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128B1 -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 Google Patents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128B1
KR102420128B1 KR1020200104360A KR20200104360A KR102420128B1 KR 102420128 B1 KR102420128 B1 KR 102420128B1 KR 1020200104360 A KR1020200104360 A KR 1020200104360A KR 20200104360 A KR20200104360 A KR 20200104360A KR 102420128 B1 KR102420128 B1 KR 10242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groove
wallpaper
corner
finishing mater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996A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발 탄성을 억제함으로써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접착 성능도 우수하여 도배가 깔끔하게 될 수 있도록 해주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쪽으로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 접이홈이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 접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접이홈과 전면 접이홈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벽면 모서리에 부착되는 후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되, 벽지에 부착되는 전면은 상기 전면 접이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측 전면부와, 우측 전면부는 각각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Corner finishing materials for wallpaper}
본 발명은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로 말아서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반발 탄성을 억제함으로써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접착 성능도 우수한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건물에 대한 시멘트의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건물 기둥의 모서리 부분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건물의 내부 벽면의 굴곡된 모서리 부분은 시멘트의 수축 또는 팽창 작용에 의해 모서리 부분 또는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크랙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바,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한 마감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랙 등의 균열이 발생된 부분에 벽지를 바르는 경우에도, 벽지의 일부분이 균열 부분의 내부로 함몰되어 마감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649호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굴곡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굴곡홈을 중심으로 일측의 제1 부분과 타측의 제2부분이 굴곡되어 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접촉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표면에 코팅되며 표면에는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벽지가 접착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코너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경우 본 발명자가 개발한 것으로서, 일면에만 굴곡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었을 때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펴지려는 반발 탄성이 생겨 접착했을 때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실제 시공 과정에서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64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로 말아서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반발 탄성을 억제함으로써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접착 성능도 우수한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는 벽지 도배 전 벽면 모서리를 마감하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롤 형태로 말린 구조로 이루어지되, 벽면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쪽으로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 접이홈이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 접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접이홈과 전면 접이홈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벽면 모서리에 부착되는 후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벽지가 부착되는 전면은 상기 전면 접이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측 전면부와, 우측 전면부는 각각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최대 두께는 0.5 내지 1.0mm이며, 상기 후면 접이홈의 폭은 1.0 내지 2mm이고, 상기 후면 접이홈은 테이퍼진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잇는 바닥면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 접이홈의 깊이는 상기 전면 접이홈의 깊이보다 더 깊고, 상기 전면 접이홈의 폭은 상기 후면 접이홈의 바닥면 폭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좌측 전면부의 좌측 단부와, 우측 전면부의 우측 단부는 각각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착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따르면, 롤 형태로 말아서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반발 탄성을 억제함으로써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접착 성능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를 롤 형태로 감아놓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너 마감재를 접었을 때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벽면 모서리 부위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 마감재 후면에 접착 유도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코너 마감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를 롤 형태로 감아놓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코너 마감재를 접었을 때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벽면 모서리 부위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 마감재 후면에 접착 유도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10)는 벽면 모서리(A)에 부착하여 벽지 시공시 모서리 코너 부분의 도배가 깔끔하게 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평면 구조에서 전면에서 후면쪽으로 접혀 'ㄱ'자 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너 마감재(10)의 후면(11)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 접이홈(12)이 형성되고, 전면(15)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 접이홈(16)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접이홈(12)과 전면 접이홈(16)이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면(11)은 벽면 모서리(A)에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벽지가 부착되는 전면(15)은 상기 전면 접이홈(16)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측 전면부(15a)와, 우측 전면부(15b)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전면부(15a)의 좌측 단부(18a)와, 우측 전면부(15b)의 우측 단부(18b)는 각각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이 끝이 뾰족한 구조는 벽지를 부착하였을 때 단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각 전면부는 전체적으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전면(15)을 후면과 대비할 때 볼록한 구조로 구성하는 이유는 코너 마감재(10)를 직각으로 접었을 때 휘어지지 않고 형태를 곧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전면이 후면과 같이 평평하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벽면 코너에 부착하였을 때 쉽게 휘어지거나 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전면의 볼록(17) 구조는 휨을 방지하는 심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휨 또는 우는 현상들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후면 접이홈(12)은 테이퍼진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경사면(12a)과, 상기 경사면(12a)을 잇는 바닥면(12b)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접혔을 때 후면 접이홈의 양단이 접하지 않고 쉽게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면 접이홈(12)의 깊이는 전면 접이홈(16)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접이홈(16)의 폭보다 더 넓은 구조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후면 접이홈(12)과 마주보는 중앙 영역에는 전면 접이홈(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코너 마감재(10)의 최대 두께가 0.5~1.0mm인 경우 후면 접이홈(12)의 폭은 1.0mm 내지 2mm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접이홈의 폭이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잘 접히지 않게 되고 접었을 때 다시 펴지려는 반발 탄성이 크게 작용하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발 탄성을 억제하는 효과의 증가가 없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 접이홈(16)이 없는 경우에는 잘 구부려지지 않게 되고, 접었을 때 다시 펴지는 반발 탄성이 커지게 된다. 그에 반해 전면 접이홈(1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쉽게 접히고, 반발 탄성을 억제하여 벽면 모서리(A)에 부착하기 전에도 직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후면 접이홈의 구조 및 전면 접이홈과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코너 마감재가 쉽게 접히고 직각으로 접었을 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유지성으로 인해 벽면 모서리에 접착시켰을 때 반발 탄성으로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모서리에 밀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만일, 전면 접이홈이 형성되지 않아 전면 접이홈과 후면 접이홈 사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면, 구부리고 펴는 동작이 반복될 때 얇은 것에 비해 오히려 쉽게 절단되기 때문에 전면 접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착유도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유도홈(13)은 접착제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부착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고, 접착제로 부착 직후에도 울거나 들뜨지 않고 모서리에 밀접하게 접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코너 마감재
11 : 후면
12 : 후면 접이홈
12a : 경사면
12b : 바닥면
13 : 접착유도홈
15 : 전면
15a : 좌측 전면부
15b : 우측 전면부
16 : 전면 접이홈
17 : 볼록
18a : 좌측 단부
18b : 우측 단부
A : 벽면 모서리

