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880A -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880A
KR20150033880A KR20130113709A KR20130113709A KR20150033880A KR 20150033880 A KR20150033880 A KR 20150033880A KR 20130113709 A KR20130113709 A KR 20130113709A KR 20130113709 A KR20130113709 A KR 20130113709A KR 20150033880 A KR20150033880 A KR 2015003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pixels
light emitting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134B1 (ko
Inventor
김문수
김광태
이다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34B1/ko
Priority to US14/487,357 priority patent/US10056021B2/en
Priority to EP14185618.7A priority patent/EP2854122B1/en
Publication of KR2015003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제어방법이, 발광픽셀들의 배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수광픽셀에서 감지된 빛이 설정된 밝기 이하이면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와 같은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널을 일체화한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전자장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전자장치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 소모를 절약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따른 소모전력은 전자장치의 전체 소모전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를 중단하며,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확인한 후 주변 밝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밝기를 제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조도센서는 전자장치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므로, 디스플레이에 일부분이 가려져도 해당부분만을 끄거나 밝기를 낮추는 것이 어려웠다.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제어방법이, 발광픽셀들의 배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된 빛이 설정된 밝기 이하이면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제어방법이, 발광픽셀들의 배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광픽셀들이 상기 표시영역의 일부 영역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빛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표시부의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자장치가, 발광픽셀들과, 상기 발광픽셀의 배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되는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광픽셀들이 장치의 주변 빛을 감지하는 표시부와, 상기 수광픽셀의 빛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감지된 빛이 설정된 밝기 이하이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의 주변 밝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주변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을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 도 2c는 전자장치에서 주변밝기를 감지하는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수광픽셀들이 실장된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도 4c는 전자장치에서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 도 5c는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배열에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픽셀들 사이에 수광 픽셀이 함께 배열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광 픽셀을 통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픽셀은 발광소자로 칭하기로 하며, 수광픽셀은 수광소자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표시부의 수광픽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주변 밝기 및/또는 표시부의 온/오프 영역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표시부의 전체영역 및/또는 일부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수광픽셀은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픽셀에 들어오는 신호를 인지하는 동작은 특정 파장대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의 발광픽셀의 구동 제어는 해당 환경에 따라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의 UI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랩탑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60은 기지국 또는 인터넷 서버 등과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7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7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6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카메라120은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며, 외부 영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출력한다. 카메라120은 듀얼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카메라는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며, 제2카메라는 장치의 전면 베젤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카메라는 제2카메라보다 더 큰 화소수를 가지는 고화소의 이미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표시부130은 화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발광픽셀들과 상기 발광픽셀들에 일정 간격으로 수광픽셀들이 실장(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픽셀은 R,G,B의 화소 픽셀들이 될 수 있으며, 수광픽셀은 상기 화소 픽셀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전자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수광픽셀들은 표시부130의 전체영역 및/또는 일부 영역의 주변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부140의 발광픽셀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으며, 수광픽셀은 이미지센서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전자장치의 제어하기 위한 입력 및 