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068A -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068A
KR20150030068A KR20130109283A KR20130109283A KR20150030068A KR 20150030068 A KR20150030068 A KR 20150030068A KR 20130109283 A KR20130109283 A KR 20130109283A KR 20130109283 A KR20130109283 A KR 20130109283A KR 20150030068 A KR20150030068 A KR 2015003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nonwoven fabric
waterproof sheet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516B1 (ko
Inventor
권영화
Original Assignee
(주)삼성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건업 filed Critical (주)삼성건업
Priority to KR102013010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5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9Reverse side strip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탕층을 방수 처리하여 바탕층의 균열 발생 및 물리적 거동에도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노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바탕층을 정리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설정된 패턴으로 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패턴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부착 시공하여, 상기 패턴의 측방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직포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EXPOSURE WATERPROOFING METHOD AND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를 방수 처리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발생 및 물리적 거동에도 방수 기능을 유지 및 수행하는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부분은 노출된 상태에서 방수 성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방수 처리를 필요로 한다. 노출 방수는 방수 성능, 기후 변화와 사람들의 경 보행에 대한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옥상 부분의 노출 방수는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하는 거동성과 내구성을 가지며, 방수 시공에 대하여 높은 작업성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방수 도막층은 온도에 따른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바탕층과 방수재료를 상호 부착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방수재료의 방수 도막층은 신축율과 인장강도 등의 물성으로 구조물의 수축 및 팽창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장시간 구조물의 거동과 바탕층의 열화로 인하여, 방수 도막층은 파단 또는 손상되어 장기적으로 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즉 방수 도막층은 구조물의 거동 대응성이 미약하다.
또한, 구조물이 바닥인 경우, 바탕층의 건조가 불충분하여 바탕층으로부터 프라이머층을 통과하는 습기에 의하여, 방수 도막층의 경계 면에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수분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수증기로 변하여 수증기압을 가지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방수 도막층을 부풀리는 에어 포켓 현상을 발생시킨다.
신축 건물의 경우, 에어 포켓 현상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방수 도막층이 바탕층으로부터 박리되거나 파단되어 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즉 방수 도막층은 에어 포켓 현상에 취약하다.
또한, 콘크리트 바탕층의 균열 원인에는 경화, 건조, 수축, 부적합한 재료 사용, 타설, 양생, 사용 환경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바탕층의 균열 폭이 방수 도막층의 내구 응력을 초과하면, 방수 도막층이 균열된다. 즉 방수 도막층은 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탕층을 방수 처리하여 바탕층의 균열 발생 및 물리적 거동에도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노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노출 방수 공법에 따른 노출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바탕층을 정리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설정된 패턴으로 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패턴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부착 시공하여, 상기 패턴의 측방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직포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를 이격 설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의 단부를 서로 포개어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fthalat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상기 방수시트에 열압착 또는 접착제로 합포될 수 잇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탑코팅층에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2차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코팅층 및 상기 2차 탑코팅층은 우레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패턴, 상기 제2단계의 상기 부직포를 가지며 절연층을 형성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기 제3단계의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제4단계의 탑코팅층은, 노출 방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노출 방수부에 연결되어 조경 방수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조경 방수부에 프라이머층을 전체적으로 시공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부직포를 가지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단부를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에 포개어 상기 프라이머층에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과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 상에 일체로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바탕층과 상기 난간 측벽의 연결 모퉁이와 상기 난간 측벽에 프라이머층을 시공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의 단부, 상기 탑코팅층의 단부 및 상기 난간 측벽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도막층과 탑코팅층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구조체는, 콘크리트 바탕층, 상기 콘크리트 바탕층에 설정된 패턴으로 시공되는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 상기 패턴에 시공되어 상기 패턴의 측방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형성되는 탑코팅층을 포함한다.