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800A -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7800A KR20150027800A KR1020157001022A KR20157001022A KR20150027800A KR 20150027800 A KR20150027800 A KR 20150027800A KR 1020157001022 A KR1020157001022 A KR 1020157001022A KR 20157001022 A KR20157001022 A KR 20157001022A KR 20150027800 A KR20150027800 A KR 201500278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cilostazol
- mci
- mmse
- dementia
- Prior art date
Links
- 0 C[C@](CC1)c2cc(O*c3nnn[n]3*)ccc2NC1=O Chemical compound C[C@](CC1)c2cc(O*c3nnn[n]3*)ccc2NC1=O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뇌혈관 등의 간질류(interstitial flow)를 개선시켜 뇌에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을 충분히 클리어런스 시킴에 의한, 경도(輕度)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을 제공한다. 이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6-[4-(1-시클로헥실(cyclohexyl)-1H-테트라졸(tetrazole)-5-일(yl))부톡시(butoxy)]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dihydrocarbostyril) 또는 이 염(salt)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혈관 주위 간질액의 배출 경로의 흐름이 개선되어, 유해 단백질이 배출된다. 본 발명의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경구 투여의 제제(製劑), 경구 투여 액체 제제, 또는 주사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루이 소체병, 다운 증후군 또는 황반 변성의 개선에도 사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추 신경계에 있어서 유해 단백질의 배출 경로인 뇌 간질류(brain interstitial flow) 기능의 향상에 의해, 뇌신경 기능을 높이는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경도 인지 장해(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란, 인지증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인지 기능 장해가 발생하는 증례(症例)이며, 기본적인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상태이나,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리거나, 처음 가는 장소로 여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MCI에서는,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초기에는 경도의 인지 기능의 장해가 관찰되나, 이 시점에서는 뇌신경 조직의 불가역적인 변성(變性)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한편, 뇌 아밀로이드(amyloid) 혈관증에 의한 인지증, 전두측두엽 인지증(frontotemporal dementia), 루이 소체 인지증(Lewy body dementia), 알츠하이머성 인지증(Alzheimer-type dementia), 파킨슨병에 의한 인지증 등 이미 인지증을 발병한 환자에게는, 병리적으로도 불가역적인 신경 변성이 많이 존재한다.
MCI는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에 인한 인지증, 전두측두엽 인지증, 루이 소체 인지증, 알츠하이머성 인지증, 뇌혈관성 인지증, 파킨슨병에 의한 인지증, 프리온병(prion disease) 등, 특정 인지증의 단순한 전(前)단계는 것은 아니고, MCI 환자에게는, 루이 소체성 변화, 진행성 핵상(核上)성 마비성 변화, 알츠하이머 변화, 기은과립(嗜銀顆粒)성 변화, 혈관 장해성 변화 등의 다종 다양한 병리적 변화가 관찰되어, 단일의 병리 변화와는 정반대이다(비특허문헌 1).
이상과 같이, MCI는 공지의 여러 가지 인지증과는 구별된 질환으로서 생각되어야 하고, 실제로 이와 같이 되어 있다. 일반 사단법인 일본 신경학회가 홈 페이지 상에서 공개하고 있는 "인지증 질환 치료 가이드 라인" (http://www.neurology-jp.org/guidelinem/nintisyo.html)에는, MCI는 일반적인 인지증과 병렬하여 항목이 설정되고, 인지증과는 구별된, 독립된 질환으로서 취급되고 있다. MCI의 진단에는, "일상생활 동작으로의 지장 유무", "인지기능의 저하", "인지증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 등을 확인하여 MCI라고 판단한 후에, 기억장해의 유무에 의해 기억성 경도 인지장해(amnestic MIC) 또는 비기억성 인지장해(non-amnestic MCI)로 분류하여, 이를 더욱 세분화하는 개념이 제안되어 있다(동 가이드 라인 제 4 장 경과와 치료계획, B. 경도 인지 장해, 항목 CQ IV B-1, 108-109항 참조).
MCI 환자는 MCI 상태로 변화하지 않을 지도 모르고, 상기한 여러 가지 인지증 중 어느 하나로 변화(convert)되어 갈 지도 모른다. 때문에, 가령 어떤 약제가 알츠하이머형 인지증과 뇌혈관성 인지증, 루이 소체성 인지증, 전두측두엽 인지증, 파킨슨병에 의한 인지증 등, 어느 특정의 인지증에 유효한 것이 통계학적으로 나타났다 하더라도, 그 약제가 MCI에 대해 유효한지 여부는 전혀 불명하다. 따라서 MCI로 진단된 경우, 전술과 같이 MCI는 여러 가지 타입의 인지증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는 조기의 리스크 관리와 MCI 치료가 바람직한 것은 자명하다.
실제로, 공지의 인지증 치료약에 대해, MCI로의 효과를 확인할 목적으로 많은 임상시험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지증 질환 치료 가이드 라인"에 의하면, 인지증 치료약으로서 저명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 저해제(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인 도네페질(donepezil)(아리셉트(aricept)),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엑셀론(Exelon)), 및 갈란타민(galantamine)(레미닐, Reminyl)에 대해서는, 결국, MCI 환자에 대한 효과는 매우 한정적 또는 무효이었다라는 결과이고, 이에 따라, 이들 약제에 의한 MCI로부터 인지증과 알츠하이머로의 변화 예방효과는 없었다(동 가이드 라인 제 4 장 경과와 치료 계획, 115항 참조)라고 결론지어져 있다. 이는, 비특허문헌 2에도 명기되어 있다(585항 항목 3을 특히 참조할 것).
그리고 동 가이드 라인에서는, 인지증이 없는 65세 이상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랜덤화 비교시험(RCT)에 있어서, 에스트로겐(estrogen)은 예상에 반하여 인지증이나 MCI 발증 리스크를 유의적으로 상승시켜(동 가이드 라인 115-116항 항목 2. 그 밖의 약제(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인 로페콕시브(rofecoxib)(COX-2 저해약)의 투여라도 예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동 가이드 라인 116항 항목 2. 그 밖의 약제(2)). 또는 인지증 치료약으로서 최근 이용되게 된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은행잎 추출물)와 비타민 E에 대해서도, MCI 환자를 대상으로 한 RCT에서 인지증 예방효과와 알츠하이머로의 변화 예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동 가이드 라인 116항 항목 2. 그 밖의 약제(3) 및 (4)). 추가로, 비타민 E와 도네페질(donepezil)이 MCI로부터 알츠하이머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보고도 존재한다(비특허문헌 3).
따라서, MCI로부터 인지증으로의 이행을 예방하기 위해 유효한 약물, 및 MCI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과 약제는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고, MCI의 예방 및 치료제의 조기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바이다.
실로스타졸(Cilostazol)은, 오츠카 제약(Otsuka Pharmaceutical Co., Ltd.,)으로부터 "프레탈(Pletal)"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이 이외에도 많은 후발품(generic drug)이 존재하는 항(抗)혈소판 약이다. 실로스타졸은, 혈전 형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혈관 확장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실로스타졸이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고(비특허문헌 4), 실로스타졸의 혈관 내피의 보호작용(비특허문헌 5)과, 내피 비의존적인 혈관 확장에 의한 혈류 개선 효과(비특허문헌 6)에 대해서도 공지된 것이다. 또한, 실로스타졸이 아밀로이드β(amyloid beta)(이하, 단지 "Aβ"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단백질의 집적(集積)을 감소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또, 실로스타졸을 구체적인 질환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몇 가지의 문헌이 있고,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β 단백질 유도성의 인지 장해, 알츠하이머의 치료에 이용되는 것(비특헌문헌 7)과, 인지증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비특허문헌 8)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실로스타졸이 아밀로이드 β 단백질 유도성의 기억장해와 산화 스트레스를 저해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9). 또, 특허문헌 1에는, 실로스타졸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의 치료가 가능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서는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그 치료효과를 검증한 것에 지나지 않고, 인간에 있어서의 실로스타졸의 치료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비특허문헌 10에는,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실로스타졸을 투여함으로써 인지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또 알츠하이머에서의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그 밖의 평가방법(ADAS-Jcog, WMS-R, 및 TMT-A)에 대해서도 수치의 변동이 크고, 개선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그리고, 인지기능의 진단에 있어서, MMSE가 가장 우수한 스크리닝 검사(screening test)인 것이 상기 가이드 라인의 제 II 장, 32항에 기재되어 있다). 또는 비특허문헌 11에는, 실로스타졸과 도네페질의 병용 투여에 의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MMSE 스코어의 개선 경향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실로스타졸 단독의 효과라고는 할 수 없다.
결국, 실로스타졸이 단독으로 MCI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에 대해, 지금까지 데이터와 함께 개시된 것은 실질적으로 없고, MCI가 여러 가지 인지증과 알츠하이머 전(前)단계의 질환으로서 생각되어 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효한 치료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중추 신경계의 뇌에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과 시누클레인 단백질(synuclein protein), 유비퀴틴화 단백질(ubiquitinated protein), 아밀로이드 단백질(amyloid protein), 프리온 단백질(prion protein) 등의 유해 단백질이 축적하여 뇌신경 기능의 기능 저하를 초래하나, 고령자는 이들 유해 단백질 중 한 종류만이 축적되는 경우은 적고, 많은 증례에서는 복수의 유해 단백질이 축적되어, 그 종류와 정도는 각 개인에 따라 다르다(비특허문헌 1, 12).
이와 같은 유해 단백질이 축적함으로써, MCI와 같은 인지기능 장해가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MCI 환자의 60∼70%에서 아밀로이드 β의 축적이 확인되고(비특허문헌 13), 이 배출이 MCI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해 단백질의 공통되는 배출경로로써, 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간질류)에 의한 배출이 존재하나(비특허문헌 14), 현재로는 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간질류)를 충분히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나 약제는 알려져 있지 않다.
