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036A - 변류 장치 - Google Patents

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036A
KR20150026036A KR20130104338A KR20130104338A KR20150026036A KR 20150026036 A KR20150026036 A KR 20150026036A KR 20130104338 A KR20130104338 A KR 20130104338A KR 20130104338 A KR20130104338 A KR 20130104338A KR 20150026036 A KR20150026036 A KR 2015002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support
fastening bolt
tan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354B1 (ko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존의 지지용 보스를 탱크에 고정하지 않고 변류기 써포트에 취부함으로써,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탱크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변류기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변류기 써포트를 탱크와 조립하기 전에 변류기 써포트의 외부에서 변류기 등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류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작업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변류기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변류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변류기 써포트에 의해 하단부가 지지되는 변류기; 상기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지지용 보스; 및 상기 지지용 보스에 지지되고, 변류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변류기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류 장치{CURRENT TRANSEFORMER}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전력 계통도 대용량, 초고압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설비의 안정화와 신뢰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른 초고압 변전설비는 용지확보의 곤란, 유지보수 비용의 과다 안전성 확보 등의 이유로 변전설비의 주회로 계통은 밀폐, 은폐화 되고 제어계통은 전자화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공기 또는 유류 절연형 변전설비에서 가스 절연형 변전설비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가스절연 개폐장치(GIS:Gas Insulated Switchgear)는 차단기, 단로기 등의 개폐설비와 변류기, 피뢰기, 주회로 모선 등을 금속제 탱크 내에 일괄 수납하여 충전부는 고체 절연물(Spacer)로 지지하고 있으며 탱크 내부에는 절연성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SF6 가스를 절연매체로 하여 충진, 밀봉한 개폐설비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초고압용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고전압의 전류나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측정범위의 확장 및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예,110[V],5[A])로 낮춰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사고전류(지락/단락) 발생 시 계측기에 정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흘러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변류기(CT)는 권선형태에 따라 권선형, 관통형, 부싱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부싱형 변류기(Bushing CT)는 철심의 내경과 단면적이 커서 포화특성이 좋으며 대전류 영역에서 오차특성이 양호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싱형 변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상기 부싱형 변류기는 탱크(1)와, 탱크(1) 내부에 삽입되어 변류기를 지지하는 변류기 써포트(2)와, 환상철심에 감겨진 2차권선(3a)을 구비하여 그 내부를 관통하는 1차권선(C)과의 상호유도작용으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환하는 부싱변류기(3)(Bushing CT)와, 부싱변류기(3)(BCT)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4)는 부싱변류기(3)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5)와, 플레이트(5)를 가압하여 부싱변류기(3)를 고정하는 체결볼트(6) 및 상하부 한 쌍의 너트(7a,7b)와, 체결볼트(6)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8) 및 보스(9)(Boss)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류기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탱크(1)의 내부에 변류기 써포트(2)를 동심적으로 배치한 후 고정한다. 그 다음 탱크(1)와 변류기 써포트(2) 사이에 부싱변류기(3)를 삽입한다.
이후, 상기 고정장치(4)를 이용하여 부싱변류기(3)를 고정한다.
상기 부싱변류기(3)를 고정하기 위해, 부싱변류기(3)의 상단부에 플레이트(5)를 안착시켜 부싱변류기(3)의 상단부를 커버한다.
계속해서, 체결볼트(6)의 헤드부가 플레이트(5)의 상면 위에 놓이도록 뒤집어 세운 다음, 체결볼트(6)에 브라켓(8)의 수평면부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너트(7a,7b)를 이용하여 가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가체결된 두 개의 너트(7a,7b)를 체결볼트(6)의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돌려가면서 브라켓(8)의 수직면부의 볼트홀과 지지용 보스(9)의 볼트홀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로 체결하여 브라켓(8)을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너트(7a,7b)를 완전히 조여줌으로써 체결볼트(6)를 통해 변류기(3)를 아래로 눌러 고정하여 변류기(3)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성요소인 차단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변류기(3)를 해체하는 경우에 상기 변류기(3)의 조립순서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변류기 조립 구조에 있어서, 지지용 보스(9)를 탱크(1)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탱크(1)에 보스(9)의 크기에 맞게 고정홀을 뚫고 보스(9)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데,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용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탱크(1)의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탱크(1)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변류기(3)를 조립 및 해체하는 경우에도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탱크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변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변류기를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변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탱크, 변류기, 변류기 써포트, 변류기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변류기는 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고리형상의 2차권선을 구비한다. 상기 변류기 써포트는 상기 변류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변류기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한다.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은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상기 받침대 쪽으로 가압하여 변류기를 고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변류기를 조립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존과 유사하지만, 기존의 탱크 내부에 변류기 써포트를 조립한 후 탱크 내부에 변류기를 조립하던 것과 달리, 변류기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면에 변류기를 조립한 후 탱크와 변류기 써포트를 조립함으로써, 변류기 설치 및 해체 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가능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변류기 고정유닛이 탱크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은, 일단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타단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의 일 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됨에 따라 체결볼트의 축방향 이동을 유도하여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1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의 타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가압력을 유지하는 제2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은, 일단부에 나사홀을 가지고, 타단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나사홀을 통해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볼트의 일단부에 큰 헤드부가 나사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에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변류기의 타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변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류기 써포트의 받침대는 상기 탱크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랜지부와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변류기 써포트가 상기 탱크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류기 및 이의 조립방법에서는 변류기 조립을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변류기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차단기 유지 보수 시 변류기 써포트와 탱크만 해체하면 되므로, 변류기 해체 작업이 간편하다.
