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16B1 -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16B1
KR102451816B1 KR1020200138063A KR20200138063A KR102451816B1 KR 102451816 B1 KR102451816 B1 KR 102451816B1 KR 1020200138063 A KR1020200138063 A KR 1020200138063A KR 20200138063 A KR20200138063 A KR 20200138063A KR 102451816 B1 KR102451816 B1 KR 10245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deulbang
housing
floor
lai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843A (ko
Inventor
차화신
차종환
Original Assignee
차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신 filed Critical 차화신
Priority to KR102020013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건물에 이용되도록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구들방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의 제조방법 관련 기술로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형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태의 오목홈 온열공간(13)을 갖는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기배관(15)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10)이 제작되고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직육면체 형상의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을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하여 바닥체하우징을 얻도록 적용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본 발명은 이동식 건물에 이용되도록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바닥체하우징은 사용자가 구입하여 자기가 원하는 용도로 예를 들면 농촌 마을단위 부락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만들어 이용하거나, 야외캠핑장을 운영하기 원하는 주체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이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찜질방을 원할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작된 바닥체하우징을 구매하여 바닥체하우징의 상부에 자기가 원하는 형태의 벽체와 지붕을 설치하여 황토방으로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은 화목을 태워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를 이용하여 구들장을 데운 후 이 구들장의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구들 난방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들은 순수 우리말로“구운 돌”에서 그 유래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방바닥 밑으로 화기가 통하도록 하여 구들장을 데워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방시설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구들을 이용한 난방구조의 일 적용예로 등록특허 제10-1622270호의 도 6에 제시된 종래기술의 '구들 구조물'에서는 주택의 일측에 불기운을 불어넣은 아궁이가 형성되고, 상기 아궁이를 통해 유입된 불기운은 구들장을 가열하게 되며, 아궁이에서 발생한 화기(火氣)는 복수의 두둑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라는 화기의 이동통로를 따라 골고루 확산되며, 고래를 순환하여 온도가 내려간 열(연)기는 굴뚝을 통해 비산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주택 구조에서는 처음 설치시에는 큰 문제점이 없지만 장작불이 연소되는 경우 아궁이의 가온열이 600~800℃ 범위로 고온에 이르게 되면 바닥면에 사용된 시멘트나 바닥판재가 팽창되고, 가온되지 않을 때는 수축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바닥면이나 벽면에 크랙이 발생하고, 구들과 고래길 사이로 연소가스가 스며들어 결국 유해 연소가스 발생으로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고, 깨끗하고 공기 좋은 친환경 분위기에서 살기를 원하는 이동식 주택 거주인에게 건강의 위협과 오히려 위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이동식 주택이나 이동식 정자나 이동식 텐트 등으로 사용되기 위해 난방구조를 갖는 바닥체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은 구들방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들방 구조를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을 제작/판매하여 예를 들면 농촌 마을단위 부락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만들어 이용하거나, 야외캠핑장을 운영하기 원하는 주체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이용하거나, 또는 바닥체하우징 상부에 자기가 원하는 형태의 벽체와 지붕을 설치하여 황토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체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10평 미만으로 제공되는 이동식 건물의 바닥체가 난방구조를 갖는 바닥체하우징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 기술사상은 구들방을 일정형태로 먼저 만들고 구들방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해 구들방의 그릇 형태의 바닥체하우징을 만들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 기술사상은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형6면체형상으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상의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이 제작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이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이루어진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제1단계 공정에서 얻은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단위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제작공정을 통하여 본원에서 원하는 형태로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을 