데이터의 입력들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의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은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장치의 주변의 밝기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의 출력을 분석하여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의 화면 밝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의 출력을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표시 가능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의 발광픽셀 구동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10은 전자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및 표시부의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a - 도 2c는 전자장치에서 주변밝기를 감지하는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부130의 픽셀은 RGB 서브픽셀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a의 참조번호 210이 단위픽셀이라고 가정할 때, 종래의 단위픽셀 구조는 참조번호 220과 같이 RGBG 또는 참조번호 240과 같이 RGB 픽셀(이하 발광 픽셀이라 칭함)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GB 픽셀들은 LCD, LED 또는 OLED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발광픽셀들의 배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방식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130의 발광픽셀들 중에서 일부의 발광픽셀들을 수광픽셀로 대체하여 표시부130을 구성한다. 즉, 도 2a의 220과 같은 픽셀 배열을 가지는 표시부130은 참조번호 230과 같이 RGBG 픽셀들 중에서 하나의 G 픽셀을 수광픽셀로 대체하며, 참조번호240과 같은 픽셀 배열을 가지는 표시부130은 참조번호250과 같이 설정된 간격으로 RGB 픽셀들을 하나의 수광픽셀로 대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230 및 250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픽셀 구조를 단위 픽셀(unit pixel)이라 칭하기로 하다. 여기서 단위픽셀은 상기 도 2a의 230 또는 250과 같이 RGB 픽셀들을 모두 포함하며 하나의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최소 단위 픽셀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2a의 230과 같이 단위픽셀을 구성하는 경우, 표시부130은 도 2b와 같이 표시부1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2b와 같이 표시부130을 구성하는 경우 표시부130에 배열되는 수광픽셀의 수가 증가되며, 이로인해 화질의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광픽셀은 적절한 수로 배열하여 화질의 열화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c와 같이 가로 및 세로 픽셀 배열에 매 N(여기서 N은 정수(2,3,4,...))번째 단위픽셀에 수광픽셀을 장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a는 매 세 번째 단위픽셀에 수광픽셀을 장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a -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의 RGB 픽셀 사이에 주변의 빛을 센싱할 수 있는 수광픽셀을 실장한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같이 RGB 외에 다른 부분에 투명한 부분이 함께 있는 것과 유사하게 해당 부분에 이미지 센서와 같이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픽셀을 함께 실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은 상기 카메라120의 이미지 센서의 픽셀과 같이 R,G,B,W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R, G, B, W 픽셀 등의 조합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표시부130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30은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은 주변의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 및 해당 기준값에서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에서 감지되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수광픽셀들은 상기 도 2b 또는 도 2c와 같이 표시부130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실장된 상태이므로 표시부130의 전체영역에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주변의 밝기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표시부130의 발광픽셀들을 제어하여 표시부1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의 전체영역에 발광픽셀들이 배치되므로, 사용자 또는 임의 물체(object)가 표시부130을 가리는 경우, 가리워진 영역에 배치된 수광픽셀들은 주변의 빛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 출력을 분석하여 수광픽셀들의 출력이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표시부130의 해당 영역에 위치되는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제어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서 일정 영역의 다른 물체에 의해 가리워지면, 물체에 의해 가리워진 표시부130의 영역의 표시를 오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구동을 제어할 때, 정상적으로 빛을 감지하는 수광픽셀들이 배치된 표시영역은 온 구동하고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수광픽셀들이 배치된 표시영역은 오프 구동할 수 있다.
도 3은 수광픽셀들이 실장된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동작에서 표시부130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표시를 온시키는 동작은 화면 오프상태에서 전자장치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3동작에서 표시부130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표시부130의 발광픽셀들은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구동되며, 수광픽셀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이 구동되면, 수광픽셀들은 주변의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315동작에서 이를 수신하여 주변의 밝기 값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결정된 주변 밝기 값과 설정된 기준값들을 비교하여 현재 표시부130의 밝기 제어가 필요한가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전자장치 주변의 밝기가 표시부130의 화면 밝기를 조절할 만큼 어두운가를 검사한다. 