아울러, 변류기 고정수단이 탱크에서 제거되어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변류기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보스가 변류기 써포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써포트에 변류기가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Ⅵ/Ⅶ의 확대도로서, 변류기 고정유닛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4에서 Ⅵ/Ⅶ의 확대도로서, 변류기의 고정유닛의 제2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불합리한 변류기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변류기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변류기를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면에 먼저 조립한 후 탱크를 나중에 변류기 써포트와 조립함으로써, 변류기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즉, 탱크와 변류기 써포트가 조립되기 전에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공간이 탱크에 의해 막혀 있지 않고 탁 트인 공간에서 변류기 써포트의 외측에 변류기의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작업공간의 협소 및 작업효율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간단하게 해소하여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유지보수도 용이하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변류 장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적용가능하지만, 이외에 계기용 혹은 안전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기능이 필요한 장치라면 어느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성요소의 일단/일 면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의 하단/저면을 의미하고, 각 구성요소의 타단/타 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의 상단 및 상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류 장치는 탱크(10)와, 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변류기(12),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변류기 써포트(11), 및 변류기 고정유닛(18)으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10)는 변류 장치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로 내부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상기 탱크(10)의 일단과 타단 테두리부에서 플랜지부(10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플랜지부(10a)에는 다른 부품과의 체결을 위해 복수의 볼트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특히 탱크(10) 일단의 플랜지부(10a)는 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와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변류기(12)는 내부에 1차권선(C)이 관통하도록 고리 형상을 가지고, 1차권선(C) 관통방향으로 적층결합되는 복수의 2차권선(12a)을 구비하며, 1차권선(C)의 대전류를 2차권선(12a)에 소전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변류기(12)는 부싱형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류기(12)는 크게 철심, 에나멜 동선 및 절연지로 구성된다. 철심에 절연지를 감고 그 위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한 다음, 다시 절연지를 감는다.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완성된 변류기(12)의 내부에 1차권선(C)인 도체가 관통 삽입되고, 이때 1턴인 1차권선(C)에 대전류가 인가되면 상호 전자유도 작용에 의하여 철심의 자로를 통해 자속이 발생하고 철심에 감겨진 2차권선(12a)에 소전류가 흐른다.
이로써, 사고전류(지락/단락) 발생 시 계측기에 정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흘러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차 대전류에도 철심이 포화되지 않고 2차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가스절연 개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류기(12)의 동선에서 단자를 뽑아 계전기 및 계기를 연결하는 경우에 필요한 동작 및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류기 써포트(1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바디(11a)와, 바디(11a)의 하단에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조립되는 받침대(11b)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a)는 변류기의 내부에 삽입되고 1차권선(C)과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바디(11a)의 높이(축방향 길이)는 변류기의 높이보다 더 높고, 탱크(10)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된다.
