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600B1 - 변류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변류기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8600B1 KR101528600B1 KR1020140101682A KR20140101682A KR101528600B1 KR 101528600 B1 KR101528600 B1 KR 101528600B1 KR 1020140101682 A KR1020140101682 A KR 1020140101682A KR 20140101682 A KR20140101682 A KR 20140101682A KR 101528600 B1 KR101528600 B1 KR 101528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housing
- fixing
- current transformer
- bus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고정장치는, 배전용 부스바(3)가 관통하는 관통구(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에 코일(12)이 권선된 코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코일(12)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단자(14)가 설치되어 있는 변류기(2)의 하우징(10); 관통구(11)에 삽입되고, 관통구(11)의 양측 밖으로 일부 돌출될 정도로 상기 배전용 부스바(3)와 동일 방향으로 상하 중첩 및 평행하게 길게 신장된 고정편(20); 고정편(20)의 돌출된 양단에 형성된 나사공(21)에 나사 체결되고, 조이고 푸는 것에 따라 삽입된 상기 배전용 부스바(3)에 대해 진퇴하는 고정나사(30);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하여 하우징(10)에 형성되고,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제1 결합구(40); 및 고정편(20)에 형성되고, 고정편(20)의 위치에 의존하여,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되는 위치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할 수 있는 제2 결합구(50); 를 포함하고: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되도록 제2 결합구(50)를 제1 결합구(4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나사(30)를 조이면, 고정편(20)은 관통구(11)의 상면을 가압하고, 배전용 부스바(3)는 관통구(11)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하우징(10)이 배전용 부스바(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류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의 수배전반 등에 설치하여 고전류의 전기를 저전류의 전기로 변류하는 변류기에 관련하여, 변류기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변류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전기설비인 수배전반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케이블로부터의 전류가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메인에서 차단하는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차단기의 하류에는 배전용 부스바(예, 막대 형상의 구리 막대)나 배전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필요한 장소로 전류를 배전한다.
수배전반의 배전용 부스바(또는 배전용 케이블)에는,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기 위해 변류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변류기로서는 전류의 계측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계기용 변류기'와 전류 계측을 통한 누전 경보를 목적으로 하는 '영상변류기' 등이 있다.
수배전반의 배전용 부스바(또는 배전용 케이블)를 흐르는 전기는 높은 정격 전류값(예, 100A, 200A, 500A, 1000A, 1500A)을 가지므로, 이런 높은 전류를 직접 측정하지 아니하고, 높은 정격 전류값을 낮은 정격 전류값(예, 5A)으로 변류하여 낮은 전류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바람직한 바, 이렇게 배전용 부스바 등에 흐르는 높은 전류의 전기를 낮은 전류의 전기로 변류하는 전기기기가 '변류기'이다.
계기용 변류기를 예로 들면, 목적하는 변류 비율에 맞는 회전수로 코일을 권선한 코어를 배전용 부스바(배전용 케이블)의 둘레에 배치함으로써, 배전용 부스바(케이블)를 통하는 고전류의 전기에 의한 상기 코일에서의 전자기유도를 통해 저전류의 전기가 상기 코일에 유도되게 하고, 상기 코일에 유도된 저전류 전기를 전류계와 같은 계기에 공급하여 그 전류를 측정한다.
