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154B1 -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154B1
KR101902154B1 KR1020180052309A KR20180052309A KR101902154B1 KR 101902154 B1 KR101902154 B1 KR 101902154B1 KR 1020180052309 A KR1020180052309 A KR 1020180052309A KR 20180052309 A KR20180052309 A KR 20180052309A KR 101902154 B1 KR101902154 B1 KR 10190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
wall
waterproof sheet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현
Original Assignee
진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현 filed Critical 진승현
Priority to KR102018005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13/1407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for flat roofs
    • E04D13/1415Junctions to walls extending above the perimeter of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옥상의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을 방수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단이 상기 벽체(W)에 밀착되게 상기 바닥(B) 표면에 펼쳐지는 바닥방수시트(10); 바닥방수시트(10)의 단부를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바닥방수시트(10)를 관통하여 바닥(B)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20); 코너부분(C)을 방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W)에 밀착되는 상부시트(31), 바닥방수시트(10)에 밀착되는 하부시트(32), 상부시트(31)에 내장된 상부보강패널(34), 하부시트(32)에 내장된 하부보강패널(35), 상부시트(31)의 배면에 형성된 제1부틸접착면(36) 및 상기 하부시트(32)의 배면에 형성된 제2부틸접착면(37)을 포함하는 코너방수시트(30); 상부시트(31)를 관통하여 벽체(W)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0); 상부시트(31)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벽체(W)에 접착되어 마감처리하는 방수마감테이프(50); 및 방수마감테이프(50) 내측에서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와 바닥 사이 코너부분의 방수시공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한 후 옥상에는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시공을 하는데, 이러한 방수시공은 옥상면에 고무 아스팔트계, 염화비닐수지계 등의 합성 고분자계 시트를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써 진행되었다.
그런데 옥상면에 방수시공을 하더라도 건물 내부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데, 통상 누수는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옥상 방수시공과는 별로도 코너 부분에 방수시공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수시공은, 코너에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로 구성된 코너프레임을 밀착시킨 후 각각의 날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이후 접착제를 소정시간동안 경화시킴으로서 진행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방수시공에 있어, 방수시트에 접착제를 바르고 이후 방수시트를 코너프레임 날개에 접착시킨 후 접착제를 소정 시간동안 경화시키는 일련의 과정들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접착을 정교하게 하지 않았을 때, 방수시트의 자중이나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코너프레임 날개로부터 방수시트가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 방수 기능이 상실되었다.
이와 관련된 코너 방수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11-0031701호에 수밀성이 향상된 수직부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벽체와 바닥 사이 코너부분의 방수시공을 완벽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방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는, 건물 옥상의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을 방수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단이 상기 벽체(W)에 밀착되게 상기 바닥(B) 표면에 펼쳐지는 바닥방수시트(10); 상기 바닥방수시트(10)의 단부를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방수시트(10)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B)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20); 상기 코너부분(C)을 방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밀착되는 상부시트(31), 상기 바닥방수시트(10)에 밀착되는 하부시트(32), 상기 상부시트(31)에 내장된 상부보강패널(34), 상기 하부시트(32)에 내장된 하부보강패널(35), 상기 상부시트(31)의 배면에 형성된 제1부틸접착면(36) 및 상기 하부시트(32)의 배면에 형성된 제2부틸접착면(37)을 포함하는 코너방수시트(30); 상기 상부시트(31)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W)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0); 상기 상부시트(31)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벽체(W)에 접착되어 마감처리하는 방수마감테이프(50); 및 상기 방수마감테이프(50) 내측에서 상기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 사이에 형성된 절곡홈(33)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상부시트(3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마감단(60)이 형성되는 상부시트마감홈(38)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하부시트(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헤드가 위치되는 하부시트홈부(39)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부틸접착면(36)(37)은, 상기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고무 조성물과,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자기점착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충진제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방수시트(30)를 바닥방수시트(10)와 벽체(W)에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하면서도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반영구적인 방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바닥방수시트(10)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방수시공 과정에서 바닥방수시트(10)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방수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단(60) 