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98A -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98A
KR20210062898A KR1020190151106A KR20190151106A KR20210062898A KR 20210062898 A KR20210062898 A KR 20210062898A KR 1020190151106 A KR1020190151106 A KR 1020190151106A KR 20190151106 A KR20190151106 A KR 20190151106A KR 20210062898 A KR20210062898 A KR 2021006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heating
layer
container structur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158B1 (ko
Inventor
차화신
Original Assignee
차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신 filed Critical 차화신
Priority to KR102019015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황토방의 벽체나 지붕재로 활용하기 위해 벽체 안쪽에 석고보드를 붙이고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된 구조로 개조한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저부위치에서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은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황토방 제작 현장으로 운반된 후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저부구들층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제작됨으로 1주일이나 2주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변형 황토방을 얻을 수 있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 관련 기술이다.
본원 공법이 적용되는 경우 공사기간이 10 여일 정도에 완성될 수 있는 공기단축 효과를 제공하고 통상 황토방 건축물을 제작하는데 통상적으로 4000 내지 5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데 비하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구조의 황토방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1/2 이상의 비용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Building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Loess Board and Container structure}
본 발명은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농막이나 농자재 보관 컨테이너박스용으로 제작된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와 지붕재를 개조하여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저부위치에서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은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황토방을 원하는 현장으로 운반된 후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저부구들층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벽체와 지붕재에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되도록 제작됨으로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변형 황토방을 얻을 수 있는 기술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에는 각종 천연광물이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이 방출된다는 보고에 힘입어 황토를 이용한 황토벽돌, 황토판재 이들을 이용한 황토방 구조물들이 여러 곳에서 인기리에 축조되고 있다.
이러한 황토방은 공해와 오염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황토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현대인들은 황토방을 이용하여 누적된 피로를 회복하고자 전국 시골의 산지 곳곳에 황토방이 설치되어 있다.
원적외선은 침투력이 높은 특성을 갖고 침투된 곳에서 자기발열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짐으로 예를 들어 높은 온도가 아닌 40~50℃ 정도의 저온분위기에서도 황토 성분이 제공하는 원적외선은 인체의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이 균일하게 침투하여 자가발열을 일으킴으로 세포 내부의 구석구석에 미세기공을 확장시키고 세포구멍에 내부에 붙어있는 냄새 유발균 및 기타 유해균의 분해를 촉진하여 외부로 땀으로 배출시키는 분해효과로 피부미용 및 피부정화에 기여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황토의 효능을 활용하기 위한 황토방 관련 선출원 기술은 예를들면, 등록특허 10-1782843호에서는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 2중의 난방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의 온돌난방구조는 이동식 건축물의 바닥면 자체로 판매되어 제공되고, 사용자가 본원의 온돌난방구조를 구입하여 운반한 후 자기의 취향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나 천장재를 설치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매스컴에서 라돈의 인체 유해성이 발표되어 라돈을 방출하는 매트리스 침대의 폐기로 몸살을 겪는 모습이 보도되고 있는바, 항토방 설치과정에서 지하에서 라돈가스 배출 문제를 배제시키기 위한 기술로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 10- 1590840호 특허기술에서는 라돈가스를 실내 주거공간으로부터 안전하게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황토방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황토방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건축자재 및 목수가 필요하고, 목수가 재료를 구매하여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가공하는 방식으로 황토방을 얻기까지는 2∼3개월의 공사기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원에서와 같이 2가지 이질적 재료를 연결하여 하나의 황토방을 얻고자 할 때에는 이질적 소재의 접합부위가 조금만 벗어나도 연기가 새거나 황토방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골의 임야나 밭 등 여러 장소에 용도를 잃고 버려지거나 건설공사 과정 중에 사용되다가 공사종료 후 방치되어 있는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하여 황토방의 벽체나 지붕재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황토방의 벽체나 지붕재로 활용하기 위해 벽체 안쪽에 석고보드를 붙이고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된 구조로 