얻을 수 있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바닥체하우징의 이용수단으로 예를 들어 농촌 마을단위 부락의 노인정에서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만들어 이용하기 원할 때 땔감으로 농작물 수확 후 버려지는 농작폐기물을 연소시킬 때 검은 연기의 매연물 발생 위험을 줄이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야외캠핑장을 운영하기 원할 때 야외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를 소량이라도 연소시킬 때 불완전 연소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4단계 공정에서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기배관이 설치될 때 바닥체하우징의 일 측벽부 하단에서 30~80㎝ 높이로 연도가 설치되고 연도 내부에는 연기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방해하는 다수개의 방해판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경우 아궁이에서 연소되는 유기폐기물의 연소물이 다수개의 방해판을 경유하며 배출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굴뚝으로 배출되는 연기 농도는 거의 맑은 농도의 흰 연기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바닥체하우징의 일 측벽부 하단에 연도가 설치될 때 연도의 중간 중간에는 내부에 설치된 방해판을 꺼내서 검댕 등을 제거후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개폐구가 설치되어 굴뚝으로 배출되는 연기의 농도가 짙어질 때는 방해판을 꺼내 검댕이를 떼어내고 세정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방행판으로 교체해주는 경우 지속적으로 낮는 배기농도의 연기만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바닥체하우징의 아궁이 바닥면에는 3~7㎝ 높이의 석쇠판이 깔리는 구조를 이루어서 석쇠판 저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발화가 잘되는 구조를 이루고 아궁이의 발화로부터 발생된 뜨거운 열원이 아궁이의 후면벽 및 측벽의 상단부에서부터 3~8㎝ 저부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이루는 경우 아궁이에 투입된 재료의 발화로부터 발생된 뜨거운 열원이 아궁이의 개구부를 통해 양측면 및 전방으로 분산되어 단위구들방의 상부밀폐면 저부에 형성된 구들의 굴곡경사면에 차츰 차츰 뜨거운 열원이 채워져 나가면서 전체적으로 따뜻하도록 가온구조를 이루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은 단위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이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형6면체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상의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이 제작되고,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이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되어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바닥체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의 이용방법으로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6면체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상의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이 제작되고,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이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되어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로 바닥체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바닥체하우징을 이용하여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이용되거나,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이용되거나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방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체하우징의 이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 기술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은 사전에 공장에서 예를 들면, 4.5평, 6평, 8평 등 평형에 따른 규격품으로 바닥체하우징을 만들어 놓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규격 및 원하는 사용용도에 적합한 모델의 바닥체하우징을 구매하여 설치예정 현장에 운반되어 원하는 용도의 이동식 건물의 바닥체를 이루고 그 상부에 정자를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야외캠핑장이 필요할 경우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변형시켜 적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찜질방을 원할 경우에는 바닥체 상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벽체와 지붕을 설치하여 황토방으로 사용하도록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기간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바닥체하우징 내부에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내부 오목공간으로 불길이 고루 퍼져 고루 따뜻한 구들을 제공하는 효과와 사용과정에서 고장이나 불량품의 발생원인이 없이 완전하게 셋팅되어 공급될 수 있고 구들구조에600~800℃ 높은 온도 범위에서도 팽창이나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서 바닥층이 균열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어서 연기발생 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 발명의 바닥체하우징에 내삽되도록 적용되는 구들방예시도.
도 2 : 도 1의 구들방을 담는 구조로 제공되는 바닥체하우징의 일 적용예시도
도 3 : 도 2의 바닥체하우징이 사용되는 일 적용예시도.
