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579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579A
KR20150033579A KR20140127462A KR20140127462A KR20150033579A KR 20150033579 A KR20150033579 A KR 20150033579A KR 20140127462 A KR20140127462 A KR 20140127462A KR 20140127462 A KR20140127462 A KR 20140127462A KR 20150033579 A KR20150033579 A KR 2015003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oint
stroller
backr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085B1 (ko
Inventor
총지에 창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측단이 설치되는 전방 발받침과 제2측단이 설치되는 후방 발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측단이 각각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제3측단이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 상방에 위치한 제1단부 및 상기 연결 장치 하방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하며, 측면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팔걸이의 후단부가 제1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제1측단과 핀 결합되며, 제1, 제2말단이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1말단이 제2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측면 팔걸이와 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2 말단은 제3 핀 결합점을 통해 제2 단부와 핀 결합되며, 그리고 측봉이 마련된 등받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측봉이 등받이 장치의 종축을 따라 연신되고, 그중, 상기 측봉의 말단은 상기 제2, 제3 핀 결합점 사이에서 제4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핀 결합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INFANT STROLLER APPARATUS}
본 발명은 영아를 태우는 장치, 특히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유모차는 주로 영아를 앉혀서 어른이 밀어 움직이는 것으로서, 영아가 유모차 내에 있을 때, 통상적으로 어른은 유모차 좌석의 후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모차의 등받이 역시 눕는 상태로 조정할 수 있어, 아동이 누워서 잠을 자기에도 편하다. 유모차에서 등받이의 좌우측에 사이드 배플을 설치할 수 있으며, 등받이와 좌우 사이드 배플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누울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이드 배플의 조합은 통상적으로 차체의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며, 차체를 접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을 가져온다.
이를 감안할 때, 현재 상기 결함을 개선하고, 원가에 있어서 시장 경쟁력을 지니며 조작이 더욱 편리한 유모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며, 서로 다른 경사각 사이에서 등받이 장치를 조정할 수 있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손잡이를 통해, 손쉽게 유모차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단이 설치되는 전방 발받침과 제 2 측단이 설치되는 후방 발 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 2 측단이 각각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제 3 측단이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기 제 3 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 상방에 위치한 제 1 단부 및 상기 연결 장치 하방에 위치한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측면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팔걸이의 후단부가 제1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제 1 측단과 핀 결합되며, 제1, 제2 말단이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1말단이 제2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측면 팔걸이와 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 2 말단은 제 3 핀 결합점을 통해 제2 단부와 핀 결합되며, 그리고 측봉이 마련된 등받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측봉이 등받이 장치의 종축을 따라 연신되고, 그중, 상기 측봉의 말단은 상기 제 2, 제 3 핀 결합점 사이에서 제4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제 1 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2 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이 상기 제1 핀 결합점과 상기 제 2 핀 결합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3 측단이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될 수 있어, 상기 제1, 