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011A - 작업용 차량의 후드 - Google Patents

작업용 차량의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011A
KR20150028011A KR20130106557A KR20130106557A KR20150028011A KR 20150028011 A KR20150028011 A KR 20150028011A KR 20130106557 A KR20130106557 A KR 20130106557A KR 20130106557 A KR20130106557 A KR 20130106557A KR 20150028011 A KR20150028011 A KR 2015002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od cover
elastic unit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건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임국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건 filed Critical 임국건
Priority to KR2013010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011A/ko
Publication of KR2015002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후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후드커버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과 후드커버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운전실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력실의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드커버;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면서 자체 탄성으로 상기 후드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과 상기 후드커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후드커버와 상기 탄성유닛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훼손이 방지되면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작업용 차량의 후드 {Hood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후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후드커버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과 후드커버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동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전자 또는 운전자를 비롯한 다른 인원이 탑승하는 장치를 차량이라 한다. 이러한 차량에는 운전자가 필요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작업용 차량이 있으며, 단순히 이동을 위하여 탑승하는 이동용 차량이 있다.
또한, 작업용 차량에는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 차량이 있으며, 농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농사용 차량이 있고,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차량이 있다.
중장비 차량에는 건설 또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량이 큰 작업용 차량인 굴착기와 로더 등이 있으며, 산업용 차량에는 산업 현장에서 무거운 물품의 이동 또는 적재 등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이 있다.
그리고, 농업용 차량에는 벼농사의 모내기 작업에 사용되는 이앙기와, 무거운 짐이나 농기계를 끄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업용 차량의 대표적인 형태인 굴착기에 장착되는 후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되는 굴착기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많은 작업용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굴착기는 방향의 선회가 가능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체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회전체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면서 운전자의 운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과,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회전체의 이동을 위하여 필요한 동력을 생산하여 제공하는 엔진 등이 장착되는 동력실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동체는 휠 형태의 바퀴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바퀴로 이루어져 지면과 접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체는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과, 상기 암의 끝 부분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체와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작업체로 구성되는 굴착기는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는 상기 운전실의 내부 공간에 운전자가 위치하여, 상기 운전실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작 기기들을 조작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에는 다수의 도어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굴착기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의 측면에도 운전실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 마련되어 다양한 작업 및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엔진과 이에 따른 다양한 장치들이 장착되는 동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등이 장착된다.
상기 운전실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운전자는 상기 운전실을 출입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동력실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동력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양한 장치들의 정비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실의 일면에는 상기 엔진 등의 정비를 위하여 개폐되는 후드가 장착된다. 상기 후드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됨으로써 상기 엔진 등의 정비 또는 엔진룸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6399호에는 굴삭기 엔진후드의 개폐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는 굴삭기의 엔진후드 안에 존재하는 엔진, 라디에이터, 오일 및 냉각수 등을 정비할 때, 엔진후드 전체를 열지 않고 원통형의 롤러가 레일을 따라서 지나가게 하여 엔진후드의 일부를 개방하고 점검 또는 정비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점검 및 정비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게 하는 굴삭기 엔진후드의 개폐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엔진과 기타 주요 기기의 부품들을 정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개방 가능하게 설계되는 엔진후드의 구성이 개시되며, 굴삭기의 엔진후드 상판부의 커버를 좌우로 엔진후드 커버를 분리시키고 좌측 또는 우측 엔진후드 커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인 롤러를 구비시켜 엔진룸 내의 엔진룸 내의 부품 정비 또는 점검을 하는데 있어서 정비시간 소유를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발명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41957호에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후드 열림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는 내부의 압력을 이용한 기존의 후드 가스 리프터를 대신하여 토션 스프링을 장착하여 열리는 구조를 가지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후드 열림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후드 패널의 열림장치로써 토션 스프링을 장착하며, 토션 스프링의 한쪽 끝단을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가 없이 후드 패널의 힌지부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의 끝단은 카울 탑 사이드 패널의 내측에 결합되고, 토션부에는 스프링의 직경으로 원하는 차종 사양을 결정할 수 있고 최종 터닝은 굽힘각도를 이용하여 조정 가능한 구조로써, 후드 패널을 열고 닫을시 스프링의 회전에 의한 토션을 이용하여 열고 닫힘이 손쉽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후드 패널 열림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들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후드는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다양한 