도 4 : 도 2의 바닥체하우징이 사용되는 또 다른 적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들방(1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구들방(10)을 담는 그릇형태의 바닥체하우징(20)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바닥체하우징(20)을 이용하여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나 또는 황토방으로 이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2의 바닥체하우징(20)을 이용하여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들방(1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 기술에 적용되는 구들방((10)은 4각형구조로 상부밀폐면(11)이 가로격벽(12a) 및 세로격벽(12b) 사이에 구들판(13)이 올려진 후 매끄럽게 마감처리되어 상부밀폐면(11)이 형성되고,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15)가 형성되며 상부밀폐면(11) 저부 및 하향측벽부(15)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격벽(14a) 및 세로격벽(14b)이 약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태로 오목홈 온열공간(14)을 갖는 구들이 형성되어 오목홈에 온열을 보관하는 구조를 이루고 하향측벽부(15) 중 전방측벽부(15a)에 아궁이(16)가 설치되고 타 하향측벽부(15c)에는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기배관(17)을 갖는 형태의 구들방(10)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구들방(10)을 담는 그릇형태의 바닥체하우징(20)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에서는 구들방(10)을 중심부에 담는 그릇형태의 바닥체하우징(20)을 이루기 위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횡형철재프레임(21a,21b,,21c,21d)과 저부횡형철재프레임(22a,22b,22c,22d) 및 수직철재프레임(23a,23b,23c,23d)이 예를 들면 가로 * 세로가 5 * 5㎝, 두께 5㎜ 정도의 4각 철재각목이 용접되어 육면체구조의 외부프레임(25)을 먼저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22b, 22d) 사이에 받침지지축(24)가 용접된 구조로 철재로 이루어진 외부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철재외부프레임(25)은 그 중심부에 구들방(10)을 위치시킬 때 외부프레임의 내측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 내부에 구들방(10)의 진입을 수월하게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 2b 도면은 도 2a에서 만들어진 철재외부프레임(25)의 저부횡형철재프레임(22b, 22d) 사이에 받침지지축(24)이 고정된 후 되고 받침지지축(24)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 : 31))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32)이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33)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34)를 깔아주며 콘크리트(35)가 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30)을 형성하는 제3단계 공정의 실시양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 도면은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바닥체하우징(20)의 바닥면(30) 적층구조가 세멘트보드(CR보드 : 31)) + 방수합판(32) + 단열재(33) + 와이어메쉬(34) + 콘크리트(35)의 적층구조를 이룬 바닥면 상부로 제1단계 공정에서 얻은 구들방(10)이 네 귀퉁이에 마련된 걸고리(10에 끈이 걸려 크레인 등에 의해 들려진 후 바닥체하우징(20)의 중심부로 화살표 방향에 따라 내려오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 도면은 상기 도 2c 도면의 후속공정으로 바닥체하우징(20)의 외부프레임(25) 중심부 내부로 구들방(10)이 안착되게 되면 외부프레임의 내측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여유공간에 황토흙(40)이 채워지고 철재프레임의 안쪽과 외측 사이의 약 5㎝ 범위의 철재프레임 두께는 벽돌(41)로 조적공사가 이루어지면서 마감공사를 할 때 구들방(10)의 아궁이(16) 위치를 따라서 바닥체하우징(20)의 아궁이(26) 위치가 정해지고 구들방(10)의 배기배관(17) 위치를 따라서 바닥체하우징(20)의 배기배관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e 도면은 상기 도 2a에서부터 2d까지의 모든 공정이 수행된 후 최종 제품상태의 바닥체하우징(20)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내부의 바닥면(30) 적층구조등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외부프레임(25) 중심부 내부로 구들방(10)이 안착된 후 외부프레임의 내측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형성된 2~10㎝ 범위의 여유공간에 황토흙(41)이 채워지고 철재프레임의 안쪽과 외측 사이의 여유공간에 벽돌(41)로 조적공사가 이루어진 완성품을 나타낸 것으로 바닥체하우징(20)의 네 귀통이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게고리(29)가 설치되어 있는 현지로 운반될 준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바닥체하우징(20) 구조체가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상기 바닥체하우징(20) 구조체가 현장에 운반 된 후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이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방으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제시되는 정자(50)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에서는 도 2e 의 형태로 공장에서 제작된 완성품으로 바닥체하우징(20)의 네 귀통이에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게고리(2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게고리에 철재밧줄을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옮겨 현지로 운반된 후 그 상부에 단순한 구조로 벽체(51)와 지붕(52)과 벽체의 일부에 창문(53)이 설치된 구성의 정자(50) 형태를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고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바닥체하우징(20)의 아궁이(26)에는 바닥면에서 3~7㎝ 높이 위치에 석쇠판(27)이 깔리고 아궁이의 후면벽(28b), 좌측벽(28a) 및 우측벽(28c)에는 아궁이의 상단부에서부터 3~8㎝ 저부위치까지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연소되는 불꼿은 항상 상부로 향하기 때문에 불길의 가온열이 도 1에 제시되는 구들의 온열공간(14)을 차츰 차츰 채우면서 지나가게 되므로 바닥체하우징(20)의 바닥면 전체를 골고루 따뜻하게 가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3b에 제시되는 황토방(70)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에서는 도 2e 의 형태로 공장에서 제작된 완성품으로 바닥체하우징(20)이 현장에 운반된 후 벽체(71)와 출입구 도워(72)와 지붕(73)을 추가로 설치하고 입구계단(74)을 만들어 