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는 이격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의 단부는 서로 포개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fthalat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구조체는, 상기 탑코팅층에 규사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형성되는 2차 탑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코팅층 및 상기 2차 탑코팅층은 우레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탕층, 상기 패턴,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탑코팅층은 노출 방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노출 방수부의 상기 바탕층, 상기 패턴,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연결되어 조경 방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전체적으로 시공되고,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부직포를 가지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단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에 포개어져 상기 프라이머층에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과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구조체는, 상기 바탕층과 상기 난간 측벽의 연결 모퉁이와 상기 난간 측벽에 시공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의 단부와 상기 난간 측벽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시공되는 우레탄도막층과 탑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패턴으로 시공하고, 패턴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부착 시공하여, 패턴의 측방의 바탕층과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며, 부직포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하고,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탑코팅층을 시공하므로 바탕층을 방수 처리하고, 또한 바탕층의 균열 발생 및 물리적 거동에도 방수시트 및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으로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방수시트를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로 바탕층에 부분적으로 부착하므로 방수시트와 바탕층 사이에 공기층으로 서로 분리된 절연층이 형성된다. 절연층은 바탕층의 거동 및 균열에 따른 응력이 방수시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바탕층의 거동 및 균열 시에도, 방수시트는 방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공법에서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수시트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탑코팅층 및 미끄럼 방지층을 시공한 상태,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옥상 조경을 실시하는 부분에 일 실시예의 노출 방수 공법을 시공한 상태, 즉 방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지붕 난간 부분에 일 실시예의 노출 방수 공법을 시공한 상태, 즉 방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방수시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공법에서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방수시트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탑코팅층 및 미끄럼 방지층을 시공한 상태,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편의상, 노출 방수 공법을 설명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노출 방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바탕층(1)에 방수 구조를 시공하는 제1단계(ST1), 제2단계(ST2), 제3단계(ST3) 및 제4단계(ST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단계(ST1)는 콘크리트 바탕층(1)을 정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바탕층(1)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설정된 패턴(2)으로 시공한다. 패턴(2)은 방수시트(3)의 단부를 부착할 위치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으로 형성되거나, 절연 테이프(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패턴(2)는 바탕층(1)의 거동에 대응하여,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단계(ST2)는 패턴(2)에 부직포(31)를 가지는 방수시트(3)를 부착 시공하여, 패턴(2)의 측방에서 바탕층(1)과 방수시트(3) 사이에 절연층(21)을 형성한다. 즉 절연층(21)은 바탕층(1)과 방수시트(3) 사이에 공기층으로 설정된다. 편의상,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공기층으로 형성되는 절연층(21)은 바탕층(1)과 방수시트(3) 사이에 분리된 공간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수시트(3)는 단부에 대응하는 패턴(2) 상에 부착된다. 이때, 이웃하는 2장의 방수시트(3)는 단부를 서로 마주하여 간격(C)을 유지하면서 패턴(2) 상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간격(C)은 2~10mm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2장의 방수시트(3)는 절연층(21) 상에서 바탕층(1)의 거동에 독립된 상태로 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 또한 패턴(2) 상에서 패턴(2)을 따라 거동될 수 있다. 방수시트(3)가 방수 기능을 수행하며, 일면에 구비되는 부직포(31)로 이후에 설치되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과의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단계(ST3)는 방수시트(3)의 부직포(31)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을 시공한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부직포(31) 상에 시공되어 방근 및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방수시트(3)와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방근 구조 및 2중의 방수층 구조를 형성한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방수시트(3)의 부직포(31) 상에 시공되어 방수 및 방근 구조를 형성하면서 2장의 방수시트(3) 사이 간격(C)에 채워져 방수시트(3)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방수 및 방근 구조를 더 형성한다. 또한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2장의 방수시트(3)의 마주하는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2장의 방수시트(3) 사이 간격(C)은 보강자재로 마감 처리되어 방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강자재는 실링재, 보강 테이프 또는 부틸고무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단계(ST4)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탑코팅층(5)을 시공한다. 탑코팅층(5)은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수 보호층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제4단계(ST4)는 미끄럼 방지층(51)과 2차 탑코팅층(52)을 시공하는 제41단계(ST41)와 제42단계(ST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1단계(ST41)는 탑코팅층(5)에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51)을 시공한다. 미끄럼 방지층(51)은 보행시 미끄럼을 방지한다. 제42단계(ST42)는 미끄럼 방지층(51)에 2차 탑코팅층(52)을 시공한다. 2차 탑코팅층(52)은 미끄럼 방지층(51)에 대하여 자외선을 차단한다.
이하에서 일 실시예의 노출 방수 공법 및 노출 방수 구조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방수시트(3)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fthalat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시트(3)는 0.1~2.0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방수시트(3)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신축성 및 강도가 떨어지고, 두께가 2.0mm 초과하면 재료 비용이 상승된다.
