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944A - 전구 소켓 - Google Patents

전구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944A
KR20150028944A KR20140032990A KR20140032990A KR20150028944A KR 20150028944 A KR20150028944 A KR 20150028944A KR 20140032990 A KR20140032990 A KR 20140032990A KR 20140032990 A KR20140032990 A KR 20140032990A KR 20150028944 A KR20150028944 A KR 2015002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all
bulb
socke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787B1 (ko
Inventor
윤병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944A/ko
Priority to US15/126,200 priority Critical patent/US9905971B2/en
Priority to PCT/US2015/021182 priority patent/WO2015143002A1/en
Priority to CN201580026604.6A priority patent/CN10646390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2Two-pole devices for screw type base, e.g. for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2Three-pol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7Holders with separate means to prevent loosening of the coupling or unauthorised removal of apparatus h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4Electrical connectors for flashbulb or camera, including flash cube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에 형성된 키의 형상에 대응되게 소켓 하우징에 리브를 배열하여 해당 전구 외에 다른 전구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 전구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전구 소켓은, 전구의 베이스를 소켓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할 때 베이스에 형성된 키가 수용공간에 배열된 리브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키의 형태와 대응되게 리브가 배열 형성되어, 키의 형태와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는 경우 키가 리브에 걸려 베이스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구 소켓{LAMP SOCKET}
본 발명은 전구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에 형성된 키의 형상에 대응되게 소켓 하우징에 리브를 배열하여 해당 전구 외에 다른 전구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 전구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 소켓은 전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전구를 소켓에 장치하는 방법에 따라 나사모양으로 틀어서 넣는 에디슨형과 꽂아 넣는 스완형이 있다.
여기서, 에디슨형 전구 소켓은 일반 가정의 옥내배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이에 비해 스완형 전구 소켓은 자동차나 각종 전기 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완형 전구 소켓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정밀하기 때문에 그 제작시 많은 주의가 요구되며, 제작비용 또한 에디슨형 전구 소켓에 비해 많이 소요된다.
종래의 스완형 전구 소켓의 일 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2868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전구 소켓”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의 전구 소켓은 상부의 수용공간에 전구가 삽입 고정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하되, 소켓 하우징이 하나의 몰드로 성형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전구 소켓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켓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특정한 전구만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전구도 삽입될 수 있고, 전구의 삽입형태가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28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정한 전구만이 삽입 장착되며, 전구의 삽입방향이 반대로 되는 경우 삽입이 제한되는 전구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전구 소켓은, 전구의 베이스를 소켓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할 때 베이스에 형성된 키가 수용공간에 배열된 리브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키의 형태와 대응되게 리브가 배열 형성되어, 키의 형태와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는 경우 키가 리브에 걸려 베이스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리브의 배열에 의해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된다.
수용공간 내 양쪽에는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며 베이스를 밀착고정시키는 램프 홀더가 각각 고정된다.
키는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그에 맞게 수용공간의 내벽에 키홈이 형성되도록 리브가 배열된다.
수용공간의 양쪽 내벽에는 램프 홀더가 삽입되는 홀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램프 홀더에는 전구의 베이스가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수용공간의 내벽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벽을 지지하는 내벽 지지부가 구비된다.
램프 홀더는, 홀더 고정홈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베이스를 탄력 지지하는 베이스 홀더부; 및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베이스 홀더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 위치되는 내벽 지지부;를 포함한다.
내벽 지지부의 일면에는 내벽 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가 돌출 형성된다.
보강비드는 내벽 지지부의 양면 중 소켓 하우징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보강비드가 삽입되는 비드 삽입홈이 홀더 고정홈과 연결 형성된다.
수용공간에는 접촉단자가 구비되며, 접촉단자의 바깥쪽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걸려 분리가 방지되는 걸림편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된다.