개조한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저부위치에서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은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황토방 제작 현장으로 운반된 후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저부구들층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제작됨으로 1주일이나 2주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변형 황토방을 얻을 수 있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기술사상은 기존 철재로 제작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와 지붕재를 개조하여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고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이 별도로 제작된 후 현장에 운반된 후 저부구들층의 상부로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올려진 구조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변형 황토방 시공방법관련 기술로, 기존 철재로 제작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바닥부가 제거되고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 및 지붕재 내측으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변형된 구조의 벽체 및 지붕재를 갖는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황토방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기초받침체 상부에 엊혀지는 구조를 이루고 가온구들층 상부로 제1단계 공정으로 제작된 변형된 구조의 황토방 벽체 및 지붕재가 올려져 변형황토방구조물이 설치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측벽부의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된 후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되고 배기구에 굴뚝이 연결되어 마감처리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기존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하여 황토방으로 변형시켜 황토방의 온열 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에서 상기 가온구들층은 바닥면의 일측 저부에 아궁이인 화구(火口)가 설치되고 가온구들층의 바닥면은 상부에서 저부를 향하여 10~30㎝ 높이의 불길내림 차단막이 30~60㎝ 간격으로 설치되며, 불길내림 차단막의 중간 중간에는 불길안내를 위한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화구(火口)에서의 높은 열이 불길내림 차단막 및 오목홈 안내로를 지나는 구조를 이루면서 바닥면을 골고루 따뜻하게 가온시키는 구조의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온구들층의 제작과정에서 철근을 엮고 거프짚을 제작할 때 일부의 철근이 알루미늄이나 티타니움, 중에서 선택되는 열전도 금속봉이 15 내지 30㎝ 간격으로 배열되고 열전도 금속봉의 양쪽 단부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필요한 경우 (+)(-)전원의 연결에 의해 가온구조를 이루는 가온구들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 변형 황토방 시공방법의 제3단계의 적용과정에서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될 때 배기구에서 굴뚝이 곧바로 연결되지 않고 가온구들층의 측벽부 외측으로 가로 세로 높이가 20~100㎝ 범위로 매연흡수층을 형성하고 매연흡수층 내부에는 중간 중간 걸림턱이 설치된 구성을 이루며 매연흡수층의 배기구입부 반대편에 굴뚝과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굴뚝의 배기가스 농도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은 기존 제작된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의 바닥부가 제거되고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 및 지붕재 내측으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변형된 구조의 벽체 및 지붕재를 갖는 황토방 구조물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황토방 구조물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기초받침체 상부에 엊혀지고 가온구들층 상부로 제1단계 공정으로 제작된 변형된 황토방구조물이 올려져 결합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측벽부의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된 후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되고 배기구에 굴뚝이 연결되어 마감처리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기존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하여 황토방으로 변형시켜 황토방 효과를 얻도록 제공되는 변형 황토방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제시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구조의 황토방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기본골조를 활용하여 벽체와 지붕재로 활용하되 황토방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부의 내측으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를 기본으로 적용하고 그 내측으로 수용자의 요구에 따라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편백 나무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되고, 황토방을 이루는 저부구들층은 공장이나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된 후 현장에 운반된 후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저부구들층의 상부에 올려진 구조의 변형 황토방으로 시공되는 경우 공사기간이 10 여일 정도에 완성될 수 있는 공기단축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에 예를 들면 5.5평 정도크기의 황토방 건축물을 제작하는데 통상적으로 4000 내지 5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데 비하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구조의 황토방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1/2 이상의 비용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 : 물품보관용으로 제공되는 철재 콘테이너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 본원 황토방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의 예시도.
도 3 : 도 2의 가온구들층에 도 1의 콘테이너가 결합되기 위한 준비작업의 적용예시도.