Saito Y and Murayama S, Neuropathology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athology (2007) 27(6): 578-584
정신경지(Psychiatria et Neurologia Japonica)(2011) volume 113, No. 6, pp. 584-592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June 9, 2005) vol. 352 No. 23, pp. 2379-2388
Br J Pharmacol (2011) 72: 634-646/Lancet Neurol (2010) 9: 959-968
Stroke (2012) 43: 499-506
Stroke (1989) 20: 668-673
Biochem Biophys Res Commun (May 20, 2011) 408(4): 602-8
J pn J Radiol (2010) 28: 266-272
Br J Pharmacol (Dec, 2010) 161(8): 1899-912
Geriatr Gerontol Int (2013) 13: 90-97
Am J Psychiatry (2009) 17: 4-5
Johnson WG., Late-onset neurodegenerative diseases-the role of protein insolubility, J Anat (2000) (Pt 4): 609-616
노년기 인지증 연구회지(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Japanese Research Group on Senile Dementia)(2011) vol. 18, pp. 84-88
Weller RO, Djuanda E, Yow HY, and Carare RO, Lymphatic drainage of the brain and the pathophysiology of neurological disease, Acta Neuropathol (2009) 117(1): 1-14
불가역적으로 변성한 신경세포를 재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인지기능 정상 고령자 또는 경도로 인지기능이 장해된 환자에 있어서, 뇌에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의 배출을 촉진하고, 뇌신경 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과 치료약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특히, MCI로부터 인지증으로의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유효한 약물, 및 MCI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과 약제는,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고, MCI의 예방 및 치료제의 조기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뇌혈관 주위의 간질류를 개선시켜 배수경로(drainage pathway)를 개재하여,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을 충분히 클리어런스(clearance) 시킬 수 있는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또는 간질류 개선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MCI에서 뇌신경 기능의 유지와 향상을 위한 중추 신경계에 있어서의 유해 단백질의 충분한 배출 촉진을 갖는, 뇌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간질류) 개선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약은,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간질류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은 단백질 특이적인 수용체(receptor)나 항원 항체반응을 개재한 배출계가 아닌, 모든 단백질에 공통되는 보편적인 배출계이다. 여기서, 유해 단백질이란, 본래의 기능을 잃었거나 또는 기능이 저하된 단백질이고, 중추신경 세포기능에 무익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해를 끼치는 단백질이며, 예를 들어, 타우 단백질(tau protein), 시누클레인 단백질(synuclein protein), 프리온 단백질(prion protein), 아밀로이드 단백질(amyloid protein)과 유비퀴틴화 단백질(ubiquitinated protein) 등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후, 뇌혈관 주위의 간질류를 개선하고,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을 클리어런스 함으로써 MCI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이, 이하의 일반식(1):
[식 중, A는 탄소수 1∼6개의 직쇄(straight-chain) 알킬렌기(alkylene group), R은 탄소수 3∼8개의 시클로알킬기(cycloalkyl group), 카르보스티릴 골격(carbostyril skeleton)의 3위와 4위간의 결합은 1중결합 또는 2중결합이다]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에 의해, MCI를 비롯한 유효환 치료법이 없었던 유해 단백질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발명자들은 더욱 예의 검토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뇌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간질류)를 개선시켜,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MCI를 비롯한 유효한 치료법이 없었던 유해 단백질 축적으로 인한 뇌신경 기능의 저하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의약은,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는 현재에 있어서, 고령자의 생활향상, 개호 부담경감, 의료비 삭감 등에 의해 보다 많은 사회적 공헌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혈관 주위의 간질액 배출경로(drainage pathway)에 있어서, 침착(沈着)된 유해 단백질로 인해 배출기구가 저해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혈관 주위의 간질액 배출경로의 흐름이 개선되어, 유해 단백질이 배출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3(a)은 AIR군이며, 도 3(b)은 CO2군이다.
도 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4(a)는 AIR군이며, 도 4(b)는 CO2군이다.
도 5는,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CO2 공급 후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CO2 공급 후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형광표식 Aβ1-40을 선조체(striate)에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2922㎛ 떨어진 연수막(leptomeninges)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422㎛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507㎛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측뇌실(lateral ventricle)의 주입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0의 평균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측뇌실의 주입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0의 최대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통상 먹이 투여군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 침착의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3(a)은 전두엽(frontal lobe)이며, 도 13(b)은 해마(hippocampus)이다.
도 1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부여군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 침착의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4(a)는 전두엽이며, 도 14(b)는 해마이다.
도 15는,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 및 비투여군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과의 시간 견당식(見當識)(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과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문장지시(MMSE의 제 9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시각 구성(MMSE의 제 1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인지증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 및 비투여군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투여 하에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아세틸콜린 투여 하에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donepezil)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시간 견당식(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장소 견당식(MMSE의 제 2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시간 견당식(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장소 견당식(MMSE의 제 2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는,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혈관 주위의 간질액 배출경로의 흐름이 개선되어, 유해 단백질이 배출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3(a)은 AIR군이며, 도 3(b)은 CO2군이다.
도 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4(a)는 AIR군이며, 도 4(b)는 CO2군이다.
도 5는,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CO2 공급 후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CO2 공급 후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형광표식 Aβ1-40을 선조체(striate)에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2922㎛ 떨어진 연수막(leptomeninges)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422㎛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507㎛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측뇌실(lateral ventricle)의 주입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0의 평균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측뇌실의 주입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0의 최대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통상 먹이 투여군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 침착의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3(a)은 전두엽(frontal lobe)이며, 도 13(b)은 해마(hippocampus)이다.
도 1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부여군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 침착의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4(a)는 전두엽이며, 도 14(b)는 해마이다.
도 15는,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 및 비투여군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과의 시간 견당식(見當識)(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과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문장지시(MMSE의 제 9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MCI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시각 구성(MMSE의 제 1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인지증 환자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투여군 및 비투여군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투여 하에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아세틸콜린 투여 하에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donepezil)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시간 견당식(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장소 견당식(MMSE의 제 2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MMSE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시간 견당식(MMSE의 제 1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과의 장소 견당식(MMSE의 제 2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는, MMSE가 21점 이하의 MCI 환자군에 있어서, 도네페질 염산염 투여군과, 실로스타졸 및 도네페질 염산염 병용군의 지연 재생(MMSE의 제 5 항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 업자가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히 치환한 다른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간질류 개선약과, 유해 단백질 축적으로 인한 뇌신경 기능 저하에 기인하는 질환, 특히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1) 간질류 개선약
본 발명에 의하면, 뇌혈관 주위의 간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간질류 개선약이 제공된다. 여기서 "간질류"란, 세포간극류라고도 불리고, 신경세포의 대사물이 세포간극(intercellular space)을 흘러 최종적으로 혈관 주위에 모아진 후, 배출계인 혈관 주위의 배출경로(뇌내의 혈관망과 병행하여 존재하는 뇌간질류 경로)를 지나 뇌 밖으로 배출되어 가는 간질액의 흐름을 말하며, 특히, 혈관 중막(vascular media)에 있는 평활근 세포의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따르는 경로의 간질류 흐름을 말한다. 림파관이 없는 뇌에 있어서는, 특히 본 경로는 유해 단백질을 포함한 노폐물 배설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간질류 개선"이란,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의 축적에 의해 정체된 간질류를, 어떤 방법으로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뇌혈관 주위의 간질류를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간질류 개선약은, 간질류를 개선시켜 중추 신경계, 특히 뇌혈관 주위의 유해 단백질을 충분의 제거할 수 있다.
(1-1) 화합물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carbostyril derivative)(이하, 화합물(1)이라 기재한다) 또는 이 염(salt)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여기서, 일반식(1) 중, A는 탄소수 1∼6개의 직쇄 알킬렌기(alkylene group), R은 탄소수 3∼8개의 시클로알킬기(cycloalkyl group), 카르보스티릴 골격의 3위와 4위간의 결합은 1중결합 또는 2중결합이다.
A는,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methylene group), 에틸렌기(ethylene group), 프로필렌기(propylene group), n-부틸렌기(butylene group), n-펜틸렌기(pentylene group), 또는 n-헥실렌기(hexylene group)이고, 바람직하게는 n-부틸렌기이다.
R은,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프로필기(cyclopropyl group), 시클로부틸기(cyclobutyl group), 시클로펜틸기(cyclopentyl group), 시클로헥실기(cyclohexyl group), 시클로헵틸기(cycloheptyl group), 또는 시클로옥틸기(cyclooctyl group)기 이고,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기이다.
화합물(1)로서 바람직하게는, A가 n-부틸렌기이고, R이 시클로헥실기이며, 카르보스티릴 골격의 3위와 4위간의 결합이 1중결합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간질류 개선약은, 6-[4-(1-시클로헥실-1H-테트라졸(tetrazole)-5-일(yl))부톡시(butoxy)]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dihydrocarbostyril)(실로스타졸) 또는 이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의하면, 뇌혈관벽을 흐르는(세포간극을 흘러, 최종적으로 혈관벽 내를 흘러 배설되어 간다) 간질류를 개선시켜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을 충분히 클리어런스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의 클리어런스란, 후술하듯이, 주로, 혈관 주위 간질액의 배출경로를 개재하여 유해 단백질을 배출시키는 것이고, 이 배출경로는, 혈관 중막에 있는 평활근 세포의 기저막을 따르는 간질류의 경로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인간 외에, 예를 들어, 원숭이, 소(calf), 말(horse), 돼지(swine), 양(sheep), 개(canine), 고양이(feline), 랫트(rat), 마우스(mouse) 등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화합물(1)은,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산(酸)을 작용시킴으로써 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용 가능한 산으로는, 얻어진 염이 약리적(pharmaceutically)으로 허용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와 같은 산으로는, 예를 들어, 황산(sulfu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취화수소산(hydrobromic acid) 등의 무기산, 옥살산(oxa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등의 유기산이 예시된다.
