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409A - 변류기 장착용 홀더 - Google Patents
변류기 장착용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5409A KR20180055409A KR1020160153246A KR20160153246A KR20180055409A KR 20180055409 A KR20180055409 A KR 20180055409A KR 1020160153246 A KR1020160153246 A KR 1020160153246A KR 20160153246 A KR20160153246 A KR 20160153246A KR 20180055409 A KR20180055409 A KR 201800554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transformer
- holder
- current
- power cable
-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결한 구조로 전력케이블에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고 강성 금속재의 사용을 배제하여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개수의 각종 변류기를 집중 설치할 수 있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홀더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 탄성재질로 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변류기의 변류기 통공을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지지부가 상기 변류기의 상,하에 밀접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결하여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고 전력케이블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경량 소재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전력케이블에 중량면에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게 되고 특히 필요한 종류의 각종 변류기를 집중 설치할 수 있어서 단정한 배선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홀더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 탄성재질로 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변류기의 변류기 통공을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지지부가 상기 변류기의 상,하에 밀접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결하여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고 전력케이블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경량 소재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전력케이블에 중량면에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게 되고 특히 필요한 종류의 각종 변류기를 집중 설치할 수 있어서 단정한 배선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류기 장착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복수개의 변류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변류기 장착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변류기는 선로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므로 선로가 코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코어에 감은 권선으로 이동한 자속에 의하여 기전력에 의한 1차 전류가 흐르며, 자속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자속 및 기전력이 발생하므로 2차 전류가 흐르는 바, 이때 1차 전류와 2차 전류가 상쇄되어 실제로는 코어에 여자 전류를 위한 자속 정도만 흐르므로 이러한 작은 전류값을 측정하여 배율에 의한 실제 전류값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류기의 대표적인 구성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6785(발명의 명칭: 분리형 변류기;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인용발명에 의한 분리형 변류기(100)는 양측에 잠금 수단(111)을 구비하고, 중앙에 반원통 형상의 제1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한 하부 몸체(110); 양측에 상기 잠금 수단(111)에 대응하는 잠금 고리(121)를 구비하고, 제1케이블 수용부에 대응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한 상부 몸체(120); 상기 제1케이블 수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수용부에 각각 연장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용 홀(131a)이 구비된 두 쌍의 메인 어댑터(130); 및 상기 두 쌍의 메인 어댑터(130)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원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블 수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수용부에 설치될 전력 케이블의 크기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두 쌍의 보조 어댑터(140)를 포함하며 마그네틱코어의 양단이 노출되는 덮개(12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면 전력선과 변류기를 밀착시키는 경우 구조물의 무게 부담 및 전력케이블의 외피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전력케이블이 변류기 구조물의 중앙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류기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의 구조가 복잡하고 장착이 쉽지 않으며 잠금수단, 잠금고리 등이 강성을 지닌 금속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고 제작비용이 높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고가의 전자 장비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전류량 감지는 물론 뇌서지를 감지하기 위한 서지검출 변류기, 각상의 누설전류량 검출을 위한 누설전류 검출 변류기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각 상마다 복수개의 변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설치상태가 복잡하게 되어 유지, 보수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결한 구조로 전력케이블에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고, 강성 금속재의 사용을 배제하여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개수의 각종 변류기를 집중 설치할 수 있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홀더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 탄성재질로 