도 4 :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변형 황토방의 적용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발명의 도면에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의 실시양태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원에서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새로운 구성으로 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도면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강조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본원의 기술구성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도시되거나 설명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물품보관용으로 제공되는 철재 콘테이너의 외부 형태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원기술이 적용되어 황토방을 얻을 때 황토방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의 적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가온구들층 구조에 도 1에서 제시되는 콘테이너가 결합되기 위한 준비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변형 황토방의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전통적인 컨테이너 구조물(20)의 외형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에서는 철재프레임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수평바닥브레임(21)의 네 모퉁이에 수직측부프레임(22)이 세워지고 그 상부에 지붕재(23)가 얹혀진 구조를 이루고 측벽의 내측연장부(22a)가 지붕재(23)를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에 출입구도어(24) 및 창문(23)을 갖는 컨테이너 구조물(20)의 외형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에서는 도 1a에 제시되는 컨테이너 구조물(20)의 저부바닥부(10)를 표현하기 위해 도 1b와 같이 수평바닥브레임(21)을 떼어내는 경우 그 내부에는 가로지지축(11) 및 세로지지축(12)이 수평바닥브레임(21) 내측에 설치되고 가로지지축(11) 및 세로지지축(12) 상부에 콘테이너 바닥재(13)가 깔리는 구성을 갖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는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와 지붕재를 황토방의 측벽부와 지붕으로 개조하기 위한 설명을 하기 위해 도 1b에 나타난 수평바닥브레임(21)에서 가로지지축(11) 및 세로지지축(12), 콘테이너 바닥재(13)를 각각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에서 수평바닥브레임(21)의 네 모퉁이에 수직측부프레임(22)이 세워지고 그 상부에 지붕재(23)가 얹혀진 구조를 할용하여 벽체 및 지붕재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기술이 적용되어 황토방을 얻을 때 황토방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의 일 적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에서는 가온구들층(50)이 전면측벽부(51a)에 아궁이(53)가 형성되고 우측측벽부(51b)에 가온구들층(50)에 밧줄을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구(58)를 가지며 상부바닥면에는 황토판재(52)가 깔린 형태로 공장에서 하나의 단위몸체 형상으로 사전 제작되고 설치현장으로 옮겨지기 위한 형태의 외형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제공되는 가온구들층(50)은 외부에서는 그 내부가 보이지 않으나 가온구들층(50)의 내부를 투시형태로 그리는 경우 가온구들층의 제작과정에서 철근을 엮고 그 외연을 거프짚이 감싸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작할 때 철근 중의 일부가 알루미늄이나 티타니움, 중에서 선택되는 열전도 금속봉(59)이 15 내지 30㎝ 간격으로 배열되고 열전도 금속봉의 양쪽 단부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장작불 등의 땔감을 사용할 수 없는 특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전원의 연결에 의해 가온구조를 이루는 가온구들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외 외형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상기 도 2a의 가온구들층(50)을 들어 올리고 저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d는 가온구들층(50)의 저부 바닥면에서의 열 흐름을 화살표 형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원의 가온구들층(50) 양 측벽부(51b)의 내측으로는 횡으로 다수개의 격벽(54)이 설치되고 격벽(54)의 중간 위치에 열흐름유도부(55)이 형성되되 인접하는 격벽과의 열흐름유도부(55)이 서로 다르게 위치하여 아궁이(53)에서 유입된 열이 양쪽으로 퍼졌다가 다시 중앙부로 모였다가 다시 양쪽으로 분산되고 다시 모이는 구성을 반복하면서 후면측벽부(57)에 이르고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출구(56)까지 지그재그 흐름을 반복하여 바닥면이 골고루 따뜻하게 해주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따라서 본원 가온구들층(50)은 바닥면의 일측 저부에 아궁이(53)인 화구(火口)가 설치되고 가온구들층의 바닥면은 상부에서 저부를 향하여 10~30㎝ 높이의 불길내림 차단막 형태의 격벽(54)이 30~60㎝ 간격으로 설치되며, 불길내림 차단막의 중간 중간에는 불길안내를 위한 오목홈 형상의 열흐름유도부(55)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화구(火口)에서의 높은 열이 불길내림 차단막 및 오목홈 안내로를 지나는 구조를 이루면서 바닥면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적용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가온구들층(50) 