제 2 단부의 길이를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4 핀 결합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제2 핀 결합점의 높이보다 낮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등받이 장치가 등받이 프레임도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측관이 설치되고, 상기 측관은 상기 측봉에 평행으로 연신되며, 상기 측봉은 머리 부분 덮개 장치를 통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시트 프레임도 포함하되, 상기 시트 프레임에는 분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기 측관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기 분기관이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분기관의 전단과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2단부가 서로 핀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의 후단은 상기 후방 발받침의 상기 제2측단과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횡관이 설치되고,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와 상기 횡관이 핀 결합되며,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의 측변이 상기 측봉 중의 상기 제4 핀 결합점에서 또 다른 말단과 연결되며, 그중 상기 측봉의 상기 또 다른 말단이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고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의 측변에 가이드 슬롯이 설치되고, 상기 측봉의 상기 또 다른 말단에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전방 발받침에 발판용으로 사용되는 횡단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전방 발받침의 상기 횡단 가까이까지 연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측단이 설치되는 전방 발받침과 제2측단이 설치되는 후방 발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측단이 각각 연결 장치에 연결되며, 제3측단이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 상방에 위치한 제1단부 및 상기 연결 장치 하방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하며, 측면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팔걸이의 후단부가 제1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제1측단과 핀 결합되며, 제1, 제2말단이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1말단이 제2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측면 팔걸이와 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2 말단은 제3 핀 결합점을 통해 제2 단부와 핀 결합되며, 그리고 등받이 프레임, 측면 보조 프레임과 머리 부분 덮개 장치를 포함하는 등받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측면 보조 프레임이 각각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측관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보조 프레임이 측봉을 포함하고, 상기 측봉이 상기 측관을 따라 연신되며, 상기 측봉의 말단이 상기 제2, 제3 핀 결합점 사이에서 제4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상기 유모차는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프레임에는 분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기 측관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기 분기관과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분기관의 전단과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2 단부가 서로 핀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의 후단이 상기 후방 발받침의 상기 제 2 측단과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제1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이 상기 제1 핀 결합점과 상기 제2 핀 결합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제2 핀 결합점의 높이보다 낮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유모차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머리 부분 덮개 장치와 등받이 프레임, 측면 보조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유모차를 접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유모차(100)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유모차(100)는 전방 발받침(102), 후방 발받침(104), 시트 프레임(106), 손잡이(108), 프론트 가드 장치(110)와 등받이 장치(112)를 포함한다. 전방 발받침(102)에는 좌우 측단(102A)가 설치되며, 후방 발받침(104)에는 좌우 측단(104B)가 설치되고, 각 측단(102A, 104B)의 하단 부분에는 각각 바퀴(113)가 설치되며, 각 측단(102A, 104B)의 상단부는 각각 연결 장치(114)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단(102A, 104B)은 관체로 구성된다. 각 측단(102A)의 상단부는 각각 연결 장치(114)와 고정 결합되며, 각 측단(104B)의 상단부는 각각 연결 장치(114)와 서로 핀 결합되어, 후방 발받침(104)이 전방 발받침(102)에 상대되어 연결 장치(114)와 핀 결합되도록 하여, 유모차(100)를 펴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발받침(102)에는 횡단(102B)도 설치되며, 두 개의 측단(102A) 사이에서 고정 결합되어 발판으로 작용한다.