및 방수마감테이프(50)를 채용함으로써, 외부의 물이 상부시트(31)와 벽체(W)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2중 3 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진동이나 외압 및 수축이나 팽창에 따라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에서 균열이 일어나더라도 완벽한 방수능력을 지속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코너방수시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코너방수시트가 편편하게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너방수시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코너방수시트가 편편하게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는, 건물 옥상의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을 방수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단이 벽체(W)에 밀착되게 바닥(B) 표면에 펼쳐지는 바닥방수시트(10)와; 바닥방수시트(10)의 단부를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바닥방수시트(10)를 관통하여 바닥(B)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20)와; 코너부분(C)을 방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W)에 밀착되는 상부시트(31) 및 바닥방수시트(10)에 밀착되는 하부시트(32)를 포함하는 코너방수시트(30)와; 상부시트(31)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W)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0)와; 상부시트(31)를 덮은 상태에서 벽체(W)에 접착되어 마감처리하는 방수마감테이프(50)와; 방수마감테이프(50) 내측에서 상기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단(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방수시트(10)는, 옥상 바닥(B)에 펼쳐지는 것으로서, 합성고무계나 플라스틱계의 시트로 구현되거나, 시트에 우레아가 적층된 형태로 되거나, PVC(폴리염화비닐)에 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0)는, 못 형태, 예를 들면 칼블록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철물을 사용하며, 벽체(W)에 근접한 위치에서 바닥방수시트(10)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바닥(B)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추후 진행될 일련의 시공 과정에서, 움직이는 작업자에 의하여 바닥방수시트(10)가 밀리거나, 바람에 날려 초기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2고정부재(20)의 개수는 고정하고자 하는 바닥방수시트(1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20~100cm 간격, 바람직하게는 40cm 간격으로 고정된다.
코너방수시트(30)는, 벽체(W)와 바닥방수시트(10) 사이의 코너(C)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벽체(W)에 밀착되는 상부시트(31) 및 바닥방수시트(10)에 밀착되는 하부시트(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너방수시트(30)는,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 사이에 형성된 절곡홈(33)과, 상부시트(31)에 내장된 상부보강패널(34)과, 하부시트(32)에 내장된 하부보강패널(35)과, 상부시트(31)의 배면에 형성된 제1부틸접착면(36)과, 하부시트(32)의 배면에 형성된 제2부틸접착면(37)과, 상부시트(3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마감단(60)이 형성되는 상부시트마감홈(38)과, 하부시트(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고정부재(20)의 헤드가 위치되는 하부시트홈부(39)를 더 포함한다.
하부시트(32)는 바닥방수시트(10)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단부로 갈수로 뾰족해지는 경사단(32a)이 형성된다. 경사단(32a)은 바닥방수시트(10)와 하부시트(32)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옥상에서 사람이 이동하는 도중에 발에 치여 하부시트(32)가 바닥방수시트(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옥상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이 하부시트(32) 바닥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절곡홈(33)은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 사이에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몰입된 형태를 가진다. 절곡홈(33)은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가 직각 방향으로 정확히 절곡되게 하며, 이에 따라 코너방수시트(30)가 코너부분(C)에 깊숙이 밀착되게 하여 코너부분(C)에서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된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의 폭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깔끔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부보강패널(34)은 상부시트(31)에 내장되고, 하부보강패널(35)은 하부시트(32)에 내장된 것으로서, 상부시트(31) 및 하부시트(32)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부여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보강패널(34) 및 하부보강패널(35)에 의하여, 옥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옥상 모서리 부분으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옥상에 설치되는 물건의 이동에 의하여 옥상 모서리 부분으로 인가되는 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부 및 하부시트(31)(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부틸접착면(36)(37)은 상부 및 하부시트(31)(32)를 바닥방수시트(10) 및 벽체(W)에 용이하게 부착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코너방수시트(30)를 바닥방수시트(10) 및 벽체(W)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부틸접착면(36)은 상부시트(31)를 벽체(W)에 접착 고정시키고, 제2부틸접착면(37)은 하부시트(32)를 바닥방수시트(10)에 접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2부틸접착면(36)(37)은, 더 나아가 비나 눈에 의하여 발생된 물이나 습기가 벽체(W)와 상부시트(31) 사이로, 그리고 바닥방수시트(10)와 하부시트(32)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2부틸접착면(36)(37)은, 옥상으로 직접 조사되는 태양열에 의하여 옥상이 가열되더라도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2부틸접착면(36)(37)은 자기점착성을 가지는 부틸고무 조성물과,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자기점착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충진제 조성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틸고무 조성물은, 황(S)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비가황계 부틸고무(Isopr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및 쿠마론레진(Curmarone Resin)을 포함한다.
