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49A -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149A
KR20180133149A KR1020170069742A KR20170069742A KR20180133149A KR 20180133149 A KR20180133149 A KR 20180133149A KR 1020170069742 A KR1020170069742 A KR 1020170069742A KR 20170069742 A KR20170069742 A KR 20170069742A KR 20180133149 A KR20180133149 A KR 2018013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all
unit
hypocau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419B1 (ko
Inventor
차화신
Original Assignee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원은 이동식 건물의 난방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제반 불편한 문제점으로 특히 연소가스의 근원적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들 외벽체가 가로 및 세로가 200~600㎝ 범위로 4각형 구조에 높이가 40~60㎝ 범위의 기본프레임에 구들이 설치된 단위 구들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에 올려 간단하게 구들구조가 설치될 수 있는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를 만들어 이용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는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체가 형성되고, 상기 구들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구들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의 난방용 단위구들체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본 발명은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에 관련한 기술로 이동식 주택의 방바닥(구들장)을 난방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 프레임이 형성된 후 그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어 일체로 단위 구들체를 이루어 사용되는 단위 구들체 및 이를 이용한 구들의 시공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는 그 자체가 완성품이 되어 판매되고 소
비자가 이를 구입하여 그 상부에 자신이 원하는 건물을 세워 10평 미만의 소규모 황토방 등의 이동식 건물을 완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은 화목을 태워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를 이용하여 구들장을 데운 후 이 구들장의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구들 난방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들 난방 방식은 나무를 쪼개 만든 장작은 물론, 버려진 폐목이나 벌채된 잔가지 등 일상 생활을 하는 도중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연소 가능한 물체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어 비교적 난방 비용이 저렴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구들은 순수 우리말로“구운 돌”에서 그 유래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방바닥 밑으로 화기가 통하도록 하여 구들장을 데워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방시설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구들을 이용한 난방구조의 일 적용예로 등록특허 제10-1622270호의 도 6에 제시된 종래기술의 '구들 구조물'에서는 주택의 일측에 불기운을 불어넣은 아궁이가 형성되고, 상기 아궁이를 통해 유입된 불기운은 구들장을 가열하게 되며, 아궁이에서 발생한 화기(火氣)는 복수의 두둑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라는 화기의 이동통로를 따라 골고루 확산되며, 고래를 순환하여 온도가 내려간 열(연)기는 굴뚝을 통해 비산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로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들장에 있어, 화기의 통로인 복수의 고래는 아궁이로부터 굴뚝을 향하는 경로 중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른데, 길이가 긴 고래는 짧은 고래에 비해 화기가 식기 쉬우므로, 상대적으로 그 상부의 구들장은 차갑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들장 구조는 모든 고래로 유입되는 화기가 방의 아랫목(아궁이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집중되어 아랫목은 지나치게 뜨거우나 방의 가장자리(옆)와 웃목은 상대적으로 차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구들과 고래의 배열 설치구조에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어 이동주택의 보급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주택 구조에서는 처음 설치시에는 큰 문제점이 없지만 장작불이 연소되는 경우 아궁이의 가온열이 800℃ 범위로 고온에 이르게 되면 바닥면에 사용된 시멘트나 바닥판재가 팽창되고, 가온되지 않을 때는 수축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바닥면이나 벽면에 크랙이 발생하고, 구들과 고래길 사이로 연소가스가 스며들어 결국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고, 깨끗하고 공기 좋은 친환경 분위기에서 살기를 원하는 이동식 주택 거주인에게 건강의 위협과 오히려 위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식 건물의 난방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제반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들 외벽체가 가로 및 세로가 200~600㎝ 범위로 4각형 구조에 높이가 40~60㎝ 범위의 