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297A - 표시패널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297A
KR20150037297A KR20130116803A KR20130116803A KR20150037297A KR 20150037297 A KR20150037297 A KR 20150037297A KR 20130116803 A KR20130116803 A KR 20130116803A KR 20130116803 A KR20130116803 A KR 20130116803A KR 20150037297 A KR20150037297 A KR 20150037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probe pad
pixels
display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053B1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의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2n개의 화소 중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이격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상기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상기 2n개의 화소 중 나머지와 연결되는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화 이전의 표시패널로부터 테스트 화상을 분할하여 검사하는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OLED)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동화상표시에 적합하며 소비전력이 적은 특징을 보여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이의 화상구현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광학적 이방성과,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분자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분극성질을 띤다.
즉,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구동을 위한 어레이 층(array layer)과 컬러구현을 위한 컬러필터 층(colorfilter layer)이 갖추어진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해서 합착시킨 액정패널을 필수구성요소로 하며, 이는 내부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의 투과율 차이는 그 배면에 놓인 백라이트(back light)의 빛을 통해 컬러필터의 색 조합이 반영되어 컬러화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은 액정패널을 완성하는 셀(cell)공정과, 액정패널 그리고 액정패널과 백라이트를 일체화시키는 모듈(module)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셀 공정은 박막증착(thin film deposition),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식각(etching) 등의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해서 각 기판에 어레이 층과 컬러필터 층을 구현하고, 셀 공정에서는 제 1 또는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합착을 위한 씰패턴(seal pattern)을 형성한 후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양 기판을 대면 합착시켜 액정패널을 완성하며, 이렇게 완성된 액정패널은 모듈공정에서 편광판과 구동회로 등이 부착된 후 백라이트와 일체화되어 액정표시장치를 이룬다.
이때 특히 셀 공정의 최종단계로서, 구동회로 부착 전(前)의 액정패널에 오토 프로브 패드에 접촉을 통한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테스트화상을 구현토록 하고, 이를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하는 테스트를 통해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액정패널 검사단계가 진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오토 프로브 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오토 프로브 검사 시 인가되는 신호가 인가되는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AA)으로 구분된다.
이때, 표시영역(AA) 내부에 서로 교차하여 적색, 녹색, 청색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고,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에는 2n개의 녹색 화소, 2n개의 청색 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화소영역에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되는 스위칭(switching) 박막트랜지스터 그리고 액정이 위치한다.
그리고, 비표시영역(NAA) 일측에는 오토 프로브 검사를 위한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25a, 25b)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25a, 25b)는 표시영역(AA)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에 연결되는 제1 적색, 녹색,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20a, 22a, 24a,)와, 제2 적색, 녹색,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20b, 22b, 24b)가 비표시영역(NAA)의 양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오토 프로브 패드는 색상별로2개씩 형성되어 동일색상의 화소에 동일한 계조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제1 및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20a, 20b)는 표시영역(AA)의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적색 화소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22a, 22b)는 표시영역(AA)의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녹색 화소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24a, 24b)는 표시영역(AA)의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청색 화소와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와 유사한 방법으로, 게이트 배선(GL)에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제1 적색, 녹색,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20a, 22a, 24a,)와 제2 적색, 녹색,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20b, 22b, 24b)에 접촉을 통해 데이터 배선(DL)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표시되는 화상을 육안으로 검사해서 점 결함(dot defect) 내지는 라인 결함(line defect)과 같은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한편, 고해상도의 패널에서는 인접한 화소의 계조에 영향을 받아 원하는 계조가 표시되지 않는 크로스 토크(cross talk)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하지만, 종래의 오토 프로브 검사는 수직으로 인접한 화소에 상이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수직 크로스 토크는 검사할 수 있지만,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적색화소에 공통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녹색화소에 공통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2n개의 청색화소에 공통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므로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에는 상이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지 못하여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액정패널과 구동회로 및 백라이트를 일체화시켜 모듈화 하고, 수평 크로스 토크 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수평 크로스 토크 불량이 발생하면, 모듈화 된 액정표시장치를 폐기하거나 구동회로와 백라이트 분리 후 액정패널을 폐기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고, 모듈화하고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며 발생하는 시간 및 인력과, 장비가 필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모듈화 전 액정 패널의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는 오토 프로브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액정패널의 불량에 따른 제작 비용의 손실을 절감하고, 모듈화하고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며 발생하는 시간 및 인력과, 장비를 축소시키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의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2n개의 화소 중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이격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상기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상기 2n개의 화소 중 나머지와 연결되는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1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1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1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1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1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1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표시영역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화이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화이트를 표시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영역 중 나머지는 블랙 또는 그레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프레임 별로 반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에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n개의 화소를 연결하고, 제2 오토 프로브 패드에 하나의 수평 화소라인의 나머지 n개의 화소를 연결하여 액정패널의 수직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오토 프로브 검사 시 인가되는 신호가 인가되는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검사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이 표시하는 다수의 검사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AA)으로 나뉜다.
