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758A -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758A
KR20150035758A KR1020147036350A KR20147036350A KR20150035758A KR 20150035758 A KR20150035758 A KR 20150035758A KR 1020147036350 A KR1020147036350 A KR 1020147036350A KR 20147036350 A KR20147036350 A KR 20147036350A KR 20150035758 A KR20150035758 A KR 2015003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receiving s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홀트 베르베리히
외르크 담쾨흘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3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7Structural details of sub-circuits of 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3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ing auxiliary mounted passive components or auxiliary substances
    • H05K1/0233Filters, inductors or a magnetic sub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6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ient suppress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8Magnetic details
    • H05K2201/083Magnetic materials
    • H05K2201/086Magnetic materials for inductive purposes, e.g. printed inductor with ferrite co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81Tongue or tail integrated in planar structure, e.g. obtained by cutting from the plana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통로 (21) 를 구비한 연자성 코어 (20), 복수의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을 구비한 인쇄 회로 기판 (40), 및 홀딩 섹션 (43) 을 갖는, 전류들 또는 전자기 간섭, 특히 공통 모드 간섭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디바이스 (1) 로서,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 (40) 의 홀딩 섹션 (43) 은 통로 (21) 를 통해 놓여질 수 있으며, 통로 (21) 는 홀딩 섹션 (43) 및 홀딩 섹션 (43) 상에 배열된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이 통로 (21) 를 통해 놓여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PRODUCTION-PROCESS-OPTIMIZED FILTER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르는 필터 디바이스, 및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력 보조되는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음이 선행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서로 반대쪽으로 감기고 연자성 코어를 갖는 2 개의 코일들로 구성되는 이른바 공통 모드 초크 (choke) 들이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급 라인들에 특히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초크들은 일반적으로 솔더링 또는 용접에 의해 필터링될 신호 경로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것의 한 가지 단점은 한 번 선택된 회로 배열체의 설계는 더 이상 그러한 필터로 선택적으로 채워질 수 없다는데 있는데, 즉, 일반적으로 회로 배열체의 설계를 수정하기 위해 필터를 없앨 필요가 있다. 회로 배열체들이 공급기 부분들이 경우, 고객은, 고객에 따라, 회로 배열체에 필터가 실장되거나 필터가 실장되지 않을 것을 의도하는지 여부인 요구사항들에 의존하여 결정할 수 없고, 원래의 설계에 구속된다.
예를 들어, 시트-금속 라인들을 통해 푸쉬되는 O 형상의 코어들이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생산 동안에 솔더링 또는 용접과 같은 많은 수의 개개의 프로세스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될 것을 필요로 하고 그것을 요구한다. 2 개의 커패시터들 및 코일의 조합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pi 필터를 그러한 배열체와 함께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개개의 커패시터들의 적용에 의해 제조 복잡도가 추가적으로 증가되며, 용접, 솔더링, 클램핑 등에 의해 접촉부가 별도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항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자 제어 디바이스들 내로 도입될 수 있는 필터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앞서 언급된 단점들을 회피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초반에 언급된 유형의 필터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코어의 통로는 수용 섹션 및 수용 섹션 상에 배열된 전자 컴포넌트들이 통로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자 컴포넌트들이 이미 수용 섹션 상에 위치되었을지라도 인쇄 회로 기판의 수용 섹션 상에 코어가 적용되거나 수용 섹션 상으로 푸시될 수 있도록하는 방식으로 코어를 설계하는 기본 개념에 기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선, 인쇄 회로 기판이, 제 1 단계에서, 완전히 실장될 (populate) 수 있다. 