손잡이(108)는 좌우 두 개의 측단(116)과 횡단(118)을 포함할 수 있다. 횡단(118)은 두 개의 측단(116) 사이에 연결된다. 각 측단(116)은 각각 전방 발받침(102)의 측단(102A)에 평행으로 연신되며, 각각 상응하는 연결 장치(114) 중에 설치된 천공을 통과하므로, 측단(116)의 두 단부(116A, 116B)라고 정의하며, 그중 단부(116A)는 연결 장치(114), 측단(102A와 104B)의 상방에 위치하고, 단부(116B)는 연결 장치(114)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측단(102A)에 평행하게 되어 전방 발받침(102)의 횡단(102B) 가까이까지 연신된다. 손잡이(108)는 연결 장치(114)를 통해 슬라이딩되어, 측단(116)이 연결 장치(114) 상방 및 하방에서의 길이를 바꾸므로, 유모차(100)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다. 각 측단(102A)는 횡단(102B) 가까운 곳에 각각 유도 장치(119)를 설치하여 손잡이(108)가 전방 발받침(102)의 측단(102A)에 평행하게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 장치(119)는 예를 들어 측단(102A) 상의 고리 장치에 고정되고, 손잡이(108)의 측단(116)은 미끄러지면서 유도 장치(119)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 장치(114) 중에 잠금 기구(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손잡이(108)가 전방 발받침(102) 및 후방 발받침(104)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예를 들어 버클 결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손잡이(108)가 측단(116) 중에서 형성되는 천공과 버클 결합하여, 손잡이(108)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연결 장치(114) 중의 잠금 기구는 잠금 해제 기구(120)와 연결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잠금 해제 기구(120)를 조작할 때, 잠금 기구를 잠금 해제로 바꾸기만 하면, 손잡이(108)가 상하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것처럼, 잠금 해제 기구(120)를 예를 들어 손잡이(108)의 횡단(118) 상에 설치한다면, 두 개의 와이어 로프(도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각 연결 장치(114) 중의 버클 결합 장치에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 프레임(106)은 연결 장치(114)의 하방에서 전방 발받침(102), 후방 발받침(104)과 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프레임(106)에는 좌우 분기관(106A)가 설치되며, 각 분기관(106A)의 전단은 핀 결합점(R1)을 통해 손잡이(108)의 단부(116B)와 핀 결합되고, 각 분기관(106A)의 후단은 핀 결합점(R2)를 통해 후방 발받침(104)의 상응하는 측단(104B)와 핀 결합된다. 시트 프레임(106)의 좌우 분기관(106A) 상에 시트 천을 덮어 씌워, 아기가 편안하게 앉는 표면 지지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론트 가드 장치(110)는 분기관(106A)의 상방에 설치되며, 좌우 두 개의 측면 팔걸이(122)와 프론트 가드부(124)를 포함한다. 각 측면 팔걸이(122)의 후단부는 핀 결합점(P1)을 통해 그 상응하는 측단(102A)와 핀 결합되고, 각 측면 팔걸이(122)의 전단부는 프론트 가드부(124)와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가드부(124)는 예를 들어 식판이다. 또한, 각 측면 팔걸이(122)는 인근 전단부에서 각각 한 연결봉(126)을 통해 손잡이(108)의 측단(116)과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봉(126)은 만곡 형태를 지니며, 연결봉(126)의 제1말단은 핀 결합점(P2)를 통해 측면 팔걸이(122)의 전단부와 핀 결합된다. 연결봉(126)의 제2말단은 측면 팔걸이(122)의 하방에서, 핀 결합점(P3)를 통해 측단(116) 중 연결 장치(114)의 하방에 위치한 단부(116B)와 핀 결합된다. 핀 결합점(P3)은 손잡이(108)의 단부(116B) 상에 있고 핀 결합점(R1)의 상방에 위치하며, 핀 결합점(P3)은 측면 팔걸이(122)의 종축을 따라 핀 결합점(P1)과 (P2)사이에 위치한다.
등받이 장치(112)는 등받이 프레임(130), 측면 보조 프레임(132)과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30)은 좌우 두 개의 측관(130A)와 횡관(130B)를 포함한다. 두 개의 측관(130A)는 서로 평행하며, 횡관(130B)는 두 개의 측관(130A) 사이에 연결되고, 각 측관(130A)는 횡관(130B)에 상대되는 말단부에서 각각 핀 결합점 P5를 통해 시트 프레임(106)의 상응하는 분기관(106A)과 핀 결합된다.
측면 보조 프레임(132)은 좌우 두 개의 측봉(136)을 포함하며, 각각 등받이 프레임(130)의 측관(130A)에 평행하게 연신된다. 각 측봉(136)의 제1말단(136A)는 핀 결합점(P4)를 통해 상응하는 연결봉(126)과 핀 결합된다. 핀 결합점(P4)는 핀 결합점(P1)과 (P2)사이의 구역에 위치하면서, 연결봉(126) 양단부의 핀 결합점(P2)와 (P3)사이에 있다. 각 측봉(136)은 제1말단(136A)에 상대되는 제2말단(136B)에서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와 등받이 프레임(130)의 횡관(130B)를 통해 연결된다.