도9는 차단기의 배전용 부스바에 변류기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용)변류기(100)는, 차단기(300)에 연결된 배전용 부스바(200, 또는 배전용 케이블)에 설치한다. 변류기(100)는 배전용 부스바(200)가 통과하는 관통구(111)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관통구(111)의 둘레인 링형상의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는 코일(120)을 권선한 코어(130)를 설치하고, 하우징(110)의 외부에는 코일(120)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단자(140)를 설치하며, 인출단자(140)에는 전류계(도시생략)를 연결하여 배전용 부스바(200)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류기(100)는 하우징(110)의 관통구(111)에 배전용 부스바(200)를 관통시켜 배전용 부스바(200)에 설치하는 바, 통상적으로 변류기(100)의 관통구(111)는 삽입된 배전용 부스바(200)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류기(100)를 배전용 부스바(200)의 특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하여 변류기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변류기 고정장치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기(100)의 하우징(110)을 플라스틱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 나사못 등을 체결할 수 있는 고정브래킷(112)을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고정브래킷(112)과 그 아래의 바닥판(310: 예, 배전함의 바닥판)을 나사못으로 체결함으로써, 변류기(100)를 바닥판(3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변류기를 배전용 부스바(200)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변류기가 설치되는 환경이 매우 다양하고, 변류기를 고정할 수 있는 바닥판과 같은 기판이 없는 경우가 흔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바닥판(310)이 존재하더라도, 차단기(300) 등에 연결된 배전용 부스바(200)의 높이와 관통구(111)의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 바닥판을 변류기의 고정에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고정브래킷(112)에 의한 변류기의 고정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고정브래킷(112)을 이용하여 변류기를 고정하였어도, 하우징(110)이 플라스틱합성수지인 경우에 하우징(110)과 고정브래킷(112)이 변성, 약화 및 파손되어 그 고정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의 변류기 고정장치(400)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나사공(411)이 형성된 고정판(410)과, 상기 나사공(411)에 체결되는 2개의 고정볼트(420)를 구비하는 고정장치가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10)은 변류기(100)의 관통구(111)에 삽입하는 판상의 부재이며, 배전용 부스바(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중첩되게 평행하게 삽입된다.
도10과 도11의 고정판식 고정장치(400)에서, 배전용 부스바(200)를 관통구(111)의 하측에 삽입하고 고정판(410)을 관통구(111)의 상측에 삽입하여 고정볼트(420)를 조이면, 고정볼트(420)의 하단이 배전용 부스바(200)를 관통구(111)의 저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고정판(410)은 관통구(111)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110), 즉 변류기(100)는 배전용 부스바(200)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421은 고정볼트(421)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이다.
도10과 도11의 고정판식 고정장치는, 전후방향의 관통구(111)의 상하면(저면과 상면)의 넓은 면을 사용하여 배전용 부스바(200)에 변류기(100)를 고정하는 것이므로, 바닥판과 같은 기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 적용할 수 있고, 하우징(110)을 플라스틱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라도, 장기간 사용에 따른 하우징(110)의 변성, 약화 및 파손에 의한 고정력 상실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고정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10과 도11의 고정장치를 실제의 작업현장에 적용할 때에는, 협소한 작업공간과 작업환경 때문에, 배전용 부스바(200)에 변류기(100)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장 작업자들로부터 많은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기 등의 단자 아래에 배전용 부스바(200)가 수직(또는 수평)으로 배선된 통상적인 상황에서, 변류기(100)를 배전용 부스바(200)에 설치 및 고정하는 작업을 예로 들면, 배전용 부스바(200)에 관통구(111)를 끼워 넣고 한손으로는 가볍지 않은 변류기(100)를 들어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유지하면서 동일한 손으로 고정판(410)을 정위치에 잡고 관통구(111)의 상면에 접하게 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공구를 사용하여 양쪽 2개의 고정볼트(320)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작업하기 힘들고, 예를 들어 변류기(100)를 잡아 주는 보조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또 다른 변류기 고정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607호(2007. 11. 13. 등록공고)의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에 개시된 장치가 있으며, 본 장치는 하우징의 관통공(관통구)의 상부의 양측에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성형)하고 지지대의 고정나사를 조임으로써 관통공에 삽입된 배전용 부스바에 하우징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607호의 고정장치는, 도9의 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돌출된 지지대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구조임으로, 하우징이 플라스틱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하우징 및 지지대의 변성, 약화 및 파손에 의해 그 고정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또 다른 변류기 고정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099853호(2011. 12. 28. 등록공고)의 '변류기 고정장치'가 있으며, 본 장치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금속)밴드를 조여 변류기의 하우징을 배전용 케이블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853의 고정장치는, 종단면 원형의 배전용 부스바나 배전용 케이블이 사용되는 환경에만 주로 적용할 수 있고, 변류기의 하우징(변류기 본체)이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우징에 리브를 고정 설치하기 어렵거나 설치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면 하우징으로부터 리브가 분리되기 쉬워서 결과적으로 고정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또 다른 변류기 고정장치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248호(2014, 02, 11. 등록공고)의 '계기용 변류기'에 적용된 고정장치가 있으며, 본 고정장치는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형성)된 슬롯에 장착한 케이블타이를 사용하여 변류기를 배전용 케이블 또는 배전용 부스바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248호의 고정장치도, 하우징과 슬롯이 변성, 약화 및 파손되면 그 고정력을 상실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는,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기를 배전용 부스바에 고정하는 형식의 종래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관련된 현장시공 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고정장치에 대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류기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변류기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변류기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고정장치는, 변류기의 하우징, 고정편, 고정나사, 제1 결합구 및 제2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변류기의 하우징으로서, 배전용 부스바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에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상기 코일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의 양측 밖으로 일부 돌출될 정도로 상기 배전용 부스바와 동일 방향으로 상하 중첩 및 평행하게 길게 신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편의 돌출된 양단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체결되고, 조이고 푸는 것에 따라 삽입된 상기 배전용 부스바에 대해 진퇴한다.