이때 화면의 밝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17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동작에서 표시부130의 발광픽셀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4a - 도 4c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도 4c는 전자장치에서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주변의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전체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a는 2 단계로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로부터 감지된 주변의 밝기값이 충분히 밝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4a의 410과 같이 화면의 밝기를 정상 밝기로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로부터 감지된 주변의 밝기가 제2기준값 보다 낮으면 도 4a의 420과 같이 표시부130의 화면 밝기를 최대로 어둡게 제어하고,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면 도 4a의 415와 같이 설정된 밝기(예를들면 410 및 20의 밝기 제어의 중간 값)로 표시부130의 화면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변화에 따라 화면의 발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주변이 어두워지면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이 장치 주변의 빛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발광픽셀에 대한 밝기를 낮춰 전체적인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b는 표시부130에서 수광픽셀에 따른 발광 픽셀의 밝기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b 및 도 4c에서 참조번호 433은 수광 픽셀을 나타내고, 435, 437 및 439는 각각 발광픽셀인 RGB 픽셀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면 발광픽셀에서 발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광픽셀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발광픽셀의 세기를 조절하는 시간 T0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TO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어부100은 도 4b와 같이 발광픽셀 435-437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빛의 파장(wavelength)을 분석하여 파장 별로 발광픽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수광 픽셀에 들어오는 빛의 파장에 따라 해당 파장에 대응하는 발광픽셀의 밝기만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c는 발광픽셀에서 감지되는 빛의 파장이 G 픽셀의 파장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수광픽셀의 빛 감지여부에 따라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수광픽셀은 표시부130의 전체영역에 일정 간격의 배치되어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수광픽셀의 빛 감지 여부를 판정하여 표시부130에서 다른 물체(예를들면 커버,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가리워진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오프된 상태(가리워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333동작에서 오프된 영역의 발광픽셀을 구동을 오프시키고 가리워지지 않은 영역의 발광픽셀은 표시데이터에 따라 세기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은 구동 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a - 도 5c는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331동작에서 도 5a의 510과 같은 개구부를 가지는 커버515가 닫혀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 중에서 개구부515의 영역에 위치된 수광픽셀들은 빛을 감지할 수 있으며, 커버515에 의해 가려진 영역에 위치된 수광픽셀들은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개구부515 영역에 실장된 수광픽셀들의 출력들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동작에서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가려진 상태임을 감지하고, 333동작에서 도 5a의 520과 같이 개구부515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를 온시키고 525와 같이 가려진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를 오프프시킨다. 즉, 상기 도 5a와 같이 전자장치에 Clear Cover와 같이 일부분만 투명하고 일부분은 불투명한 덮개가 장착될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 실장된 수광픽셀에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판단하여 투명한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주변부의 발광픽셀을 조절하여 투명한 부분의 발광 픽셀들의 구동을 온시키고, 불투명한 부분의 발광픽셀을 표시 구동을 제어하여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밝기를 낮출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부130에 도 5b의 525와 같은 불투명 물체(object)가 위치되어 530과 같이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가려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동작에서 표시부130의 수광 픽셀의 출력으로부터 물체525에 의해 가려진 표시부130의 영역을 판단하고, 333동작에서 표시부130의 발광픽셀을 조절하여 545와 같이 가려진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밝기를 낮춰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물체에 의해 표시부130이 가려지면 표시되는 정보들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550과 같이 표시부130에 정보(예를들면 도 5c의 A-K)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565와 같이 물체가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을 가리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333동작에서 물체565에 의해 가려진 영역에는 585와 같이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거나 밝기를 낮추도록 제어하고, 표시되는 정보(예를들면 A-K)들은 가려지지 않은 영역580에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서 표기 가능한 영역에 따라 정보들을 재배치하는 동시에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c의 565와 같이 물체(object)가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을 가렸을때, 제어부100은 해당부분을 수광픽셀을 통해 감지하고, 거려진 해당부분의 밝기를 조절하고 나머지 부분(즉,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에 정보들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표시부130의 화면에 여러개의 아이콘(또는 섬네일 이미지 등)이 있는 경우, 물체에 의해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가리면 가려진 부분의 발광 픽셀의 구동을 오프시키거나 어둡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가려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아이콘(또는 섬네일 이미지)을 재배치하는 기능을 구현 할 수도 있다.