이때, 액정패널(110)은 박막트랜지스터 소자가 형성되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액정층을 덮으며 제1 기판과 합착되는 제2 기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기판 상부의 표시영역(AA) 내부에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이 각각 제1 및 제2 방향(X1 및 X2)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방향(X1)을 따른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에는 2n개의 녹색 화소, 2n개의 청색 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화소영역에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되는 스위칭(switching) 박막트랜지스터 그리고 액정이 위치한다.
그리고, 비표시영역(NA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오토 프로브 검사를 위한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과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과 이격하며 형성되는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b)가 형성된다.
이때, 표시영역(AA)의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 각각의 개수를 2n개라 하면,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b) 각각은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n개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와 데이터 배선(DL)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에는 제 1 내지 제n 적색, 녹색, 청색 화소에 대응되는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되고,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b)에는 제(n+1) 내지 제2n 적색, 녹색, 청색 화소에 대응되는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된다.
즉,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의 제1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120a)에는 제 1 내지 제n 적색 화소(Pr(1) 내지 Pr(n))가 연결되고, 제1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122a)에는 제 1 내지 제n 녹색 화소(Pg(1) 내지 Pg(n))가 연결되며, 제1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124a)에는 제 1 내지 제n 청색 화소(Pb(1) 내지 Pb(n))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b)의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120b)에는 제(n+1) 내지 제2n 적색 화소(Pr(n+1) 내지 Pr(2n))가 연결되고,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122b)에는 제(n+1) 내지 제2n 녹색 화소(Pg(n+1) 내지 Pg(2n))가 연결되며,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124b)에는 제(n+1) 내지 제2n 청색 화소(Pb(n+1) 내지 Pb(2n))가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와 유사한 방법으로, 게이트 배선(GL)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a 및 125b)에 접촉을 통해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검사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a 및 125b)에 연결되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수를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나,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a 및 125b)에 연결되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수는 편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표시되는 검사영상을 육안으로 검사해서 점 결함(dot defect) 내지는 라인 결함(line defect)과 같은 불량여부와, 수직 크로스 토크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의 검사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검사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의 표시영역(AA)은 제1 오토 프로브 패드(도 2의 125a)에 대응되는 제1 표시영역(AA1)과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도2 의 125b)에 대응되는 제2 표시영역(AA2)으로 나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 배선(도 2의 Gl)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X1), 데이터 배선(도 2의DL)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X2)이라고 한다.
이때, 제1 표시영역(AA1)은 제2 방향(X2)으로 제1 내지 제3 수평영역(HPL1, HPL2, HPL3)이 각각 블랙, 화이트, 블랙으로 나뉘는 패턴을 갖도록 표시되고, 제2 표시영역(AA2)는 전체적으로 블랙이 표시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랙이라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레이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그레이는 총 계조가 256일 때 127계조인 그레이 또는 총계조가 64일 경우 31계조인 그레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영역(AA1)의 블랙, 화이트, 블랙으로 나뉘는 패턴과, 제2 표시영역(AA2)의 블랙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도 2의 125a 및 125b)에 인가되는 신호전압의 타이밍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토 프로브 패드(125a)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1 내지 제3 수평영역(HPL1, HPL2, HPL3)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구간(T1, T2, T3)에서 각각 로우(±Vl)-하이(±Vh)-로우(±Vl)가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블랙, 화이트, 블랙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b)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1 내지 제3 구간(T1, T2, T3)에서 모두 로우(±Vl)가 인가되어, 블랙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호를 프레임(F1, F2) 별로 반전하여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바꿔서 보냄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에 발생하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표시되는 검사영상은 화이트와 블랙의 경계를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화이트와 블랙의 경계에서 계조 왜곡 등에 근거하여 크로스 토크 현상이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점 결함(dot defect) 내지는 라인 결함(line defect)과 같은 불량여부와, 수직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다.