상기 제1 결합구는, 상기 관통구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상기 하우징에 구속된 상태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결합구는, 상기 고정편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고정편이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는 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도록 상기 제2 결합구를 상기 제1 결합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를 조이면, 상기 고정편이 상기 관통구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배전용 부스바가 상기 관통구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배전용 부스바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편은, 종단면이 아래로 열린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 사이에는 상기 관통구의 상면 쪽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안착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구는, 상기 관통구의 상면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전면과 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된 4개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결합홈은 상기 관통구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뻗은 세로홈 및 상기 세로홈의 상단으로부터 일측의 횡으로 일정거리 뻗은 가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구는, 상기 4개의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안착요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쪽으로 일정거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4개의 결합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들을 대응하는 상기 결합홈의 상기 가로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하우징에 구속된다.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고정편을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결합구와 상기 제1 결합구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고정편이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는 위치로 세팅하면, 상기 고정편을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로 한손으로 변류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나사를 조일 수 있으므로, 상기 변류기를 상기 배전용 부스바에 보조작업자 없이 단독의 작업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변류기 고정장치가 적용된 변류기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고정편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고정편의 평면 및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변류기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변류기의 내부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변류기 고정장치의 작동도,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및 상세도,
도9는 종래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10 및 도11은 또 다른 종래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고정편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고정편의 평면 및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변류기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에 적용된 변류기의 내부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변류기 고정장치의 작동도,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및 상세도,
도9는 종래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10 및 도11은 또 다른 종래 변류기 고정장치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류기 고정장치는, 예를 들어 배전용 부스바(3)에 설치되는 변류기(2)를 배전용 부스바(3)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배전용 부스바(3)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첨부도면은 본 발명을 직사각형 막대형 배전용 부스바(3)에 변류기(2)를 고정하는 적용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사각 막대형이 아닌 다른 형상의 '배전용 부스바'나 '배전용 케이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6에 예시된 본 발명의 변류기 고정장치는, 예를 들어 '계기용 변류기'에 적용하기 적합한 고정장치로서, 변류기(2)의 하우징(10), 고정편(20), 한쌍의 고정나사(30), 제1 결합구(40) 및 제2 결합구(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변류기(2)에 널리 적용되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 부재로서, 금속재로 형성된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에서 그 특성이 더욱 발휘됨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합성수지의 하우징이다.
하우징(10)은, 도1,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용 부스바(3)가 관통하는 관통구(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코일(12)이 권선된 코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외부에는 코일(12)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단자(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1)는 기본적으로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인 것도 배제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고정편(20)은 배전용 부스바(3)와 함께 관통구(11)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부재로서, 관통구(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구(11)의 양측 밖으로 일부가 돌출(노출)됨으로써 돌출된 부분에 나사공(21)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로 길게 신장되어 있다. 고정편(20)은, 관통구(11)에 삽입되는 배전용 부스바(3)와 동일 방향으로 배전용 부스바(3)와 상하 중첩 및 평행하게 삽입된다.
관통구(11)와 배전용 부스바(3)의 종단면이 사각형인 환경에 적용하기 적합한 예시된 고정편(2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종단면이 아래쪽으로 열린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양측의 나사공(21) 사이에 하우징(10)이 삽입되는 안착요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안착요부(22)에 관통구(11)의 상면 쪽의 하우징(10)을 삽입하면 하우징(10)에 대한 고정편(20)의 위치가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안착요부(22)에 대해서는 이후 제1 결합구(40)와 제2 결합구(50)를 설명할 때 좀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고정나사(30, 또는 고정볼트)는 고정편(20)의 돌출된 양단에 형성된 나사공(21)에 나사 체결되는 부재로서, 나사공(21)에 대해 고정나사(30)를 조이고 푸는 것에 따라 고정나사(30)의 하단은 삽입된 배전용 부스바(3) 쪽으로 진행하거나 후퇴한다. 고정나사(30)의 하단(31)은 뾰족한 침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류기의 고정성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구(40)는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하여 하우징(10)에 형성되고,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2 결합구(50)는 고정편(20)에 형성되고, 고정편(20)의 위치에 의존하여,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되는 위치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한다.