접촉단자에는 와이어씰이 압착 고정되며, 와이어씰의 외측면에는 소켓 하우징에 밀착되면서 와이어씰을 고정해주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소켓 하우징의 외측에는 가스켓이 끼워지고, 가스켓은 러그에 의해 커버링되며, 러그의 외측면 중 소켓 하우징에 장착되는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장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착확인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 전구 소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키의 형태와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을 경우 키가 리브에 걸려 베이스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전구 소켓에는 특정 모델의 전구만 삽입될 수 있고 다른 모델의 전구는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에서 제품의 독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램프 홀더에 수용공간의 내벽을 지지하는 내벽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모델의 전구가 삽입될 때 수용공간의 내벽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다른 모델의 전구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장착러그의 상면에는 소켓부 관통홀 주변에 장착확인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자동차 등에 전구 소켓을 장착할 때 장착부위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딸깍’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전구 소켓이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접촉단자의 바깥쪽에는 수용공간 내 마주보는 양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걸려 수용공간으로부터 접촉단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됨으로써, 접촉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섯 째, 와이어 씰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접촉단자와 압착결합이 용이하고, 조립시 방향성이 없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외측면에 씰 고정부의 내부에 밀착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고정돌기가 복수 개 이격 형성됨으로써, 와이어 씰이 씰 고정부 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구 소켓에 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전구 소켓으로부터 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구 소켓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전구 소켓의 평면도.
도 5는 전구 소켓의 저면도.
도 6은 장착러그로 가스켓을 감싼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램프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소켓 하우징에 램프 홀더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램프 홀더 및 싱글 접촉단자가 소켓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더블 접촉단자가 소켓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전구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키와 그에 따라 수용공간 내 리브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베이스에 형성되는 키와 수용공간에 배열되는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아 베이스가 올바르게 삽입되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구 소켓에 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전구 소켓으로부터 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 소켓(1)은 자동차의 전조등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구 소켓(1)은 하나의 몰드로 성형된 단일체의 소켓 하우징(100)에 전구(2)를 탈거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소켓 하우징(100)의 상부에 전구(2)의 베이스(21)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전구(2)의 베이스(21)는 사각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수용공간(110)에 삽입된 후 회전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끼워 미는 동작에 의해 고정되고, 잡아당김에 의해 분리되는 방식을 취한다.
전구(2)의 베이스(21)에는 전구(2)를 소켓 하우징(100)에 올바르게 삽입하기 위한 키(22)가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22)는 전구(2)의 모델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소켓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는 전구 베이스(21)의 키(22)에 대응되는 후술할 키홈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구 소켓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전구 소켓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전구 소켓의 저면도이며, 도 6은 장착러그로 가스켓을 감싼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구 소켓(1)은 소켓 하우징(100), 램프 홀더(200), 더블 접촉단자(300), 한 쌍의 싱글 접촉단자(400), 와이어 씰(500)(510), 가스켓(600) 및 장착러그(700)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내측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전구(2)의 베이스(21)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켓부(120)가 형성되고, 소켓 하우징(100)의 중심부에는 원판형의 플랜지부(130)가 형성되며, 플랜지부(130)의 아래쪽에는 와이어 씰(500)(510)이 삽입 고정되는 씰 고정부(140)(150)가 형성된다.
램프 홀더(200)는 소켓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내 마주보는 양쪽 내벽에 조립 설치되고 베이스(2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전구(2)의 베이스(21)가 수용공간(110)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램프 홀더(200)는 전구(2)의 베이스(21) 양면에 밀착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진다.
더블 접촉단자(300)는 상부에 두 개의 접촉단자(310)를 구비하고 하부에 와이어 씰(500)이 연결되는 씰 연결부(320)가 형성된다. 씰 연결부(320)는 반원형으로 라운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 씰(500)의 상부가 삽입된 후 압착됨으로써 와이어 씰(500)과 견고히 연결된다.
싱글 접촉단자(400)는 상부에 한 개의 접촉단자(4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와이어 씰(510)이 연결되는 씰 연결부(420)가 형성된다. 씰 연결부(420)는 반원형으로 라운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 씰(510)의 상부가 삽입된 후 압착됨으로써 와이어 씰(510)과 견고히 연결된다.
와이어 씰(500)(510)은 더블 접촉단자(300) 및 싱글 접촉단자(400)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더블 접촉단자(300) 및 싱글 접촉단자(400)의 하부와 연결된다. 와이어 씰(500)(510)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접촉단자(310)(410)와 압착결합이 용이하고, 조립시 방향성이 없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가스켓(600)은 소켓 하우징(100)의 소켓부(120) 외측에 끼워져 본 발명에 따른 전구 소켓(1)을 자동차 등에 장착할 때 장착부위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가스켓(600)은 오일 실리콘으로 제작됨으로써,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다.