즉, 모듈화 하지 않고 수직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어 불량 검출 시 액정패널(도 2의 110)만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의 수직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여 불량을 검출할 때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모듈화하고 크로스 토크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장비와,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정패널의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에 표시되는 블랙, 화이트, 블랙의 패턴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에 표시되는 블랙, 화이트, 블랙의 패턴을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이 표시하는 다수의 검사영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은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에 블랙, 화이트, 블랙 패턴이 다양하게 표시된다.
즉, 제1 표시영역(AA1)의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에 화이트 패턴을 표시하거나, 제2 표시영역(AA2)의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에 화이트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의 표시되는 패턴을 변경하여 화이트와 블랙의 경계에서 계조 왜곡에 근거하여 크로스 토크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점 결함(dot defect) 내지는 라인 결함(line defect)과 같은 불량여부와, 수직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다.
즉, 모듈화 전에 구동회로, 백라이트 유닛등과의 수직 및 수평 크로스 토크를 검사할 수 있어 불량 검출 시 액정패널(도 2의 110)만 폐기할 수 있다.
한편,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제1 및 제2 표시영역(AA1 및 AA2)는 각각 제1 및 제2 오토 프로브 패드(125a, 125b)에 연결되는 화소 개수를 변경하여 패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은 종래의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의 수직 크로스 토크를 검사하여 불량을 검출할 때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모듈화하고 크로스 토크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장비와,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액정패널 120a : 제1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0b :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2a : 제1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2b :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4a : 제1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4b :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 125a : 제1 오토 프로브 패드
125b : 제2 오토 프로브 패드
AA : 표시영역 NAA : 비표시영역

Claims (8)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의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2n개의 화소 중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와 이격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상기 하나의 수평화소라인의 상기 2n개의 화소 중 나머지와 연결되는 제2 오토 프로브 패드
    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n개의 화소는 제1 내지 제2n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n) 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는 상기 제(n+1) 내지 제(2n) 화소에 연결되는 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1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1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1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는 제2 적색 오토 프로브 패드와 제2 녹색 오토 프로브 패드 및 제2 청색 오토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제1 오토 프로브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오토 프로브 패드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부분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영역 중 어느 하나는 화이트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영역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영역 중 어느 하나는 화이트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7.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부분영역 중 나머지는 블랙 또는 그레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프레임 별로 반전되는 표시패널.

KR1020130116803A 2013-09-30 2013-09-30 표시패널 KR10203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03A KR102037053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803A KR102037053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297A true KR20150037297A (ko) 2015-04-08
KR102037053B1 KR102037053B1 (ko) 2019-10-28

Family

ID=5303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803A KR102037053B1 (ko) 2013-09-30 2013-09-30 표시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933A (zh) * 2016-06-17 2017-12-29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及包括显示面板的电子设备
KR20200039258A (ko) * 2018-10-05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9216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2009163090A (ja) * 2008-01-09 2009-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パネル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9216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JP2009163090A (ja) * 2008-01-09 2009-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パネル検査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933A (zh) * 2016-06-17 2017-12-29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及包括显示面板的电子设备
CN107527933B (zh) * 2016-06-17 2023-08-0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及包括显示面板的电子设备
KR20200039258A (ko) * 2018-10-05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053B1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9807B2 (ja) 表示装置
US7847577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active matrix substrate inspecting method
KR100389605B1 (ko)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장치 및 그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
JP5379271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または検査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または検査方法
US8330691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dummy pixel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panel
WO2017041480A1 (zh) 显示基板及其测试方法、显示装置
CN105182644B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检测方法
TWI486928B (zh) 顯示面板及其檢測方法
KR20110008725A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이의 검사방법
KR20140094723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것의 검사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049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46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순색 화면 검사 방법
US2012021824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52497B1 (ko) 액정표시소자
KR101271525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037053B1 (ko) 표시패널
WO2010146745A1 (ja) 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28629A (ko) 액정표시장치
JP2004102260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5138999B2 (ja) 表示装置
KR20070071294A (ko) 액정표시소자
KR101927192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713839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KR10122297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20240087492A1 (en) Display substrate, test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