그 다음에, 요구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의 수용 섹션에 코어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반드시 2 개의 커패시터들을 가질 것을 필요로 하는 pi 필터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에 의해 특히 간단하게 그리고 동시에 융통성 있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pi 필터의 형태이고, 인쇄 회로 기판이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를 갖는다는 사실 덕분에 개발되었으며,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무선주파수 전류들 또는 전자기 간섭의 필터링을 위해 코어와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커패시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가 수용 섹션에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의 각각의 단부 측면들의 각각에서 코어를 둘러싸도록하는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가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특히 유리한 것은, 제 1 커패시터가 수용 섹션 상에 배열되고, 제 2 커패시터는 수용 섹션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어는 오직 수용 섹션 상에서만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코어의 미끄러짐에서 기인하는 손상으로부터 제 2 커패시터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수용 섹션은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도체 트랙들을 가지며, 여기서 여기서 도체 트랙들은 코어의 경로를 통해 이어지도록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는 수용 섹션에 적용됨으로써 또는 수용 섹션이 코어를 통해 통과됨으로써 도체 트랙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필터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와이어링된 코일들 및 추가적인 접속 프로세스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인쇄 회로 기판은 따라서 임의의 변화들 없이 코어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코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이 메인 섹션을 가지고, 수용 섹션이 메인 섹션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쇄 회로 기판 부분의 형태라는 사실 덕분에 개발되었다. 실시형태는 인쇄 회로 기판의 메인 섹션의 형상을 매칭시키는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코어의 통로의 치수들에 수용 섹션을 특히 간단히 매칭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디바이스는 또한 메인 섹션 상의 전자 컴포넌트들의 배열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메인 섹션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섹션이 수용 섹션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이다. 제 2 돌출 섹션은 인쇄 회로 기판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더불어 또한 수용 섹션 상에서 코어의 보다 안정적인 피팅 (fitting) 에 특히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이 의도한 포지션으로부터의 코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코어를 체결하는 (fasten) 체결 디바이스를 갖는다는 사실 덕분에 개발되었다.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는 체결 디바이스가 래칭 암 (latching arm) 을 포함하는 래칭 엘리먼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유리한 개발에 의해 달성되며, 래칭 암은 래칭 암의 자유 단부에 배열된 래칭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체결 장치가 인쇄 회로 기판 상으로 플러그 인 될 수 있고 코어의 어느 섹션과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플러그 인 엘리먼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플러그 인 엘리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툴 없이 인쇄 회로 기판 상으로 플러그 인 될 수 있다. 수용 섹션이 코어의 통로를 통해 통과하게 되면, 상기 플러그 인 엘리먼트가 인쇄 회로 기판 상으로 플러그 인되어, 코어가 수용 섹션 외부로 미끄러지는 것,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용 섹션 상의 제 1 커패시터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대안으로, 코어는 또한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 미끄러짐에 대항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일 개발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는 코어를 가지며, 여기서 재료는 페라이트로 구성된다. 페라이트는 그것으로 코어가 생산될 수 있는 저렴한 재료이다. 동시에, 필터 기능들은 페라이트로 구성되는 코어로 충분히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하우징 및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필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력 보조되는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가 홀딩 디바이스를 갖는 그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 개발되며, 홀딩 디바이스는 수용 섹션 상에서 코어의 포지셔닝을 특히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코어를 체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도면들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하기 설명에서 기인하며, 여기서
도 1a 는 제 1 방법 상태에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b 는 섹션 라인 A-A 에 따른 코어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제 2 방법 상태에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제 3 방법 상태에서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4 는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특히 공통 모드 간섭에서, 전자기 간섭을 필터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 (1) 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필터 디바이스는 통로 (21) 를 갖는 연자성 코어 (20), 복수의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40), 및 수용 섹션 (43) 을 갖는다. 인쇄 회로 기판 (41) 의 수용 섹션 (43) 은 통로 (21) 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통로 (21) 는, 이러한 경우에, 수용 섹션 (43) 및 수용 섹션 (43) 상에 배열된 전자 컴포넌트들 (41) 이 통로 (21) 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인쇄 회로 기판 (printed circuit board; PCB) (40) 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회로 배열체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 은 예로서 오직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41, 42) 만을 각각 도시한다.