즉, 제1 결합구(40)와 제2 결합구(50)는, 전자는 하우징(10)에 형성되고 후자는 고정편(20)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관계로 상호작용하는 기구로서, 하우징(10)의 제1 결합구(40)에 대한 고정편(20)의 제2 결합구(50)의 위치를 '결합위치'에 위치시키면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결합구(40)에 대한 제2 결합구(50)의 위치를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위치시키면 고정편(20)을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제1 결합구(40)와 제2 결합구(50)는 위와 같은 작용을 하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구(40)는,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한 하우징(10)의 대응하는 전면과 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된 총 4개의 결합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결합홈(41)은, 관통구(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뻗은 세로홈(41a) 및 세로홈(41a)의 상단으로부터 일측의 횡(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뻗은 가로홈(4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구(50)는, 4개의 상기 결합홈(4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안착요부(22)의 상단으로부터 중심쪽으로 일정거리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홈(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4개의 결합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결합구(40)의 결합홈(41)과 제2 결합구(50)의 결합돌기(51)에 따라, 먼저 고정편(20)을 관통구(11)에 삽입하여 4개의 결합돌기(51)가 대응하는 결합홈(41)의 각각의 세로홈(41a)의 아래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편(20)을 관통구(11)의 상면 쪽으로 들어(밀어) 올리면, 각각의 결합돌기(51)가 대응하는 각각의 세로홈(41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안착요부(22) 속으로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한 하우징(10)이 삽입되고, 각각의 결합돌기(51)는 세로홈(41a)과 가로홈(41b)이 만나는 위치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더 이상 상측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후에 고정편(20)을 가로홈(41b)이 형성된 방향의 횡으로 밀면, 각각의 결합돌기(51)가 대응하는 각각의 가로홈(41b)을 따라 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결합돌기(51)가 가로홈(41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편(20)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고정편(20)은 관통구(11)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가 되어 이탈되지(분리되지) 않게 된다.
하우징(10)으로부터 고정편(2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결합돌기(51)가 세로홈(41a)의 상단 위치로 오도록 가로홈(41b)을 따라 고정편(20)을 이동시키면, 고정편(20)의 자중이나 작업자의 힘으로 결합돌기(51)가 세로홈(41a)을 따라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고정편(20)은 하우징(10)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고정편(20)이 하우징(10)에 구속되도록 제2 결합구(50)를 제1 결합구(4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보조작업자의 도움 없이, 관통구(11)를 통해 배전용 부스바(3)를 삽입하고, 고정편(20)과 배전용 부스바(3)를 상하 중첩 및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에, 한손으로 고정편(20)이 구속된 하우징(변류기)을 잡고, 다른 손으로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나사(30)를 조일 수 있으며, 결국 고정나사(30)의 작용에 의해 고정편(20)은 관통구(11)의 상면을 가압하고, 배전용 부스바(3)는 관통구(11)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하우징(10)을 배전용 부스바(3)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고정편(20)에 형성된 안착요홈(22)과 결합돌기(51) 및 결합홈(41)의 배치위치와 사이즈는, 전술한 작용에 적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요홈(22)의 전후 폭은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한 하우징의 전후 폭이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안착요홈(22)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된 2개의 결합돌기(51) 사이의 간격은, 대응하는 위치의 2개의 결합홈(41)의 세로홈(41a) 사이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안착요홈(22)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51)의 돌출 길이는 결합홈(41)의 홈의 깊이에 대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변류기 고정장치는, 변류기(2)에 1개의 관통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관통구(11)에 1개의 배전용 부스바(3)가 삽입되는, 예를 들어 '계기용 변류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인 바,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하나의 관통구(11)에 다수(예, 4개)의 배전용 부스바(3)가 함께 삽입되는 예를 들어 '영상변류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가 적용되는 변류기(2)의 관통구(11)는 가로로 길게 신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4개의 배전용 부스바(3)가 가로로 나란히 삽입된다.