제공되는 단순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야외용 텐트를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야외용 텐트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4c에서는 바닥체하우징(20)의 일측면에 만들어지는 배기배관(26b)의 배출부 위치에 의자높이 정도로 외부연도(8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제시되는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 역시도 도 2e 의 형태로 공장에서 제작된 완성품으로 바닥체하우징(20)이 현장에 운반된 후 현장에서는 바닥체하우징(20)의 싸이즈에 적합하도록 반원형 절곡파이프(61)와 양측면지지파이프(62a,62b) 및 중앙부지지파이프(62c)를 결속시키고 방수포비닐(63)로 감싸서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60)를 이루는 이루는 구성은 추가설명 없이도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이나, 4c에서 바닥체하우징(20)의 일측면에 만들어지는 배기배관(26b)의 배출부 위치에 30~80㎝ 높이로 배출되는 더운 연소가스가 연도(80)를 거쳐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연도(80) 내부에는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다수개의 방해판이 좌측벽에 붙은 방해판(81a) 우측벽에 붙은 방해판(81b)가 계속적으로 격자형태 또는 역류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배기배관(26b)으로부터 배출되는 더운 연기 + 불완전 연소물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방해판(81a -> 82a -> 81b -> 82b -> 81c -> 82c 등 )을 거치면서 불완전 연소물이 방해판에 붙어 그을름으로 남고 실제 굴뚝(82)으로는 거의 연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흰연기가 나오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골단위부락에서 노인정에 본원 기술구성의 정자가 설치되고 생활쓰레기 수거가 제때에 작동되지 않을 때나 또는 소각처리에 문제되지 않는 경우 정자를 형성하는 바닥체하우징(20)의 일측면에 본원의 연도(80)가 설치되어 생활쓰레기를 소각하는 경우에도 매연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인식된다.
더욱 상기의 연도(80) 중간 중간에는 방해판을 교체해주거나 청소해주기 위한 점검구가 설치되어 검은 연기가 발생되는 경우 방해판을 새것으로 교체해주거나 청소한 후 다시 설치하여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체하우징은 사용자가 구입하여 자기가 원하는 용도로 예를 들면 농촌 마을단위 부락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만들어 이용하거나, 야외캠핑장을 운영하기 원하는 주체에서는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이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찜질방을 원할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작된 바닥체하우징을 구매하여 바닥체하우징의 상부에 자기가 원하는 형태의 벽체와 지붕을 설치하여 황토방으로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고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은 황토로 제공되며 가온구조를 이룰 때 황토의 원적외선 발생으로 쾌적한 휴식을 취하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10 : 구들방 11 : 상부밀폐면
12 : 격벽 13 : 구들판
14 : 온열공간 15 : 하향측벽부
16 : 아궁이 17, 26a : 배기배관
20 : 바닥체하우징 21 : 상부횡형철재프레임
22 : 저부횡형철재프레임 23 : 수직철재프레임
24 : 받침지지축 25 : 외부프레임
26 : 아궁이 27 : 석쇠판
28 : 아궁이 측벽부 29 : 걸게고리
30 : 바닥면 31 : 세멘트보드(CR보드)
32 : 방수합판 33 : 단열재
34 : 와이어메쉬 35 : 콘크리트
40 : 황토흙 41 : 벽돌
50 : 정자 51 : 정자벽체
52 : 정자지붕 53 : 정자창문
60 : 야외용 텐트 61 : 절곡파이프
62 : 측면지지파이프 63 : 방수포비닐
70 : 황토방 71 : 황토방 벽체
72 : 도 어 73 : 황토방 지붕
74 : 입구계단 80 : 연도
81,82 : 방해판 83 : 굴뚝

Claims (5)

  1. 구들방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형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태의 오목홈 온열공간(13)을 갖는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기배관(15)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10)이 제작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을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이루어진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제1단계 공정에서 얻은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 공정에서 굴뚝배관이 설치될 때 바닥체하우징의 일 측벽부 하단에서 30~80㎝ 높이로 연도가 설치되고 연도 내부에는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다수개의 방해판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아궁이에서 연소된 유기폐기물 연소물이 방해판을 경유하며 굴뚝으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을 얻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체하우징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하우징의 아궁이 바닥면에는 3~7㎝ 높이의 석쇠판이 깔리고 아궁이의 후면벽 및 측벽의 상단부에서부터 3~8㎝ 저부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체하우징의 제조방법.
  4.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형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상의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이 제작되고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단위구들방을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단위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 할 때 바닥체하우징의 일 측벽부 하단에서 30~80㎝ 높이로 연도가 설치되고 연도 내부에는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다수개의 방해판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아궁이에서 연소된 유기폐기물 연소물이 방해판을 경유하며 굴뚝으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체하우징.