기본프레임에 구들이 설치된 단위 구들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에 올려 간단하게 구들구조가 설치되어 연기발생 원인이 제거될 수 있는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의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으로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과 단위 구들프레임 사이에 800~1000℃ 높은 온도 범위에서도 팽창이나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자연 친화적인 소재인 기능성혼화재를 사용하여 단열과 축열기능을 확보하는 이동식 건축물의 단위 구들체가 트럭의 운반과정이나 설치과정 중에서의 지반의 흔들림이 빌생하는 경우에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나타내므로 연기발생 원인을 제거한 이동식 주택의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설치방법 및 단위 구들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10평 미만의 바닥면을 갖는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프레임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프레임이 형성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구들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구들조립체로 제공되는 제2단계 공정과 철재가 사용되어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바닥프레임 상부에 내열시멘트판재가 깔리고 그 상부면에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기능성혼화재가 사용되어 경량,내열,단열성을 제공하도록 포설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제2단계에서 제공되는 구들조립체가 그 상부로 설치되어 단위 구들체로 제공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의 이동식 건물용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3단계의 혼화재 포설단계에서 중심부가 측부 바닥면보다 높아서 구들조립체 바닥면에 생성되는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수단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단계의 구들프레임을 얻을 때 내열시멘트에 펄라이트(Pearlite)가 30~40 중량비율로 포함되어 경량성을 높이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원은 10평 미만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단위 구들체로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체가 형성되고, 상기 구들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구들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기술사상은 10평 미만의 이동식 건물의 설치방법에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체가 형성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구들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구들조립체로 제공되는 제2단계 공정과 철재가 사용되어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바닥프레임 상부에 내열시멘트판재가 깔리고 그 상부면에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혼화재가 사용되어 경량,내열,단열성을 제공하도록 포설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제2단계에서 제공되는 구들조립체가 그 상부로 설치되어 단위 구들체를 얻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통상의 이동식주택에 적용되는 벽체 및 지붕의 설치방법이 적용되는 제5단계 공정이 포함되어 10평 미만의 이동식 건물을 단기간에 설치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펄라이트(Pearlite)는 진주석을 구워 만든 경량골재로 화산석으로 된 원석을 1,200℃로 소성하면 용적팽창이 10배로 늘어나 경량성을 제공하게 되는바, 본원에서와 같이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범위로 적용되는 경우 구들의 적용 사용온도 범위인 800~1000℃ 높은 온도 범위에서도 팽창이나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바닥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원은 사전에 공장에서 예를 들면, 4.5평, 6평, 8평 등 평형에 따른 규격품으로 단위 구들체를 만들어 놓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규격의 단위 구들체를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에 올려 간단하게 구들구조가 설치되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동주택의 설치기간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내부 오목공간으로 불길이 고루 퍼져 고루 따뜻한 구들을 제공하는 효과와 사용과정에서 고장이나 불량품의 발생원인이 없이 완전하게 셋팅되어 공급될 수 있고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과 단위 구들프레임 사이에 800~1000℃ 높은 온도 범위에서도 팽창이나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서 연기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 친화적인 소재인 기능성혼화재를 사용하여 단열과 축열기능을 확보하면서 바닥층이 균열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어 연기발생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본 발명에서 바닥프레임과 구들조립체가 결합되어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의 일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사용되는 구들조립체의 일 적용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닥프레임의 일 적용예시도.
