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518A - 방음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음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518A
KR20150028518A KR20130107219A KR20130107219A KR20150028518A KR 20150028518 A KR20150028518 A KR 20150028518A KR 20130107219 A KR20130107219 A KR 20130107219A KR 20130107219 A KR20130107219 A KR 20130107219A KR 20150028518 A KR20150028518 A KR 2015002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sound
wall block
block
sound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영
Original Assignee
(주)경남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남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경남씨앤아이
Priority to KR2013010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518A/ko
Publication of KR2015002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한 소음이 도로변에 근접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음층과 흡음층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고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음층을 중심으로 그 전면과 배면으로 흡음층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시 방음벽블록을 제조하며 방음벽블록을 제조 성형할 때, 콘크리트와 골재, 그리고 다공성광물질을 혼합하여 강도를 높임은 물론, 방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본 발명은 방음벽블록을 완성한 후, 흡읍층의 상부면으로 경량성 다공성물질을 도포하여 방음벽블록의 강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방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벽 시스템{SOUNDPROOF WALLS}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한 소음이 도로변에 근접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음층과 흡음층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고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음벽은 도 1에서와 같이, 차음층(1)과 흡음층(2)으로 구성되며, 차음층(1)은 일반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흡음층(2)은 일반 콘크리트를 다공질로 형성되도록 발포하여 구성되며, H빔(3)에 설치된다.
콘크리트로 제조된 종래 방음벽은 차량의 소음, 진동, 등으로 인해 쉽게 부서지거나, 부식되는 단점이 있고,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배합만으로는 차량 소음에 대한 방음효과가 현저히 낮아 소음공해를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벽체구조를 살펴보면, 방음벽 각 벽체가 상하 사이에 별다른 결합구조 없이 단순 적층하는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크리트 제조물의 경우 그 제조 공정 특성상 표면이 매끈하지 못하므로 적층되는 상하 벽체 사이에 틈새(A)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소음이 틈새를 통과하게 되므로 방음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7256호, '방음벽'에서는 통상의 블록제조방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음층과 그 전면의 흡음층을 일체로 압착 성형시킨 방음벽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방음벽에서는 차음층과 흡음층을 압착 성형시키며, 상기 차음층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돌기와 홈으로 되는 결합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차 전방의 흡음층에 결합을 유도하는 경사형 결합유도면을 형성하여 상하 적층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방음벽에서는 상기 차음층과 흡음층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순히 콘크리트만을 이용하지 않고 골재를 배합하여 방음효과를 더 증대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음벽은 차음층과 흡음층을 각 별개로 제조하고 차음층과 흡음층을 압착성형하게 됨으로써, 공정이 복잡하여 전면에만 흡음층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음층을 중심으로 그 전면과 배면으로 흡음층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시 방음벽블록을 제조하며 방음벽블록을 제조 성형할 때, 콘크리트와 골재, 그리고 다공성광물질을 혼합하여 강도를 높임은 물론, 방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벽블록을 완성한 후, 흡읍층의 상부면으로 경량성 다공성물질을 도포하여 방음벽블록의 강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방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양 측의 H빔 사이로 다수 개의 방음벽블록이 수직으로 적층 결합되는 방음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블록은 콘크리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타설하여 차음층의 전면과 그 배면으로 흡음층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로는 인접하여 결합되는 방음벽블록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를 구성하며,
상기 방음벽블록 결합 시 방음벽블록 간 결합부에 위치하여 돌기부 간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수지플레이트와, 방음벽블록 적층 시 각 방음벽블록 마다 H빔과 밀착시킬 수 있도록 H빔의 결합홈 내에 끼워지는 탄성클립과, 최상단으로 적층된 방음벽블록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상부커버를 결합고정하기 위하여 일 측은 방음벽블록과 접촉되고 일 측은 상부커버와 접촉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상부앵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층과 흡음층을 콘크리트 타설 시 일체로 제작된 방음벽블록이어서, 제조공정이 단순함은 물론, 제작된 방음벽블록의 강도가 우수하고, 다공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방음효과가 좋다.