도 2는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와 등받이 프레임(130), 측면 보조 프레임(132)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는 판상으로, 등받이 장치(112)를 따라 횡 방향으로 연신된다.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는 등받이 프레임(130)의 횡관(130B)와 핀 결합할 수 있고,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서로 대칭이 되고 기다란 모양의 가이드 슬롯(134A)가 설치된다. 각 측봉(136)의 제2말단 136B에는 각각 돌기(140)를 설치할 수 있는데, 돌기(140)는 상응하는 가이드 슬롯(134A)에 설치하여, 돌기(140)가 가이드 슬롯(134A)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에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각 측봉(136)의 제2말단 136B는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에 상대되어 회전하고 가이드 슬롯(134A)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등받이 장치(112)가 똑바로 눕혀진 상태일 때, 측면 보조 프레임(132)은 좌우측에서 측면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는 등받이 프레임(130)에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보이며, 이로써 아동이 눕는 공간을 한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다음에 도 1을 참고하면, 유모차(100)에는 등받이 고정 장치(150)(도 1 중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며, 도 3에서는 표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등받이 장치(112)가 설정하려는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 고정 장치(150)는 메쉬 벨트(152)와 길이 조정 기구(154)를 포함한다. 메쉬 벨트(152)는 손잡이(108)의 측단(116)과 연결될 수 있으며, 등받이 프레임(130)의 뒤쪽을 둘러싼다. 보호자는 길이 조정 기구(154)를 통해 메쉬 벨트(152)가 등받이 프레임(130)을 둘러싸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메쉬 벨트(152)가 지지하는 등받이 장치(112)는 메쉬 벨트(152)의 길이별로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도 1 및 3은 유모차(100)의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유모차(100)가 도 1이 나타내는 것처럼 전개 상태에 있을 때, 프론트 가드 장치(110)의 측면 팔걸이(122)는 각각 연결 장치(114)의 하방에서 연신되고, 핀 결합점(P3)은 측면 팔걸이(122)의 종축을 따라 핀 결합점(P1과 P2) 사이에 위치하며, 핀 결합점(P4)는 연결봉(126) 양단부의 핀 결합점(P2)와 (P3)의 사이에 있다. 또한, 핀 결합점(P3,P4)의 위치는 핀 결합점(P1과 P2)의 수직 높이보다 낮으며(또한 핀 결합점(P3)은 핀 결합점(P4)의 하방에 위치함), 핀 결합점(P5)는 핀 결합점(P2, P3, P4)의 후방에 위치한다.
보호자가 등받이 장치(112)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때, 우선 길이 조정 기구(154)를 풀면 메쉬 벨트(15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메쉬 벨트(152)의 길이가 조정될 때, 동시에 등받이 프레임(130)과 측면 보조 프레임(132)이 회전하게 되어, 등받이 프레임(130)이 핀 결합점(P5)를 둘러싸고 시트 프레임(106)의 분기관(106A)에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또한 측면 보조 프레임(132)의 측봉(136)이 동시에 핀 결합점(P4)을 둘러싸고 연결봉(12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등받이 장치(112)의 경사 각도가 조정되는 동시에,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 역시 등받이 프레임(130), 측면 보조 프레임(13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등받이 장치(112)가 설정하려는 경사 각도에 도달하면, 길이 조정 기구(154)는 메쉬 벨트(152)의 길이를 고정하므로, 등받이 장치(112)가 있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언급할 만한 것은, 등받이 장치(112)를 똑바로 눕는 위치에 가깝게 조정할 때,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가 측관(130A), 측봉(136)에 상대적으로 수직 상태를 보이며, 등받이 장치(112)가 비교적 직립의 상태를 보일 때, 머리 부분 덮개 장치(134)의 평면은 측관(130A), 측봉(136)의 연신 방향에 비교적 근접한다는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접으려고 할 때, 우선 손잡이(108)에 대한 연결 장치(11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손잡이(108)를 잠금 해제한다. 이후, 손잡이(108)를 아래로 이동하여, 손잡이(108)의 측단(116)이 연결 장치(114)를 통해 아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연결 장치(114) 하방의 단부(116B)에서 측단(116)의 길이를 늘려 연결 장치(114) 상방에 위치한 단부(116A)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손잡이(108)의 측단(116)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연결봉(126)(핀 결합점 P3, P4 포함)과 시트 프레임(106)의 전단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프론트 가드 장치(110)가 핀 결합점(P1)을 둘러싸고 전방 발받침(102)을 향해 아래로 회전하며, 등받이 장치(112)의 상단은 손잡이(108)의 측단(116)을 향해 위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측면 보조 프레임(132)의 측봉(136)과 등받이 프레임(130)의 측관(130A)는 각각 핀 결합점(P4,P5)를 둘러싸고 연결봉(126), 시트 프레임(106)의 분기관(106A)에 상대적으로 손잡이(108)의 측단(116)을 향해 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시트 프레임(106)의 후단은 손잡이(108)의 측단(116)을 향해 접을 수 있고, 후방 발받침(104)은 전방 발 받침(102) 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그러므로 접은 후의 유모차(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작아진다.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펼치고자 한다면, 손잡이(108)를 위로 이동하여, 손잡이(108)의 측단(116)이 각각 연결 장치(114)를 통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연결 장치(114) 상방의 단부(116A)에서 측단(116)의 길이를 늘려 연결 장치(114) 하방에 위치한 단부(116B)의 길이를 줄여준다. 