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300A - 축열이 용이한 구들 - Google Patents

축열이 용이한 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300A
KR20150026300A KR20130104959A KR20130104959A KR20150026300A KR 20150026300 A KR20150026300 A KR 20150026300A KR 20130104959 A KR20130104959 A KR 20130104959A KR 20130104959 A KR20130104959 A KR 20130104959A KR 20150026300 A KR20150026300 A KR 2015002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hale
furnace
protrusions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596B1 (ko
Inventor
정의철
Original Assignee
정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철 filed Critical 정의철
Priority to KR102013010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5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5Convecting elements concealed in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8Chimney stacks, e.g. free-standing, or simila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2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originating from various locations to the outside, e.g. in locomotive sheds, in ga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축열이 용이한 구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이 용이한 구들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화로, 화로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통과하도록 고래를 형성하는 고래둑, 및 이러한 고래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래둑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열기가 다시 아래로 하강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구들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열이 용이한 구들{KOREAN FLOO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축열이 용이한 구들에 관한 것이다.
구들은 아궁이를 통해 방 바닥 밑 부분에 열을 공급하고 이 열이 방 바닥 밑에 적층된 구들장의 열전도를 통해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방시설이다.
이러한 구들은 인체에 유리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일반적인 온수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수맥과, 전기 장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와 대비되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한옥과 더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통 구들은 아궁이를 통해 연소된 열이 방 바닥 밑의 빈 공간인 고래로 공급되고 고래의 상부 즉, 방 바닥의 하부에 적층된 구들장의 열전도를 통해 방 바닥이 난방되는 구조이다. 또한 고래에 공급된 열의 일부는 고래를 통해 아궁이의 반대측에 위치한 굴뚝을 통해 외부로 연기와 함께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구들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구들은 그 구조상 현대주택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대주택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구들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057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대주택에도 용이하게 적용되어 시공이 가능하며 고래로 공급된 열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축열될 수 있도록 구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난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화로; 상기 화로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통과하도록 고래를 형성하는 고래둑; 및 상기 고래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래둑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상기 열기가 다시 아래로 하강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구들장을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구들장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구들장의 좌우측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들장의 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들장의 단부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들은 상기 열기의 흐름이 상기 돌출부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구들장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구들장의 종방향과 횡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들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열기의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하강 유도하는 하강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강 유도부는 측면에서 볼 때 파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들장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는 열기가 상기 고래둑 내부로 유도되어 축열되도록 상기 고래둑에는 축열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래둑은 황토벽돌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고래의 빈 공간에는 축열을 위한 축열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구들은 상기 구들장의 상부를 덮는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구들장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에 적층되는 황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맥반석 자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들은 상기 화로에서 발생하여 상기 고래를 경유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굴뚝은, 상기 열기가 배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내측배관; 상기 내측배관을 둘러싸도록 그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배관; 및 상기 내측배관과 상기 외측배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뚝은 상기 내측배관을 개폐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로는 실내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벽난로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고래둑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대주택에도 용이하게 적용되어 시공이 가능하며 고래로 공급된 열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축열될 수 있도록 구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난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의 일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화로(100)와 고래둑(200)과 구들장(300)을 포함한다.
화로(100)는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를 생성한다.