도 4 :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들조립체가 올려지는 적용예시도
도 5 :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이동주택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바닥프레임(30)과 구들조립체(50)가 결합되어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60)의 일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구들조립체(50)의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닥프레임(30)이 준비되는 실시양태의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상기 바닥프레임(30)에 구들조립체(50)가 올려지는 실시양태의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이동주택의 일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단위 구들체(60)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위치되는 바닥프레임(30) 상부로 구들조립체(50)가 얹혀 결합된 구조로 단위 구들체(60)를 이루고, 단위 구들체(60)의 측벽부 일측으로는 화덕보일러(61)가 설치되도록 적용되고, 타측으로는 굴뚝(62)이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며, 구들조립체(50)의 상단에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가 사용되어 구들조립체(50)가 들어올려지기 원할 때 밧줄을 걸어주기 위한 걸고리(56)를 갖는 구성의 단위 구들체(60)로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구들조립체(50)의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에서는 일 실시양태의 구들조립체(50)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구들이(45) 설치되기 전 구들프레임(40)의 저부 내면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며, 도 2c에서는 구들조립체(50)의 화구설치부(46)를 기준으로 절단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적용되는 구들조립체(50)에서 구들프레임(40)은 외벽체(41)가 예를 들면, 가로 * 세로가 2.5 * 4.0 미터(m) 높이가 0.5 미터(m) 규격으로 외곽프레임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40~50㎝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로 세로 격벽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되, 가로격벽(42) 및 세로격벽(43)은 예를 들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어서 각각의 인접한 가로격벽 및 세로격벽 구획부 사이로는 경사면 오목홈 형상의 바가지를 엎어 놓은 것처럼 오목공간부(48)를 형성하여 그 오목공간부 내측에 잔열을 보유하도록 그 상부면은 구들(45)이 설치되는 공간부(44)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프레임이 만들어지고, 구들프레임(40) 상부에 마련된 공간부(44)에는 구들(45)이 설치되어 밀봉되는 구조로 적용되고 외벽체(41)의 일측은 화덕보일러(61)가 설치되기 위한 화구설치부(46)를 갖고 타측은 굴뚝과 연결되는 배관공(47)이 준비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닥프레임(3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구들조립체(50)가 바닥프레임(30) 상부에 올려지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전면 일측으로 철재프레임(10)과 내열성 시멘트판재(11)의 일부를 돌출상태로 표시하고 있는바, 먼저 철재프레임(10)은 새롭게 만들고자 하는 이동주택의 평형수에 따라 예를 들면 4.5평, 6평, 8평 등의 평형규격에 따라 재단/절단된 철재프레임(10) 바닥면에 배열 및 용접공정을 수행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내열성 시멘트판재(11)를 깔고 그 상부에 기능성혼화재(20)가 포설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내열성 시멘트판재(11)의 상부에서 외연을 따라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줄자형 받침목(21)을 대고 그 내측에 기능성혼화재(20)가 포설되는바, 본원 발명자는 수많은 시행오차를 거치면서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기능성혼화재(20)가 사용되는 경우 경량성, 내열성 및 단열성을 충족시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원에서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철재프레임(10) 상부에 내열성 시멘트판재(11)를 깔고 그 상부에 기능성혼화재(20)를 20~30㎝ 두께로 포설한 후 그 상부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구들조립체(50)를 올려 놓는 구조로 단위 구들체(60)를 형성하도록 적용될 때 단위 구들체(60) 저부에서 다수개의 직사각형 내부 오목공간부(48)로 불길이 고루 퍼진 후 오목공간에 잔열이 남아 있는 구조를 이루어서 고루 따뜻한 구들을 제공하는 효과와 사용과정에서 고장이나 불량품의 발생 원인이 없이 구들체가 완전하게 셋팅 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의 도 3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바닥프레임(30) 상부에 제2의 형태로 준비된 구들조립체(50)가 올려지는 적용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준비된 바닥프레임(30) 상부로 구들조립체(50)가 올려질 때 구들조립체(50) 상단에 마련된 걸고리(56)에 크레인의 지지축(91)에 걸린 훅크(92)에서 구들조립체(50)를 들어올려 바닥프레임(30) 상부로 안착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상기와 같이 