인쇄 회로 기판 (40) 은 메인 섹션 (44) 을 가지며, 인쇄 회로 기판 (40) 의 메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컴포넌트들이 메인 섹션 상에 배열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 (40) 은 수용 섹션 (43) 을 가지며, 수용 섹션은 메인 섹션 (44) 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쇄 회로 기판 일부분의 형태이다. 메인 섹션 (44) 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쇄 회로 기판 (40) 의 제 2 부분 (45) 이 수용 섹션 (43)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개개의 섹션들 (43, 44, 45) 은 인쇄 회로 기판 (40) 으로서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수용 섹션 (43) 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수용 섹션의 폭은 코어 (20) 의 통로 (21) 의 폭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제 2 섹션 (45) 이 수용 섹션에 인접하게 배열되며, 그 결과, 2 개의 섹션들이 슬롯 (46) 을 형성하며, 여기에, 예를 들어, 체결 디바이스 (50) 가 배열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섹션들 (43, 45) 의 형상은,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도체 트랙들이 수용 섹션 (43) 에 적용되며, 여기서 도체 트랙들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20) 가 수용 섹션 (43) 상으로 적용되거나 수용 섹션 상으로 푸쉬된 경우에 코어 (20) 의 통로 (21) 를 통해 이어지도록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 (40) 이 전류 소스에 접속가능한 접속 보드 (49) 들이, 예를 들어, 수용 섹션 (43) 의 자유 단부에 위치된다. 수용 섹션 (43) 은 또한 전류 소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전기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커넥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수용 섹션 (43) 의 자유 단부에, 예를 들어, 디바이스 커넥터에 특히 간단하고 저렴한 전기적 접속부를 실현하기 위해 압입 (press-fit) 접속들에 적합한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도 3 참조. 이와 동시에, 제 2 섹션 (45) 에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추가 접촉부들 (48) 이 제공될 수 있다.
코어 (20) 는 연자성 재료, 예를 들어, 페라이트로 생성되고, 고리의 형태이다. 코어의 기본 형상은, 이러한 경우에,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1b 의 부분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로서, 코어는 직사각형의 절단부분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도시된다. 코어는 또한 둥근 모서리들을 가지거나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 (20) 의 통로 (21) 는, 이러한 경우에, 전자 컴포넌트들, 특히 커패시터 (41) 가 수용 섹션 (43) 상에 이미 위치되어 있을지라도, 수용 섹션 (43) 상으로 코어가 푸쉬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은, 그 중에서도,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배열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간섭을 필터링하기 위해 코어 (20) 와 상호작용하는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41, 42) 를 포함한다. 제 1 커패시터는 입력측 필터 커패시터의 형태이고 제 2 커패시터 (42) 는 출력측 필터 커패시터의 형태이고, 상기 커패시터들은 수용 섹션 (43) 에 코어 (20) 의 적용에 앞서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이미 배열되어 있다. 간단하게 코어 (20) 상에 적용하거나 푸쉬함으로써, 완전한 pi 필터가 생성된다.
유리하게는, 제 1 커패시터 (41) 는 수용 섹션 (43) 상에 배열되고, 제 2 커패시터 (42) 는 수용 섹션 (43)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20) 는 인쇄 회로 기판 (40) 의 일 가장자리에 대항해 있고, 따라서 제 2 커패시터 (42) 와 접촉의 상태가 되지 않는다. 상기 커패시터는 따라서 코어 (20) 가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41, 42) 는 코어의 단부 측면들의 각각에서 코어 (20) 를 둘러싸도록하는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 (1) 는 pi 필터의 전기적 기능이 보통 전기적 기능을 위해 필요한 접촉부를 생산할 필요 없이 도입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 (40) 은 상이한 재료들 및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상이한 유형의 코어들과 함께, 그렇지 않으면 코어 없이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위치된 전자 컴포넌트들의 회로 배열체가 없이 또는 심지어 인쇄 회로 기판 그 자체가 변화될 필요 없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수용 섹션 (43) 상에서 코어 (20) 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 (20) 은 코어 (20) 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디바이스를 갖는다.
