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607B1 -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 Google Patents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607B1
KR100775607B1 KR1020060047019A KR20060047019A KR100775607B1 KR 100775607 B1 KR100775607 B1 KR 100775607B1 KR 1020060047019 A KR1020060047019 A KR 1020060047019A KR 20060047019 A KR20060047019 A KR 20060047019A KR 100775607 B1 KR100775607 B1 KR 10077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conductor
measured
fix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운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운영
Priority to KR102006004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는 피측정 도체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된 변류기 본체; 상기 변류기 본체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피측정 도체에 대하여 전,후진 조절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이 피측정 도체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변류기 본체를 피측정 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류기, 유도기전력, 부스바, 스크류공, 볼트

Description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having fixing structure for install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의 취부 고정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변류기 본체 101: 관통공
102: 지지대 103: 고정부재
104: 절연캡 200: 부스바
본 발명은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부시 본체 중앙부를 관통하는 피측정 도체에 대한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전류측정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변류기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권선체가 본체에 내장되고, 취부시 피측정 도체가 코일 중심을 관통할 수 있도록 본체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변류기는 전력케이블이나 전력 배전반의 부스바(Bus bar)에 해당하는 피측정 도체가 그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피측정 도체에 취부되어 유도기전력에 상응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취부 상태에서 변류기 본체와 피측정 도체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존재하여 불안정한 결합을 이루게 되므로 변류기를 피측정 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변류기 본체에 소정의 브래킷(Bracket)을 부착하여 배전반 등의 소정 지지판에 변류기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부스바와 같이 피측정 도체가 배전반의 소정 지지판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나, 배전반이 협소하여 브래킷을 고정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브래킷의 사용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안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1-13135호(각형 변류기의 부스바 고정장치)에는 변류기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부스바의 상,하부에 철판과 탄성편을 결합하여 부스바에 대한 변류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경우 부스바에 스크류홈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피측정 도체가 전력케이블인 경우에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변류기 본체에 체결되어 피측정 도체를 가압하는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측정 도체와 변류기 본체 사이의 유격공간에 상응하여 취부 고정 구조의 조절이 편리한 변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케이블과 부스바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는, 피측정 도체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된 변류기 본체; 상기 변류기 본체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피측정 도체에 대하여 전,후진 조절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이 피측정 도체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변류기 본체를 피 측정 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공의 양 개구부가 위치한 쪽의 변류기 본체 외부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에는 스크류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크류공에 체결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는 절연캡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피측정 도체로는 전력케이블 또는 부스바가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류기는 코일 권선체(미도시)가 내장되고 중앙부에 관통공(101)이 형성된 변류기 본체(100)와, 변류기 본체(100)의 두 측면에 고정된, 스크류공(미도시)이 형성된 지지대(102)와, 지지 대(102)의 스크류공에 체결되는 고정부재(103)를 포함한다.
변류기 본체(100)의 케이스 내에는 소정의 성층철심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권선된 코일 권선체가 내장되고, 취부시 피측정 도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코일 중심에 대응되는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류측정을 위해 구비되는 변류기 본체(100) 내부의 기술적 구성으로는 통상의 변류기의 내부 구성이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변류기 본체(100)의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케이스의 대칭되는 어느 두 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01)은 전력 배전반의 부스바(200)의 형상에 걸맞게 사각관의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가 취부되는 피측정 도체는 부스바(200)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전력케이블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통공(101)은 원통의 중공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대(102)는 관통공(101)의 양 개구부에 대응되는 변류기 본체(100)의 두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02)에는 취부시 관통공(101)에 끼워지는 피측정 도체를 향하도록 연장된 스크류공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03)는 볼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2)의 스크류공에 체결됨으로써 피측정 도체에 대하여 전,후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3)의 선단이 피측정 도체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03)를 돌려서 전진시키면 변류기 본체(100)를 피측정 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102)와 고정부재(103)의 개수는 피측정 도체의 폭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즉, 지지대(102)와 고정부재(10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01)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피측정 도체에 대한 고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피측정 도체가 부스바(200)와 같이 절연피복이 없는 도체인 경우에는 고정부재(103)의 선단에 끼워지는, 예컨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절연캡(104)을 구비하여 고정부재(103)와 피측정 도체를 서로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변류기는 예컨대, 전력 배전반의 부스바(200)나 전력케이블 등의 피측정 도체에 취부되어 피측정 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를 전력 배전반용 부스바(200)에 취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측정 도체인 부스바(200)에 대한 변류기의 취부는 상기 부스바(200)를 변류기 본체(100)의 관통공(101)에 끼워서 관통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부스바(200)에 변류기를 취부한 이후, 변류기 본체(100)의 지지대(102)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103)를 스크류 전진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고정부재(103)가 부스바(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103)의 선단이 부스바(200)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변류기 본체(100)와 부스바(200) 간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 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류기 본체에 체결된 고정부재를 조절하여 간편히 피측정 도체상에 변류기를 고정 부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브래킷 방식에 비해 취부 구조의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부스바에 대한 취부 고정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 도체와 변류기 간의 유격공간에 걸맞도록 고정부재의 이동거리를 미세 조절하여 피측정 도체와 변류기 본체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피측정 도체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된 변류기 본체;
    상기 변류기 본체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피측정 도체에 대하여 전,후진 조절 가능하게 상기 스크류공에 체결되는 볼트 구조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끼워지는 절연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이 피측정 도체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변류기 본체를 피측정 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관통공의 양 개구부가 위치한 쪽의 변류기 본체 외부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 도체는 전력케이블 또는 부스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KR1020060047019A 2006-05-25 2006-05-25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KR10077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19A KR100775607B1 (ko) 2006-05-25 2006-05-25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19A KR100775607B1 (ko) 2006-05-25 2006-05-25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607B1 true KR100775607B1 (ko) 2007-11-13