비가황계 부틸고무는 황(S)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비가황계 합성고무로서, 상온에서 신축성, 점착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굳었을 때에도 점착성을 유지한다. 폴리부틸렌은 액상의 형태로서 부틸고무와 혼합되어 점착성을 부여하고, 쿠마론레진은 액상의 점착부여재인 폴리부틸렌을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 내열성 및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내열성 및 점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고상 점착부여제이다.
상기한 부틸고무 조성물에 있어, 폴리부틸렌은 비가황계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고, 쿠마론레진은 비가황게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진다.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이 상기한 조성비보다 작을 경우, 후술할 충진제 조성물과 혼합반죽이 잘 되지 않고 자기점착성 성질이 구현되지 않는다.
충진제 조성물은, 제1,2부틸접착면(36)(37)이 옥상 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더라도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및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이 동일량의 조성비를 포함한다.
이산화규소 및 탄산칼슘은, 제1,2부틸접착면(36)(37)에 내열성, 내열충격, 내약품성 및 내구성을 강화시키면서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충진제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를 가진다.
상기 충진제 조성물이 상기한 조성비보다 작을 경우, 구현되는 제1,2부틸접착면(36)(37)의 내열성이 약하게 되어 옥상이 가열될 때 접착성을 읽게 되고, 반대로 상기 조성비보다 클 경우 부틸고무 조성물과 반죽 형태로 잘 혼합되지 않아 상부시트(31) 및 하부시트(32)에 시트 형태로 접착되지 않는다.
상부시트마감홈(38)은, 상부시트(31)의 상단에서 벽체(W) 측으로 몰입된 공간으로서,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를 마감하는 마감단(60)이 형성된다.
하부시트홈부(39)는, 코너방수시트(30)를 옥상 코너에 밀착시킬 때, 바닥방수시트(10)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20)의 헤드 부분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하부시트(32)는 바닥방수시트(10)에서 들뜨지 않게 접착되어 견고한 접착이 가능해진다.
제2고정부재(40)는 제1고정부재(20)와 유사하게 못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부시트(31)를 관통하여 벽체(W)에 고정됨으로서 상부시트(31)를 벽체(W)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한다. 이때 제2고정부재(40)의 개수는 임시 고정하고자 하는 상부시트(3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50~100cm 간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40)는 상부시트(31)를 관통함에 따라 상부시트(31)의 무게를 지지하므로, 시간이 지나더라도 상부시트(31)가 그 자중에 의하여 벽체(W)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추후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부시트(31)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초기 배치 위치가 흐트러질 가능성을 배재할 수 있다.
방수마감테이프(50)는, 마감단(60)을 덮은 상태에서 상부시트(31)와 벽체(W)에 접착됨으로써 상부시트(31)의 단부가 벽체(W)에서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물이 상부시트(31)와 벽체(W)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수마감테이프(50)는 상부시트(31)와 벽체(W)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접착된다.