구들조립체(50)가 바닥프레임(30) 상부에 올려지기전 단계인 혼화재 포설단계에서 바닥면의 중심부가 측부 바닥면보다 약간 높아서 구들조립체가 뜨거운 열로 가온되는 경우 구들조립체 내부에 남아 있는 결합수가 바닥면으로 뚝뚝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이 때 생성되는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심부가 측면보다 약간 높게 적용되고 측면의 일측단부에는 약간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배출수가 외부로 흐르도록 5~10㎜의 배관이 매설되는 구성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이동주택의 외형을 나타낸 일 적용예 도면으로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바닥프레임(30) 상부로 구들조립체(50)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위 구들체(60)가 이동식 주택 설치예정지 현장에 운반되고 바닥면을 다짐한 후 기초주추돌(90) 상부에 단위 구들체(60)가 안착되고 그 상부로 거실의 바닥면이 펄라이트(Pearlite) 20~3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소성패각분말 5~10wt%가 포함되고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바닥혼화재로 바닥면이 내열성을 확보하면서 코랙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조를 이루고 바닥부 외연으로 측벽체(70)가 설치될 때 전면으로 출입문(71) 및 창문(72)을 갖고 측면으로는 환풍창(73)이 마련된 후 상부에 지붕(80)까지 설치되어 하나의 이동식 황토방(100)으로 완성되는 구성은 종래의 이동식 주택 건설방법이 적용되어 주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일 적용예의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식 주택의 벽체(70)는 내, 외측으로 황토판재가 사용되어 설치되고 벽체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5±3㎝ 범위의 간극부를 형성하고 간극부에 황토와 현무암질 화산재와 연탄재가 채워지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경우 단열 및 축열성을 높이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은 인공대리석 제조공정에 현무암질 돌가루와 높은 온도에서도 내열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결합력을 확보하도록 1000℃ 이상의 고온조건에서 소성된 대리석 원료와 첨가제가 혼합되어 숙성된 후 일정규격으로 절단되어 인공 구들로 제공되어 사용된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구들체(60)가 사용되는 이동식 건물은 내열성 및 단열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펄라이트 이외에 연탄재가 사용되어 경량성을 높이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바닥판을 형성하는 철재프레임은 언더코팅을 통하여 녹방지용 철물구조로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단위구들체(60) 상부에서 사람이 휴식하는 거실의 바닥부는 황토 및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기능성축열광물이 사용되어 방바닥 시공이 이루어짐으로 원적외선 발생효과를 높이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10 : 철재프레임 11 : 내열성 시멘트판재
20 : 기능성혼화재 21 : 줄자형 받침목
30 : 바닥프레임 40 : 구들프레임
41 : 외벽체 42 : 가로격벽
43 : 세로격벽 44 : 공간부
45 : 구들 46 : 화구설치부
47 : 배관공 48 : 오목공간부
50 : 구들조립체 56 : 걸고리
60 : 단위 구들체 61 : 화덕보일러
62 : 굴뚝 70 : 측벽체
71 : 출입문 72 : 창문
73 : 환풍창 80 : 지붕
90 : 기초주추돌 91 : 크레인의 지지축
92 : 훅크 100 : 이동식 주택

Claims (5)

10평 미만의 바닥면을 갖는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프레임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프레임이 형성되는 제1단계;
상기 구들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구들조립체로 제공되는 제2단계;
철재가 사용되어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바닥프레임 상부에 내열시멘트판재가 깔리고 그 상부면에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기능성혼화재가 사용되어 경량,내열,단열성을 제공하도록 포설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제2단계에서 제공되는 구들조립체가 그 상부로 설치되어 단위 구들체로 제공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용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혼화재 포설단계에서 중심부가 측부 바닥면보다 높아서 구들조립체 바닥면에 생성되는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수단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용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구들프레임을 얻을 때 내열시멘트에 펄라이트(Pearlite)가 30~40 중량비율로 포함되어 경량성을 높이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용 단위 구들체의 제조방법.
10평 미만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단위 구들체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체가 형성되고, 상기 구들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이동식 건물의 난방을 위한 구들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의 난방용 단위구들체.