손잡이(108)의 측단(116)이 위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봉(126)(핀 결합점(P3,P4)을 포함)과 시트 프레임(106)의 전단도 위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프론트 가드 장치(110)가 핀 결합점(P1)을 둘러싸고 전방 발받침(102)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등받이 장치(112)의 상단이 전단(116)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시트 프레임(106)의 후단은 측단(116)에서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아래로 움직이며, 후방 발받침(104)과 전방 발받침(102)은 상대적으로 확장되어, 유모차(100)가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전개 상태로 바뀌게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모차에 따르면, 등받이 장치의 구성 장치와 조립 관계는 매우 간단하다. 또한, 등받이 장치의 측면 보조 프레임은 연결봉을 통해 손잡이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손잡이를 위 아래로 이동할 때, 등받이 장치, 시트 프레임, 전방 발받침과 후방 발받침을 손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조작이 상당히 편리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를 서술하였으며, 그중 각 항목 특징은 단독 또는 서로 다른 결합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실시 방식의 게시는 본 발명 원칙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게시한 실시예실시예정되어서는 안 된다. 진일보하게 말하면, 앞서 서술한 것과 그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시범적 사용일 뿐, 그 제한을 받지 않는다. 기타 구성 요소의 변화나 조합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100....유모차,
102....전방 발받침,
104....후방 발받침,
106....시트 프레임,
108....손잡이,
110....프론트 가드 장치,
112....등받이 장치

Claims (17)

  1. 제 1 측단이 설치되는 전방 발받침 및 제 2 측단이 설치되는 후방 발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 2 측단은 각각 연결 장치와 연결되고,
    제3측단이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 상방에 위치한 제1단부와 상기 연결 장치 하방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하며,
    측면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팔걸이의 후단부가 제1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제1측단과 핀 결합되며,
    제1, 제2말단이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1말단은 제2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측면 팔걸이와 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2말단은 제3 핀 결합점을 통해 제2단부와 핀 결합되며,
    측봉이 마련된 등받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측봉은 상기 등받이 장치의 종축을 따라 연신되고, 그중 상기 측봉의 말단은 상기 제2, 제3 핀 결합점 사이에서 제4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이 상기 제1 핀 결합점과 상기 제2 핀 결합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3측단이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 제2 단부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제2 핀 결합점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장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는 측관이 마련되고, 상기 측관은 상기 측봉에 평행하게 연신되고, 상기 측봉은 머리 부분 덮개 장치를 통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도 포함하되, 상기 시트 프레임에는 분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기 측관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기 분기관이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전단과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2 단부가 서로 핀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의 후단이 상기 후방 발받침의 상기 제 2 측단과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횡관도 설치되고,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와 상기 횡관이 필 결합되고,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의 측변이 상기 측봉 중의 상기 제4 핀 결합점에 상대되는 또 다른 말단과 연결되고, 그중 상기 측봉의 상기 또 다른 말단은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고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의 측변에 가이드 슬롯이 설치되고, 상기 측봉의 상기 또 다른 말단에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에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발받침에 횡단도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전방 발받침의 상기 횡단과 근접한 위치까지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1측단이 설치되는 전방 발받침 및 제2측단이 설치되는 후방 발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 2 측단은 각각 연결 장치와 연결되고,
    제3측단이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기 제3측단은 상기 연결 장치 상방에 위치한 제1단부와 상기 연결 장치 하방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하며,
    측면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팔걸이의 후단부가 제1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제1측단과 핀 결합되며,