더욱이 차음층의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 흡음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방음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방음벽블록의 전면으로 경량성 다공성물질을 도포하여 방음벽블록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방음효과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H빔의 양단으로 부터 탄성클립으로 고정하여 방음벽블록의 고정 및 그 밀착도를 증가시키고, 상단 및 하단으로 돌기부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 연질의 수지플레이트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틈새를 완전히 막아 방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음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방음벽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방음벽블록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H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H빔의 시공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방음벽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클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커버, 상부앵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H빔 단면도.
본 발명 방음벽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설치된 양 측의 H빔(200) 사이로 다수 개의 방음벽블록(100)이 수직선으로 적층 결합되는 방음벽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철근(140)이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하고 철근(140)의 전면과 그 배면으로 철망(150)을 구성하여 콘크리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타설하여 차음층(110)의 전면과 그 배면으로 흡음층(1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로는 인접하여 결합되는 방음벽블록(100)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130)를 구성하며,
상기 방음벽블록(100) 결합 시 방음벽블록(100) 간 결합부에 위치하여 돌기부(130) 간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수지플레이트(300)와, 방음벽블록(100) 적층 시 각 방음벽블록(100) 마다 H빔(200)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클립(400)과, 최상단으로 적층된 방음벽블록(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500) 및 상부커버(500)를 결합고정하기 위한 상부앵글(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음벽 시스템은,
(a). H 빔을 양측으로 구성하고 그 내로 방음벽블록을 적층하여 안정된 결합구조를 제공하며,
(b). 차음층과 흡음층을 콘크리트타설 시 일체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 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방음벽 시스템은 양 측의 H빔(200) 사이로 다수 개의 방음벽블록(100)을 적층하여 구성한다.
상기 H빔(200)은 지면에 설치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베이스플레이트(210)를 앵커(220)로 고정하여 H빔(200)을 설치한다. H빔(200)의 그 구조 및 시공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조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빔(200)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구성되며 방음벽블록(100)이 결합, 적층되도록 H형 내의 결합홈이 서로 대향하도록 시공된다.
상기 H빔(200)의 길이(높이)는 적층되는 방음벽블록(100)의 개수에 따르고, H빔(200)의 결합홈은 방음벽블록(100)의 폭에 맞춰 구성되며, H빔(200) 간의 거리는 방음벽블록(100)의 폭에 따라 구성된다.
방음벽블록(100)은 차음층(110)을 중심으로 흡음층(120)이 구성되며, 상기 방음벽블록(100)의 상하로 구성되는 돌기부(130)는 상부 또는 하부로 결합되는 인접된 방음벽블록(100)과의 밀접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흡음층(120)은 차음층(110)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에 구성되며, 소음에 대한 분산과 소멸이 용이한 물결모양의 곡선부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돌기부(130)가 맞물리면서 결합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30)는 경사를 갖는 형태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결형태의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요철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음벽블록(100)이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최상단에 상부앵글(600)에 의해 상부커버(500)가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될 방음벽블록(100)은 일 측 즉 상단이 돌기부(130)가 없이 평면으로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방음벽블록과 방음벽블록이 적층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상부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H빔 단면도이다.