한편 방수마감테이프(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 등으로 된 테이프모재의 배면에 부틸접착면이 형성되어 구현된 부틸방수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부틸접착면은 전술한 제1,2부틸접착면(36)(37)과 동일 구성이다.
마감단(60)은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 사이의 상부시트마감홈(38)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실리콘주입건(G), 예를 들면 실린콘고무가 충진된 캔을 통하여 액형의 실리콘고무를 상부시트마감홈(38)으로 주입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상부시트(31)의 상단으로 과도하게 돌출된 실리콘고무는 주걱(나이프)으로 제거하여 깔끔하게 마감한다. 이러한 마감단(60)은 벽체(W)를 통하여 물이 상부시트(31)와 벽체(W)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다시 한 번 방지한다.
다음, 상기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설명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을 방수시공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방수시트(10)를 그 단부가 벽체(W)에 밀착되도록 바닥(B) 표면에 펼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다음, 바닥방수시트(10)의 단부를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제1고정부재(20)를 벽체(W) 측에 근접된 위치에서 바닥방수시트(10)를 관통시켜 바닥(B)에 고정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옥상 방수시공은 하루 또는 수일간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하든, 또는 바람에 의하든 바닥방수시트(10)의 초기 위치가 변동될 경우, 넓은 옥상에서 바닥방수시트(10)를 걷어내어 재시공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고정부재(20)는 어떠한 경우에도 바닥방수시트(1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임시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로 포함하는 코너방수시트(30)를 코너부분(C)의 벽체 및 바닥에 접착시키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이때 단계(S3)에 있어서, 하부시트(32)는 제1고정부재(20)를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바닥방수시트(10)에 포갠다.
다음, 제2고정부재(40)로 상부시트(31)를 관통시켜 벽체(W)에 고정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40)의 상부측의 상부시트마감홈(38)에 실리콘주입건(G), 예를 들면 실린콘고무가 충진된 캔을 통하여 액형의 실리콘고무를 상부시트마감홈(38)으로 주입함으로써 마감단(60)을 형성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31)의 단부가 들뜨지 않도록, 상부시트(31)와 벽체(W)를 방수마감테이프(50)로 부착하여 마감처리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상기한 일련의 단계(S1)~(S6)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수구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방수시트(30)를 바닥방수시트(10)와 벽체(W)에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하면서도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반영구적인 방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바닥방수시트(10)를 임시고 정함으로써, 방수시공 과정에서 바닥방수시트(10)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방수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감단(60) 및 방수마감테이프(50)를 채용함으로써, 외부의 물이 상부시트(31)와 벽체(W)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2중 3 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진동이나 외압 및 수축이나 팽창에 따라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에서 균열이 일어나더라도 완벽한 방수능력을 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바닥방수시트 20 ... 제1고정부재
30 ... 코너방수시트 31 ... 상부시트
32 ... 하부시트 33 ... 절곡홈
34 ... 상부보강패널 35 ... 하부보강패널
36 ... 제1부틸접착면 37 ... 제2부틸접착면
38 ... 상부시트마감홈 39 ... 하부시트홈부
40 ... 제2고정부재 50 ... 방수마감테이프
60 ... 마감단 W ... 벽체
B ... 바닥 C ... 코너부분

Claims (5)

  1. 건물 옥상의 벽체(W)와 바닥(B) 사이의 코너부분(C)을 방수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단이 상기 벽체(W)에 밀착되게 상기 바닥(B) 표면에 펼쳐지는 바닥방수시트(10);
    상기 바닥방수시트(10)의 단부를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방수시트(10)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B)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20);
    상기 코너부분(C)을 방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밀착되는 상부시트(31), 상기 바닥방수시트(10)에 밀착되는 하부시트(32), 상기 상부시트(31)에 내장된 상부보강패널(34), 상기 하부시트(32)에 내장된 하부보강패널(35), 상기 상부시트(31)의 배면에 형성된 제1부틸접착면(36) 및 상기 하부시트(32)의 배면에 형성된 제2부틸접착면(37)을 포함하는 코너방수시트(30);
    상기 상부시트(31)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W)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0);
    상기 상부시트(31)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벽체(W)에 접착되어 마감처리하는 방수마감테이프(50); 및