고래둑(200)은 이러한 화로(100)에서 발생한 열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열기통로, 즉 고래(400)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구들장(300)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400)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래둑(20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참고로, 도 1은 부분사시도로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들장(300)의 상부에는 후술할 바닥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들장(300)은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열기가 다시 아래로 하강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310)를 포함한다. 구들장(300)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열기는 구들장(300)의 몸체의 저면을 따라 전후방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과정에서 돌출부(310)를 만나면 다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래(400)에서 상승한 열기가 구들장(300)의 몸체를 따라 이동하다가 돌출부(310)에 의해 다시 아래를 향하게 되어 고래(400)의 아래 영역으로 열기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축열이 가능하고 난방 효율이 높아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화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400)를 형성하는 고래둑(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화로(100)는 예를 들어 철판이나 벽돌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래둑(200)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러한 화로(100)는 시중에 판매되는 화목난로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고래둑(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100)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통과하도록 고래(400)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즉, 고래둑(200)에 의해 형성된 고래(400)를 통하여 열기(도 2의 화살표 참조)가 외부의 굴뚝(5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호 평형하게 배열된 복수의 고래둑(200) 사이에는 부넘기(220)가 설치될 수 있다. 부넘기(220)는 고래둑(200)과 고래둑(200) 사이에 열기가 넘어가도록 형성된 통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래둑(200)은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실내 바닥면에서부터 예를 들어 7단 높이까지 쌓을 수 있으며, 부넘기(220)는 7단 높이의 고래둑(200)을 4단 높이까지 쌓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고래둑(200)은 예를 들어 황토벽돌 등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고래둑(200)은 예를 들어 석재나 금속재질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 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둑(200)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래둑(200)을 기존의 실내 바닥면에 바로 시공함으로써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시공의 용이성 및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들 구조에서와 같이 구들의 바닥면과 실내의 바닥면의 높이 등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건물의 바닥을 깊게 파거나 아궁이를 실외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로(100)가 실내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화로(100)를 벽난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실내의 분위기를 아늑하게 조성할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들(1000)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침대나 소파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래둑(200)에 의해 형성된 고래(400)가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고래둑(200)에 의해 복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고래(400)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400)의 빈 공간에는 축열을 위한 축열부재(600)가 충진될 수 있다.
축열부재(600)로는 예를 들어 고래둑(200)과 동일한 재질의 황토벽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축열부재(600)는 고래(400)를 통과하는 열기의 일부를 내부에 축열함으로써 구들(1000)의 온도를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축열부재(600)가 고래(400)의 바닥에서부터 차곡차곡 충진되어 고래(400)의 천장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높이까지 채워질 수 있으며, 고래(400)의 천장과 축열부재(600)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열기가 흘려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래둑(200)은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실내 바닥면에서부터 예를 들어 7단 높이까지 쌓을 수 있으며, 복수의 고래둑(200) 사이에 채워지는 축열부재(600)는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7단 높이의 고래둑(200)의 4단 높이까지 채울 수 있다.
이때, 축열부재(600)로 사용되는 황토벽돌은 복수의 고래둑(200) 사이의 간격에 맞춰 서로 엇갈리게 적층하는 방식으로 쌓을 수 있다. 이렇게 엇갈리게 적층된 복수의 황토벽돌 사이로 형성된 공극을 통해 열기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축열부재(600)로 사용되는 황토벽돌을 엇갈리게 적층함으로써 열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는 축열부재(600)는 부넘기(220) 높이까지 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열부재(600)로 황토벽돌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황토나 맥반석 자갈 등이 축열부재(6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구들장(300)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고래(400)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래둑(20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들장(300)은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열기가 다시 아래로 하강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31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310)는 구들장(300)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들장(300)의 몸체가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질 때 돌출부(310)는 구들장(300)의 전후방 모서리 그리고 좌우측 모서리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들장(300)의 돌출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볼 때 구들장(3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의 일 변형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경우, 구들장(300)의 좌우측단부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고래둑(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돌출부(310)는 구들장(3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고래둑(200) 사이를 따라 진행하던 열기가 열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돌출부(310)에 의해 아래 측으로 하강 유도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강 유도된 열기는 고래(400)의 하측에 적재된 축열부재(600) 등으로 유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축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들장(300)의 단부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돌출부(310)의 형상은 완만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구들장(300)의 돌출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볼 때 구들장(3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경우, 구들장(300)의 좌우측단부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고래둑(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돌출부(310)는 고래둑(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들장(300)의 단부(즉, 좌측과 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고래둑(200) 사이를 따라 진행하던 열기의 일부가 좌우측에 위치한 돌출부(310)에 의해 아래 측으로 하강 유도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강 유도된 열기는 고래둑(200)의 측면을 따라 축열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강 유도된 열기는 고래(400)의 하측에 적재된 축열부재(600) 등으로 유도되어 축열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구들장(300)의 경우는 돌출부(310)가 구들장(3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하나씩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구들장(300)의 경우는 돌출부(310)가 구들장(3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하나씩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들장(3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320)는 구들장(300)의 좌우측단에 하나씩 형성된 돌출부(31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320)를 구들장(300)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구들장(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부(700)의 