Claims (5)

  1. 벽지 도배 전 벽면 모서리를 마감하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롤 형태로 말린 구조로 이루어지되, 벽면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쪽으로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 접이홈이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 접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 접이홈과 전면 접이홈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벽면 모서리에 부착되는 후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벽지가 부착되는 전면은 상기 전면 접이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측 전면부와, 우측 전면부는 각각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최대 두께는 0.5 내지 1.0mm이며,
    상기 후면 접이홈의 폭은 1.0 내지 2mm이고,
    상기 후면 접이홈은 테이퍼진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잇는 바닥면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 접이홈의 깊이는 상기 전면 접이홈의 깊이보다 더 깊고, 상기 전면 접이홈의 폭은 상기 후면 접이홈의 바닥면 폭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면부의 좌측 단부와, 우측 전면부의 우측 단부는 각각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착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KR1020200104360A 2020-08-20 2020-08-20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KR10242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60A KR102420128B1 (ko) 2020-08-20 2020-08-20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60A KR102420128B1 (ko) 2020-08-20 2020-08-20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96A KR20220022996A (ko) 2022-03-02
KR102420128B1 true KR102420128B1 (ko) 2022-07-12

Family

ID=8081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60A KR102420128B1 (ko) 2020-08-20 2020-08-20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1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07B2 (ja) * 1990-11-28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閉鎖配電盤
KR200273542Y1 (ko) * 2002-01-25 2002-04-25 김아름 벽지 몰딩재
JP2004084260A (ja) * 2002-08-27 2004-03-18 Noda Corp 縁材
JP2010024714A (ja) * 2008-07-18 2010-02-04 Daicel Novafoam Ltd 発泡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2154B1 (ko) * 2018-05-08 2018-09-27 진승현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07U (ja) * 2000-05-07 2000-11-14 治久 今井 改良化粧コーナー保護材
KR20180003649U (ko) 2017-06-16 2018-12-27 이경민 코너 마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07B2 (ja) * 1990-11-28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閉鎖配電盤
KR200273542Y1 (ko) * 2002-01-25 2002-04-25 김아름 벽지 몰딩재
JP2004084260A (ja) * 2002-08-27 2004-03-18 Noda Corp 縁材
JP2010024714A (ja) * 2008-07-18 2010-02-04 Daicel Novafoam Ltd 発泡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2154B1 (ko) * 2018-05-08 2018-09-27 진승현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코너 방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96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0087A (en) Stock material for use as edging strip
US3485001A (en) Edging strip for a dry wall structure
US20030033766A1 (en) Drywall finishing system
US20100218444A1 (en) Expandable Drywall Corner Piece
US1988739A (en) Corner bead
KR102420128B1 (ko) 벽지 도배용 코너 마감재
CN207974421U (zh) 限位嵌缝条及包括其的平面预留工艺缝的连接结构
CN112064807A (zh) 一种室内阴角防水结构及施工工艺
US3350825A (en) Wallboard corner construction and method
CN213573579U (zh) 一种ab门套
KR100727891B1 (ko)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US4217673A (en) Broad knife for drywall corners
KR200394073Y1 (ko)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CN210134620U (zh) 建筑墙角护角条
KR20180003649U (ko) 코너 마감재
KR200191602Y1 (ko) 합성수지판이 내장된 방범유리
WO2015012683A1 (en) Wood plastering trowel with metal handle
CN215670729U (zh) 一种木制护墙结构
KR200231644Y1 (ko) 금속타일
JP6908290B2 (ja) コーナーパネル
CN219060453U (zh) 一种轻钢结构装配式的墙板
CN216766840U (zh) 弧面角抹
CN211949305U (zh) 一种带有加强部的外墙施工用海棠角
EP0862674B1 (en) Apparatus used for finishing drywall seams
CN210421736U (zh) 一种波浪状造型的木饰面板块拼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