Family

ID=3906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019A KR100775607B1 (ko) 2006-05-25 2006-05-25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6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00B1 (ko) * 2014-08-07 2015-06-12 김용현 변류기 고정장치
KR101728354B1 (ko) 2013-08-30 2017-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류 장치
KR200484779Y1 (ko) * 2016-04-29 2017-10-26 새론테크 주식회사 병렬 연결이 가능한 안전 변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010A (ja) * 1989-01-04 1990-07-12 Toshiba Corp 変流器
JP2000195724A (ja) * 1998-12-25 2000-07-14 Fuji Electric Co Ltd 貫通形変流器の取付け構造
KR200392542Y1 (ko) * 2005-05-11 2005-08-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
KR200402632Y1 (ko) * 2005-09-08 2005-12-0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변류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0010A (ja) * 1989-01-04 1990-07-12 Toshiba Corp 変流器
JP2000195724A (ja) * 1998-12-25 2000-07-14 Fuji Electric Co Ltd 貫通形変流器の取付け構造
KR200392542Y1 (ko) * 2005-05-11 2005-08-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
KR200402632Y1 (ko) * 2005-09-08 2005-12-0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변류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354B1 (ko) 2013-08-30 2017-04-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류 장치
KR101528600B1 (ko) * 2014-08-07 2015-06-12 김용현 변류기 고정장치
KR200484779Y1 (ko) * 2016-04-29 2017-10-26 새론테크 주식회사 병렬 연결이 가능한 안전 변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607B1 (ko)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KR102381232B1 (ko)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US20110056070A1 (en) Sleeve inserting apparatus
KR200470390Y1 (ko) 계기용 변류기
US20030011362A1 (en) Current transformer
CN218040587U (zh) 一种电气工程用电缆的保护装置
CN108691734A (zh) 用于风电叶片的接闪装置和包含其的风电叶片
US20120292073A1 (en) High-voltage bushing
KR101099853B1 (ko) 변류기 고정장치
US20110210812A1 (en) Holding device for a cast resin transformer winding
CN111357064A (zh) 用于固定在配电网的电线杆上的变压器
KR20040016840A (ko) 도체의 접속구조
DE50003102D1 (de) Anordnung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der Leiter von zwei Hochspanungskabeln
DK201600417A1 (en) Electricity Meter
CN216121731U (zh) 一种线路瓷绝缘子固定线夹
CN211508540U (zh) 一种线路紧固装置
CN211150816U (zh) 一种接地装置
CN214626279U (zh) 一种输电线路跳线线夹
CN220042356U (zh) 一种新型开关电源
CN210350668U (zh) 一种新型mpp电缆保护管结构
CN218630062U (zh) 一种高压绝缘套管局部放电检测装置
CN115051281B (zh) 引流线快速修复装置
CN213366318U (zh) 一种精密电子工程用稳定性好的电感线圈
CN218216120U (zh) 一种管型共箱母线的导体固定工装
CN113809707A (zh) 一种线路瓷绝缘子固定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