부직포(31)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31)는 방수시트(3)에 열압착 또는 접착제로 합포될 수 있다. 즉 부직포(31)는 방수시트(3)를 제조하는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방수시트(3)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31)는 0.05~2.0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31)의 두께가 0.05 미만이면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과의 일체성이 저하되고, 두께가 2.0mm 초과하면 방수시트(3)와의 일체성이 저하되거나 재료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즉 부직포(31)는 방수시트(3)의 매끄러운 표면에 액상 형태의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 재가 도포될 때,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 재의 경화 및 수축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표면 응력을 증대시켜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 재의 박리를 방지한다. 부직포(31)는 방수시트(3)와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의 일체화시켜 서로 다른 이질 재료들을 장단점을 보완하여 방수 및 방근 구조를 극대화한다.
방수시트(3)는 패턴(2)을 제외한 부분에서 바탕층(1)와 절연되어 있으므로 바탕층(1)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방수시트(3)와 바탕층(1)의 계면에서의 에어 포켓(air pocket)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시트(3)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기본적인 방수 역할을 수행하며, 방수층의 강도를 제공하면서 주 방수 역할 및 방근 작용을 수행하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이 바탕층(1)의 거동에 대하여 균열되거나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턴(2) 상에서 2장의 방수시트(3)를 맞대어 설치하므로 방수시트(3) 간 단차의 발생을 억제하여 방수시트를 겹칠 때, 발생되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의 두께의 편차가 제거된다. 따라서 방수시트(3)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방수 기능의 균일한 물성이 기대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격된 2장의 방수시트의 연결부 또는 모퉁이부에 우레탄 씰링재, 부틸고무 테이프, 보강 테이프와 같은 보강재를 이용하여 방수시트의 상면과 하면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를 부분 고정하므로 시공 안정성이 향상되고, 응력 변화가 큰 코너부에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방수 구조체에 품질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로 형성되어, 주 방수 및 방근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유리섬유 매트(예를 들면, 부직포 형태)에 연질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 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연질 타입의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일반적인 경질타입의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과 비교할 때, 연질 특성에 의하여 바탕층(1)의 진동이나 균열 발생시에도, 방수시트(3)의 움직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 재는 부직포(31)에 함침되어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방수층에서 물리, 화학적 물성을 보강한다. 즉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방수층에서 인장 강도, 인열 강도, 내식성, 내피로성 및 방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주 방수 기능을 가지면서, 조경 공사시, 식물 뿌리로부터 바탕층(1)을 보호하는 방근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은 1~3mm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의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방근성이 부족할 수 있고, 두께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 재료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탑코팅층(5) 및 2차 탑코팅층(52)은 우레탄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탑코팅층(5)은 탑코팅재를 스프레, 붓 및 로라 등을 이용하여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 상에 도포한다. 예를 들면, 탑코팅층(5) 및 2차 탑코팅층(52)은 단위 면적당 0.2kg/m2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탑코팅재가 경화되기 전에 바로 에어 본 타일 건을 이용하여 규사를 살포하여 부착함으로써 탑코팅층(5)에 미끄럼 방지층(51)을 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1)은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 기능에 탑코팅층(5)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며, 자외선 차단 기능 및 바닥 마감재 역함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사는 단위 면적당 0.2~2.2kg/m2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규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0.2kg/m2 미만인 경우, 미끄럼 방지 기능이 부족할 수 있고, 중량이 2.2kg/m2를 초과하면 미부착되는 규사의 양이 많아져 제거되므로 재료가 낭비될 수 있다.
2차 탑코팅층(52)은 탑코팅층(5) 또는 미끄럼 방지층(51)이 경화된 상태에서, 부착되지 않은 규사를 제거한 후 우레탄재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2차 탑코팅층(52)은 규사로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층(51)을 코팅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51)을 형성하는 규사 탈락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옥상 조경을 실시하는 부분에 일 실시예의 노출 방수 공법을 시공한 상태, 즉 방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바탕층(1)의 일부에 형성되는 노출 방수부(100)와 노출 방수부(100)에 연결되는 조경 방수부(200)를 포함한다.
노출 방수부(100)와 조경 방수부(200)는 동시에 시공될 수 있고, 어느 일측이 시공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을 추가로 시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노출 방수부(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경 방수부(200)는 노출 방수부(100)의 제1단계(ST1), 제2단계(ST2) 및 제3단계(ST3)에 대응하는 제1단계(ST21), 제2단계(ST22) 및 제3단계(ST23)로 형성된다.