구성이 제안됨에 따라 후드의 구성은 후드가 장착되는 구성에서는 주요 구성 중 하나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력이 절감되어 작동이 용이한 후드가 장착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찰력 절감에 의해 후드커버와 후드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훼손이 방지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운전실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력실의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드커버;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면서 자체 탄성으로 상기 후드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과 상기 후드커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후드커버와 상기 탄성유닛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동력실을 개폐하는 후드커버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에 장착되면서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윤활유닛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후드커버와 후드커버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훼손이 방지됨으로써,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정비 또는 보수 등의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이 감소되어, 후드커버의 회동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 감소에 따라 후드커버를 회동시키게 될 때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소음의 저감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 감소에 의해 후드커버의 회동으로 인한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접촉면 도료가 벗겨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접촉면 도료의 벗겨짐으로 인한 발청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가 장착된 작업용 차량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윤활유닛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윤활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윤활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대표적인 예인 굴착기의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선택한 실시 예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실시 예인 굴착기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굴착기는 땅을 굴착하거나 암석 등을 채굴하여 파낸 흙이나 암석 등을 처리하는 작업용 차량이다. 이러한 굴착기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이동체(40)와, 상기 회전체(10)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회전체(10)는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이동 및 작업 등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실(20)과, 상기 동력실(20)의 일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실(20)에는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21)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도 2의 22)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22)에 다수의 상기 플레이트(21)가 장착되면서 상기 동력실(2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실(20)의 일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드커버(6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드커버(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동력실(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운전실(3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 공간에 운전자가 위치하여 상기 운전실(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작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작업용 차량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에는 상기 운전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31)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31)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31)에 의해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이 개폐되면서 개폐되는 측면을 통해 상기 운전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운전자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시 운전자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운전 중 운전자의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이동체(40)가 위치하며, 상기 이동체(40)는 상기 회전체(1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휠 형태의 바퀴 또는 무한궤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체(40)는 지면과 접하면서 상기 동력실(2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구름 운동하여 상기 회전체(10)를 운전자가 원하는 장소 또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체(10)에는 상기 작업체(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업체(50)는 상기 운전실(30)의 측방, 상기 회전체(1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51)과, 상기 붐(51)에 연결되어 연결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52)과, 상기 암(52)의 다른 쪽 끝 부분에 연결되어 연결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킷(53)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굴착된 토양을 퍼 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다른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 상기 버킷(53)은 운전자의 필요 즉,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다른 작업 도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업에 따라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작업용 차량의 후드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 일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의 윤활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상기 동력실(20)의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21)가 지지되는 프레임(2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드커버(60)와, 상기 후드커버(60)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유닛(70)과, 상기 탄성유닛(70)에 장착되어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닛(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드커버(60)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하면이 개방되는 사각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후드커버(6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커버(60)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면서 환기 및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드커버(60)는 상기 프레임(2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회동시켜 상기 동력실(20)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엔진의 정비 또는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커버(60)는 상기 후드커버(60)를 자체 탄성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7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유닛(70)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유닛(70)은 양쪽 끝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되면서 비틀림 