하중 등으로 인해 구들장(30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보강부재는 도 5의 구들장(3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장(300)은 예를 들어 철판과 같이 가공성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들장(300)의 돌출부(310)는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굴곡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구들장(300)을 금속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구들장(300)의 우수한 열전도율로 인해 열기가 고래둑(200)과 바닥부(700)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구들장(300)은 표준화된 규격에 따라 복수개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들장(300)의 규격에 맞춰 복수의 고래둑(200) 간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으며, 구들장(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래둑(200) 사이에 형성된 고래(400)를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어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구들 구조에서와 같이 건물의 바닥을 깊이 파거나 아궁이를 실외에 배치할 필요 없이 실내의 기존 바닥면에 구들을 바로 시공 가능함으로써,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어 현대주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래(400)로 공급된 열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축열될 수 있도록 구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난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의 경우는, 구들장(300)의 돌출부(310)가 고래둑(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310)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는 열기(도 7의 화살표 참조)가 고래둑(200) 내부로 유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축열될 수 있도록 고래둑(200)에는 복수개의 축열구멍(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열구멍(210)은 고래둑(200)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축열구멍(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정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상하에 위치하는 황토벽돌의 적층방향에 따라 엇갈린 상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상승한 열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들장(300)의 돌출부(310)에 의해 다시 아래로 하강 유도될 수 있으며, 하강 유도된 열기가 고래둑(200)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축열구멍(210)을 따라 고래둑(200) 내부로 깊숙이 유도됨으로써 열기를 고래둑(200)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고래둑(200)에 축열구멍(210)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고래둑(200)의 표면적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열기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돌출부(31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황토와 같은 물질에 의해 고래(400)에서 노출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들장(300)의 몸체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열기는 돌출부(310)와 만나지 않고 바로 고래둑(200)을 타고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구들장(300)의 상부를 덮는 바닥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710)과 메쉬망(710)에 적층되는 황토층(7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망(710)은 철망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들장(300)의 상부에 적층되는 황토층(72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쉬망(710)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들장(300)을 통해 전달된 열기가 바닥부(700) 전체로 골고루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축열 능력이 뛰어난 황토층(720)을 이용하여 바닥부(700)를 시공함으로써 바닥부(700) 전체로 전달된 열기를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700)는 맥반석 자갈층(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맥반석 자갈층(730)은 황토층(720)을 시공하기 전에 맥반석 자갈을 구들장(300)의 상부에 적층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황토층(720)을 시공할 때 황토시멘트에 맥반석 자갈을 같이 혼합하여 믹스함으로써 시공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공법으로 바닥부(700)가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반석 자갈층(730)을 바닥부(700)에 시공함으로써 바닥부(700)의 축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실내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화로(100)에서 발생하여 고래(400)를 경유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굴뚝(500)은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내측배관(510)과 이러한 내측배관(510)을 둘러싸도록 그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배관(520) 및 이러한 내측배관(510)과 외측배관(520)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굴뚝(500)은 중간에 단열층(530)을 구비한 이중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98% 이상의 연기를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굴뚝(500)은 내측배관(510)을 개폐시키는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미도시)를 굴뚝(500)에 설치함으로써 화로(100)에서 배출되는 열기가 굴뚝(500)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은 연기배출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기배출기는 예를 들어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연기배출기는 예를 들어 굴뚝(500)에 설치될 수 있다. 연기배출기는 화로(100)에 최초로 불을 피울 때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기배출기를 설치함으로써, 화로(100)에서 최초로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굴뚝(500)에는 역풍 방지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역풍 방지기는 굴뚝(500)의 출구를 통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풍 방지기에 의해 역풍이 방지되고, 굴뚝이 이중관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래(400) 및 화로(100)가 실내에 위치하여 습기가 침입하기 어려운 경우 고래(400)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이 경우, 별도의 연기 배출기는 필요하지 않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의 구들장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2000)은 가이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구들(1000)과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구들장(30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부(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상승한 열기의 흐름이 가이드부(330)의 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들장(300)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열기를 가이드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부(330)는 예를 들어 구들장(3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500) 측으로 열기가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부(330)가 구들장(300)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부(330)는 복수개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330)는 구들장(300)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파인 홈(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상의 가이드부(330)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위로 상승한 열기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330)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들(2000)의 구들장(300)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들장(300)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부(33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가이드부(330)를 따라 흐르는 열기(도 10의 화살표 참조)의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하강 유도하는 하강 유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하강 유도부(3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3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강 유도부(340)는 도 9의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구들장(300)을 측면에서 볼 때 그 단면 형상이 파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도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강 유도부(340)를 구성함으로써, 가이드부(330)를 따라 흐르는 열기(도 10의 화살표 참조)가 하강 유도부(340)에 의해 상승하고 하강하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와류 유동에 의해 열기가 구들(2000) 내에 보다 오랫동안 머물 수 있다.