장착러그(700)는 소켓부(120)에 끼워져 가스켓(600)을 커버링한다. 장착러그(700)의 상면 중심에는 소켓부(120)가 관통되는 소켓부 관통홀(710)이 형성된다. 장착러그(700)의 상면에는 소켓부 관통홀(710) 주변에 자동차 등에 전구 소켓을 장착할 때 장착부위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딸깍’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확인돌기(720)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은 램프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소켓 하우징에 램프 홀더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소켓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내 마주보는 양쪽 내벽에는 램프 홀더(200)가 위에서 아래로 삽입 고정되는 홀더 고정홈(111)이 각각 형성된다. 홀더 고정홈(111)의 양쪽 뒷부분에는 후술할 보강비드(231)가 삽입되는 비드 삽입홈(112)이 연결 형성된다.
소켓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양쪽 내벽에는 삽입하고자 하는 전구의 베이스(21)에 형성된 키(22)와 대응되는 형태로 리브(113)가 배열되며, 리브(113)의 배열에 의해 수용공간(110)의 내벽에는 키(22)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된다. 리브(113)의 배열 형태에 의해 수용공간(110)에는 키(22)의 형태가 동일한 특정 모델의 전구만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만일, 키(22)의 형태가 다른 모델이 삽입될 경우 키(22)가 리브(113)에 걸리기 때문에 베이스(21)의 삽입이 제한된다.
램프 홀더(200)는 홀더 고정홈(111)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전구(2)의 베이스(2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전구(2)의 베이스(21)를 수용공간(11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준다. 이러한 램프 홀더(200)는, 홀더 고정홈(111)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210), 전구(2)의 베이스(21)를 탄력 지지하는 베이스 홀더부(220), 및 수용공간(110)의 내벽을 지지하는 내벽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하우징 고정부(210)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소켓 하우징(100)의 윗쪽에서 홀더 고정홈(111) 내로 삽입 고정된다. 하우징 고정부(210)는 홀더 고정홈(111)의 내측 하부까지 삽입된 후 홀더 고정홈(111) 내에 고정된다. 하우징 고정부(210)의 양측에 형성된 홀(211)과 비드(212)가 고정에 관여한다.
베이스 홀더부(220)는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얇은 판이 벤딩된 구조로 형성되며 하우징 고정부(210)의 상단 중심부로부터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위로 연장된다. 이러한 베이스 홀더부(220)는 전구(2)의 베이스(21) 양면에 밀착되어 이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전구(2)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내벽 지지부(230)는 하우징 고정부(210)의 상단 중 베이스 홀더부(220)의 양쪽 또는 한쪽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홀더 고정홈(111)의 빈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홀더 고정홈(111)의 앞쪽에 위치된 수용공간(110)의 내벽을 지지해준다. 즉, 전구(2)의 베이스(21)를 삽입할 때 수용공간(110)의 내벽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특히, 수용공간(110)에 맞지 않는 전구(2)의 베이스(21)가 삽입될 때 수용공간(1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규격에 맞지 않는 전구(2)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0)의 내벽에는 리브(113)의 배열에 의해 전구 베이스(21)의 키(22)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된다. 베이스(21)의 키(22) 위치에 대응되게 키홈을 적절하게 배열함으로써, 전구(2)와 소켓 하우징(100)이 서로 짝을 이뤄 조립되도록 이루어지며, 전구(2)와 소켓 하우징(100)이 서로 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 전구(2)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전구(2)의 베이스(21)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10)의 내벽이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면 규격이 맞지 않는 전구(2)가 소켓 하우징(100)에 삽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램프 홀더(200)의 내벽 지지부(230)를 통해 수용공간(110)의 내벽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공간(110)의 내벽이 밀리지 않는 상태에서 규격이 맞지 않는 전구(2)가 삽입될 경우 소켓 하우징(100)에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며, 억지로 삽입하게 되면 수용공간(110)의 내벽이 파손된다. 따라서, 전구(2)와 소켓 하우징(100)의 잘못된 조합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벽 지지부(230)의 일면 즉, 소켓 하우징(100)의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된 면에는 내벽 지지부(230)의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보강비드(231)가 돌출 형성된다. 홀더 고정홈(111)의 양쪽 전후폭은 하우징 고정부(210) 및 내벽 지지부(23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하우징 고정부(210) 및 내벽 지지부(230)의 전후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벽 지지부(230)가 홀더 고정홈(111) 내에서 유동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보강비드(231)를 이용해 내벽 지지부(23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보강비드(231)의 삽입을 위해 홀더 고정홈(111)과 연결되게 비드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보강비드(231)는 내벽 지지부(230)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형성된 후 내벽 지지부(230)에 접합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램프 홀더 및 싱글 접촉단자가 소켓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더블 접촉단자가 소켓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램프 홀더(200)의 베이스 홀더부(220)에는 소켓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내로 돌출되게 벤딩된 돌출부(221)가 형성되며, 전구(2)의 베이스(21) 양면에는 램프 홀더(200)의 돌출부(221)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구(2)의 베이스(21)를 수용공간(110)에 완전히 삽입하면 베이스(21)의 돌출부 삽입홈(21a)에 램프 홀더(200)의 돌출부(221)가 삽입됨으로써 전구(2)는 수용공간(110)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싱글 접촉단자(400)의 바깥쪽, 즉 베이스(21)와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쪽에는 수용공간(110) 내 마주보는 양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미도시)에 걸려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싱글 접촉단자(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미도시)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된다.