탄성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60)를 자체 탄성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유닛(7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탄성유닛(70)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하나의 원형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쪽 끝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유닛(70)의 한쪽 끝 부분의 절곡된 부분을 제1부분(71)이라 명명하기로 하며, 상기 탄성유닛(70)의 다른 쪽 끝 부분을 제3부분(73)이라 명명하기로 하고, 상기 제1부분(71)과 상기 제3부분(73)을 이어주는 중앙 부분을 제2부분(72)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2,3부분으로 명명하지 않고 다른 명칭으로 명명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3부분을 고정부, 탄성부, 지지부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분(71)은 상기 프레임(22)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탄성유닛(70)이 상기 프레임(22)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71)이 상기 프레임(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도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2부분(7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분(7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부분(72)의 끝 부분에는 상기 후드커버(60)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는 제3부분(73)이 형성된다.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은 상기 후드커버(60)의 회동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과 접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부분(71)이 상기 프레임(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부분(73)이 상기 후드커버(60)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드커버(60)가 상기 동력실(20)의 외면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3부분(73)은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과 접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제3부분(73)이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부분(71)이 상기 프레임(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부분(73)이 상기 동력실(2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부분(72)이 비틀리면서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상기 제2부분(72)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6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는 상기 제1부분(71)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일정 정도의 부피를 가지는 사각상자 형태의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2)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프레임(22) 자체에 상기 제1부분(71)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1부분(71)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23)가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제1부분(71)이 일정 부분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에는 상기 제2부분(72)을 지지하는 지지부(2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4,25)는 상기 제2부분(7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4,25)는 상기 제2부분(72)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분(72)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24)와, 상기 제2부분(72)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분(72)이 관통되면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2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물론, 상기 지지부(24,25)가 상기 제2지지부(25) 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제2부분(72)과 끼움 결합되면서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부(24)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24,25)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임(22)에 고정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22)에 걸림 고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4,25)가 어떠한 형태로 제공되더라도 상기 탄성유닛(7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탄성유닛(70)의 한쪽 끝 부분 상세하게는,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에 상기 후드커버(60)와 상기 탄성유닛(7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닛(8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유닛(70)의 끝 부분 즉,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은 상기 윤활유닛(8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윤활유닛(80)이 장착되도록 측방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유닛(80)은 상기 제3부분(73)의 절곡되는 끝 부분에 삽입 장착되면서 상기 후드커버(60)가 상기 동력실(20)의 개방된 면을 차폐하도록 동작하게 될 때, 그 외면이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과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윤활유닛(80)은 상기 탄성유닛(70)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상기 탄성유닛(70)에 장착되는 회전부재(81)와, 상기 회전부재(81)가 상기 탄성유닛(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82,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81)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에 상기 제3부분(73)이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부재(81)가 길이 방향으로 상기 3부분(73)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81)의 길이 방향 양측, 도면에서 볼 때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회전부재(81)가 상기 탄성유닛(7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82,8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82,83)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면서, 중앙부가 상기 탄성유닛(70)의 상기 제3부분(73)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링의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3부분(73)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82)가 상기 제3부분(73)을 통과하여 상기 제2부분(72)까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회전부재(81)와 상기 이탈방지부재(82)가 상기 제3부분(7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커버(60)가 상기 동력실(20)의 개방된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81)의 외면과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이 접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81)의 외면과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이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드커버(60)를 더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81)는 상기 제3부분(7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후드커버(60)와 상기 탄성유닛(7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부재(81)가 