또한, 상승한 열기가 하강 유도부(340)에 의해 고래(400)의 하측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고래(400)의 하측에 채워진 축열부재(600)로 열기가 전달되어 축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대주택에도 용이하게 적용되어 시공이 가능하며 고래(400)로 공급된 열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축열될 수 있도록 구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난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구들
100: 화로 200: 고래둑
210: 축열구멍 220: 부넘기
300: 구들장 310: 돌출부
320: 보강부재 330: 가이드부
340: 하강 유도부 400: 고래
500: 굴뚝 510: 내측배관
520: 외측배관 530: 단열층
600: 축열부재 700: 바닥부
710: 메쉬망 720: 황토층
730: 맥반석 자갈층

Claims (19)

  1.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화로;
    상기 화로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통과하도록 고래를 형성하는 고래둑; 및
    상기 고래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래둑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아래에서 위로 상승한 상기 열기가 다시 아래로 하강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구들장을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구들장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구들장의 좌우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들장의 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들장의 단부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의 흐름이 상기 돌출부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구들장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구들장의 종방향과 횡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열기의 흐름을 위에서 아래로 하강 유도하는 하강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유도부는 측면에서 볼 때 파도 형상을 형성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는 열기가 상기 고래둑 내부로 유도되어 축열되도록 상기 고래둑에는 축열구멍이 형성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래둑은 황토벽돌로 시공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래의 빈 공간에는 축열을 위한 축열부재가 충진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의 상부를 덮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구들장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에 적층되는 황토층을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맥반석 자갈층을 더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에서 발생하여 상기 고래를 경유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굴뚝은,
    상기 열기가 배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내측배관;
    상기 내측배관을 둘러싸도록 그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배관; 및
    상기 내측배관과 상기 외측배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은 상기 내측배관을 개폐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는 실내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벽난로로 활용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래둑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되는,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20130104959A 2013-09-02 2013-09-02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53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59A KR101530596B1 (ko) 2013-09-02 2013-09-02 축열이 용이한 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59A KR101530596B1 (ko) 2013-09-02 2013-09-02 축열이 용이한 구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00A true KR20150026300A (ko) 2015-03-11
KR101530596B1 KR101530596B1 (ko) 2015-06-22

Family

ID=5302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959A KR101530596B1 (ko) 2013-09-02 2013-09-02 축열이 용이한 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1948A1 (it) * 2020-01-31 2021-07-31 Palazzetti Lelio Spa Apparato di riscaldamen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46B1 (ko) *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82B1 (ko) * 2007-06-14 2007-10-05 이윤모 온돌장치
KR200442693Y1 (ko) * 2008-05-07 2008-12-05 김종욱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KR20100065496A (ko) * 2008-12-08 2010-06-17 이태경 온돌난방 구조가 결합된 벽난로 시스템
KR20130033057A (ko) * 2011-09-26 2013-04-03 인슐래드 아시아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구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1948A1 (it) * 2020-01-31 2021-07-31 Palazzetti Lelio Spa Apparato di riscaldamento
EP3859215A1 (en) * 2020-01-31 2021-08-04 Palazzetti Lelio Spa H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596B1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086B1 (ko) 난방효율을 개선한 구들
EP1321584A1 (en) Structure utilizing geothermal energy
KR101530596B1 (ko)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765221B1 (ko) 구들 시스템
KR101492610B1 (ko) 이동식 주택용 바닥구조물
KR101696802B1 (ko) 온돌 난방용 구들
KR101257738B1 (ko) 온돌의 축열 구들의 구조
KR101802155B1 (ko) 이동식 찜질방 온돌 구조
KR200291198Y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KR102086121B1 (ko) 구들 난방 장치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BG2090U1 (bg) Кюнец-топлообменник
KR101311536B1 (ko) 보온난방연도를 이용하는 난방장치
JP2007163023A (ja) 家屋の構造を伴う暖房装置および冷房装置
KR20200052717A (ko) 이동식 구들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KR101369505B1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RU157323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KR102134556B1 (ko)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KR20160004071U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 패널 구조체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KR100438199B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KR102409544B1 (ko)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