도 6은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동작에서 표시부130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표시를 온시키는 동작은 화면 오프상태에서 전자장치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동작에서 표시부130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표시부130의 발광픽셀들이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수광픽셀들도 구동되어 장치 주변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이 구동되면, 수광픽셀들은 주변의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들은 표시부130의 전영역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가려지면 가려진 영역에 실장되는 수광픽셀들은 빛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오프된 상태(가리워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동작에서 오프된 영역의 발광픽셀을 구동을 오프시키고 가려지지 않은 영역의 발광픽셀은 표시데이터에 따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수광픽셀은 구동 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가려진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표시부130의 전체 영역에 실장된 발광픽셀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발광픽셀들은 표시데이터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수광픽셀들은 온되어 주변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전체 영역에서 손 또는 물체 등에 가려지는 영역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가려진 일부 영역의 발광픽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수광픽셀의 빛 감지 여부를 판정하여 표시부130에서 상기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다른 물체(예를들면 커버, 물체 또는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가려진 표시부130의 영역에 실장된 발광픽셀의 표시 동작을 오프시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가려진 영역의 발광 픽셀을 오프시키면서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표시 오프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631동작에서 표시부130의 화면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가 검사한다.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에는 표시부130의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음악을 재생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구동을 오프시킨다. 화면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633동작에서 표시부130의 발광픽셀들은 구동을 오프시키고 수광픽셀들은 구동을 온시킨다. 이때 상기 수광픽셀을 온시키는 이유는 설정된 특정 형태의 제스쳐(예를들면 hand touch, 손날 터치 또는 sweep 등)를 감지시 화면 표시 온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30의 발광픽셀의 구동이 오프되고 수광픽셀들의 구동은 온 된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제스쳐를 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3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637동작에서 화면 표시 기능을 온 시킨다. 그러나 화면 오프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동작에서 표시부130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오프시키고 화면 표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화면 표시 오프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수광픽셀을 온시키는 방법은 상기 도 3과 같은 표시 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발광픽셀들의 배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된 빛이 설정된 밝기 이하이면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수신되는 빛의 밝기 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가 설정된 기준값보다 어두우면 전체 발광픽셀의 표시세기를 작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픽셀은 빛의 파장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발광픽셀들 중에서 감지된 상기 파장신호 대역의 발광픽셀의 표시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픽셀은 RGB 픽셀이고 상기 수광픽셀은 표시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되는 이미지센서이며,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표시부의 전체영역에 실장된 수광픽셀들에서 감지되는 빛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실장된 수광픽셀들이 물체에 의해 가려져 빛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가려진 상기 표시부의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개구부를 가지는 커버이며,
    상기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은 상기 개구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은 가려진 영역을 제외한 표시부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발광픽셀들을 표시데이터에 따라 구동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표시 영역에 재배치되어 표시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 오프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수광픽셀의 구동은 온시키며, 상기 수광픽셀에서 설정된 제스쳐 감지시 상기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발광픽셀들의 배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 수광픽셀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상기 수광픽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광픽셀들이 상기 표시영역의 일부 영역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빛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표시부의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픽셀은 RGB 픽셀이고 상기 수광픽셀은 표시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되는 이미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실장된 수광픽셀들이 물체에 의해 가려져 빛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가려진 상기 표시부의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개구부를 가지는 커버이며,
    상기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은 상기 개구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픽셀들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동작은 가려진 영역을 제외한 표시부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발광픽셀들을 표시데이터에 따라 구동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표시 영역에 재배치되어 표시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 오프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수광픽셀의 구동은 온시키며, 상기 수광픽셀에서 설정된 제스쳐 감지시 상기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전자장치에 있어서,
    발광픽셀들과, 상기 발광픽셀의 배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되는 수광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광픽셀들이 장치의 주변 빛을 감지하는 표시부와,
    상기 수광픽셀의 빛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감지된 빛이 설정된 밝기 이하이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픽셀들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수광픽셀들의 출력에서 빛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영역에 위치된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RGB의 발광픽셀들로 구성되는 단위픽셀들로 배열되며, 상기 수광픽셀은 매 단위픽셀 또는 N 번째 단위픽셀들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픽셀은 이미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픽셀은 빛의 파장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픽셀에 감지된 상기 파장신호 대역을 가지는 발광픽셀의 표시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영역에 위치된 발광픽셀들의 표시 구동을 오프시킨 후, 상기 표시부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발광픽셀들을 표시데이터에 따라 구동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표시 영역에 재배치되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113709A 2013-09-25 2013-09-25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140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09A KR102140134B1 (ko) 2013-09-25 2013-09-25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14/487,357 US10056021B2 (en) 2013-09-25 2014-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ight-emitting pixels using light-receiving pixels