더블 접촉단자(300) 및 싱글 접촉단자(400)에 연결되는 각 와이어 씰(500)(510)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외측면에 원형고리 형태의 고정돌기(501)(511)가 복수 개 이격 형성된다. 고정돌기(501)(511)로 인해 와이어 씰(500)(510)은 씰 고정부(140)(150) 내에 밀착되면서 직접 결합된다.
도 11은 전구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키와 그에 따라 수용공간 내 리브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구 소켓에는 특정 모델의 전구만 끼워질 수 있고 다른 모델의 전구는 호환되지 못한다. 즉, 특정 전구 소켓에는 특정 회사의 특정 모델의 전구만이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제품의 독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의 경우 키(22)가 베이스(21)의 한 면에만 1개소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그에 맞게 키홈이 형성되도록 리브(113)들도 수용공간(110)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도 11a 및 도 11b와 다른 형태를 갖는 전구는 전구 소켓의 수용공간(110) 내로 삽입이 제한된다.
도 11c 내지 도 11e는 키(22)가 베이스(21)의 양면에 1개소씩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도 11c의 경우 키(22)가 베이스(21)의 양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도 11d 및 도 11e의 경우 키(22)가 베이스(21)의 양면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에 맞게 리브(113)들도 수용공간(110) 내에 형성된다.
도 12는 베이스에 형성되는 키와 수용공간에 배열되는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아 베이스가 올바르게 삽입되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베이스(21)에 형성되는 키(22)의 형태 및 형성위치가 리브(113)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아 베이스(21)가 수용공간(110)에 제대로 삽입 고정되지 못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e의 경우 도면에서는 베이스(21)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베이스(21)의 키(22)와 리브(113)가 중첩되는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베이스(21)의 키(22)가 중첩되는 위치의 리브(113)에 걸려 삽입이 제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구 소켓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 : 전구 소켓 2 : 전구
21 : 베이스 22 : 키
100 : 소켓 하우징 110 : 수용공간
120 : 소켓부 130 : 플랜지부
140,150 : 씰 고정부 200 : 램프 홀더
210 : 하우징 고정부 220 : 베이스 홀더부
230 : 내벽 지지부 300 : 더블 접촉단자
310 : 접촉단자 320 : 씰 연결부
400 : 싱글 접촉단자 410 : 접촉단자
420 : 씰 연결부 500,510 : 와이어 씰
501,511 : 고정돌기 600 : 가스켓
700 : 장착러그 710 : 소켓부 관통홀
720 : 장착확인돌기

Claims (11)

  1. 전구의 베이스를 소켓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할 때 베이스에 형성된 키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열된 리브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키의 형태와 대응되게 리브가 배열 형성되어, 상기 키의 형태와 리브의 배열형태가 맞지 않는 경우 키가 리브에 걸려 상기 베이스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진 전구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배열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 양쪽에는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를 밀착고정시키는 램프 홀더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그에 맞게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 키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브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양쪽 내벽에는 상기 램프 홀더가 삽입되는 홀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램프 홀더에는 전구의 베이스가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수용공간의 내벽이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벽을 지지하는 내벽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홀더 고정홈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
    상기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를 탄력 지지하는 베이스 홀더부; 및
    상기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 홀더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 위치되는 상기 내벽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지지부의 일면에는 내벽 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내벽 지지부의 양면 중 상기 소켓 하우징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보강비드가 삽입되는 비드 삽입홈이 상기 홀더 고정홈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접촉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단자의 바깥쪽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걸려 분리가 방지되는 걸림편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에는 와이어씰이 압착 고정되며, 와이어씰의 외측면에는 소켓 하우징에 밀착되면서 와이어씰을 고정해주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측에는 가스켓이 끼워지고, 상기 가스켓은 러그에 의해 커버링되며, 러그의 외측면 중 소켓 하우징에 장착되는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장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착확인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KR1020140032990A 2013-09-06 2014-03-20 전구 소켓 KR10194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26,200 US9905971B2 (en) 2013-09-06 2015-03-18 Lamp socket