    상기 방수마감테이프(50) 내측에서 상기 상부시트(31)의 상단과 벽체(W)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상부시트(31)와 하부시트(32) 사이에 형성된 절곡홈(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상부시트(3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마감단(60)이 형성되는 상부시트마감홈(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방수시트(30)는,
    상기 하부시트(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헤드가 위치되는 하부시트홈부(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틸접착면(36)(37)은,
    상기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고무 조성물과,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자기점착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충진제 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KR1020180052309A 2018-05-08 2018-05-08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KR10190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09A KR101902154B1 (ko) 2018-05-08 2018-05-08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09A KR101902154B1 (ko) 2018-05-08 2018-05-08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54B1 true KR101902154B1 (ko) 2018-09-27

Family

ID=6371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309A KR101902154B1 (ko) 2018-05-08 2018-05-08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22996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지엠테크 코너 마감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50A (ja) 2001-10-19 2003-05-08 Chuo Co Ltd 出隅部材
JP3413347B2 (ja) 1997-06-11 2003-06-03 筒中シート防水株式会社 入隅部のシート防水構造
JP2007063750A (ja) 2005-08-29 2007-03-15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水シートの固定構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固定板および固定具。
KR101048014B1 (ko) 2008-09-10 2011-07-13 연일화섬공업(주) 방수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방수방법
KR101471468B1 (ko)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101557685B1 (ko) 2015-08-17 2015-10-06 강충모 개질아스팔트시트와 액상형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347B2 (ja) 1997-06-11 2003-06-03 筒中シート防水株式会社 入隅部のシート防水構造
JP2003129650A (ja) 2001-10-19 2003-05-08 Chuo Co Ltd 出隅部材
JP2007063750A (ja) 2005-08-29 2007-03-15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水シートの固定構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固定板および固定具。
KR101048014B1 (ko) 2008-09-10 2011-07-13 연일화섬공업(주) 방수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방수방법
KR101471468B1 (ko)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101557685B1 (ko) 2015-08-17 2015-10-06 강충모 개질아스팔트시트와 액상형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22996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지엠테크 코너 마감재
KR102420128B1 (ko) * 2020-08-20 2022-07-12 주식회사 지엠테크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631B2 (en) Sealing tape
KR101267014B1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510645A (ja) 溝付き縁型建築パネルと製造方法
JP2008523284A (ja) フランジのない窓に用いる粘着性フランジ
EP2871053A1 (en) Reinforced water-resistant board
US20140190099A1 (en) Sill pan membrane
KR101902154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US6479119B1 (en) Self-adhesive laminate for sealing window frames and method of sealing window frames
US3215243A (en) Method of repairing roofing material
KR20110109816A (ko)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858908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코너방수구조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JPH06279754A (ja) 防滑性を有する屋根下地材の目地部防水テープ
JPH11310999A (ja) 建造物屋上の防水改修方法
JPH0978775A (ja) 建築物の塗膜防水施工用下地被覆材および該下地被覆材を使用した建築物の複合防水施工法
KR20100006189U (ko) 자기접착형 다용도 방수테이프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 공법
JP2007070877A (ja) 建造物の隅角部における防水シートの施工方法
JP2829461B2 (ja) 防水シート張設陸屋根等における異形突出部の防水施工法
CA2598886C (en)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JP4031410B2 (ja) 塗膜防水工法
Nelson et al. EIFS—Surface-Sealed Wall Systems That Need Flashings
JPH0637149Y2 (ja) 陸屋根等における防水装置
KR20050029912A (ko) 방수시공방법
JPH036732Y2 (ko)
Walls DIVISION 7 THERMAL AND MOISTURE PROTECTION 07210 BUILDING IN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