제1단계(ST21)는 조경 방수부(200)의 바탕층(1)에 프라이머층(22)을 전체적으로 시공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노출 방수부의 방수시트는 프라이머층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프라이머층(22)에 패턴(2)을 형성하여 방수시트(3)를 부착하고 있다.
제2단계(ST22)는 부직포(61)를 가지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6)의 단부를 방수시트(3)의 부직포(31)에 포개어 프라이머층(22)에 시공한다. 이때, 자착식 부틸고무시트(6)는 부직포(31)를 통하여 넓은 표면적으로 방수시트(3)에 부착된다.
또한 자착식 부틸고무시트(6)의 부직포(61)는 방수시트(3)의 부직포(31)와 같이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3)과 같은 접착력을 제공한다.
제3단계(ST23)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6)의 부직포(61)와 방수시트(3)의 부직포(31) 상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 재를 도포하여, 일체화된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을 형성한다.
조경 방수부(200)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 상에 조경 시설이 설치되므로 보행자를 위한 탑코팅층(5), 미끄럼 방지층(51) 및 2차 탑코팅층(52)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시공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지붕 난간 부분에 일 실시예의 노출 방수 공법을 시공한 상태, 즉 방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바탕층(1)과 난간 측벽(71)에 노출 방수부(300)를 시공하며, 상기 노출 방수부(100)의 제1단계(ST1) 및 제4단계(ST4)에 대응하는 단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계(ST1)에 대응하는 단계는 바탕층(1)과 난간 측벽(71)의 연결 모퉁이와 난간 측벽에 프라이머층(32)를 시공한다. 프라이머층(32)에 방수시트(3)와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이 순차적으로 부착된다.
제4단계(ST4)에 대응하는 단계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3)의 단부, 탑코팅층(5)의 단부와 난간 측벽(71)의 프라이머층(32) 상에 우레탄도막층(741)과 탑코팅층(742)을 시공한다.
따라서 크랙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바탕층(1)과 난간 측벽(71)의 연결부에서, 적층되는 방수시트(3)와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이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방수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 및 탑코팅층(5)은 바탕층(1)에 시공되고, 난간 측벽(71)에서 설정된 높이(h)만큼 연장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높이(h)는 방수시트(3)와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 단부의 부착력을 강화하고, 모퉁이에 고이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방수시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단계(ST22)는 서로 마주하는 방수시트(3, 8)를 이격 설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수시트(3, 8)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31, 81)의 단부를 서로 포개어 시공한다. 이를 위하여, 부직포(31, 81)의 단부는 방수시트(3, 8)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시트(3, 8)는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부직포(31, 81)의 단부들이 서로 포개어진다. 방수시트(3, 8)가 2겹으로 포개어지지 않고 부직포(31, 81) 단부들만 포개어지므로 방수시트(3, 8) 연결부에서 비교적 불균일한 상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3, 8)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패턴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시트(3, 8)는 30~50mm 간격(C)으로 이격된다. 간격(C)이 30mm 미만이면 작업 공차 및 바탕면(1)의 표면 오차로 인하여 방수시트(3, 8)가 포개어질 수 있고, 간격(C)이 50mm 초과이면 방수시트(3, 8) 사이가 과도하게 이격되어 방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개어져 시공된 부직포(31, 81) 상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4)과 탑코팅층(5)을 차례로 시공함으로써, 바탕면(1)에 절연층(21)을 구비한 상태로 방수시트(3, 8)를 연결한 노출 방수 구조체가 완성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바탕층 2: 패턴
3, 8: 방수시트 4: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5, 742: 탑코팅층 6: 자착식 부틸고무시트
21: 절연층 22, 32: 프라이머층
31, 61, 81: 부직포 51: 미끄럼 방지층
52: 2차 탑코팅층 71: 측벽
100, 300: 노출 방수부 200: 조경 방수부
741: 우레탄도막층 C: 간격

Claims (21)

  1. 콘크리트 바탕층을 정리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탕층에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를 설정된 패턴으로 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패턴에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를 부착 시공하여, 상기 패턴의 측방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부직포에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노출 방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를 이격 설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의 단부를 서로 포개어 시공하는 노출 방수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fthalat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방수시트에 열압착 또는 접착제로 합포되는 노출 방수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탑코팅층에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2차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출 방수 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 및 상기 2차 탑코팅층은 우레탄재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공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패턴, 상기 제2단계의 상기 부직포를 가지며 절연층을 형성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기 제3단계의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제4단계의 탑코팅층은,
    노출 방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노출 방수부에 연결되어 조경 방수부를 더 형성하는 노출 방수 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조경 방수부에 프라이머층을 전체적으로 시공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부직포를 가지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단부를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에 포개어 상기 프라이머층에 시공하는 노출 방수 공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을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과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부직포 상에 일체로 시공하는 노출 방수 공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바탕층과 상기 난간 측벽의 연결 모퉁이와 상기 난간 측벽에 프라이머층을 시공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의 단부, 상기 탑코팅층의 단부 및 상기 난간 측벽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도막층과 탑코팅층을 시공하는 노출 방수 공법.