회동하면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회전부재(81)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부재(81)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제3부분(73)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윤활유닛(8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의 윤활유닛을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의 윤활유닛을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에 장착되는 장착부재(84)와, 상기 장착부재(8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재(84)는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에 끼움 결합으로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84)에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부재(81)가 상기 장착부재(84)에 끼움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84)에는 상기 회전부재(81)가 끼움 결합 후 상기 장착부재(8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3부분(73)의 끝 부분에 상기 윤활유닛(80)이 끼움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후드커버(60)의 회동 시 상기 윤활유닛(80)의 외면이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과 접하면서 상기 후드커버(60)와 상기 탄성유닛(70)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윤활유닛(80)은 상기 후드커버(60)와 다른 마찰계수를 가지는 소재(예를 들어, 고분자 화합물 등)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커버(60)와 상기 탄성유닛(7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윤활유닛(80)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유닛(70)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 또는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후드커버(6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작업용 차량의 후드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22)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23)에 상기 제1부분(71)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24,25)에 상기 제2부분(7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제3부분(73)에 상기 윤활유닛(8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커버(60)를 회동시켜 상기 동력실(20)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후드커버(60)가 상기 동력실(2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윤활유닛(80)의 외면이 상기 후드커버(6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후드커버(60)를 회동시켜 상기 동력실(20)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윤활유닛(80)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60)와의 마찰력이 감소되면서, 상기 후드커버(60)의 회동이 용이하게 되며, 상기 후드커버(60)와 상기 탄성유닛(70)의 훼손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후드커버와 탄성유닛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찰 감소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훼손 및 도료의 벗겨짐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후드커버의 회동에 따른 소음이 저감되면서 훼손 및 도료의 벗겨짐에 따른 부식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며, 후드커버의 사용 수명이 증가하고, 서비스 비용과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많은 장점들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의 후드는 작업용 차량의 생산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회전체 20. 동력실
21. 플레이트 22. 프레임
23. 고정부 24. 제1지지부
25. 제2지지부 30. 운전실
40. 이동체 50. 작업체
51. 붐 52. 암
53. 버킷 60. 후드커버
61. 가이드 70. 탄성유닛
71. 제1부분 72. 제2부분
73. 제3부분 80. 윤활유닛
81. 회전부재 82. 이탈방지부재
83. 이탈방지부재 84. 장착부재

Claims (9)

  1. 운전실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력실의 외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드커버;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면서 자체 탄성으로 상기 후드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과 상기 후드커버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후드커버와 상기 탄성유닛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비틀림 탄성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닛은,
    상기 탄성유닛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닛은,
    상기 엔진후드와 다른 마찰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엔진후드와 접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닛은,
    상기 탄성유닛의 끝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탄성유닛과 상기 후드커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커버에는,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는 상기 윤활유닛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면서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탄성유닛의 일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탄성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비틀림 동작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부분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상기 후드커버와 접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후드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제3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용 차량의 후드.
KR20130106557A 2013-09-05 2013-09-05 작업용 차량의 후드 KR20150028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557A KR20150028011A (ko) 2013-09-05 2013-09-05 작업용 차량의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557A KR20150028011A (ko) 2013-09-05 2013-09-05 작업용 차량의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011A true KR20150028011A (ko) 2015-03-13

Family

ID=5302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557A KR20150028011A (ko) 2013-09-05 2013-09-05 작업용 차량의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744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후드
KR101637108B1 (ko) 와이퍼 장치, 와이퍼 장치 부착 개폐 가드, 및 건설기계를 위한 캡
JP2011084876A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装置
US9915055B2 (en) Tailgate
KR102082840B1 (ko) 소형의 건설 기계
US20140003901A1 (en) Hydraulic excavator
WO2015078810A1 (en)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JP6075401B2 (ja) 建設機械
JP5258596B2 (ja) 建設機械の開閉カバー装置
KR20150028011A (ko) 작업용 차량의 후드
JP5785128B2 (ja) 旋回作業機の運転部におけるマニュアル収納部構造
JP6117129B2 (ja) 旋回式建設機械
WO2011148945A1 (ja) 建設機械
KR101301574B1 (ko) 작업용 기계 차량의 도어 개방 고정장치
RU2379426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экскаватор
JP5873778B2 (ja) 作業機械
JP6603646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KR101716501B1 (ko) 틸팅캐빈이 설치된 중장비용 호스가이드
JP2008279930A (ja) 建設機械における開閉カバー構造
KR101346372B1 (ko) 작업용 차량의 전면유리 개폐장치
JP6869606B2 (ja) 整備用窓口開閉機構
KR101301153B1 (ko) 중장비의 도어 고정장치
JPH08260514A (ja) 建設機械・作業車両等の車体構造
JP7198130B2 (ja) 作業用車両の収納装置
JP2011201402A (ja) フード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