(1-2) 제형(Dosage Form)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예를 들어, 정제(tablet), 과립제(granules), 세립제(subtle granules), 캡슐제(capsules) 등과 같은 경구 투여의 제제,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다양한 액체 제제(formulation), 또는 주사제, 좌제(suppositories)와 같은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구투여 제제의 경우,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예를 들어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과, 분산제 및/또는 용해 개선제를 제제 담체(carrier)와 함께, 정제, 과립제, 세립제, 캡슐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製劑化)하여 얻을 수 있다. 분산제 및/또는 용해 개선제를 배합함에 따라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 분산성 및/또는 용해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제제 담체로는, 부형제(excipient), 결합제(binder), 붕괴제(disintegrator), 활택제(lubricant), 및 가소제(plasticiz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백당(saccharos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만니톨(mannitol), 젖당(lactose), 포도당(glucose), 전분(starch),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카올린(kaolin), 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저치환도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low substituted 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호박산염(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 규산염(silic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포도당액(glucose solution), 전분액(starch solution), 젤라틴액(liquefied gelatin),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건조전분(dried starch), 탄산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yl stearate), 전분(starch),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sodium carboxymethylstarch),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택제(lubricant)로는, 예를 들어, 정제탈크(purified talc), 스테아르산염(stearate), 붕산말(borax powd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콜로이드상 규산(colloidal silicic acid), 경화유(hydrogenated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트리아세틴(triacetin), 구연산 트리에칠(triethyl citrate), 피마자유(castor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 및/또는 용해 개선제로는, 수용성 고분자 및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황산 마그네슘(magnesium lauryl sulfate) 등의 알킬황산염(alkyl sulfate); 데카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decaglyceryl monolaurate), 데카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decaglyceryl monomyristate)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Polyglycerin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monostearate)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polyethylene glycol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ether);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sucrose ester stearate), 자당 팔미틴산(sucrose palmitate)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 의해 경구 제제(製劑)를 제조할 경우,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 1중량부에 대해 분산제 및/또는 용해 개선제를 0.001∼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 및/또는 용해 개선제의 첨가량이 0.001중량부보다 적은 경우는 흡수가 나빠지고, 한편, 첨가량이 100중량부보다 많은 경우는 점막 장해성 등의 독성이나 약사법에 의한 제한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제를 제조(preparation)하는 데에는,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을 상기 제제 담체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로 한다. 과립제 또는 세립제는,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에 상기 제제 담체를 첨가하여, 유동층 조립(造粒), 고속 교반 조립, 교반 유동측 조립, 원심 유동 조립, 압출 조립 등에 의해 과립화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캡슐제는, 불활성인 의료 충전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하고,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이용되는,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미세분말의 평균 입자지름은, 통상 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지름을 갖는 미세분말은, 예를 들어, 해머 밀(hammer mill), 제트 밀(jet mill), 회전 볼 밀(rotary ball mill), 진동 볼 밀(vibration ball mill), 쉐이커 밀(shaker mill), 로드 밀(rod mill), 튜브 밀(tube mill)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화합뮬(1) 또는 이 염을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에 서방성 코팅 기제(Sustained-release coating base material)를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방성 코팅 기제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소화관 하부에 있어서,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용출(溶出) 능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경구액체 제제는, 화합물(1) 또는 이 염과, 감미료(예를 들어, 자당), 보존제(예를 들어,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착색료, 향료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製劑) 중 주사용 제제는, 예를 들어, 액제(液劑), 유탁액(emulsion), 또는 현탁액(suspension)의 형태로 제조되어, 혈액에 대해 등장(isotonic)이 된다. 액체, 유탁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제제는, 예를 들어, 수성매체(aqueous solvent),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polyoxylated isostear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수성매체로는,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매체를 들 수 있다. 물로는, 멸균수(sterile water)가 사용된다. 물을 함유하는 매체로는,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physiologic saline,), PBS(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 또는 젖산(lactic acid) 배합 링거액(ringer solution)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용 제제에 있어서, 화합물(1) 또는 이 염의 함유량은, 제제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0.01∼10㎎/mL, 바람직하게는 0.05∼5㎎/mL이다.
주사용 제제에 있어서,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등장화제(等張化劑), 안정화제(stabilizer), 완충제(buffer), 보존제(preservative),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항산화제(antioxidant), 또는 용해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glucos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등의 당류, 염화 나트륨(sodium chloride),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예를 들어, 붕산 완충제(boric acid buffer), 인산 완충제(phosphate buffer), 구연산 완충제(citrate buffer), 주석산 완충제(tartaric acid buffer), 아세트산 완충제(acetate buffer)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para-hydroxybenzoate ester),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클로로크레졸(chlorocresol),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 나트륨(sodium edetate),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 나트륨(sodium sulfite), 아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ite), 아스코르브산나트륨(sodium ascorbate),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덱스트란(dextran),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at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살리실산 아미드(salicylic acid amide), 니코틴산아미드(nicotinamide),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용 제제에는 pH 조정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pH 조정제는, 산(酸)류라도 염기(鹽基)류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산류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젖산(lactic acid), 붕산(bo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황산(sulfu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염기류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의 유효성분인 화합물(1) 또는 이 염 자체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병상(病狀)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성인(체중 50㎏)의 경우, 통상, 1일당 10∼400㎎, 바람직하게는 100∼200㎎을 1회 또는 2회∼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병용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NMDA 수용체 길항약(acceptor antagonist)인 메만틴염산염(memantine hydrochloride)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β-세크레타제(secretase) 저해약, γ-세크레타제 저해약, 네프릴리신 활성화제(neprilysin activator), 또는 Aβ단백질 백신(protein vaccine)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β-세크레타제 저해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OM99-2, GT-1017, P10-P4'staV 등이다. γ-세크레타제 저해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S, S)-2-아미노사이클로펜테인카복실산(aminocyclopentanecarboxylic acid)(ACPC), 세마가세스타트(Semagacestat) 등이다. 네프릴리신 활성화제(neprilysin activator)는, 예를 들어 소마토스타틴 수용체(somatostatin acceptor)에 대한 합성 작동약 등이다. Aβ단백질 백신은, 항체를 직접 투여하는 수동면역 백신 또는 Aβ 펩티드(peptide)를 아쥬반트(adjuvant)와 함께 투여하는 능동면역 백신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합성 Aβ1-42와 아쥬반트 QS21을 혼합한 근육 내 주사 타입의 백신은, 백신 접종자의 약 6%에 부작용으로써 아급성 수막뇌염(subacute meningoencephalitis)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으나, 섭취량을 억제한 Aβ단백질 백신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을 병용함으로써, 부작용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면서 Aβ 관련 질환의 개선이 기대된다. 또, 예를 들어, γ-세크레타제 저해약을 사용한 경우, 다른 Notch1 등의 분할(segmentation)까지 저해될 가능성이 있고, Notch1은 성체(成體)에서는 면역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에 관여하고 이를 저해하면 면역이상을 일으키는 것을 알고 있는 바, 투여량을 억제한 γ-세크레타제 저해약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을 병용함에 따라, 부작용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면서 Aβ 관련 질환의 개선이 기대된다.
(1-4) 간질류 개선에 관한 작용기서(Mechanism of Action)
cAMP 응답 배열 결합 단백질(CREB)은, 공간 인지와 장기 기억 등 뇌의 고차(高次)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며, 인산화(phosphorylated) 됨으로써 활성화한다. 그리고, "Aβ에는 이 CREB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작용이 있고, 실로스타졸에 의하면, CREB의 인산화를 항진시킬 수 있다" 또는, "실로스타졸은 Aβ의 응집에 관여하는 ApoE 단백질의 발현 레벨을 조정하여, 뇌내 산화 스트레스 레벨을 저하시킴에 의해서도 Aβ의 침착을 방지하고, 인지기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라는 것이, 실로스타졸이 Aβ 침착을 억제하는 공지의 작용기서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은, 간질류를 개선시킴으로써,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다. 이 간질류 개선작용에 관한 메커니즘에 대해 이하, 뇌의 대표적인 유해물질의 하나인 Aβ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산생(production)된 Aβ가 간질류를 타고 뇌로부터 제거되는 경로는 다수 있고, 어느 경로가 어떠한 비율로 기능하고 있는 지는 Aβ의 존재 양태와 존재 위치 등에 따라 다르나, 주로,
(i) 혈액 뇌관문(blood brain barrier: BBB)을 개재한 배출,
(ii) 혈관 주위 간질액의 배출경로(drainage pathway)를 개재한 배출,
(iii) Aβ분해효소인 네프릴리신(neprilysin)에 의한 분해와 성상교세포(astrocyte) 및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 의한 Aβ의 흡수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듯이, Aβ 등의 유해 단백질이 혈관벽에 있는 중막 평활근 세포층에 침착함으로써, 평활근 세포의 기능이 저해되어, 간질류의 구동력인 혈관 맥동(pulsation)이 저하하고, 유해 단백질의 간질액에 의한 배출이 저해된다. 이에 따라 유해 단백질의 클리어런스가 저하되어, Aβ가 응집하고, 이를 거쳐 아밀로이드 섬유(amyloid fibril) 등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의해, 도 2에 나타나듯이, 혈관 중막에 있는 평활근 세포의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따르는 경로를 통과하는 간질류가 개선되어 유해 단백질의 간질액에 의한 배출이 촉진된다. 이로써 유해 단백질의 농도 상승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Aβ에서도 응집하지 않게 되며, 또 아밀로이드 섬유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즉 본 발명의 본질은, 예를 들어 실로스타졸 등의 카르보스티릴(carbostyril) 유도체에 의해, 혈관 중막에 있는 평활근 세포의 기저막을 따르는 경로를 통과하는 간질류가 개선되어 뇌 유해 단백질의 간질액에 의한 배출이 촉진되는 데 있다. 간질류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은 단백질의 종류와 양에 상관없는 보편적인 배출계이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Aβ는, 간질류가 개선되어 배출되는 뇌내 유해 단백질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또, 다운 증후군에 있어서는, 그 원인이 체세포의 21번째 염색체가 1개 더 존재하여, 계 3개(트리소미 증후군, trisomy syndrome) 갖게 됨에 의한 바, APP는 21번째 염색체상에 있고, 또한 Aβ를 생성하는 β-세크레타제(BACE-2) 유전자도 21번째 염색체상에 있음으로 인한 APP의 과잉 복제가 원인이 되어 아밀로이드반(amyloid plaque)의 형성 개시가 관찰된 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의하면, 간질류가 개선되어 산생된 Aβ의 간질액에 의한 배출이 촉진되므로, 아밀로이드 섬유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다운 증후군의 개선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서 망막(retina)은, 간뇌(diencephalon)가 측방으로 돌출한 안포(Optic vesicles)를 기원으로 하며, 망막은 발생학적으로는 뇌의 일부라 할 수 있다. 가령(加齡)에 의해 APP는 망막 신경절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하게 되고, 뇌와 마찬가지로 망막에 있어서도 Aβ의 생산 및 축적이 관찰 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의하면, 간질류가 개선됨으로써 간질액을 개재하여 Aβ의 배출이 촉진되므로, 아밀로이드 섬유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이에 의해 가령 황반(黃斑) 변성증의 개선도 가능하게 된다.