  12. 콘크리트 바탕층,
    상기 콘크리트 바탕층에 설정된 패턴으로 시공되는 프라이머층 또는 절연 테이프;
    상기 패턴에 시공되어 상기 패턴의 측방의 상기 바탕층과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가지는 방수시트;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는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형성되는 탑코팅층
    을 포함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는 이격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방수시트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의 단부는 서로 포개어 시공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fthalat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에 규사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형성되는 2차 탑코팅층
    을 더 포함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층 및 상기 2차 탑코팅층은 우레탄재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층, 상기 패턴,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 및 상기 탑코팅층은,
    노출 방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노출 방수부의 상기 바탕층, 상기 패턴,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에 연결되어 조경 방수부
    를 더 포함하는 노출 방수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전체적으로 시공되고,
    상기 조경 방수부에서 부직포를 가지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단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에 포개어져 상기 프라이머층에 시공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은,
    상기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과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의 직포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노출 방수 구조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층과 상기 난간 측벽의 연결 모퉁이와 상기 난간 측벽에 시공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층의 단부와 상기 난간 측벽의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시공되는 우레탄도막층과 탑코팅층
    을 더 포함하는 노출 방수 구조체.
KR1020130109283A 2013-09-11 2013-09-11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KR10151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83A KR101517516B1 (ko) 2013-09-11 2013-09-11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83A KR101517516B1 (ko) 2013-09-11 2013-09-11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068A true KR20150030068A (ko) 2015-03-19
KR101517516B1 KR101517516B1 (ko) 2015-05-04

Family

ID=5302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283A KR101517516B1 (ko) 2013-09-11 2013-09-11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5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04B1 (ko) * 2016-05-26 2017-02-27 엄은미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2081025B1 (ko) *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46629B1 (ko) * 2019-06-24 2020-08-24 선구시엠(주) 보호재일체형합벽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합벽복합방수시공공법
CN113550449A (zh) * 2021-06-18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洗手间与宿舍门槛位置的防水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289B1 (ko) 2016-05-09 2017-06-23 조현숙 콘크리트 저수조용 음이온 방수시트
KR101866333B1 (ko) 2017-03-10 2018-06-15 주식회사흥신이엔씨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18B1 (ko)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0978890B1 (ko) 2009-11-07 2010-08-30 주식회사 오피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04B1 (ko) * 2016-05-26 2017-02-27 엄은미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2146629B1 (ko) * 2019-06-24 2020-08-24 선구시엠(주) 보호재일체형합벽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합벽복합방수시공공법
KR102081025B1 (ko) *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3550449A (zh) * 2021-06-18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洗手间与宿舍门槛位置的防水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516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16B1 (ko)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US4464215A (en) Process of applying a unitary construction barrier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267014B1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0664501B1 (ko) 방수 시공을 위한 복합조인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방수섬유시트 방수 공법
US20050244626A1 (en) Multilayer polyurea insulated roofing system
KR101423598B1 (ko) 점착식 부틸고무시트와 3중 알루미늄층을 이용한 복합 방수ㆍ방근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9816A (ko)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244437B1 (ko) 고탄성 방수필름과 나노세라믹 도료를 이용한 방수보수공법
KR100400825B1 (ko) 시트를 이용한 도막방수층의 이음부 마감공법 및 그마감구조
KR101902154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101743555B1 (ko) 건물 외벽의 균열 및 철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외벽 방수 시공 방법
KR20070010392A (ko)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JP4936115B2 (ja) 屋根の防水改修工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保護コンクリートの伸縮目地被着用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屋根の防水改修工法並びに防水改修された屋根の防水構造
KR101361174B1 (ko) 방수 또는 단열을 위한 적층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KR102268824B1 (ko) 충격흡수와 방근기능을 구비하는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043839B1 (ko)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방법
KR20100006189U (ko) 자기접착형 다용도 방수테이프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