  5.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바닥체하우징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건물의 바닥면을 가온하기 위한 구들방이 4각6면체구조로 상부밀폐면과 상부밀폐면의 측면으로 높이가 40~60㎝ 범위의 하향측벽부가 형성되고 상부밀폐면 저부 및 하향측벽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격벽이 10~30㎝ 높이로 굴곡경사면 형상의 구들이 형성되고 하향측벽부의 일측에는 아궁이가 설치되고 타 측벽부에는 굴뚝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들방이 제작되고
    상기 구들방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체하우징은 상부횡형철재프레임, 저부횡형철재프레임 및 수직철재프레임이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을 육면체구조로 형성하고 양립하는 저부횡형철재프레임 사이에 받침지지축이 용접된 구조로 외부프레임을 형성하되 외부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들방을 위치될 때 외부프레임의 내벽부와 구들방의 외벽체 사이에 2~10㎝ 범위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크기로 용접되어 외부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받침지지축 상부에 세멘트보드(CR보드)가 깔리고 CR보드 상부에 방수합판을 깔리며 방수합판 상부에 단열재를 깔거나 또는 CR보드를 깔고 그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깔아주며 콘크리트가타설되어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체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들방이 얹혀진 후 바닥체하우징의 내측벽부와 구들방 사이의 간극부에 황토가 채워지고 구들방의 아궁이 및 굴뚝배관 위치에 따라 외부프레임 사이의 외벽체를 마감처리 할 때 바닥체하우징의 일 측벽부 하단에서 30~80㎝ 높이로 연도가 설치되고 연도 내부에는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다수개의 방해판이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아궁이에서 연소된 유기폐기물 연소물이 방해판을 경유하며 굴뚝으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로 바닥체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바닥체하우징을 이용하여 난방구조를 갖는 정자로 이용되거나, 난방구조를 갖는 야외용 텐트로 이용되거나 난방구조를 갖는 황토방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체하우징의 이용방법.
KR1020200138063A 2020-10-23 2020-10-23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63A KR102451816B1 (ko) 2020-10-23 2020-10-23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63A KR102451816B1 (ko) 2020-10-23 2020-10-23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43A KR20220053843A (ko) 2022-05-02
KR102451816B1 true KR102451816B1 (ko) 2022-10-05

Family

ID=8159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63A KR102451816B1 (ko) 2020-10-23 2020-10-23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93Y1 (ko) * 2008-05-07 2008-12-05 김종욱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496A (ko) * 2008-12-08 2010-06-17 이태경 온돌난방 구조가 결합된 벽난로 시스템
KR102023419B1 (ko) * 2017-06-05 2019-10-01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93Y1 (ko) * 2008-05-07 2008-12-05 김종욱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43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873B2 (en) Modular brick or block outdoor structures
KR102023419B1 (ko)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US3339540A (en) Portable pre-cast fireplace
KR200442693Y1 (ko)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RU174725U1 (ru) Топка для печи или камина
US4466420A (en) Modular masonry heating system
KR102451816B1 (ko) 구들방을 중심부에 수용하는 바닥체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0495120Y1 (ko) 가온 구조를 갖고 단위물품으로 판매되는 바닥체하우징
KR20170046500A (ko)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0636631B1 (ko) 경량 숯가마 및 그 시공방법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Anıl et al. Documentation and Sustainability of Construction Techniques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Kitchen Hearths and Chimneys in Traditional Diyarbakır Houses
RU2097659C1 (ru) Камин-печь и.г.мухина
KR102322158B1 (ko)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RU2229064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Stationery Office The Building Regulations 2000: approved document, J: Combustion appliances and fuel storage systems
KR20230128781A (ko) 철재돌출부를 갖는 구들프레임의 이용 및 설치방법
AU770031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ing appliances
AU728563B3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ing appliances
RU163567U1 (ru) Дымовая труба
Gülşen et al. AN OVERVIEW OF TRADITIONAL HEATING, VENTILATION, AND ILLUMINATION TECHNOLOGIES IN HISTORIC BATHS AND THEIR CONTEMPORARY INSPIRATIONS
Phillips Chimneys for wood stoves (1993)
Phillips Chimneys for wood stoves
Riordan Space Heating
Halirova et al. Sustainable Construction in the Conservation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