가령황반 변성에는, 신생혈관의 관여가 없고, 망막 색소 상피세포와 맥락막 모세혈관판의 위축을 초래하는 위축형과, 신생혈관이 관여하는 삼출형(exudation type)이 있고, 이 중 고도의 시력장해를 초래하므로 문제가 되는 것은 삼출형이다. 삼출형에서는, 활성산소 등에 의한 손상(damage)에 의해 망막 세포의 일부가 벗겨지고, 망막 색소 상피의 기저면을 따라 유해 단백질인 드루젠(drusen)가 축적된다. 드루젠이 축적됨으로 인해 망막의 안쪽으로부터 신생 혈관이 생성되기 쉬워지고, 증식 조직을 따른 신생혈관으로부터 황반에 출혈과 삼출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반흔화(cicatrization)하여 시력의 저명(著明)한 저하와 중심 암점(central scotoma)을 초래한다. 가령(加齡) 황반 변성 환자의 드루젠에는 Aβ가 고(高) 빈도로 존재하고, 가령 황반 변성과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과의 사이에는 공통의 병태(病態) 발증 기서(mechanism)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에 의하면, 간질류가 개선되어 산생된 Aβ의 간질액에 의한 배출이 촉진되므로, 가령 황반 변성증의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루이 소체병은, α시누클레인(synuclein)이라는 병인(病因) 단백질이 신경세포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나, 이 뇌내에는 Aβ가 높은 비율로 축적하여("통상형" 루이 소체병이라 불린다), 이 발증(發症) 과정에서 Aβ와 α시누클레인, 2개의 병인 단백질의 축적이 상승(相乘)적으로 발증에 기여한다("Examining the mechanisms that link β-amyloid and α-synuclein pathologies," Alzheimers Res Ther. 2012 Apr 30; 4(2): 11). 따라서, 루이 소체병에 있어서, 간질류를 활성화하여 유해 단백질의 배출을 촉진함으로써, Aβ 및 α시누클레인의 축적을 방지하여, 발증의 예방과 진행의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1-5) 용도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간질류 개선약의 구체적인 용도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술의 (1-4)에서 작용 기서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간질류를 개선함으로써 유해 단백질의 간질액에 의해 배출이 촉진됨으로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질환 전반의 치료와 예방을 의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경도 인지 장해,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 전두측두형 인지증, 다운 증후군, 황반변성, 루이 소체병,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의 중추 신경계의 유해 단백질 축적에 관련하는 질환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간질류 개선약은, 이들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화합물(1), 특히 실로스타졸을 포함한 본 발명의 간질류 개선약은,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매우 유용하고, 이 점에 관한 상세한 것은 (2)에서 후술한다.
(2)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
(2-1) 화합물
본 실시형태에 관한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상기 "(1)간질류 개선약"에서 설명한 화합물(1) 또는 이 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화합물의 양태는 상기 (1-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인간 외에, 예를 들어,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트, 마우스 등의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2-2) 경도 인지 장해((MCI)
본 발명에 있어서, MCI란,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의 난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의 종류와 양에 상관없는, 통상, 전술한 "인지증 질환 치료 가이드 라인"의 MCI 판단 기준에 적합한 질환을 말하고, MCI 환자란 이와 같은 병상을 나타내는 환자를 말한다.
이 중,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에서 22∼26점의 MCI 환자에 있어서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인지증 질환 치료 가이드 라인"의 MCI 판단 기준에 적합한 환자라면, 후술하는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MMSE에서 22∼26점의 MCI 환자에 있어서 특히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와 같은 MCI 환자 중,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특히 60세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해, 보다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서, 인지기능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당해 분야에서 빈번하게 채용되고 있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에서의 스코어의 실질적인 평가 기준으로서, 22∼26점이 경도 인지 장해의 의심이 있는 레벨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이 이외에, 20점을 초과하면 자립을 유지하는 레벨(인지증이 아님)이고, 20점 이하는 인지증 의심 레벨이 된다. 또 14점을 하회하면 후견인 제도가 필요한 레벨이고, 그 사이인 14∼20점은, 보좌·보조가 필요한 레벨이 된다. 즉, MMSE 스코어가 1∼2점 정도의 개선이라면 그다지 극적으로 효과가 있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이것이 4점 정도 개선하면, 보좌·보조가 필요 없게 되거나, 자립 가능하게 되므로, 극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도 인지 장애(MCI)는, 고령화에 수반하여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MCI 환자를 치료하여 불가역적인 뇌신경 변성을 예방함으로써, 인지증으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불가역적인 신경변성이 발생하고 있는 인지증 환자에 있어서는 치유될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MCI는 치유될 가능성도 있고, 또 MCI의 증상인 상태로 안정될 가능성도 있으며, 또한 MCI로부터 복수의 다른 증상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다. MCI 환자, 나아가 인지기능이 정상인 고령자에 있어서도, 이미 α시누클레인과 Aβ 등의 유해 단백질이 뇌 내에 축적을 개시하고 있는 것이 증명되어 있고, 유해 단백질의 제거 또는 축적 방지에 관하여, 조기부터 치료를 개시하는 것의 중요성이 인식되고는 있으나, 배경 기술의 난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현 상태에서는 유효한 치료약은 없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MCI는 공지의 여러 가지 인지증과는 구별된 질환으로서 생각되고, 또 공지의 인지증 치료·예방약으로는 치료·예방 효과가 확인되지 않으므로, MCI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제제(製劑)가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을 이용함으로써, MCI의 치료와 각종 인지증으로의 변화(convert)를 방지할 수 있고, 또는 MCI 환자만이 아니라, 인지기능이 정상인 고령자의 인지기능 개선 또는 인지기능의 유지도 기대된다. 특히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의 유효성분인 실로스타졸을 계속적으로 내복(內服)함으로써, MCI환자에 있어서 현저히 인지기능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난다(도 17 등). 이는, 공지된 사정으로부터는 예상조차 할 수 없는 본원 발명의 현저한 효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매우 유용한 신약(新藥)이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인지기능에 대해 규정하기를, 인지증의 인지기능이란, 의사에게 인지증으로 판단된 정도의 인지기능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인지기능이고, 인지증 중에서도 경도의 인지기능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증례도 있고, 중도(重度)의 인지 기능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증례도 있다. 또, MCI의 인지기능은, 인지증에 이르지 않는 정도의 인지 기능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인지기능이다. 따라서 인지기능에 대해 정상 상태에서 기능장해 상태까지 차례로 나열하면, 인지 기능 정상, MCI, 경도의 인지증, 중도의 인지증이 된다. 인지증의 분야에서는, 전술과 같이 인지기능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에 의한 점수가 적합하게 이용되며, 전술과 같이,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MCI 환자 중 MMSE에서 22∼26점의 인지기능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해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 MCI 환자 중,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60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해 더욱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AD 치료약으로는 MMSE 스코어가 매우 조금 밖에 개선되지 않는(치료군과 비치료군의 값의 차가 높아도 1정도) 한편, 실시예(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MMSE의 스코어를 4 정도 개선한다는 현저히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MMSE 항목 중, 제 1 항목의 시간 견당식, 제 5 항목의 지연 재생, 제 9 항목의 문장에 의한 지시, 제 11 항목의 시각 구성 등, 높은 레벨의 인지기능을 필요로 하는 각 항목, 즉 신경 변성 질환에서 침범되기 쉬운 인지영역을 필요로 하는 항목에 있어서 큰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실시예(5)에서 구체적으로 후술되듯이, 인지증 환자(특히 MMSE 값이 21점을 하회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그다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런데,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은 그 전구(前驅) 단계로써 MCI를 경유하나,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에 의한 미소(微小)출혈을 화상상 볼 수 있는 MCI 증례에서는, 미소출혈을 수반하지 않는 것에 비해, 인지증으로의 이행이 2.6배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고(Staekenborg SS, et al. Stroke 2009), 또한 MCI의 전구 단계로서 루이 소체형 인지증이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Mild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underlying Alzheimer's disease versus Lewy body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12 Jan; 18 Suppl 1: S41-4), MCI의 단계에서의 조기 치료가,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과 루이 소체병으로 인한 인지증 등 질환으로의 이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3) 병용제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유효 성분으로서, 화합물(1) 또는 이 염과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acetylcholinesterase) 저해약을 조합하여도 된다.