또한, 바디(11a)의 하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유지구가 바디(11a)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변류기(12)의 측면을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1b)는 바디(11a)의 일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변류기(12) 조립 시 변류기(12)의 일단부를 받쳐서 지지해주는 베이스플레이트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11b)의 테두리부에는 볼트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탱크(10)의 하단부와 볼트체결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1b)의 내측단부와 바디(11a) 하단의 연결부위는 용접 등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의 크기 및 갯수는 변류기(12)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류기 고정유닛(18)은 변류기(12)의 타단부를 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변류기(12)를 고정하며, 플레이트(13), 체결볼트(14), 브라켓(16), 제1 및 제2너트(15a,15b), 그리고 지지용 보스(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18)은 탱크(10)에 취부되지 않고 변류기 써포트(11)에 부착됨으로써, 탱크(10)와 변류기 써포트(11)를 분리한 상태에서 변류기(12)를 변류기 써포트(11)에 먼저 조립한 후 탱크(10)와 변류기 써포트(11)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탱크(10)에서 변류기 고정유닛(18)의 일부인 지지용 보스(17)가 제거되어 탱크(10)의 구조를 종래기술 대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변류기(12)의 타단부를 커버하여 변류기(12)의 타단부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14)는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부(14a)와, 외측면에 나사산을 가지며 헤드부(14a)에서 축방향으로 직경이 작게 연장형성되는 나사부(14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결볼트(14)는 헤드부(14a)가 플레이트(13)의 타면에 면접촉되어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6)은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부(11a)와 체결볼트(14) 사이를 연결하여 체결볼트(14)의 수직배치 상태를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16)의 구조를 설명하면, 브라켓(16)은 장방형의 플레이트(13)를 "ㄴ"자로 절곡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라켓(16)의 일단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브라켓(16)의 타단부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6)의 일단부(수평면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볼트의 타단부가 제1관통홀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16)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6)의 타단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변류기 써포트(11)의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류기 써포트(11)의 외측면은 원형의 곡면 형태이므로 평면 구조인 브라켓(16)의 타단부를 바로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류기 써포트의 바디 외측면에 지지용 보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보스가 변류기 써포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써포트에 변류기가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용 보스(17)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용 보스(17)의 일측면은 원형의 바디(11a) 곡면과 대응되게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지지용 보스(17)의 타측면은 평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의 지지용 보스(17)는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의 외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용 보스(17)의 중심부에 나사체결을 위한 탭부가 형성되어 브라켓(16)의 타단부와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용 보스(17)의 타측면은 브라켓(16)의 타단부와 안정적으로 면접촉되어 볼트 체결될 수 있고, 지지용 보스(17)에 의해 브라켓(16)을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 외측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 보스(17)는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와 일체형으로 성형 및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용 보스(17)의 설치위치 및 갯수는 변류기(12)의 설치 시 설계상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Ⅵ/Ⅶ의 확대도로서, 변류기 고정유닛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류기 고정유닛(18)은 체결볼트(14)와 두 개의 너트(15a,15b)를 이용하여 변류기(12)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너트(15a,15b) 중 제1너트(15a)는 브라켓(16)의 일단부 일 면에 면접촉되도록 체결볼트(14)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나머지 제2너트(15b)는 브라켓(16)의 일단부의 타 면에 면접촉되도록 체결볼트(14)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너트(15a)는 브라켓(16)의 일단부 일 면에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됨에 따라 체결볼트(14)를 회전시키지 않고 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13)를 가압하여 변류기(12)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너트(15b)는 플레이트(13)에 가해지는 체결볼트(14)의 체결력(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브라켓(16)과 너트(15a,15b) 사이에 와샤 등의 부품을 추가로 삽입하여 체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12)의 조립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 외측면에 지지용 보스(17)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용 보스(17)는 기존 방식과 같이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거나 억지끼움식으로 홀 등에 삽입고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가 변류기(12)의 내부에 관통삽입되도록 변류기(12)의 일단부를 받침대(11b) 위에 적층시켜 변류기 써포트(11)와 변류기(12)를 조립한다.
이때, 변류기(12)의 안쪽 측면부가 변류기 써포트(11)의 바디(11a) 외측면에 형성된 간격유지구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변류기(12)의 상단부에 링 형상의 플레이트(13)를 안착시켜 변류기(12)의 타단부를 커버한다.
계속해서, 체결볼트(14)의 헤드부(14a)가 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체결볼트(14)에 제1너트(15a), 브라켓(16) 및 제2너트(15b)를 순서대로 가조립한다.
이때, 상기 제1너트(15a)는 브라켓(16)의 일단부의 일 면을 향해 체결볼트(14)에 가조립되고, 제2너트(15b)는 브라켓(16)의 일단부의 타 면을 향해 체결볼트(14)에 가조립된다. 그리고,제1 및 제2너트(15a,15b)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가조립된다.
그 다음, 상기 브라켓(16)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지지용 보스(17)의 탭부를 일치시킨 후 브라켓(16)의 타단부와 지지용 보스(17)를 볼트로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가조립된 제1 및 제2너트(15a,15b)를 조절하여 복수의 체결볼트(14)의 헤드부(14a)가 플레이트(13)의 타 면에 면접촉되게 한다.
계속해서, 제1너트(15a)는 브라켓(16)의 일단부의 일 면과 면접촉되도록 유지하고, 제2너트(15b)는 브라켓(16)의 일단부의 타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볼트(14)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4)를 회전방향으로 고정하고 제1너트(15a)를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볼트(14)를 축방향(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13)를 가압하고 변류기(12)의 타단부를 고정한다.
