phone communication system locking cradle
US9992314B2 (en) * 2008-01-24 2018-06-05 Garmin Switzerland Gmbh Automatic device mode switching
JP5260229B2 (ja) * 2008-10-14 2013-08-1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省電力管理プログラム及び省電力管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JP5408082B2 (ja) * 2010-09-08 2014-02-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
JP2012124578A (ja) * 2010-12-06 2012-06-28 Nippon Seiki Co Ltd 車載装置、車載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2012129765A (ja) * 2010-12-15 2012-07-05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装置
JP5664323B2 (ja) * 2011-02-21 2015-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サポートシステム、車載器、及び、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38B1 (ko) * 2018-02-28 2019-04-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태블릿 pc와 차량간 인터페이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4518A (zh) 2015-04-29
WO2014030263A1 (ja) 2014-02-27
US20150205430A1 (en) 2015-07-23
IN2015DN01542A (ko) 2015-07-03
EP2890093A4 (en) 2016-01-20
JPWO2014030263A1 (ja) 2016-07-28
EP2890093A1 (en) 2015-07-01
EP2890093A8 (en) 2015-08-12
BR112015003861A2 (pt)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859B1 (ko) 휴대 단말 장치, 차재 장치 및 차재 시스템
EP2665051B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94871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395522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69022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2589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3198883B2 (ja) 移動スケジュール処理装置
JP6277136B2 (ja) テレマティクス制御装置およびテレマティクス制御方法
US20110098916A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38201A (ko)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장치용 크레들
KR101631959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012090A2 (en) On-board integrated multimedia telematic syste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entertainment
JP2008224616A (ja) 携帯端末および車載情報端末
KR10156258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4825A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04706A (ko) 이동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22777A (ja) 車載装置
KR10160225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568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2729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6139940B2 (ja) 車両用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635025B1 (ko) 정보 표시 장치
KR20110056166A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