상술한 화합물(1)에 있어서, A가 n-부틸렌이고, R이 시클로헥실(cyclohexyl)이며, 카르보스티릴 골격의 3위와 4위간의 결합이 1중결합인 경우는 특히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MCI 개선약은, 6-[4-(1-시클로헥실-1H-테트라졸(tetrazole)-5-일(yl))부톡시(butoxy)]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dihydrocarbostyril)(실로스타졸) 또는 이 염과,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저해약을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약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도네페질 염산염(donepezil hydrochloride), 리바스티그민주석산염(rivastigmine tartrate), 갈란타민 취화수소산염(galantamine hydrobromide), 또는 메만틴염산염(memantine hydrochloride)이고, 바람직하게는 도네페질 염산염이다.
화합물(1) 또는 이 염과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과의 병용 투여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여기서는, 화합물(1) 또는 이 염을 C라고 하고,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을 A라 한다. 즉, (i) C와 A를 동시에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단일 제제의 투여, (ii) C와 A를 개별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류 제제의 동일 투여 경로에서의 동시 투여, (iii) C와 A를 개별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류 제제의 동일 투여 경로에서의 시간차 투여, (iv) C와 A를 개별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류 제제의 다른 투여 경로에서의 동시 투여, (v) C와 A를 개별로 제제화하여 얻어지는 2종류의 제제의 다른 투여 경로에서의 시간차 투여이다.
(2-4) 투여량·투여제형
상기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의 투여량은, 임상상 이용되는 용량을 기준으로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써, 실로스타졸 또는 이 염의 투여량은, 성인으로 1일당 30∼400㎎을 1회 또는 2회∼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네페질 염산염의 투여량은, 성인으로 1일당 1∼10㎎을 1회 또는 2회∼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상기 (1-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간질류 개선약과 마찬가지로, 경구 투여의 제제, 경구 투여에 적합한 여러 가지 액체 제제, 또는 주사제, 좌제와 같은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MCI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은, 본 발명의 "간질류 개선약"과 마찬가지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과 병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화합물(1) 또는 이 염과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과의 배합비는, 투여 루트, 증상, 연령, 이용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통상은, 이용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저해약의 일반적인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일례로써, 실로스타졸 또는 이 염과 도네페질 염산염과의 배합비는, 실로스타졸 또는 이 염: 도네페질 염산염을 50: 1∼20: 1로 할 수 있다.
MCI 환자 중, 70∼80%가 약 5년후에는 인지증으로 이행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MCI를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으므로, MCI를 조기 치료함으로써 인지증으로의 이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로스타졸에 의한 혈관 박동 구동력의 향상
중추 신경계의 뇌 간질류에서는, 동맥의 혈관 박동에 의한 혈관벽 운동이 구동력이 되어, 유해 단백질의 배출을 행하고 있다(Mechanisms to explain the reverse perivascular transport of solutes out of the brain. J Theor Biol. 2006 Feb 21; 238(4): 962-74). 혈관 박동에서의 동맥 확장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 동맥 내 혈액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나, 동맥의 확장기능이 저하함에 따라, 혈관벽 운동이 감약(減弱)하고, 간질류도 저하한다. 노령 마우스나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의 존재 하에서는, 뇌동맥의 혈관탄성(flexibility)이 저명하게 저하되고, 혈관벽 운동이 감약하므로, 유해 단백질의 배출기이 저하한다(Perivascular drainage of solutes is impaired in the ageing mouse brain and in the presence of cerebral amyloid angiopathy," Acta Neuropathol. 2011 Apr; 121(4): 431-43). 뇌동맥의 혈관탄성 정도는,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에 대한 반응성을 이용하면 평가가 가능하다. 즉, 뇌동맥의 혈관탄성이 유지되어, 혈관 박동 구동력이 유지되는 뇌동맥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에 대해 혈관 지름을 충분히 확장하는 능력을 가지며, 간질류를 개재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능이 유지되는 한편, 뇌동맥의 혈관탄성이 저하되어 혈관 맥동에 따른 구동력이 저하하는 뇌동맥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에 대해서도, 혈관지름을 충분히 확장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있으며, 유해 단백질의 배출능이 저해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유해 단백질 축적 모델 동물로서,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을 중심으로 한 병리 변화를 나타내는 모델 마우스(Tg-SwDI 마우스)(Davis et al, 2004)를 사용하여, 뇌동맥의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 반응성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1.5개월령의 수컷 Tg-SwDI 마우스를 16마리 준비하고,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n=9)과 통상 먹이 투여군(n=7)의 2군으로 분류하여, 15개월령까지 사육하였다.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의 실로스타졸 농도는 0.3중량%이었다. 그리고, 1.5개월령의 Tg-SwDI 마우스는 뇌혈관의 Aβ가 축적을 시작한 초기 단계, 즉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의 초기 단계라 생각되고, 뇌내의 신경세포의 괴사(壞死)는 그다지 진행하지 않은 단계라 생각된다.
사육 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대해, 1.5%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의 흡입 마취 하에서, Tg-SwDI 마우스를 고정하여,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5% CO2를 공급한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5% CO2를 공급한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율을 조사하였다. 뇌혈관 지름의 측정은, 두개골을 5㎜×5㎜로 절제(切除)한 관찰 창을 작성하여, 미정맥(caudal vein)으로부터 FITC-덱스트란(dextran)을 주입함으로써 혈관을 가시화 하였다.
도 3은,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3(a)은, CO2를 첨가하지 않는 공기의 공급군(AIR군)이며, 도 3(b)은 CO2를 첨가하여 최종 농도로써 CO2를 5% 포함한 공기의 공급군(CO2군)이다. 도 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표 혈관상이고, 이 중 도 3(a)은 AIR군이고, 도 3(b)은 CO2군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스케일바(scale bar)는 50㎛이다. 도 3 및 도 4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AIR 공급 시에는, 통상 먹이 투여군(도 3의 (a)) 및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도 4의 (a))에서는 뇌동맥 지름에는 차이가 없으나(각각의 동맥 지름은 18.6±2.35㎛ 및 18.9±1.10㎛ [평균±표준오차, 이하 동일], p>0.10), CO2 공급 시에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도 4의 (b))은, 통상 먹이 투여군(도 3의 (b))보다 CO2 흡입에 의한 뇌표 동맥 혈관의 확장이 양호하다는 것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통계학적인 이산화탄소 농도 반응성에 관한 검토에서도, 실로스타졸의 투여에 의해 CO2 공급에 의한 뇌동맥 혈관 확장능이 유의(有意)하게 향상하는 것이 판명하였다(도 5).
도 6은 생후 4개월에서 12개월로,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CO2 공급에 의한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전항(前項)의 마우스와 마찬가지로, CO2 공급 전은, 통상 먹이 투여군의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에 있어서, 뇌동맥 지름에는 차이가 없으나(각각의 동맥지름은 20.0±2.78㎛ 및 21.3±3.85㎛, p>0.10), CO2 공급에 의한 뇌동맥 혈관 확장능(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율)이 실로스타졸의 투여에 의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는 것이 판명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유해 단백질의 배출계로써 중요한 뇌 간질류의 원동력인 혈관 박동 구동력이, 실로스타졸의 투여에 의해 향상하는 것을 나타낸다.
(2) 실로스타졸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 촉진 효과
실로스타졸에 의한 간질류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로스타졸에 의한 유해 단백질 배출 촉진 효과의 검증을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 모델을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간질류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은, 특이적 수용체(receptor)나 항원항체 반응을 개재한 배출계와 전혀 다르고, 단백질의 종류와 양은 상관없는 보편적인 배출계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Aβ는, 간질류가 개선되어 배출이 촉진되는 뇌내 유해 단백질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n=4)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n=3)에 대해, 1.5% 아이소플루레인의 흡입 마취 하에, 복와위(prone position)로 Tg-SwDI 마우스를 고정하여, 두피의 정중 절개(midline incision) 후, 32G 마이크로 피펫(micropipette)을 이용하여,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형광표식 Aβ1-40을 Tg-SwDI 마우스의 선조체(브레그마(bregma) 전방 0.98㎜, 측방 1.5㎜)에, 정위 뇌수술적으로 30초간 주입하였다. 뇌 표면으로부터 선조체의 주입 부위까지는 깊이 3.0㎜이고, 형광표식 Aβ1-40은 AnaSpec(San Jose, CA, US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형광표식 Aβ1-40을 주입하고 나서 30분 후에 뇌를 꺼내어, 0.01M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탈혈(脫血) 처리를 행하고,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하여 순간 동결한 뇌 블록을 크라이오스탯(cryostat)에서 20미크론으로 얇게 잘라 주입 부위의 전후 방향에 관상단(coronal cross section)으로 연속 절편(serial section)을 작성하여 프레파라트(preparat)를 제작하고, 프레파라트를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8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2922㎛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9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422㎛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0은,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주입 부위로부터 3507㎛ 떨어진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에 있는 형광표식 Aβ1-4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도 10에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서는, 주입 부위로부터 이동한 Aβ는 연수막 혈관의 혈관 주위강(perisinusoidal space)에 위치하고, 혈관 주위 간질액의 배출경로를 개재하여 Aβ가 클리어런스 되는 것이 나타났다.
도 11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선조체의 주입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0의 평균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사육 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선조체의 주입 부위로부터 연수막 혈관의 축적 부위까지의 형광표식 Aβ1-4의 최대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는,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보다 Aβ의 클리어런스가 촉진되어 있고, 이들 결과로부터 실로스타졸 투여에 의해 유해 단백질의 배출이 촉진되는 것이 나타난다.