EP14185618.7A EP2854122B1 (en) 2013-09-25 2014-09-19 Adjusting light emitting pix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09A KR102140134B1 (ko) 2013-09-25 2013-09-25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80A true KR20150033880A (ko) 2015-04-02
KR102140134B1 KR102140134B1 (ko) 2020-07-31

Family

ID=5166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709A KR102140134B1 (ko) 2013-09-25 2013-09-25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6021B2 (ko)
EP (1) EP2854122B1 (ko)
KR (1) KR102140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20A1 (ko) * 2015-07-06 2017-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2290A1 (en) * 2012-11-30 2014-06-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WO2015111157A1 (ja) * 2014-01-22 2015-07-30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552019B2 (en) 2015-04-16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KR102327139B1 (ko) * 2015-04-16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WO2017107017A1 (zh) * 2015-12-21 2017-06-2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屏控制方法、显示屏控制装置及显示器
CN105975231A (zh) * 2016-04-29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调节终端屏幕显示状态的方法和装置
CN106657762A (zh) * 2016-09-30 2017-05-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双摄像头的缩略图生成方法及系统
CN106681505A (zh) * 2016-12-22 2017-05-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双屏显示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20180088099A (ko) * 2017-01-26 2018-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488454B2 (en) * 2020-11-30 2022-11-01 Capital One Services, Llc Obstruction detection of a transaction device display screen
US20240071333A1 (en) * 2020-12-22 2024-02-29 Rockchip Electronics Co., Ltd. Eye protection method, paper-like display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1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11033720A (ja) * 2009-07-30 2011-02-17 Ntt Docomo Inc 携帯端末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76283A1 (en) * 2011-12-05 2013-07-1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608A (ja) * 1998-06-29 2000-03-21 Sanyo Electric Co Ltd 集光機構付液晶表示装置
KR101284926B1 (ko) 2006-06-23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및 구동방법
US8451233B2 (en) * 2008-02-13 2013-05-28 Himax Technologies Limited Sensor pixel and touch panel thereof
US20100201275A1 (en) 2009-02-06 2010-08-12 Cok Ronald S Light sensing in display device
US8224391B2 (en) * 2009-07-20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an LED backlight unit
US20110032266A1 (en) 2009-08-07 2011-02-10 Delphi Technologies, Inc. Glare detection and mitigation method for a photo-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10028148A (ko) *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730219B2 (en) 2009-10-30 2014-05-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5761953B2 (ja) 2009-12-08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40456B1 (ko) 2010-03-15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픽셀들의 개구부를 통해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391128B1 (ko) * 2012-07-06 2014-05-02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용 oled 표시 장치
US9122966B2 (en) * 2012-09-07 2015-09-01 Lawrence F. Glaser Communication device
EP2728762A2 (en) * 2012-11-02 2014-05-07 Newvit Co., Ltd.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JP6205927B2 (ja) * 2013-07-12 2017-10-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20160216753A1 (en) * 2013-08-28 2016-07-28 Apple Inc.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f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1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11033720A (ja) * 2009-07-30 2011-02-17 Ntt Docomo Inc 携帯端末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76283A1 (en) * 2011-12-05 2013-07-1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20A1 (ko) * 2015-07-06 2017-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34B1 (ko) 2020-07-31
US10056021B2 (en) 2018-08-21
US20150084997A1 (en) 2015-03-26
EP2854122A1 (en) 2015-04-01
EP2854122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134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CN113632441B (zh) 一种光传感器状态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333335B (zh) 一种环境光和接近检测方法、拍摄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9712779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16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electronic device
US846331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20180088099A (ko)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226718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utilizing area near openings in display screen to display application icon
KR101735987B1 (ko) 백라이트 광도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EP3712882A1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718580A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20210072075A1 (en) Light intensity detecting device, screen member and mobile terminal
JP202252837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移動端末及び制御方法
CN107124902B (zh) 显示屏背光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2008219659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2014779B1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2019009267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2448A (ko)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20210074930A (ko) 광학 센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18280A (ko) 커버 부재를 이용한 동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US119290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illuminance
KR102651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57711A (ko)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43831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