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변류기의 변류기 통공을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지지부가 상기 변류기의 상,하에 밀접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결하여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고, 홀더 상부와 하부의 분할 협지부에 조임커버를 조여 주어 전력케이블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경량 소재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전력케이블에 중량면에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게 되고, 특히 필요한 종류의 각종 변류기를 집중 설치할 수 있어서 단정한 배선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를 제공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분리형 변류기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변류기 장착용 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변류를 장착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상분할 협지부에 상조임커버를 체결하여 홀더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도5로 보인 홀더 고정 상태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 완료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1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2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3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변류기 장착용 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변류를 장착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상분할 협지부에 상조임커버를 체결하여 홀더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도5로 보인 홀더 고정 상태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 완료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홀더를 전력케이블에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1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2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3종의 변류기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변류기 장착용 홀더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2 내지 도4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류기 장착용 홀더는 홀더(100)를 상부(110)와 하부(120)로 분리 형성하고, 이들의 상부 보빈(111)과 하부 보빈(121) 양단이 변류기 통공(504)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하며, 상부(110)와 하부(120)에 탄성재질로 된 상분할협지부와, 하분할협지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홀더(100)의 상부(110)와 하부(120)에는 각각 지지부(114,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2개 지지부(114,124) 사이에 변류기(500)가 설치되고, 변류기 탭(503)이 터미널(400)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력케이블(300)은 상기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의 탄력으로 인하여 홀더(1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한 조립과정에서 변류기(500)가 케이블의 둘레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안정적으로 전류값을 측정하여 배율에 의한 실제 전류값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분할 협지부(112) 및 하분할 협지부(122)가 전력케이블(300)의 외피를 조여 줌으로 인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도2,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1가지의 변류기(500)를 설치하거나 2가지 종류의 변류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부(110)의 상부 보빈(111)과 하부(120)의 하부 보빈(121)이 1개 또는 2개의 변류기 통공(504)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이고, 상부(110)와 하부(120)의 지지부(114,124)가 변류기(500)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도록 상부(110)와 하부(12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주면 상분할 협지부(112) 및 하분할 협지부(122)가 전력케이블(300)의 외피를 조여 줌으로 인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5,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 둘레에 환턱(202)을 형성하고, 이에 각각 환요홈(203)이 내부에 형성된 상조임커버(113) 및 하조임커버(123)를 강제 압입 방식으로 체결하여 줌으로써 전력케이블(300)과 홀더(1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분할 협지부(112)에 나사부(200)를 형성하고, 이에 암나사부(201)가 내부 둘레에 형성된 상조임 커버(113)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상분할 협지부(112)가 전력케이블(300)의 외피에 밀착되며, 도10 내지 도12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분할 협지부(122)에도 나사부(200)를 형성하고 이에 암나사부(201)가 내부 둘레에 형성된 하조임 커버(123)를 조여 줌으로써 상기 하분할 협지부(122)가 전력케이블(300)의 외피에 밀착되도록 하여 견고한 상태로 홀더(100)의 상,하가 전력케이블(300)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진동이나 외력에 의하여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전력케이블(300)에 고정된 홀더(100)의 상,하가 전력케이블(300)의 외피에 밀착되어 매우 견고한 상태로 고정됨과 아울러 특히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의 재질이 탄성재질이어서 전력케이블(300)의 외피를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한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도7,8의 사시도와 도9의 측면도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보빈(111) 또는 하부 보빈(121)에 의하여 변류기의 중심과 전력케이블(300)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므로 측정값의 정밀도가 높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홀더(100)가 