(3) 실로스타졸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뇌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drainage pathway)로의 침착 억제효과
실로스타졸에 의한 간질류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로스타졸에 의한 뇌혈관 주위 림파 배액로의 유해 단백질 침착 억제 효과의 검증을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 모델을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간질류에 의한 유해 단백질의 배출은, 특이적 수용체나 항원항체 반응을 개재한 배출계와 전혀 다르고, 단백질의 종류와 양에 상관없는 보편적인 배출계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Aβ는, 실로스타졸에 의해 간질류가 개선되어 뇌혈관 주위의 림파 배액로의 침착이 억제되는 뇌내 유해 단백질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에,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뇌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관류(perfusion) 고정하여, 꺼낸 뇌를 하루에 걸쳐 탈수 처리를 행하고 나서, 고정한 뇌조직의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여, 파라핀 블록을 마이크로톰(microtome)에 의해 6 미크론으로 얇게 절단하여 프레파라트를 제작하고, Aβ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법에 의해, 혈관벽에 침착 되어 있는 Aβ를 현미경 관찰하였다. 화상분석 소프트 웨어는 ImageJ(NIH)를 이용하였다. 조직 절편(tissue slice)의 전두엽 및 해마역 내에서 무작위로 5부위를 선택하여, 200배 시야로 사진을 찍었다. 측정한 데이터는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13은,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침착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3(a)은 전두엽이며, 도 13(b)은 해마이다. 도 14는,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의 혈관 주위 Aβ침착의 사진도이고, 이 중 도 14(a)는 전두엽이며, 도 14(b)는 해마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전두엽 및 해마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는,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보다 혈관 주위에 침착 되어 있는 Aβ가 적었다.
도 15는,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혈관 주위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혈관 주위 Aβ의 상대적 감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듯이,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는,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보다 혈관 주위 Aβ의 침착이 억제되며, 이들의 결과로부터 간질류의 경로인 뇌혈관 주위의 유해 단백질의 침착이 실로스타졸 투여에 의해 억제되는 것이 나타났다.
(4) MMSE값이 22점 이상 26점 이하인 고령자에 대한 임상적 치료 효과
가령에 의한 타우 단백질, 시누클레인 단백질,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 단백질 등 신경기능의 장해를 초래하는 유해 단백질이 뇌 내에 서서히 축적된다. 축적되는 유해 단백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초기에는 경도의 인기기능의 장해가 관찰되나, 이 시점에서는 뇌신경 조직의 불가역적인 신경세포 변성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유해 단백질의 주요한 배출경로의 하나인 간질류의 활성화를 행함으로써, 경도의 인지기능 장해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MMSE값이 22점 이상 26점 이하이고,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가 의심되는 환자의 실로스타졸의 계속적인 내복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996년에서 2012년 사이에 실로스타졸이 투여된 기록이 존재하는 연속 증례(합계 3183 증례)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행하여, 하기 조건에 합치하는 전 증례를 이용한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본 검토에서는 항인지증 약의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 도네페질 등의 항인지증 약이 투여된 환자는 모두 해석에서 제외하였다.
<선택조건>
(i) 인지기능의 일반적 검사인 mini mental state exam(MMSE)이 2회 이상 실시되고, 그 간격이 6개월 이상이다(3회 이상 실시한 증례는, 첫 회 및 최종회 2회의 검사결과를 선택하였다).
(ii) 첫 회 MMSE값이 22점 이상 26점 이하이다.
(iii) MMSE 관찰기간 중 적어도 절반 이상의 기간 실로스타졸을 투약한 증례를,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한 군(이하, 치료군)으로서 선택하였다.
(iv) MMSE 관찰기간 중 실로스타졸의 투약이 2개월 이하의 증례를,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이하, 비치료군)으로서 선택하였다.
<해석항목>
(i) 각 군의 MMSE값의 변화율(산출방법: [최종회 MMSE값-첫 회 MMSE값]/ MMSE의 관찰기간[년]).
(ii) 각 군의 MMSE 각 검사항목의 득점 변화율(산출방법: [최종회 MMSE 각 검사항목의 득점-첫 회 MMSE 각 검사항목의 득점]/ MMSE의 관찰기간[년]).
그리고, 2군간의 비교에서, 비율의 차이는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으로, 이 외에는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였다.
<결과>
3183증례 중, MCI 비(非)치료군 9증례, MCI 치료군 31증례가 선택 조건에 합치하였다. 각 군의 배경인자는, 연령(비치료군 81.3±2.2세, 치료군 76.6±1.2세, P=0.07)[평균±표준오차, 이하 동일], 첫 회 시의 MMSE값(비치료군 23.7±0.4, 치료군 23.7±0.2, P=0.87), MMSE의 관찰기간(비치료군 773±144일, 치료군 645±74일, P=0.42), 남성의 비율(비치료군 56%, 치료군 35%, P=0.28)이고, 비치료군과 치료군에서는 환자 배경인자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치료군은, 설사와 두통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실로스타졸의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환자군이고, 중추 신경계의 임상병태 및 배경인자는 첫 회 MMSE 검사 시에는 치료군과 비치료군은 거의 동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MMSE값의 변화율에 관해서는, 비치료군 -3.8±1.3(/년), 치료군 0.4±0.7(/년)이고, 실로스타졸을 계속적으로 내복함으로써, MCI 환자에게 유의하게 인지기능이 향상하는 것이 나타났다(도 17, P=0.007).
그리고, MMSE값 변화율의 항목별 해석으로 2군간에 유의적인 차가 확인된 항목은, 제 1 항목의 시간 견당식(見當識)(비치료군 -0.87±0.30, 치료군 -0.13±0.16, P=0.03. 도 18), 제 5 항목의 지연 재생(비치료군 -0.66±0.24, 치료군 0.16±0.13, P=0.004. 도 19), 제 9 항목의 문장에 의한 지시(비치료군 -0.33±0.10, 치료군 0.01±0.06, P=0.008. 도 20), 제 11 항목의 시각구성(비치료군 -0.38±0.15, 치료군 0.03±0.08, P=0.02. 도 21)의 4항목이었다. 제 11 항목의 시각구성 장해는 루이 소체 인지증으로 이행하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으나, 노년기의 MCI환자에 있어서는 정도의 차는 있으나 대부분의 증례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과 α시누클레인 등의 유해한 단백질의 뇌내 축적의 관여가 시사되고, 본 실시예의 결과는, 실로스타졸에 의한 간질류 개선의 치료효과가, 루이 소체 인지증의 전(前)단계를 포함하는 MCI환자에게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도면 중의 *은 통계학적으로 P<0.05이고 유의적인 차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5) 인지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치료 효과의 부존재
인지증 환자의 실로스타졸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증례 보고가 있으나("혈관성 위험 인자를 갖는 인지증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시세이카이 제 2 병원 신경내과 2011년 뇌졸중 학회 총회 포스터 발표), 이들은 비교 대상군이 설정되지 않은 보고이고, 과학적 유용성은 매우 낮으며, 참고로 할 가치가 전혀 없다. 인지증 환자에게는 상당 이상의 불가역적인 신경변성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 간질류 개선약의 작용 기서로부터 고려하면, 인지증 환자에 있어서는 간질류 개선약의 충분한 치료 효과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인지증 환자에 있어서 실로스타졸의 계속적인 내복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996년부터 2012년 사이에 실로스타졸이 투여된 기록이 존재하는 연속 증례(합계 3183 증례)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행하여, 하기 조건에 합치하는 전(全) 증례를 이용한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항인지증 약의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 도네페질 등의 항인지증 약이 투여된 환자는 모두 해석으로부터 제외하였다.
<선택조건>
(i) 인지기능의 일반적 검사인 mini mental state exam(MMSE)이 2회 이상 실시되고, 그 간격이 6개월 이상이다(3회 이상 실시한 증례는, 첫 회 및 최종회 2회의 검사결과를 선택하였다).
(ii) 첫 회 MMSE값이 21점 이하이었다.
(iii) MMSE 관찰기간 중 적어도 절반 이상의 기간 실로스타졸을 투약한 증례를,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한 군(이하, 치료군)으로서 선택하였다.
(iv) MMSE 관찰기간 중 실로스타졸의 투약이 2개월 이하의 증례를,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이하, 비치료군)으로서 선택하였다.
<해석항목>
(i) 각 군의 MMSE값의 변화율(산출방법: [최종회 MMSE값-첫 회 MMSE값]/ MMSE의 관찰기간[년]). 그리고, 2군간의 비교에서 비율의 차이는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으로, 그 외는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였다.
<결과>
3183증례 중, 인지증의 실로스타졸 비치료군 9증례, 치료군 19증례가 선택조건에 합치하였다. 각 군의 배경인자는, 연령(비치료군 80.7±3.2세, 치료군 78.5±2.2세, P=0.57)[평균±표준오차, 이하 동일], 첫 회 시의 MMSE값(비치료군 16.3±2.0, 치료군 15.0±1.3, P=0.58), MMSE의 관찰기간(비치료군 821±125일, 치료군 565±86일, P=0.10), 남성의 비율(비치료군 67%, 치료군 63%, P=0.86)이고, 비치료군과 치료군에서는 환자 배경인자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치료군은, 설사와 두통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실로스타졸의 계속적인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환자군이고, 중추 신경계의 임상병태 및 배경인자는 첫 회 MMSE 검사 시에는 치료군과 거의 동등하다고 생각되었다.