상기 수지플레이트(300)는 연질형수지로 이루어져 방음벽블록(100)과 방음벽블록(100) 사이에 구성되어 적층 결합되는 방음벽블록(100)과 방음벽블록(100)을 밀접하게 하여 틈새를 완전하게 막아주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탄성클립(400)은 방음벽블록(100) 단위로 양측으로 구성되며, H빔(200)의 결합홈 내에서 방음벽블록(100)과 H빔(200)과의 사이에 결합되어 방음벽블록(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블록(100)의 상단부에 얹히어 고정되는 상단고정부(410)와 H빔(200)과 방음벽블록(10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고정부(410)는 방음벽블록(100)과 수지플레이트(300)를 사이에 두고 방음벽블록(100)에 끼워지면서 고정됨으로써, 실제적으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방음벽블록(10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부앵글(600)은 상기 상부커버(500)를 방음벽블록(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앵글(600)은 방음벽블록(100)과 밀착되는 블록접촉부(610)와, 상기 상부커버(500)와 접촉하여 볼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되는 커버접촉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500)는 H빔(200)에 적층 결합된 방음벽블록(100)의 상부를 덮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일 측이 방음벽블록(100)을 덮고, 일 측이 상부앵글(60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공을 포함한다.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로는 철근(140)을 수직배열하고 그 전면과 배면으로 철망(150)을 구성하여,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음층(110), 흡음층(120), 그리고 상단과 하단으로 돌기부(130)를 일체형으로 제조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철근(140)과 그 전면과 배면으로 철망(150)을 구성한 것이며, 상기 철근(140)은 16mm이고, 상기 철망(150)의 메쉬는 6mm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철망(150)의 메쉬는 제한적이지 않고, 상기 철근(140)의 개수 또한 제한적이지 않다.
방음벽블록(100)은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배합물은 모래 33중량%, 자갈 53중량%, 시멘트 10중량%, 다공성광물질 4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콘크리트 배합물을 물과 혼합한 후, 상기와 같이 차음층(110), 그 전면과 배면으로 흡음층(120)을 구성하며, 상단과 하단으로 돌기부(130)가 구성되도록 형성된 거푸집에 차음층(110)이 구성되는 중앙부에 철근(140), 그리고 철근(140)의 전면과 배면으로 철망(150)을 구성한 후, 타설하여 방음벽블록(100)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방음벽블록(100)이 완성된 후, 흡읍층(120)의 표면으로 경량성 다공성물질을 도포하여 경량성 다공성물질 표면층을 형성하여 방음벽블록(100)의 강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방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음벽 시스템의 시공과정 및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변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도로변을 따라서 H빔(200)을 설치한다. 이때 방음벽블록(100)의 폭을 고려하여 H빔(200)을 도로변을 따라 설치한다.
이후 방음벽블록(100)을 도 2에서와 같이 H빔(200)의 양단 사이로 적층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방음벽블록(100)을 H빔(200) 내에 결합한 후, 그 양단 방음벽블록(100)과 H빔(200) 사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클립(400)의 클립부(420)를 끼워 넣고 탄성클립(400)의 상단고정부(410)를 방음벽블록(100)의 상단부에 얹은 후(또는 볼트로 상단고정부(410)를 방음벽블록(100)에 고정)에 그 상부로 수지플레이트(300)를 얹고 그 상부로 방음벽블록(100)을 상기에서와 같이 H빔(200) 내로 결합하여 얹는다.