전력케이블(300)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특히 1개 이상 3개까지의 다양한 변류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변류기를 설치하더라도 터미널(400)에 의하여 단정한 상태로 시공, 배선하여 편리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10 로 보인 바와 같이, 1개의 변류기(5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110)와 하부(120)의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1개의 변류기 통공(504)을 관통하도록 조립한 후 변류기 탭(503)을 터미널(400)에 솔더링한 다음 이들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완전히 겹치도록 하여 이들의 양 지지부(114,124)가 변류기(500)의 상,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상태에서 상조임 커버(113)와 하조임 커버(123)를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에 끼우고 체결함으로써 전력케이블(300)과 홀더(100)가 완전한 고정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력케이블(300)의 전류값이 변류기 탭(503) 및 터미널(400)을 경유하여 필요한 계기나 측정 회로에 공급되어 변류기(50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500)와 서지를 감지하여 고가의 장비를 보호하고 안정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서지감지변류기(501)를 추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11로 보인 실시예에서는 상부(110)와 하부(120)의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전류측정을 위한 변류기(500)와, 서지감지변류기(501)의 변류기 통공(504)을 관통하도록 조립한 후 변류기 탭(503)을 터미널(400)에 솔더링한 다음, 이들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겹치도록 양 지지부(114,124)가 변류기(500)와 서지감지변류기(501)의 상,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상태에서 상조임 커버(113)와 하조임 커버(123)를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에 끼우고 체결함으로써 전력케이블(300)과 홀더(100)가 완전한 고정상태로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12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500)와 서지감지변류기(501)에 추가하여 누설전류감지변류기(502)를 추가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12로 보인 실시예에서는 상부(110)와 하부(120)의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전류측정을 위한 변류기(500)와, 서지감지변류기(501), 누설전류감지변류기(502)의 변류기 통공(504)을 관통하도록 조립한 후 이들 변류기 탭(503)을 터미널(400)에 솔더링한 다음, 이들 상부 보빈(111) 및 하부 보빈(121)이 겹치도록 양 지지부(114,124)가 변류기(500)와 누설전류감지변류기(502)의 상,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상태에서 상조임 커버(113)와 하조임 커버(123)를 상분할 협지부(112)와 하분할 협지부(122)에 끼우고 체결함으로써 전력케이블(300)과 홀더(100)가 완전한 고정상태로 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12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부(110) 내부에 중첩홀(115)이 형성되고, 하부보빈(121)이 중첩홀(115)까지 연장되어 상부보빈(111)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어, 변류기의 설치 개수를 최대(3개 이상)로 하여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멀어 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더라도 겹치는 부분인 상부보빈(111)과 하부 보빈(121)의 중첩부(A)가 존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400)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 지고 변류기 신호를 증폭한 신호가 출력되는 증폭소자가 내장된 제1집적회로(600)가 홀더(100) 일측에 내장시킨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변류기 탭(503)이 터미널(400)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신호 출력이 연결되는 증폭소자가 내장된 제1집적회로(600)에 연결하고, 제1집적회로(600)를 홀더(100) 일측에 내장함으로써 신호 손실이나 노이즈 혼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증폭이 가능하며 증폭된 신호가 터미널(400)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감지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내장된 전지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 지고 변류기 신호를 증폭한 후 전파로 송신하기 위한 와이파이 모듈이 구비된 제2집적회로(601)가 상기 홀더(100) 일측에 내장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신호 증폭 및 와이파이모듈이 내장되고 자체 장착 리튬 전지 등 전원이 내장된 제2집적회로(601)를 변류기 탭(503)과 연결하여 변류기의 감지신호가 증폭되고 난 후 와이파이 모듈에 의하여 무선으로 주위에 설치된 콘트롤러와 주변의 근무자들에게 무선으로 변류기 감지신호, 서지 감지신호, 누설전류 감지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변류기 설치를 위한 일체의 배선 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홀더
110: 상부
111: 상부 보빈
112: 상분할협지부 113: 상조임커버 114: 지지부
115: 중첩홈 120: 하부 121: 하부 보빈
122: 하분할협지부 123: 하조임커버 124: 지지부
200: 나사부 201: 암나사부 202: 환턱
203: 환요홈 300: 전력케이블 400: 터미널
500: 변류기 501: 서지감지변류기
502: 누설전류감지변류기 503: 변류기 탭
504: 변류기 통공 A: 상부보빈과 하부 보빈의 중첩부
112: 상분할협지부 113: 상조임커버 114: 지지부
115: 중첩홈 120: 하부 121: 하부 보빈
122: 하분할협지부 123: 하조임커버 124: 지지부
200: 나사부 201: 암나사부 202: 환턱
203: 환요홈 300: 전력케이블 400: 터미널
500: 변류기 501: 서지감지변류기
502: 누설전류감지변류기 503: 변류기 탭
504: 변류기 통공 A: 상부보빈과 하부 보빈의 중첩부
Claims (10)
- 홀더가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재질로 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이 변류기의 변류기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지지부가 상기 변류기의 상,하에 밀접되도록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의 둘레에 환턱이 형성되고,