상부에 도 1에서 제시되는 콘테이너가 벽체와 지붕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에서는 도 2에 제시되는 가온구들층(50)의 길이가 콘테이너(20) 길이보다 작으므로 가온구들층(50)의 우측벽(51b) 높이로 연장측벽부(42)가 내면공간부(41)를 형성하면서 내부공간부 외연의 3면에 연장측벽부(42)가 형성되어 콘테이너(20)의 단부까지 모두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가온구들층(50)의 바닥면 외연점선부(50a)상부에 가온구들층(50)의 수평바닥브레임(21)이 맞닫도록 되도록 화살표방향으로 하강하여 결합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연장측벽부(42)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형성된 내면공간부(41)는 황토방을 출입구도어(24)를 열고 진입하면 마루바닥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간식처리를 할 수 있는 소규모 주방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의 도면을 통하여서는 황토방의 내부구조를 설명할 수 없기에 도 3b에서는 콘테이너(20)의 측벽구보를 설명하기 위해 전면부를 도시하지 않고 후면 측벽부(3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본래의 콘테이너(20)의 벽체부는 양쪽의 절곡철판(31a,31b) 사이에 단열재(32)가 내장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본원에서 이를 황토방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 절곡철판(31b) 외연으로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36)을 위치시키고 내측 절곡철판(31a) 안쪽으로 석고보드(33) 또는 합판을 댄 상태에서 10~20㎝ 길이로 제공되는 타카나사못 및 탁카총을 활용하여 석고보드(33) + 절곡철판(31a) + 단열재(32) +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36)까지 일체화되는 외벽체를 이루고 석고보드(33) 또는 합판재 내측으로는 단순하게 창문(23)의 저부위치에는 황토판재(34)가 위치하고 창문(23) 높이 상부위치에는 피트치드 향을 발하는 편백나무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되는 형태로 적용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36)은 섬유펄프나 볏짚이 20~30wt% 범위로 황토와 배합되어 100톤 이상의 프레스 압력으로 압착되어 섬유물질을 함유한 황토벽돌로 제공될 때 10~20㎝ 길이 범위로 제공되는 타카나사못이 사용되어 내외측 절곡철판과 단열재 및 황토벽돌이 적층된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에서 실내 쪽에 사용하는 황토판재(34)는 황토 50~60 중량%와 닥섬유 5~10중량%와 산화광물
20~30중량%와 강회 10~20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1000톤의 압력으로 압착되어 황토
판재(34)로 제공되는 경우 높은 탈취효율을 나타내는 황토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3b의 벽체구조는 최소한의 황토방 효과를 누리기 위한 벽체구조이나 더욱 바람직한 벽체구성은 석고보드(33) 또는 합판재 내측에 목재 각목을 종 및 횡으로 고정하고 각목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공간에는 숯층을 채우면서 숯층 안쪽에서 창문(23)의 저부위치에는 황토판재(34)가 위치하고 창문(23) 높이 상부위치에는 피트치드 향을 발하는 편백나무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되는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하절기에는 외부의 더운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지 않아서 시원한 느낌을 주고, 동절기 한파 가운데에서도 벽체에 성애가 형성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구조의 벽체적층구조(60)를 형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지붕재(23)에 별도의 추가 설명이 없는바, 기존의 콘테이너 지붕재는 얇고 보온력이 약하여 여름철에 덥고 겨울철에 추위를 견디기 힘들므로 지붕재(23) 양측으로 보온단열재를 대고 가능하면 외측으로 석고보드를 대고 방수처리를 하는 경우 내구성을 높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함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변형구조의 황토방 제품의 완성된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황토방의 아궁이(53)를 통하여 열원이 태워지면 도 2b의 설명에서와 같이 가온구들층의 양 측벽부(51b) 내측에 횡으로 형성된 격벽(54)의 열흐름유도부(55)를 통하여 아궁이(53)에서 유입된 열이 양쪽으로 퍼졌다가 다시 중앙부로 모였다가 다시 양쪽으로 분산되는 형태를 반복하면서 후면측벽부(57)에 이르고 굴뚝으로 연결되는 배출구(56)에서 굴뚝(60)으로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에서는 가온구들층(50)과 연결된 배출구(56)에 굴뚝(60)이 곧바로 연결되지 않고 가온구들층의 측벽부 외측으로 가로 세로 높이가 20~100㎝ 범위로 매연흡수용 격벽(61)이 다수개 여러겹으로 중간 중간 걸림턱 형태로 지그 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연기 흡수통로(62)가 설치된 구성을 이루며 배출구(56)를 나온 연기가 배기구 반대편에 형성된 굴뚝(60)에 이르기가지 다수개의 격벽(61)이 연기흐름의 걸림턱 기능을 하면서 지그 재그 흐름을 거친 후 배출되는 경우 연기 색상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가 희석되어 배출되므로, 특히 농촌마을이나 노인정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며에서와 같이 종래공법으로 하나의 황토방을 얻고자 하는 경우 수개월의 작업이 필요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므로 그 만큼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나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 