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221B1 - 구들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221B1
KR101765221B1 KR1020160138170A KR20160138170A KR101765221B1 KR 101765221 B1 KR101765221 B1 KR 101765221B1 KR 1020160138170 A KR1020160138170 A KR 1020160138170A KR 20160138170 A KR20160138170 A KR 20160138170A KR 101765221 B1 KR101765221 B1 KR 10176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aust
paint layer
heat
shielding paint
c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태
Original Assignee
(주)계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계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계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3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2Constructional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여, 구들 시스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공정이 용이한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들 시스템{Hypocaust system}
본 발명은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들의 난방장치를 살펴보면 아궁이, 굴뚝과 연통된 고래상측부에 구들장을 설치하여 화염이 구들장을 가열, 축열, 방열토록 된 것인데, 이는 직접 화염이 구들장을 가열하므로 적외선 방출로 인한 물리적인 인체치료와 난방효과가 양호하기는 하나, 아궁이나 굴뚝 등으로 많은 열에너지가 방출되므로 열손실이 막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순환식 구들의 경우에는 열운반매체로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을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어 얼에너지 운반속도가 느림은 물론 국부적인 방열로 인해 균등한 난방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특히 여열을 그대로 보일러에 환수하게 되므로 온수운반도중 많은 열손실로 인하여 열효율이 지극히 나쁜 상태이면서도 시설비 및 유지비가 지나치게 과다한 상태이고 상판에서의 방열부위가 적어 축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풍을 불어넣어서 구들장을 가열하는 것이 한국등록실용공고 제1993-0000427호에 제시되었다.
종래의 열풍식 구들장은 바닥에 단열재를 깔고 상부에 은박지를 덮고 받침대를 설치한 후에 받침대 위에 구들장을 설치한다. 종래의 열풍식 구들장은 판형상의 단열재를 깔아야 하므로 바닥 모양이 바뀜에 따라 단열재의 모양도 다르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열풍이 하부 또는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별도의 실링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공고 제1993-00004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들 시스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공정이 용이한 구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들 시스템은, 구들본체와, 상기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구들본체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구들본체의 측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들본체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열풍통로와, 상기 열풍통로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들본체는 구들장을 포함하며, 상기 구들장의 적어도 일부는 현무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들본체는 상부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부구들장을 포함하는 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 사이에 배치되는 고래둑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측부구들장의 외측과 상기 하부구들장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측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은 현무암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들장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열풍통로와, 상기 열풍통로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들 시스템은, 구들본체와, 상기 구들본체와 벽체 또는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들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여, 구들 시스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차열페인트층을 도포하기만 하면 되므로 단열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차열페인트층은 다른 단열재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구들 시스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열페인트층은 방수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습기 등이 방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구들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열풍의 열기가 바로 차열페인트층에 가해지지 않아서 차열페인트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들본체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열풍통로와, 상기 열풍통로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실링부재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열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들본체는 구들장을 포함하며, 상기 구들장의 적어도 일부는 현무암으로 형성되어, 구들장 내의 매우 작은 미세구멍에서 축열이 일어나 상당 시간 동안 난방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현무암 재질에 의한 원적외선, 향균성, 탈취율, 흡수율의 기능이 뛰어나 새집에서 발생하는 포름알테이드, 암모니아, 휘발성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차열페인트층은 측부구들장의 외측과 하부구들장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측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은 현무암으로 형성되어, 차열페인트층과 다공표면을 갖는 측부구들장 및 하부구들장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들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들 시스템에서 상부구들장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측부에 배치되는 차열페인트층의 일부를 생략한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들 시스템에서 열풍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측부에 배치되는 차열페인트층의 일부를 생략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들 시스템은, 구들본체와, 상기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들본체는 잡석다짐(10)과, 잡석다짐(10) 위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20) 위에 형성된다. 기초콘크리트(20)의 둘레에는 벽체(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들본체는 상기 벽체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구들본체는 상부구들장(110)과 상기 상부구들장(110)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구들장(120)과 상기 상부구들장(110)과 상기 하부구들장(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부구들장(130)을 포함하는 구들장(100)과, 상기 상부구들장(110)과 상기 하부구들장(120) 사이에 배치되는 고래둑(500)을 포함한다.
상부구들장(110)과 하부구들장(120)과 측부구들장(130)은 판재로 형성된다.
구들장(100)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재인 현무암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구들장(110)과 하부구들장(120)과 측부구들장(130)이 모두 현무암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구들장(100)의 표면 및 내부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들장(100)이 현무암으로 형성되어, 구들장(100) 내의 매우 작은 미세구멍에서 축열이 일어나 상당 시간 동안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되는 측부구들장(130)의 좌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측부구들장(130)의 우측에는 유입구(101)에 연통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101)와 배출구(102)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유입구(101)에는 열풍이송관(300)이 설치되고, 열풍이송관(300)에는 버너가 연결된다.
배출구(102)에는 연도(40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고래둑(500)은 육면체 형성으로 형성되며, 다수개 구비된다. 다수개의 고래둑(500)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고래둑(500)으로 인해, 상부구들장(110)과 하부구들장(1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부구들장(110)과 하부구들장(120) 사이에는 유입구(101) 및 배출구(102)에 연통되는 열풍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버너를 통해 형성된 열풍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열풍통로를 통과한 후에 배출구(102)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구들장(100)은 가열된다.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열 기능을 갖는 차열페인트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18528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와 벽체 또는 바닥 사이에 배치된다.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차열페인트층(200)은 직접 열을 받는 쪽의 반대에 배치되어 단열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나아가,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의 측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의 측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열페인트층(200)은 상기 구들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차열페인트층(210)과, 상기 구들본체의 측부에 배치되는 측부차열페인트층(220)을 포함한다.
하부차열페인트층(210)과 측부차열페인트층(220)은 서로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차열페인트층(200)은 측부구들장(130)의 외측(온둘레)과 상기 하부구들장(12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나아가, 차열페인트층(200)의 최상단은 상부구들장(110)과 측부구들장(130)의 연결부위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차열페인트층(200)은 상부구들장(110)과 측부구들장(130) 사이로 열풍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구들 시스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잡석다짐(10) 위에 기초콘크리트(20)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를 형성한다.
기초콘크리트(20) 및 상기 벽체에 상기 구들본체의 높이만큼 차열페인트를 도포하여 차열페인트층(200)을 형성한다. 차열페인트층(200)은 2~3mm두께로 형성한다.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열페인트층(200) 위에 하부구들장(120)을 깔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열페인트층(200)의 내측에 측부구들장(130)을 세운 다음 하부구들장(120) 위에 고래둑(500)을 배치시키고, 고래둑(500) 위에 상부구들장(110)을 놓는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구들장의 외측 및 하부에 차열페인트를 도포하여 차열페인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들 시스템은, 구들장(100)의 측부 및 하부에 차열페인트층(200)이 배치되어 구들 시스템의 축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들장(100)의 이음새를 둘러싸서 열풍이 새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다수개의 판재로 구비되는 구들장(100)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현무암으로 구비되는 구들장(100)의 표면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다공에 차열페인트층(200)이 삽입되어 구들장(100)과 차열페인트층(200)은 견고하게 부착(밀착)된다. 따라서, 실링성능 및 방수성능 및 단열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잡석다짐 20 : 기초콘크리트
100 : 구들장 101 : 유입구
102 : 배출구 110 : 상부구들장
120 : 하부구들장 130 : 측부구들장
200 : 차열페인트층 210 : 하부차열페인트층
220 : 측부차열페인트층 300 : 열풍이송관
400 : 연도 500 : 고래둑