PCT/US2015/021182 WO2015143002A1 (en) 2013-09-06 2015-03-18 Lamp socket
CN201580026604.6A CN106463902B (zh) 2013-09-06 2015-03-18 灯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482 2013-09-06
KR1020130107482 2013-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44A true KR20150028944A (ko) 2015-03-17
KR101945787B1 KR101945787B1 (ko) 2019-02-12

Family

ID=5302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990A KR101945787B1 (ko) 2013-09-06 2014-03-20 전구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5971B2 (ko)
KR (1) KR101945787B1 (ko)
CN (1) CN106463902B (ko)
WO (1) WO2015143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87B1 (ko) * 2013-09-06 2019-02-12 몰렉스 엘엘씨 전구 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1318A (en) * 1997-06-19 1999-09-14 Koito Manufacturing Co., Ltd. Bulb socket
US6376974B1 (en) * 2000-05-12 2002-04-23 Ching-Yen Tsai Lamp structure for lamp strings
KR100882868B1 (ko) 2007-03-30 2009-02-1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구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103B2 (ja) * 1993-08-06 1999-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
JPH08249919A (ja) * 1995-03-14 1996-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灯具装着装置
JP2001155514A (ja) * 1999-11-30 2001-06-08 Yazaki Corp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CN2413166Y (zh) * 2000-02-29 2001-01-03 樊志毅 改进的装饰灯组件
CN2615933Y (zh) * 2003-04-22 2004-05-12 吴文彰 管的连接装置
US7473024B2 (en) * 2005-08-30 2009-01-06 Ventur Research & Development Corp. Light strings including standard socket and longer-length non-standard keyed socket
WO2010005682A2 (en) 2008-06-12 2010-01-14 Light Sources, Inc. End cap, socket, and adaptors for use with a lamp
KR101614543B1 (ko) * 2009-09-07 2016-04-2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웨지벌브용 소켓
CN201717489U (zh) * 2010-07-23 2011-01-1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灯座以及电子设备
CN103363486A (zh) * 2012-04-06 2013-10-23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灯座组合
KR101945787B1 (ko) * 2013-09-06 2019-02-12 몰렉스 엘엘씨 전구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1318A (en) * 1997-06-19 1999-09-14 Koito Manufacturing Co., Ltd. Bulb socket
US6376974B1 (en) * 2000-05-12 2002-04-23 Ching-Yen Tsai Lamp structure for lamp strings
KR100882868B1 (ko) 2007-03-30 2009-02-1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구 소켓
CN101669257A (zh) * 2007-03-30 2010-03-10 莫列斯公司 灯泡插座
JP2010524152A (ja) * 2007-03-30 2010-07-15 モレックスコリア コーポレイテドリミテド バルブ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85046A1 (en) 2017-03-23
US9905971B2 (en) 2018-02-27
WO2015143002A1 (en) 2015-09-24
CN106463902A (zh) 2017-02-22
CN106463902B (zh) 2020-05-01
KR101945787B1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3062A (en) Discharge lamp connector assembly
JPH07245160A (ja) 接続具の取付構成体
KR101945787B1 (ko) 전구 소켓
EP3303915B1 (en) Led light bulb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882868B1 (ko) 전구 소켓
KR200412155Y1 (ko) 와이어레스 타입 포지션 램프
JP2002025726A (ja) 灯具の防水構造
JPH0648775Y2 (ja) ランプの取付け構成体
JPH0648777Y2 (ja) ランプの取付け構成体
JP2009514173A (ja) 成形されたランプソケット
JPH0648776Y2 (ja) ランプの取付け構成体
KR20160136804A (ko) 차량용 실내등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장치
JP488957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CN114424409A (zh) 电气连接器
JP2022189325A (ja) 端子組付け構造
JP2023135744A (ja) 車両用燈体装置
KR20090104314A (ko) 형광등기구의 소켓
KR20150137825A (ko) 램프
JP2005197172A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TWM462825U (zh) 燈管燈腳
JPH0644074U (ja) 接続具の取付け構成体
JP2012124037A (ja) 冷陰極蛍光ランプ
KR20160136803A (ko) 차량용 실내등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장치
JP2013084385A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H0982435A (ja) 無口金電球用ソケットおよび無口金電球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