우선, 체결 디바이스는 래칭 엘리먼트 (51) 를 포함한다. 래칭 엘리먼트 (51) 는 래칭 암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래칭 돌출부 (53) 를 구비한 래칭 암 (52) 을 갖는다. 래칭 암 (52) 의 길이 및 래칭 돌출부 (43) 의 포지션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20) 가 수용 섹션 (43) 상으로 완전히 푸쉬되자마자 코어 (20) 의 외부 에지와 맞물림 상태가 된다. 래칭 돌출부 (53) 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여기서 코어 (20) 의 이동 방향 쪽으로 기우는 돌출부 (53) 의 접촉 면들이 래칭 암 (52) 이 코어 (20) 와의 접촉부 상에서 위쪽으로 구부러지고, 코어가 래칭 암 (52) 아래로 푸쉬되거나 래칭 암 (52) 의 바깥으로 푸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래칭 엘리먼트 (41) 는 장착 프로세스에 있어서 일 포지션에서 오직 임시로 코어 (50) 를 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플러그 인 될 수 있고 코어 (20) 의 섹션과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플러그 인 엘리머트 (54) 가 코어 (20) 의 최종 잠금이나 체결에 이용될 수 있다. 플러그 인 엘리먼트 (54)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가 수용 섹션 (43) 상으로 푸쉬되는 포지션에 코어 (20) 가 위치되자마자 인쇄 회로 기판 (40) 상으로 플러그 인 된다. 플러그 인 상태에서의 플러그 인 엘리먼트 (54) 는 수용 섹션 (43) 의 외부로의 코어 (20) 의 이동을 방지할 정도까지만 인쇄 회로 기판 (40) 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더불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개개의 방법 단계들을 또한 도시한다:
a) 인쇄 회로 기판 (40) 에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41, 42) 를 부착하는 단계,
b) 수용 섹션 (43) 상으로 코어 (20) 를 푸쉬하는 단계,
c)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프레스 인 접촉부 (39) 를 부착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방법 단계 b) 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플러그 인 엘리먼트 (54) 에 의해 보충된다.
도 4 는 하우징 (102) 을 포함하는 동력 보조되는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100) 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 (1) 의 적용을 도시하며, 여기서 필터 디바이스 (1) 는 하우징 (102)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어 (20) 는, 홀딩 디바이스 (103) 에 의해, 하우징 (102) 에 체결될 수 있다. 홀딩 디바이스 (103) 는 2 개의 돌출 립 (lip) 들을 구비한 2 개의 홀딩 쿠션들을 포함하며, 2 개의 돌출 립들 사이에 코어 (20) 가 셋팅된다. 홀딩 쿠션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코어 (20) 와 하우징 (102) 또는 제 2 섹션 (45) 사이에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 섹션 [...],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는 유리하다.