Claims (7)

  1. 다수개의 판재로 구비되는 구들본체;
    상기 구들본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열페인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구들본체의 이음새를 둘러싸고,
    상기 구들본체는 상부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부구들장을 포함하는 구들장과, 상기 상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 사이에 배치되는 고래둑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페인트층은 상기 측부구들장의 외측과 상기 하부구들장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차열페인트층의 최상단은 상기 상부구들장과 상기 측부구들장의 연결부위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은 현무암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구들장과 상기 하부구들장의 표면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공에 상기 차열페인트층이 삽입되고,
    상기 구들장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열풍통로와, 상기 열풍통로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38170A 2016-10-24 2016-10-24 구들 시스템 KR10176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70A KR101765221B1 (ko) 2016-10-24 2016-10-24 구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70A KR101765221B1 (ko) 2016-10-24 2016-10-24 구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221B1 true KR101765221B1 (ko) 2017-08-04

Family

ID=5965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170A KR101765221B1 (ko) 2016-10-24 2016-10-24 구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08A (ko) 2018-07-25 2020-02-04 강장희 구들 난방 장치
KR102089746B1 (ko) *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102625356B1 (ko) * 2023-02-21 2024-01-16 김태겸 구들식 캠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19B1 (ko) * 2013-09-05 2014-03-12 (주) 동원 이동가능한 조립식 구들장
KR101618528B1 (ko) * 2015-10-02 2016-05-09 한국세라믹기술원 상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차열페인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19B1 (ko) * 2013-09-05 2014-03-12 (주) 동원 이동가능한 조립식 구들장
KR101618528B1 (ko) * 2015-10-02 2016-05-09 한국세라믹기술원 상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차열페인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08A (ko) 2018-07-25 2020-02-04 강장희 구들 난방 장치
KR102089746B1 (ko) * 2018-10-25 2020-03-16 차화신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102625356B1 (ko) * 2023-02-21 2024-01-16 김태겸 구들식 캠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221B1 (ko) 구들 시스템
US4159708A (en) Solar energy collector and heat exchanger
KR20180133149A (ko)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CA2251299A1 (en) Thermal protective barrier
US4291751A (en) Thermal inverter
US4248212A (en) Solar heating apparatus
US4196718A (en) Energy conservation
CN206669844U (zh) 一种干式地暖模组
JPS60105843A (ja) 貯水壁
KR101530596B1 (ko) 축열이 용이한 구들
KR101369505B1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판넬 및 그 제조방법
US3789827A (en) Rock heater for sauna bath
CH651914A5 (it) Impianto per la climatizzazione di edifici.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KR100927177B1 (ko) 구들장 조립장치
KR102626779B1 (ko) 공기순환보일러용 온돌패널 셋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돌 시공방법
RU157323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KR102086121B1 (ko) 구들 난방 장치
KR790001612Y1 (ko) 실내공기 난방장치
KR102174495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난방 효율이 향상된 황토 온돌패널
KR101359678B1 (ko) 가습형 온돌시스템을 구비한 주택
KR101562947B1 (ko) 구들형 실내난방장치
TWM541491U (zh) 隔熱屋頂
US2524557A (en) Radiant heating system
KR100725454B1 (ko) 조립식 온돌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