후 용도를 잃은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활용하여 황토방의 벽체나 지붕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변형구조를 이루고 상기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저부위치에서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만 콘크리트 구조물로 외부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황토방 제작 현장으로 운반된 후 설치현장의 바닥면을 다짐 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도 3a와 같이 먼저 가온구들층(50)을 안착시켜 설치하고 그 상부에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올려진 후 마감작업을 갖는 공법으로 적용되는 경우 1주일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변형 황토방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황토방을 얻는 과정의 설명에 의문을 갖는 경우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로 10-01173290호, 등록특허 10-0915410호, 등록특허 10-1043794호, 등록특허 10-0881070호, 등록특허 10-1645559호, 등록특허 10-1782843호 등에서 황토방 제작 관련 설명이 상세히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됨을 피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있는 부분은 공지의 특허기술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원 청구범위 기술에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기술인 10-2018-0012404호, 10-2018-0012405호, 10-2018-0097421호, 10-2018-0128170호에 개시된 기술이 접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 콘테이너 바닥부 11 : 가로지지축
12 : 세로지지축 13 : 콘테이너 바닥재
20 : 컨테이너 구조물 21 : 수평바닥브레임
22 : 수직측부프레임 23 : 지붕재
24 : 입구도어 25 : 창문
30 : 측벽부 31 : 절곡철판
32 : 단열재 33 : 석고보드
34 : 황토판재 36 :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
41 : 내면공간부 42 : 연장측벽부
50 : 가온구들층 51 : 측벽부
52 : 황토판재 53 : 아궁이
54 : 격벽 55 : 열흐름유도부
56 : 배출구 57 : 후면측벽부
59 : 열전도 금속봉 60 : 굴뚝
61 : 격벽 62 : 배출연기 흡수통로

Claims (5)

  1. 기존 철재로 제작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와 지붕재를 개조하여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고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이 별도로 제작된 후 현장 운반된 후 저부구들층의 상부로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올려진 구조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변형 황토방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철재로 제작된 컨테이너 구조물의 바닥부가 제거되고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 및 지붕재 내측으로 단열재 또는 석고보드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변형된 구조의 벽체 및 지붕재를 갖는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는 제1단계;
    황토방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기초받침대 상부에 엊혀지는 구조를 이루고 가온구들층 상부로 제1단계 공정으로 제작된 변형된 구조의 황토방 벽체 및 지붕재가 올려져 변형황토방구조물이 설치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측벽부의 단열재나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된 후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되고 배기구에 굴뚝이 연결되어 마감처리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기존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하여 황토방으로 변형시켜 황토방의 온열 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구들층은 바닥면의 일측 저부에 아궁이인 화구(火口)가 설치되고 가온구들층의 바닥면은 상부에서 저부를 향하여 10~30㎝ 높이의 불길내림 차단막이 30~60㎝ 간격으로 설치되며, 불길내림 차단막의 중간 중간에는 불길안내를 위한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화구(火口)에서의 높은 열이 불길내림 차단막 및 오목홈 안내로를 지나는 구조를 이루면서 바닥면을 골고루 따뜻하게 가온시키는 구조의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구들층의 제작과정에서 철근을 엮고 거프짚을 제작할 때 일부의 철근이 알루미늄이나 티타니움, 중에서 선택되는 열전도 금속봉이 15 내지 30㎝ 간격으로 배열되고 열전도 금속봉의 양쪽 단부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필요한 경우 (+)(-)전원의 연결에 의해 가온구조를 이루는 가온구들층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적용과정에서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될 때 배기구에서 굴뚝이 곧바로 연결되지 않고 가온구들층의 측벽부 외측으로 가로 세로 높이가 20~100㎝ 범위로 매연흡수층을 형성하고 매연흡수층 내부에는 중간 중간 걸림턱이 설치된 구성을 이루며 매연흡수층의 배기구입부 반대편에 굴뚝과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굴뚝의 배기가스 농도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황토방의 시공방법.