Claims (14)

  1. 전류들 또는 전자기 간섭, 특히 공통 모드 간섭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디바이스 (1) 로서,
    통로 (21) 를 구비한 연자성 코어 (20), 및
    복수의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및 수용 섹션 (43) 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40) 을 가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의 상기 수용 섹션 (43) 은 상기 통로 (21) 를 통해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21) 는 상기 수용 섹션 (43) 및 상기 수용 섹션 (43) 상에 배열된 상기 전자 컴포넌트들 (41, 42) 이 상기 통로 (21) 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필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코어 (20) 와 상호작용하는 제 1 및 제 2 커패시터 (41, 42)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 (4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수용 섹션 (43) 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들 (41, 42) 은 상기 코어 (20) 의 단부 측면들의 각각에서 상기 코어 (20) 를 둘러싸도록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커패시터 (41) 는 상기 수용 섹션 (43) 에 배열되고, 제 2 커패시터 (42) 는 상기 수용 섹션 (43) 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섹션 (43) 은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도체 트랙들을 가지며, 상기 도체 트랙들은 상기 코어 (21) 의 상기 통로 (21) 를 통해 이어지도록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은 메인 섹션 (44) 을 가지고, 상기 수용 섹션 (43) 은 상기 메인 섹션 (44) 으로부터 돌출되는 인쇄 회로 기판 일부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섹션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의 제 2 섹션 (45) 이 상기 수용 섹션 (43) 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40) 은 상기 코어 (20) 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디바이스 (51, 5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디바이스 (42) 는 래칭 암 (52) 을 포함하는 래칭 엘리먼트 (51) 를 가지며, 상기 래칭 암은 상기 래칭 암의 자유 단부에 배열된 래칭 돌출부 (53)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플러그 인 될 수 있고 상기 코어 (20) 의 섹션과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플러그 인 엘리먼트 (54)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20) 의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13. 동력 보조된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100) 로서,
    하우징 (102),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디바이스 (1) 를 포함하는, 동력 보조된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20) 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102) 에 체결될 수 있는 홀딩 디바이스 (103) 를 특징으로 하는 동력 보조된 스티어링 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KR1020147036350A 2012-06-27 2013-06-27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 KR20150035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0998 2012-06-27
DE102012210998.6 2012-06-27
PCT/EP2013/063487 WO2014001441A2 (de) 2012-06-27 2013-06-27 Fertigungsprozessoptimierte filter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758A true KR20150035758A (ko) 2015-04-07

Family

ID=4887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350A KR20150035758A (ko) 2012-06-27 2013-06-27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7599B2 (ko)
EP (1) EP2868176B1 (ko)
KR (1) KR20150035758A (ko)
CN (1) CN104380851B (ko)
DE (1) DE102013212422A1 (ko)
WO (1) WO2014001441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9823A (en) 1969-07-29 1971-10-13 Pye Ltd Wide band splitter
US6160465A (en) * 1997-11-07 2000-12-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choke coil
JP5248814B2 (ja) * 2007-07-18 2013-07-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US7999633B2 (en) * 2007-11-08 2011-08-16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EMI filter with an integrated structure of common-mode inductors and differential-mode capacitors realized by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T506930A3 (de) 2008-04-29 2010-03-15 Siemens Ag Oesterreich Schaltungsträger zur aufnahme eines ferrit-bauelements
US8476989B2 (en) * 2009-08-18 2013-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for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80851B (zh) 2017-11-10
WO2014001441A2 (de) 2014-01-03
DE102013212422A1 (de) 2014-01-02
CN104380851A (zh) 2015-02-25
US9577599B2 (en) 2017-02-21
EP2868176B1 (de) 2020-09-02
US20150341010A1 (en) 2015-11-26
WO2014001441A3 (de) 2014-03-20
EP2868176A2 (de)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3529B (zh) 电流转换器
KR102036203B1 (ko) 노이즈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emc-필터
JP7139666B2 (ja) コイル部品
US8072303B2 (en) Inductor
US9378885B2 (en) Flat coil windings, and inductive devices and electronics assemblies that utilize flat coil windings
US10679783B2 (en) Network transformer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00321143A1 (en) Inductor
US7446642B2 (en) Inductor
CN107305808B (zh) 用于大电流应用的滤波电感器
JP6809268B2 (ja) コイル部品
CN105742038A (zh) 共模扼流线圈
JP6911141B2 (ja) 誘導性部品および誘導性部品を製造する方法
KR20150035758A (ko)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된 필터 디바이스
US11398339B2 (en) Surface mounting coi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6508702B2 (ja) 出力ノイズ低減装置
JP2007324197A (ja) インダクタ
JPH0794354A (ja) 非接触コネクタ
JP2003318031A (ja) ノイズフィルタ
KR102579295B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변압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3168476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H0577921U (ja) ノイズ防止用チョークコイル
JP2004119940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20160041637A (ko) 솔레노이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JP2016100618A (ja) 出力ノイズ低減装置
JP2007266140A (ja) フラット構造のライ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