MMSE값의 변화율에 관해서는, 비치료군 -1.2±1.1(/년), 치료군 0.5±0.7(/년)이고, P값은 0.21이었다(도 22). 기보(旣報)로는, 실로스타졸 투여에 의해 혈관성 위험인자를 갖는 인지증에서의 치료 효과의 가능성이 있는 증례가 보고되어 있으나("혈관성 위험 인자를 갖는 인지증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시세이카이 제 2 병원, 신경내과, 2011년 뇌졸중 학회 총회 포스터 발표), 본 연구에서는 실로스타졸 투여군과 마찬가지로 실로스타졸 비투여군에 있어서도 MMSE가 개선되는 증례가 존재하는 것이 판명되어, 결국 인지증에 대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치료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상술의 실시예(4)의 지견(知見)과 종합하여 감안하면, 간질류 개선약인 실로스타졸의 치료 타킷은 이미 인지증을 발증하고 있는 인지증 환자가 아니라, MMSE이 22점 이상 26점 이하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고령자군인 것을 우리는 발견하였다.
(6)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투여 하의 실로스타졸의 혈관 박동력의 향상
중추 신경계의 뇌 간질류에서는, 동맥의 혈관 박동에 의한 혈관벽 운동이 구동력이 되어, 유해 단백질의 배출을 행한다. 혈관 박동에서의 동맥 확장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 동맥 내 혈액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발생하나, 동맥의 확장기능이 저하함으로써, 혈관벽 운동이 감약(減弱)하여, 간질류도 저하한다. 노령 마우스와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의 존재 하에서는, 뇌동맥의 혈관 탄성(유연성)이 저명하게 저하하고, 혈관벽 운동이 감약하므로, 유해 단백질의 배출능(排出能)이 저하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콜린 투여 하의 실로스타졸 투여의 혈관 탄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아세틸콜린에는 혈관 탄성능(彈性能)을 향상시키는 생리 작용이 있는 것은 공지 된 것이나, 이 아세틸콜린을 뇌표에 투여한 경우에,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 모델 마우스와 통상 먹이 투여 모델 마우스와의 혈관 탄성능을 비교하였다.
상기 (1) 실로스타졸에 의한 혈관 탄성능과 마찬가지로, 뇌 아밀로이드 혈관증을 중심으로 한 병리 변화를 나타내는 모델 마우스(Tg-SwDI 마우스) (Davis et al, 2004년)를 사용하였다. 4개월령의 수컷 Tg-SwDI 마우스를 16마리 준비하고,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n=9)과 통상 먹이 투여군(n=7)과의 2군으로 분류하여, 12개월령까지 사육하였다.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의 실로스타졸 농도는 0.3중량%이었다. 각 16마리의 Tg-SwDI 마우스에 대해, 두개골을 지름 2㎜로 절제한 관찰 창을 작성한 후에 경막(硬膜)을 제거하고, 링거액을 관류한 후, 아세틸콜린(100μM)을 100μL/분 속도로 관류하였다. 뇌 혈관을 FITC-덱스트란(dextran)을 이용하여 가시화 한 후에, 투여 전과 투여 개시 3분 후의 혈관 지름의 변화율을 해석하였다.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에,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대해, 1.5%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의 흡입 마취 하에서, Tg-SwDI 마우스를 고정하고,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조사하였다. 뇌혈관 지름의 측정은, 두개골을 5㎜×5㎜로 절제한 관찰 층을 작성하여, 미정맥으로부터 FITC-덱스트란을 주입함으로써 혈관을 가시화 하였다.
도 23은, 사육개시로부터 12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8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에, 1.5개월령의 수컷 Tg-SwDI 마우스를 16마리 준비하고,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n=9)과 통상 먹이 투여군(n=7)과의 2군으로 분리하여, 15개월령까지 사육하고, 이 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혈관 탄성능을 시험하였다. 도 24는, 사육개시로부터 15개월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13.5개월간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 및 통상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에 있어서, 뇌혈관 지름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나듯이, 아세틸콜린을 뇌표에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 함유 먹이 투여군의 Tg-SwDI 마우스는, 통상 먹이 투여군 Tg-SwDI 마우스보다 혈관이 확장되어 있었다. 아세틸콜린 단독 투여의 경우와 비교하여, 실로스타졸과 아세틸콜린을 병용 투여한 경우는, 각별히 혈관 탄성능이 높아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7) 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고 있는 MMSE값이 22점 이상 26점 이하인 고령자에 대한 임상적 치료효과
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며, MMSE검사 시행일 사이에 적어도 1년 이상의 관찰기간을 갖는, 첫 회 MMSE가 26점 이하의 환자를 진료록으로부터 선택하였다. 그 중에서 적어도 관찰기간 내에 실로스타졸을 연속하여 6개월 이상 병용한 기록이 있는 환자를 도네페질 염산염·실로스타졸 병용군(69예), 실로스타졸 내복력이 없는 환자를 도네페질 염산염 단독군(87예)으로 하였다. 실로스타졸은 50∼200㎎/일(day) 아침 저녁 내복한 것이고, 도네페질 염산염은 5㎎/일 1일 1회 복용하였다. 이 중, MCI 환자군으로서 MMSE가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환자를 추출한 바, 도네페질 염산염 단독군(이하, 단독군)은 36예(남성 16명, 여성 20명; 평균 연령 78.4세), 도네페질 염산염·실로스타졸 병용군(이하, 병용군)은 34예(남성 15명, 여성 19명; 평균 연령 77.2세)이었다. 병용군의 실로스타졸의 평균 투여량은, 121㎎/일(day)이었다. 관찰기간 내의 첫 회 MMSE는, 단독군 24.0±1.3점(평균±표준오차), 병용군 24.2±1.5점에서 2군간에 차이는 없었다(p=0.43). 관찰기간은, 단독군 30.4±2.1개월, 병용군 28.6±2.0개월로, 차이가 없었다(p=0.52). 이들 단독군 36예와 병용군 34예를 해석 대상으로 하여, 관찰기간 내에서의 MMSE의 변화율(각 환자의 MMSE 점수의 증감값/MMSE의 관찰기간[년])의 검토를 행하였다. MMSE의 측정은 관찰기간 내에서 적어도 2회 행하고, 그 중 첫 회 및 최종회 2회의 검사결과를 선택하여 통계 처리를 행하였다. MMSE 변화율은 단독군 -2.23±0.69, 병용군 -0.45±0.28으로, 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22)(도 25). 본 결과는, 도네페질 염산염 내복 하에 있는 MCI 환자에 있어서는, 실로스타졸의 추가 내복으로 MMSE의 연간 저하율을 약 80% 억제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MMSE 하위 항목별 해석으로 2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의 변화율(각 항목의 증감값/MMSE의 관찰기간[년])은, 제 1 항목의 시간 견당식(단독군 -0.85 vs. 병용군 -0.16; p=0.003)(도 26), 제 2 항목의 장소 견당식(단독군 -0.31 vs. 병용군 +0.09; p=0.017)(도 27), 제 5 항목의 지연 재생(단독군 -0.28 vs. 병용군 +0.05; p=0.045)(도 28)의 3항목이었다. 초기 MMSE 시행 시에는, 제 1 항목(단독군 3.9±0.2 vs. 병용군 4.1±0.2; p=0.74), 제 2 항목(단독군 4.4±0.1 vs. 병용군 4.3±0.17; p=0.1), 제 5 항목(단독군 2.1±0.2 vs. 병용군 1.9±0.2; p=0.28) 모두, 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실로스타졸이 견당식과 지연 재생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전항 (7)에 나타낸 모델 동물의 결과로부터도 유추되도록, 실로스타졸과 도네페질 염산염의 병용이 MCI에 있어서 유효하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나타났다.
(8) 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고 있는 인지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치료효과의 부존재
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고 있는 인지증 환자의 실로스타졸의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증례 보고가 있으나(특허 공표 2010-527993호 공보 오츠카 제약 주식회사), 이들은 비교 대상군이 설정되지 않은 보고이고, 과학적 유용성은 매우 낮으며, 참고로 할 가치가 전혀 없다.
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고 있는 인지증의 환자군으로서 MMSE가 21점 이하인 환자를 추출한 바, 도네페질 염산염 단독군(단독군)은 51예(남성 17명, 여성 34명; 평균연령 78.2세), 도네페질 염산염·실로스타졸 병용군(병용군)은 35예(남성 14명, 여성 21명; 평균 연령 79.3세)이었다. 병용군에 있어서 실로스타졸의 평균 투여량은, 139㎎/일(day)이었다. 관찰기간 내의 첫 회 MMSE는, 단독군 16.5±0.68점(평균±표준오차), 병용군 15.9±0.72점으로 2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51). 관찰기간은, 단독군 30.2±1.7개월, 병용군 25.8±1.7개월이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8). 이들 단독군 51예와 병용군 35예를 해석 대상으로 하여, 관찰기간 내에서의 MMSE의 변화율(각 환자의 MMSE 점수의 증감값/MMSE의 관찰기간[년])의 검토를 행하였다. MMSE의 측정은 관찰기간 내에 적어도 2회 행하고, 이 중 첫 회 및 최종회의 2회의 검사결과를 선택하여 통계처리를 행하였다. MMSE 변화율은 단독군 -0.90±0.37, 병용군 -0.69±0.47이고, 2군 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72)(도 29). MMSE의 하위 항목에 관해서도, 제 1 항목의 시간 견당식(단독군 -0.16 vs. 병용군 -0.13; p=0.89)(도 30), 제 2 항목의 장소 견당식(단독군 -0.13 vs. 병용군 +0.09; p=0.86)(도 31), 제 5 항목의 지연 재생(단독군 -0.15 vs. 병용군 -0.02; p=0.37)(도 32)은 물론, 모든 항목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실로스타졸의 인지성에 있어서의 유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상술한 실시예의 「(7)도네페질 염산염을 내복하는 MCI 환자에 대한 임상적인 치료 효과」의 지견과 종합하여 감안하면, 도네페질 염산 병용군에 있어서도 간질류 개선약인 실로스타졸의 치료 타킷은 이미 인지증을 발병하고 있는 인지증 환자가 아닌, MMSE값이 22점 이상 26점 이하의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고령자군인 것을 우리는 발견하였다.