  5. 기존 제작된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와 지붕재를 개조하여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을 얻고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저부구들층이 별도로 제작된 후 현장에 운반된 후 저부구들층의 상부에 변형된 컨테이너 구조물이 올려져 결합된 구조를 갖는 변형 황토방에 있어서,
    기존 제작된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의 바닥부가 제거되고 컨테이너 구조물의 측벽부 및 지붕재 내측으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변형된 구조의 벽체 및 지붕재를 갖는 황토방 구조물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황토방 구조물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구들층이 단위물품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기초받침체 상부에 엊혀지고 가온구들층 상부로 제1단계 공정으로 제작된 변형된 황토방구조물이 올려져 결합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측벽부의 석고보드 내측으로 황토패널이나 황토판재나 목재판재가 내장재로 시공된 후 가온구들층의 일측벽을 통하여 배기구가 설치되고 배기구에 굴뚝이 연결되어 마감처리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기존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하여 황토방으로 변형시켜 황토방 효과를 얻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황토방.
KR1020190151106A 2019-11-22 2019-11-22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KR10232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06A KR102322158B1 (ko) 2019-11-22 2019-11-22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06A KR102322158B1 (ko) 2019-11-22 2019-11-22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98A true KR20210062898A (ko) 2021-06-01
KR102322158B1 KR102322158B1 (ko) 2021-11-03

Family

ID=7637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106A KR102322158B1 (ko) 2019-11-22 2019-11-22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19A (ko) * 1998-09-03 1998-12-05 서영헌 온수와 전기겸용 조립식 천연석 구들장
KR20100129099A (ko) * 2009-05-29 2010-12-08 이경영 ㄹ자형 온돌방 구들 시공법
KR20180115519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자단 난로
KR20180133149A (ko) * 2017-06-05 2018-12-13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KR101976387B1 (ko) * 2018-12-06 2019-08-28 주식회사 유니트 황토 찜질방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19A (ko) * 1998-09-03 1998-12-05 서영헌 온수와 전기겸용 조립식 천연석 구들장
KR20100129099A (ko) * 2009-05-29 2010-12-08 이경영 ㄹ자형 온돌방 구들 시공법
KR20180115519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자단 난로
KR20180133149A (ko) * 2017-06-05 2018-12-13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KR101976387B1 (ko) * 2018-12-06 2019-08-28 주식회사 유니트 황토 찜질방 컨테이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158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746B1 (ko) 한옥 또는 황토방 건축물의 바닥면 가온구조 및 바닥가온층의 에너지 절감형 가온방법
KR102071318B1 (ko) 황토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이용하는 산야초 원료의 건조장치 및 산야초 원료의 건조방법
KR102322158B1 (ko)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KR101754641B1 (ko) 2중의 구들길 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
KR102164815B1 (ko) 골격판체를 이용한 다용도 벽돌
EP1556650A2 (de) Infrarotstrahler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gütern, nämlich baukörpern, bauelementen und baustoffen
RU140580U1 (ru) Мобильная неразборная баня-бочка
CN212427585U (zh) 一种喷筑式石膏复合外墙墙体的壁暖构造
RU2559971C2 (ru) Мобильная неразборная баня-бочка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98420A (ko)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RU38112U1 (ru) Парная курина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101096075B1 (ko) 황토 방바닥의 난방구조
Dolan Seasons change
KR20060075676A (ko) 비닐,고무,천막재료로 쥬부식 기둥과 지붕,벽,바닥을만들어 에이야를 주입시켜 야영하우스와 침실을 만드는 방법
Gross Take two
KR200406682Y1 (ko) 황토 아궁이 불가마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Gross et al. Compact and crafted
KR200481633Y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황토방
Gross Simple's sake
JP2004271122A (ja) 床暖房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蓄熱体および蓄熱体の製造方法
Weiner et al. Pod people
CN112031189A (zh) 一种壁暖构造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