    제1, 제2말단이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1말단은 제2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측면 팔걸이와 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의 상기 제2말단은 제3 핀 결합점을 통해 제2단부와 핀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 측면 보조 프레임과 머리 부분 덮개 장치를 포함하는 등받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측면 보조 프레임이 각각 상기 머리 부분 덮개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측관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보조 프레임이 측봉을 포함하고, 상기 측봉이 상기 측관을 따라 연신되며, 상기 측봉의 말단이 상기 제2, 제3 핀 결합점 사이에서 제4 핀 결합점을 통해 상기 연결봉과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도 포함하되, 상기 시트 프레임에 분기관이 마련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기 측관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기 분기관이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전단과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2단부가 서로 핀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의 후단은 상기 후방 발받침의 상기 제2측단과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측단과 상기 연결 장치가 서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이 상기 제1 핀 결합점과 상기 제2 핀 결합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4 핀 결합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제2 핀 결합점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40127462A 2013-09-24 2014-09-24 유모차 KR101637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39422.4 2013-09-24
CN201310439422.4A CN104442979B (zh) 2013-09-24 2013-09-24 婴儿推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79A true KR20150033579A (ko) 2015-04-01
KR101637085B1 KR101637085B1 (ko) 2016-07-06

Family

ID=5283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62A KR101637085B1 (ko) 2013-09-24 2014-09-24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6875B2 (ko)
KR (1) KR101637085B1 (ko)
CN (1) CN104442979B (ko)
TW (1) TWI571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2003B (zh) * 2016-08-25 2024-03-2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用于婴儿载具的垫体及强化板
CN107985383B (zh) * 2017-12-29 2024-05-07 安徽呵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简易型婴儿推车车架
CN112061220B (zh) * 2019-06-11 2023-11-2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载物架收合机构及婴儿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213B1 (en) *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JP2007099000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9227B (en) * 1996-11-11 2000-09-27 Huang Li Chu Chen Foldable mechanisim for a stroller
JP2001525291A (ja) * 1997-12-08 2001-12-11 アンパフランス 小型折りたたみ式子供用乳母車
JP2002225721A (ja) * 2001-01-31 2002-08-14 Combi Corp 折畳み式ベビーカー
KR101327296B1 (ko) * 2005-09-30 2013-1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핸들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EP2323888B1 (en) * 2008-08-15 2015-01-21 Artsana Usa Inc. Stroller
CN101947970B (zh) * 2010-09-13 2012-06-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JP5767489B2 (ja) * 2011-03-03 2015-08-1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213B1 (en) *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JP2007099000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42979A (zh) 2015-03-25
JP5946875B2 (ja) 2016-07-06
CN104442979B (zh) 2017-06-30
TWI571400B (zh) 2017-02-21
KR101637085B1 (ko) 2016-07-06
TW201512004A (zh) 2015-04-01
JP2015063296A (ja)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683B2 (en) Stroller
KR101790543B1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JP5963394B2 (ja) 折畳式乳母車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JP2006159930A (ja) ベビーカー
KR101637085B1 (ko) 유모차
EP2857279B1 (en) Stroller and seat unit
TWI680074B (zh) 嬰兒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JP6735195B2 (ja) ベビーカー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JP2017144856A (ja) ベビーカー
JP5953139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102001741B1 (ko) 어린이 지지 장치
TWI547402B (zh) Baby carriage
EP3341242B1 (en) A child seat, a stroller comprising such a child seat as well as an additional seat for such a child seat
TWI752337B (zh) 嬰兒車
CN107697141B (zh) 手推车
JP2015016818A (ja) ベビーカー
WO2024013941A1 (ja) 乳母車
JP6334953B2 (ja) 背対面切替式乳母車
JP6923930B2 (ja) 乳母車
JP5677762B2 (ja) ベビーカー
JP2020019359A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