MCI를 비롯한, 뇌내의 유해 단백질 축적에 의한 질환 치료에 유익하다.
Claims (7)
-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가, 6-[4-(1-시클로헥실(cyclohexyl)-1H-테트라졸(tetrazole)-5-일(yl))부톡시(butoxy)]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dihydrocarbostyril)인,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MMSE에서 22점 이상 26점 이하인 환자군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4㎛ 이하의 평균 입자지름을 갖는 6-[4-(1-시클로헥실-1H-테트라졸-5-일)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분말이 계면 활성제에 배합되어 있는,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 청구항 5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가, 6-[4-(1-시클로헥실-1H-테트라졸-5-일)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인, 간질류 개선약.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4㎛ 이하의 평균 입자지름을 갖는 6-[4-(1-시클로헥실-1H-테트라졸-5-일)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분말이 계면 활성제에 배합되어 있는, 간질류 개선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35906 | 2012-06-15 | ||
JP2012135906 | 2012-06-15 | ||
JP2012223580 | 2012-10-05 | ||
JPJP-P-2012-223580 | 2012-10-05 | ||
PCT/JP2013/003740 WO2013187075A1 (ja) | 2012-06-15 | 2013-06-14 | 軽度認知障害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800A true KR20150027800A (ko) | 2015-03-12 |
Family
ID=4975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1022A KR20150027800A (ko) | 2012-06-15 | 2013-06-14 | 경도 인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3) | US20150152084A1 (ko) |
EP (1) | EP2862572B1 (ko) |
JP (2) | JP5715303B2 (ko) |
KR (1) | KR20150027800A (ko) |
CN (1) | CN104519884A (ko) |
AU (1) | AU2013275628A1 (ko) |
BR (1) | BR112014031154A2 (ko) |
CA (1) | CA2876371A1 (ko) |
IL (1) | IL236226A0 (ko) |
MX (1) | MX2014015310A (ko) |
RU (1) | RU2015101100A (ko) |
SG (1) | SG11201408323RA (ko) |
WO (1) | WO2013187075A1 (ko) |
ZA (1) | ZA20140913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336A (ko) * | 2016-05-19 | 2019-01-11 |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고쿠리츠쥰칸키뵤 겐큐센터 |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1201408323RA (en) * | 2012-06-15 | 2015-01-29 | Found Biomedical Res & Innov |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KR20180097652A (ko) * | 2015-12-25 | 2018-08-31 |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 아리피프라졸 및 실로스타졸을 포함하는 약물 |
JP6501425B2 (ja) * | 2017-05-31 | 2019-04-17 | 学校法人藤田学園 | Aβ除去システム |
WO2021230131A1 (ja) * | 2020-05-11 | 2021-11-18 | 株式会社島津製作所 | 軽度認知障害治療剤 |
WO2022270663A1 (ko) * | 2021-06-23 | 2022-12-29 |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 도네페질, 실로스타졸 및 아리피프라졸을 포함하는 치매, 인지장애 또는 혈관성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WO2024054201A1 (en) * | 2022-09-06 | 2024-03-14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 OPTOGENETIC ALPHA-SYNUCLEIN AGGREGATION SYSTEM-BASED COMPOUND SCREENING PLATFORM IN PD-hiPSC-mDA NEURONS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18556A1 (en) | 1998-11-02 | 2008-05-22 | Elan Corporation, Plc | Modified Release of Compositions Containing a Combination of Carbidopa, Levodopa and Entacapone |
US20080113025A1 (en) | 1998-11-02 | 2008-05-15 |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 Compositions comprising nanoparticulate naproxen and controlled release hydrocodone |
US20060240105A1 (en) | 1998-11-02 | 2006-10-26 | Elan Corporation, Plc | Multiparticulate modified release composition |
US20090149479A1 (en) | 1998-11-02 | 2009-06-11 |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 Dosing regimen |
US20070122481A1 (en) | 1998-11-02 | 2007-05-31 | Elan Corporation Plc | Modifi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a Fluorocytidi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
US20090297602A1 (en) | 1998-11-02 | 2009-12-03 | Devane John G | Modified Release Loxoprofen Compositions |
US20100247636A1 (en) | 1998-11-02 | 2010-09-30 | Elan Corporation, Plc | Nanoparticulate and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nilvadipine |
US20070160675A1 (en) | 1998-11-02 | 2007-07-12 | Elan Corporation, Plc | Nanoparticulate and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a cephalosporin |
US20080102121A1 (en) | 1998-11-02 | 2008-05-01 |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 Compositions comprising nanoparticulate meloxicam and controlled release hydrocodone |
PL205109B1 (pl) | 1998-11-02 | 2010-03-31 | Elan Pharma Int Ltd | Wielocząstkowa kompozycja metylofenidatu o modyfikowanym uwalnianiu i jej zastosowanie |
US20090297597A1 (en) | 1998-11-02 | 2009-12-03 | Gary Liversidge | Modified Release Ticlopidine Compositions |
TWI323660B (en) | 2003-02-25 | 2010-04-21 | Otsuka Pharma Co Ltd | Pten inhibitor or maxi-k channels opener |
US20110064803A1 (en) | 2005-05-10 | 2011-03-17 |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 Nanoparticulate and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vitamin k2 |
EA200702595A1 (ru) * | 2005-05-23 | 2008-12-30 | Элан Фарма Интернэшнл Лимитед | Композиции контролируем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в форме наночастиц, содержащие ингибитор агрегации тромбоцитов |
WO2007037790A2 (en) | 2005-06-08 | 2007-04-05 | Elan Corporation, Plc | Modified release famciclovir compositions |
TWI489983B (zh) * | 2007-05-22 | 2015-07-01 | Otsuka Pharma Co Ltd | 用於治療阿茲海默症之藥劑 |
US20100292281A1 (en) * | 2009-05-15 | 2010-11-18 | The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 Treatment of mci and alzheimer's disease |
PL2512470T3 (pl) | 2009-12-15 | 2017-06-30 | Octeta Therapeutics, Llc | Oszczędzające ppar tiazolidynodiony i połączenia do leczenia chorób neurodegeneracyjnych |
SG11201408323RA (en) * | 2012-06-15 | 2015-01-29 | Found Biomedical Res & Innov |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
2013
- 2013-06-14 SG SG11201408323RA patent/SG11201408323RA/en unknown
- 2013-06-14 JP JP2014520940A patent/JP571530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6-14 EP EP13803699.1A patent/EP2862572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6-14 KR KR1020157001022A patent/KR201500278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6-14 CA CA2876371A patent/CA287637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6-14 RU RU2015101100A patent/RU2015101100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6-14 MX MX2014015310A patent/MX2014015310A/es unknown
- 2013-06-14 BR BR112014031154A patent/BR112014031154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6-14 WO PCT/JP2013/003740 patent/WO201318707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14 AU AU2013275628A patent/AU20132756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6-14 US US14/407,692 patent/US201501520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6-14 CN CN201380031661.4A patent/CN104519884A/zh active Pending
-
2014
- 2014-12-11 ZA ZA2014/09134A patent/ZA201409134B/en unknown
- 2014-12-14 IL IL236226A patent/IL236226A0/en unknown
-
2015
- 2015-03-12 JP JP2015049442A patent/JP618873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9-21 US US14/860,057 patent/US9737524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7-14 US US15/650,554 patent/US100164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336A (ko) * | 2016-05-19 | 2019-01-11 |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고쿠리츠쥰칸키뵤 겐큐센터 |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08348A1 (en) | 2016-01-14 |
JP2015110665A (ja) | 2015-06-18 |
JPWO2013187075A1 (ja) | 2016-02-04 |
JP5715303B2 (ja) | 2015-05-07 |
EP2862572A1 (en) | 2015-04-22 |
CN104519884A (zh) | 2015-04-15 |
IL236226A0 (en) | 2015-01-29 |
WO2013187075A1 (ja) | 2013-12-19 |
BR112014031154A2 (pt) | 2017-08-08 |
JP6188737B2 (ja) | 2017-08-30 |
ZA201409134B (en) | 2015-12-23 |
EP2862572B1 (en) | 2018-11-28 |
US10016409B2 (en) | 2018-07-10 |
AU2013275628A1 (en) | 2015-01-29 |
RU2015101100A (ru) | 2016-08-10 |
US20170312265A1 (en) | 2017-11-02 |
MX2014015310A (es) | 2015-07-06 |
CA2876371A1 (en) | 2013-12-19 |
EP2862572A4 (en) | 2015-11-04 |
US20150152084A1 (en) | 2015-06-04 |
SG11201408323RA (en) | 2015-01-29 |
US9737524B2 (en) | 2017-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6409B2 (en) | Method for improving interstitial flow | |
US10966962B2 (en) | Method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 |
JP6837486B2 (ja) | 加齢に関連する認知障害及び神経炎症を予防及び/又は治療する方法 | |
KR20140041457A (ko) | 신경 장애 치료용 신규 조성물 | |
JP5605659B2 (ja) | 細胞保護剤 | |
JP6462198B2 (ja) | 腎疾患の治療におけるモノおよびジカルボン酸のアミドの使用 | |
JP6464421B2 (ja) | 慢性外傷性脳障害iiを予防及び/又は治療する方法 | |
EP2413970B1 (en) | New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neuroinflammatory conditions | |
US20240082268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neuroinflammation | |
WO2022253034A1 (zh) | 吡咯并嘧啶类化合物的用途 | |
WO2017106584A1 (en) |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and mental disorders with agonists of beta-3 adrenoceptor | |
JP6872201B2 (ja) | 認知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薬剤 | |
US20240024299A1 (en) | Use of drugs that stiffen mature gametocytes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plasmodium parasites | |
JP2009007278A (ja) | 線維筋痛症の治療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