10평 미만의 이동식 건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들의 외벽체가 40~60㎝ 높이로 4각형 구조를 이루고, 외벽체의 내부는 다수개의 사로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되 상부면으로 구들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내열시멘트가 사용되어 구들체가 형성되는 제1단계;
상기 구들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열성을 갖는 현무암질 구들이 설치되고 간극부가 밀봉되어 구들조립체로 제공되는 제2단계;
철재가 사용되어 이동식 건물의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바닥프레임 상부에 내열시멘트판재가 깔리고 그 상부면에 펄라이트(Pearlite) 30~40wt%, 모래 20~30wt%, 내열시멘트 20~30wt%, 잔량으로 공정수가 포함되어 100wt% 조성을 이룬 혼화재가 사용되어 경량,내열,단열성을 제공하도록 포설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제2단계에서 제공되는 구들조립체가 그 상부로 설치되어 단위 구들체를 얻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통상의 이동식주택에 적용되는 벽체 및 지붕의 설치방법이 적용되는 제5단계;
공정이 적용되어 10평 미만의 이동식 건물을 단기간에 설치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건물의 설치방법.
KR1020170069742A 2017-06-05 2017-06-05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KR10202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42A KR102023419B1 (ko) 2017-06-05 2017-06-05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42A KR102023419B1 (ko) 2017-06-05 2017-06-05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49A true KR20180133149A (ko) 2018-12-13
KR102023419B1 KR102023419B1 (ko) 2019-10-01

Family

ID=6467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42A KR102023419B1 (ko) 2017-06-05 2017-06-05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9B1 (ko) * 2019-08-09 2019-11-05 한성섭 에너지 절감형 구들장 시스템
KR20210062898A (ko) * 2019-11-22 2021-06-01 차화신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843A (ko) * 2020-10-23 2022-05-02 차화신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815B1 (ko) * 2020-11-02 2022-10-05 차화신 온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항균성 황토방 건축물 및 그 제조, 이용방법
KR20240018994A (ko) 2022-08-03 2024-02-14 김경환 이동식 구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2A (ko) * 1993-08-13 1995-03-20 서순기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KR100858719B1 (ko) * 2007-04-17 2008-09-17 송동헌 조립식 구들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2A (ko) * 1993-08-13 1995-03-20 서순기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KR100858719B1 (ko) * 2007-04-17 2008-09-17 송동헌 조립식 구들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9B1 (ko) * 2019-08-09 2019-11-05 한성섭 에너지 절감형 구들장 시스템
KR20210062898A (ko) * 2019-11-22 2021-06-01 차화신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843A (ko) * 2020-10-23 2022-05-02 차화신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419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149A (ko)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KR20170011319A (ko) 전통구들방식을 이용한 복합난방 시스템
US20110281066A1 (en) Lightweight fire resistant covering for structures
WO2022057162A1 (zh) 木棉被动式房屋
US6109257A (en) Modular chimney
CN107476426A (zh) 一种装配式轻钢泡沫混凝土集成房屋
KR101782843B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 2중의 난방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US4075799A (en) Building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64815B1 (ko) 골격판체를 이용한 다용도 벽돌
KR101754641B1 (ko)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US20120207975A1 (en) Lightweight fire resistant covering for structures
CN207484670U (zh) 一种装配式轻钢泡沫混凝土集成房屋
US3228387A (en) Prefabricated fireplace using prefabricated metal firebox
US20170245506A1 (en) Foam Mold to Provide Inside Shape of for Pizza Oven When Covered in Concrete
KR200291198Y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구조
KR101550559B1 (ko) 충격 및/또는 소음 감쇄형 온수 순환식 기초 바닥 패널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RU157323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RU2289069C1 (ru) Печь для обогрева помещения
KR101369505B1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816B1 (ko)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101722539B1 (ko) 종이 프레임 구덩이 화덕, 종이 프레임 화덕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099215B1 (ko) 온돌구조의 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수의 가열방법
CN214461658U (zh) 一种用于吊脚楼的防火屋顶结构
CN103148519A (zh) 一种民用取暖火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