그 다음, 제2너트(15b)가 브라켓(16)의 일단부의 타 면에 면접촉되도록 제2너트(15b)를 회전시켜 체결볼트(14)에 완전 체결한다. 상기 제2너트(15b)의 체결력에 의해 제1너트(15a)의 회전조작에 따른 체결볼트(14)에서 발생된 축력(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14), 제1 및 제2너트(15a,15b), 브라켓(16), 지지용 보스(17) 등의 변류기 고정유닛(18)으로 적어도 2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체결볼트(14)에 발생된 축력에 의해 플레이트(13)를 가압하여 변류기(12)의 타단부를 가압 고정하게 되며, 변류기(12)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조립된 변류기(12)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변류기 써포트(11)와 탱크(10)만 분리하면 된다.
첨부한 도 7은 도 4에서 Ⅵ/Ⅶ의 확대도로서, 변류기의 고정유닛의 제2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류기 고정유닛(18)은 체결볼트(14), 브라켓(16), 제1 및 제2너트(15a,15b), 플레이트(13) 등 제1실시예의 변류기 고정유닛(18)과 구성요소 및 구조적인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브라켓(16)의 일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아울러, 제1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14)를 고정시키고 제1너트(15a)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볼트(14)의 축방향 이동을 유도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된 브라켓(16)에 체결볼트(14)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4)의 헤드부(14a)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볼트(14)가 변류기 써포트(11)의 받침대(11b)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플레이트(13)를 가압하고 플레이트(13)를 통해 가압력을 변류기(12)의 타단부에 전달하여 변류기(12)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제1 및 제2너트(15a,15b)는 체결볼트(14)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변류기 조립을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변류기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차단기 유지 보수 시 변류기 써포트(11)와 탱크(10)만 해체하면 되므로, 변류기 해체 작업이 간편하다.
아울러, 변류기 고정유닛(18)이 탱크(10)에서 제거되어 탱크(10)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탱크 10a : 플랜지부
11 : 변류기 써포트 11a : 바디
11b : 받침대 12 : 변류기
C : 1차권선 12a : 2차권선
13 : 플레이트 14 : 체결볼트
14a : 헤드부 15a : 제1너트
15b : 제2너트 16 : 브라켓
17 : 지지용 보스 18 : 변류기 고정유닛

Claims (8)

  1.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고리형상의 2차권선을 구비하는 변류기;
    상기 변류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변류기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변류기 써포트; 및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상기 받침대 쪽으로 가압하여 변류기를 고정하는 변류기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변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은,
    일단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타단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의 일 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됨에 따라 체결볼트의 축방향 이동을 유도하여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제1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의 타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가압력을 유지하는 제2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고정유닛은,
    일단부에 나사홀을 가지고, 타단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나사홀을 통해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일단부에 나사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타단부를 커버하여, 상기 변류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써포트의 받침대는 상기 탱크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랜지부와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변류기 써포트가 상기 탱크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 장치.
KR1020130104338A 2013-08-30 2013-08-30 변류 장치 KR10172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38A KR101728354B1 (ko) 2013-08-30 2013-08-30 변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38A KR101728354B1 (ko) 2013-08-30 2013-08-30 변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36A true KR20150026036A (ko) 2015-03-11
KR101728354B1 KR101728354B1 (ko) 2017-04-19

Family

ID=530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338A KR101728354B1 (ko) 2013-08-30 2013-08-30 변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409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빌트오토 변류기 장착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04Y1 (ko) 2004-09-15 2004-12-03 주식회사 평일 클램프 변류기
KR200402632Y1 (ko) 2005-09-08 2005-12-0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변류기 케이스
KR100775607B1 (ko) 2006-05-25 2007-11-13 주식회사 운영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409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빌트오토 변류기 장착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54B1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3035B (zh) 接地开关
WO2000025401A1 (fr) Appareillage de commutation avec gaz isolant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JP476413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と油入変圧器の接続構造
JP200005043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728354B1 (ko) 변류 장치
CN205679729U (zh) 一种绝缘试验装置
US9006595B2 (en) Link disconnect box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protector
RU2696248C2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 тока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м тока
CN219800600U (zh) 电流互感器、开关设备及风电装置
CN220963020U (zh) 一种tpy电流互感器结构
CN209358198U (zh) 一种小型化开关柜穿墙套管
CN113410582B (zh) 电池包高压安全防护装置
JP5220246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217158034U (zh) 一种高压真空断路器
CN202454434U (zh) 内置电流互感器
CN210925674U (zh) 一种用于电流互感器的支撑固定装置
WO2024047851A1 (ja) ガス絶縁機器
JP200005043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202524063U (zh) 330kV-500kV变压器中性点成套装置
CN105449575B (zh) 一种充气柜及其固封极柱
CN201234132Y (zh) 110kV-220kV变压器的中性点保护装置
JP200003700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806928B1 (ko) 리액터용 단자대
JP200005043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