상기 방음벽블록(100)의 상단과 하단으로는 돌기부(130)가 구성되어 있음으로, 맞닿는 경우 자연스럽게 돌기부(130)가 맞아 들어가면서 결합되며 그 사이에 연질의 수지플레이트(300)에 의해 완전히 밀착되어 틈새를 완전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방음벽블록(100)이 하부의 방음벽블록(100)을 누르게 되면서, 탄성클립(400)은 이탈되지 않으며 클립부(420)가 H빔(200)과 방음벽블록(100)에 눌려지면서 탄성력을 가하여 방음벽블록(100)이 유동되지 않고 H빔(200) 내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방음벽블록(100)을 반복하여 H빔(200) 내로 결합 고정시키고 H빔(200)의 높이에 다다르게 되면, 방음벽블록(100)의 상단으로 상부커버(500)를 덮고 도 8에서와 같이, 일 측으로 상부앵글(600)을 볼트로 채워 상부커버(50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방음벽을 완성하며 그 일 측을 따라 상기와 같이 방음벽을 설치하여 방음벽 시스템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대략 3톤(ton) 내지 4톤 정도의 중량이며, H빔(200) 및 고정수단들도 중량이 나가는 철 소재임에 따라서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을 수행함은 자명하여 상세한 시공과정은 생략한다.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된 양 측의 H빔(200) 사이로 다수 개의 방음벽블록(100)이 수직으로 적층 결합되는 방음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콘크리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타설하여 차음층(110)의 전면과 그 배면으로 흡음층(1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로는 인접하여 결합되는 방음벽블록(100)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130)를 구성하며,
    상기 방음벽블록(100) 결합 시 방음벽블록(100) 간 결합부에 위치하여 돌기부(130) 간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수지플레이트(300)와, 방음벽블록(100) 적층 시 각 방음벽블록(100) 마다 H빔(200)과 밀착시킬 수 있도록 H빔(200)의 결합홈 내에 끼워지는 탄성클립(400)과, 최상단으로 적층된 방음벽블록(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500) 및 상부커버(500)를 결합고정하기 위하여 일 측은 방음벽블록(100)과 접촉되고 일 측은 상부커버(500)와 접촉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상부앵글(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내부 중앙으로 수평방향으로 철근(140)이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열되고, 철근(140)의 전면과 그 배면으로 철망(15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120)은 차음층(110)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에 구성되며, 소음에 대한 분산과 소멸이 용이한 물결모양의 곡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130)는 경사를 갖는 돌기 또는 굴곡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돌기부(130)의 돌기 요철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위치로 구성되어 인접된 방음벽블록(100)과 결합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블록(100)은,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배합물이 모래 33중량%, 자갈 53중량%, 시멘트 10중량%, 다공성광물질 4중량%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블록(100)의 흡읍층(120)의 표면으로 경량성 다공성물질의 도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400)은 방음벽블록(100) 단위로 양측으로 구성되며, H빔(200) 결합홈 내에 방음벽블록(100)과 H빔(200)과의 사이에 결합되며 방음벽블록(100)의 상단부에 얹히어 고정되는 상단고정부(410)와 H빔(200)과 방음벽블록(10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부(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KR20130107219A 2013-09-06 2013-09-06 방음벽 시스템 KR2015002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219A KR20150028518A (ko) 2013-09-06 2013-09-06 방음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219A KR20150028518A (ko) 2013-09-06 2013-09-06 방음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18A true KR20150028518A (ko) 2015-03-16

Family

ID=5302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219A KR20150028518A (ko) 2013-09-06 2013-09-06 방음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20A (ko) * 2019-05-28 2020-12-08 길인환 낙석방지 및 방음을 위한 차단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20A (ko) * 2019-05-28 2020-12-08 길인환 낙석방지 및 방음을 위한 차단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4966B (zh) 振动隔离结构及其构造方法
KR101704701B1 (ko)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0878302B1 (ko) 플라스틱 방음패널
JP2007262669A (ja) 吸音板構造及び該吸音板構造を用いた道路用遮音壁
KR20150028518A (ko) 방음벽 시스템
KR100711639B1 (ko) 층간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이를 위한층간완충재 고정구
KR20170019578A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JP2015501893A (ja) 騒音防止装置
JPH10121599A (ja) 防音壁
KR101269113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7282653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TWM551630U (zh) 樓承版的隔音裝置
KR101448857B1 (ko) 외장재를 일체화시킨 벽체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04997B1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100684358B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TWI655347B (zh) Floor-mounted sound insulation
KR200440362Y1 (ko) 방음판넬
KR20170029713A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JP2000336606A (ja) 滑り止め措置を施した防振・防音鋼板の構造
KR200437742Y1 (ko) 방음판넬
KR200412606Y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KR100916352B1 (ko) 발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방음벽
KR100419251B1 (ko) 교량구조물
JP3726042B2 (ja) 保護壁付軽量盛土の構築方法
KR101354597B1 (ko) 고속철도 터널 시공용 흡음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