다수의 배전용 부스바(3)가 하나의 관통구(11)에 삽입되는 방식의 도7의 구체예의 경우, 변류기(2)를 고정하는 것에 도1의 구체예와 같이 하나의 고정편(20)과 그 고정나사(30)를 사용하고 1세트의 제1 결합구(40)와 제2 결합구(50)만을 적용할 경우에는 변류기의 고정이 불완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7의 구체예에서의 변류기의 고정은, 2개의 고정편(20)과 그 고정나사(30) 및 2세트의 제1 결합구(40)와 제2 결합구(50)를 적용하되 양쪽 사이드에 있는 배전용 부스바(3)에 각각 하나씩을 적용함으로써, 변류기(2)를 양쪽에 위치한 2개의 배전용 부스바(3)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7의 구체예는, 하우징(10)에 2개의 고정편(20)과 4개의 고정나사(30)를 적용함과 아울러, 2개의 제1 결합구(40)인 8개의 결합홈(41)을 적용하고, 2개의 제2 결합구(50)인 8개의 결합돌기(51)를 적용한다.
도7의 구체예에서 하우징(10)의 외곽에 추가로 형성된 피스공(15) 및 나사못(60)은, 변류기의 고정에 바닥판(310)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인 경우에,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보조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피스공(15)과 나사못(60)을 적용하여 바닥판(310)에 변류기(2)를 고정할 수도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단일의 관통구에 하나 또는 다수의 배전용 부스바(3)가 삽입되는, '직육면체 하우징 형상/사각형 관통구 형상'의 변류기, 및 종단면 사각형 형상의 배전용 부스바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변류기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관통구마다 배전용 부스바가 삽입되는 변류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관통구가 원형인 변류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종단면이 원형인 배전용 부스바나 배전용 케이블이 사용되는 변류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필요한 경우 고정편(20)의 형상을 원형 관통구의 형상 및/또는 배전용 부스바(배전용 케이블)의 형상에 부합하게 변형할 수 있다.
2: 변류기 3: 배전용 부스바
10: 하우징 11: 관통구
12: 코일 13: 코어
14: 인출단자 15: 피스공
20: 고정편 21: 나사공
22: 안착요부 30: 고정나사
31: 고정나사의 끝단 40: 제1 결합기구
41: 결합홈 41a: 세로홈
41b: 가로홈 50: 제2 결합구
51: 결합돌기 60: 나사못
10: 하우징 11: 관통구
12: 코일 13: 코어
14: 인출단자 15: 피스공
20: 고정편 21: 나사공
22: 안착요부 30: 고정나사
31: 고정나사의 끝단 40: 제1 결합기구
41: 결합홈 41a: 세로홈
41b: 가로홈 50: 제2 결합구
51: 결합돌기 60: 나사못
Claims (3)
- 배전용 부스바(3)가 관통하는 관통구(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에 코일(12)이 권선된 코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상기 코일(12)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단자(14)가 설치되어 있는 변류기(2)의 하우징(10);
상기 관통구(11)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11)의 양측 밖으로 일부 돌출될 정도로 상기 배전용 부스바(3)와 동일 방향으로 상하 중첩 및 평행하게 길게 신장된 고정편(20);
상기 고정편(20)의 돌출된 양단에 형성된 나사공(21)에 나사 체결되고, 조이고 푸는 것에 따라 삽입된 상기 배전용 부스바(3)에 대해 진퇴하는 고정나사(30);
상기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0)이 상기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제1 결합구(40); 및
상기 고정편(2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0)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고정편(20)이 상기 하우징(10)에 구속되는 위치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할 수 있는 제2 결합구(5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20)이 상기 하우징(10)에 구속되도록 상기 제2 결합구(50)를 상기 제1 결합구(4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30)를 조이면, 상기 고정편(20)은 상기 관통구(11)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배전용 부스바(3)는 상기 관통구(11)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배전용 부스바(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0)은, 종단면이 아래로 열린 디귿자 형상이고, 상기 나사공(21) 사이에는 상기 관통구(11)의 상면 쪽의 상기 하우징(10)이 삽입되는 안착요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구(40)는, 상기 관통구(11)의 상면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0)의 대응하는 전면과 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된 4개의 결합홈(41)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결합홈(41)은 상기 관통구(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뻗은 세로홈(41a) 및 상기 세로홈(41a)의 상단으로부터 일측의 횡으로 일정거리 뻗은 가로홈(4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50)는, 상기 4개의 결합홈(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안착요부(22)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쪽으로 일정거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4개의 결합돌기(5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51)들을 대응하는 상기 결합홈(41)의 상기 가로홈(41b)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20)이 상기 하우징(10)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82A KR101528600B1 (ko) | 2014-08-07 | 2014-08-07 | 변류기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82A KR101528600B1 (ko) | 2014-08-07 | 2014-08-07 | 변류기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8600B1 true KR101528600B1 (ko) | 2015-06-12 |
Family
ID=5350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682A KR101528600B1 (ko) | 2014-08-07 | 2014-08-07 | 변류기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860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8998B1 (ko) | 2015-07-29 | 2016-11-25 | 새론테크 주식회사 | 계기용 변류기 |
KR200484779Y1 (ko) * | 2016-04-29 | 2017-10-26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병렬 연결이 가능한 안전 변류기 |
CN107578906A (zh) * | 2017-10-17 | 2018-01-12 | 天津市百利纽泰克电气科技有限公司 | 一种环氧树脂外壳式电流互感器吊包胎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607B1 (ko) * | 2006-05-25 | 2007-11-13 | 주식회사 운영 |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
KR20110111096A (ko) * | 2010-04-02 | 2011-10-10 | (주)시티이텍 | 변류기 고정장치 |
KR200470390Y1 (ko) * | 2012-11-26 | 2013-12-11 | 김용현 | 계기용 변류기 |
KR200471248Y1 (ko) * | 2012-12-07 | 2014-02-11 | 김용현 | 계기용 변류기 |
-
2014
- 2014-08-07 KR KR1020140101682A patent/KR1015286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607B1 (ko) * | 2006-05-25 | 2007-11-13 | 주식회사 운영 | 취부 고정구조를 구비한 변류기 |
KR20110111096A (ko) * | 2010-04-02 | 2011-10-10 | (주)시티이텍 | 변류기 고정장치 |
KR200470390Y1 (ko) * | 2012-11-26 | 2013-12-11 | 김용현 | 계기용 변류기 |
KR200471248Y1 (ko) * | 2012-12-07 | 2014-02-11 | 김용현 | 계기용 변류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8998B1 (ko) | 2015-07-29 | 2016-11-25 | 새론테크 주식회사 | 계기용 변류기 |
KR200484779Y1 (ko) * | 2016-04-29 | 2017-10-26 | 새론테크 주식회사 | 병렬 연결이 가능한 안전 변류기 |
CN107578906A (zh) * | 2017-10-17 | 2018-01-12 | 天津市百利纽泰克电气科技有限公司 | 一种环氧树脂外壳式电流互感器吊包胎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8600B1 (ko) | 변류기 고정장치 | |
KR101209892B1 (ko) |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 |
KR200470390Y1 (ko) | 계기용 변류기 | |
KR100981271B1 (ko) |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 |
KR101506670B1 (ko) |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 |
KR101884080B1 (ko) | 슬라이드식 버스바 커넥터 | |
KR102246825B1 (ko) |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
US20020127909A1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omprising it | |
US10320174B2 (en) | Electrical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 |
KR101301964B1 (ko) |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 |
KR200479222Y1 (ko) | 분할형 변류기 | |
US10250018B2 (en) | Electrical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 |
KR200395590Y1 (ko) |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 |
US7417849B2 (en) | Electrical component fastener for a load center basepan | |
US7245480B2 (en) | Electrical component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 |
US10892570B1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using said device | |
KR101044288B1 (ko) |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 |
KR100863510B1 (ko) | 분전반 | |
KR101029293B1 (ko) |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 |
KR101445110B1 (ko) | 절연커버가 구비된 축소형 분전반 | |
KR20130117939A (ko) |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 |
CN216491705U (zh) | 一种具有接线防护功能的高低压开关 | |
KR100974483B1 (ko) |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 |
KR102253222B1 (ko) | 분전반의 차단기 쇼트방지기구 | |
CN204271457U (zh) | 一种可频繁分合的中压开关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