환요홈을 내부에 구비한 상조임커버와 하조임커버가 상기 환턱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분할 협지부와 하분할 협지부의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암나사부를 구비한 상조임커버와 하조임커버가 상기 나사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상부의 내부에 중첩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홀에 삽입되는 하부의 하부보빈의 길이가 상부보빈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변류기 탭을 홀더 일측에 설치된 터미널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전류측정을 위한 1개의 변류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전류측정을 위한 변류기와, 서지감지 변류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전류측정을 위한 변류기와, 서지감지 변류기, 누설전류감지 변류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변류기 신호를 증폭한 신호가 출력되는 증폭소자가 내장된 제1집적회로와, 상기 제1집적회로가 홀더 일측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 제 1 항에 있어서,
내장된 전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변류기 신호를 증폭한 후 전파로 송신하기 위한 와이파이 모듈이 구비된 제2집적회로가 상기 홀더 일측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 장착용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246A KR101911449B1 (ko) | 2016-11-17 | 2016-11-17 | 변류기 장착용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246A KR101911449B1 (ko) | 2016-11-17 | 2016-11-17 | 변류기 장착용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409A true KR20180055409A (ko) | 2018-05-25 |
KR101911449B1 KR101911449B1 (ko) | 2018-10-24 |
Family
ID=6229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246A KR101911449B1 (ko) | 2016-11-17 | 2016-11-17 | 변류기 장착용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14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42431A (zh) * | 2021-11-30 | 2022-03-25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 一种具有多匝导电杆的电流互感器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6888U (ko) * | 1990-02-19 | 1991-11-05 | ||
JP2001230138A (ja) * | 2000-02-14 | 2001-08-24 | Osaka Gas Co Ltd | 分割型変流器の支持構造 |
JP3106888U (ja) * | 2004-07-29 | 2005-01-27 | 洪禎宏 | 工具を必要としない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
KR20110081008A (ko) * | 2010-01-07 | 2011-07-13 | 제이앤디전자(주) | 계기용 변성기의 고장검출 및 예측장치 |
JP2013528932A (ja) * | 2010-04-13 | 2013-07-11 | エンフェイズ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改良型変成器 |
KR20150026036A (ko) * | 2013-08-30 | 2015-03-1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변류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06888B2 (ja) * | 1994-12-28 | 2000-11-06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オートクルーズ制御方法 |
-
2016
- 2016-11-17 KR KR1020160153246A patent/KR101911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6888U (ko) * | 1990-02-19 | 1991-11-05 | ||
JP2001230138A (ja) * | 2000-02-14 | 2001-08-24 | Osaka Gas Co Ltd | 分割型変流器の支持構造 |
JP3106888U (ja) * | 2004-07-29 | 2005-01-27 | 洪禎宏 | 工具を必要としない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
KR20110081008A (ko) * | 2010-01-07 | 2011-07-13 | 제이앤디전자(주) | 계기용 변성기의 고장검출 및 예측장치 |
JP2013528932A (ja) * | 2010-04-13 | 2013-07-11 | エンフェイズ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改良型変成器 |
KR20150026036A (ko) * | 2013-08-30 | 2015-03-1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변류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3-528932호(2013.07.11.) 1부. *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06888호(2005.01.27.)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42431A (zh) * | 2021-11-30 | 2022-03-25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 一种具有多匝导电杆的电流互感器 |
CN114242431B (zh) * | 2021-11-30 | 2024-01-09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 一种具有多匝导电杆的电流互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1449B1 (ko) | 2018-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35130B2 (en) | Battery current sensor having a magnetic field sensor | |
US10048143B2 (en) | Sensor unit and magnetism collecting module and sensor apparatus | |
RU2615597C2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датчик ток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помянутого датчика | |
EP3086129B1 (en) | Electric current detector | |
JP2015194508A (ja) | トロイダルフラックスゲート電流変換器 | |
EP2768123B1 (en) | Electric motor | |
US20220149691A1 (en) | Wiring configuration for a stator, temperature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a temperature | |
KR20160031333A (ko) | 로고스키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류측정 센서 | |
WO2016111026A1 (ja) | 電流検出器、コアホルダ、インバータ | |
KR101911449B1 (ko) | 변류기 장착용 홀더 | |
JP5730072B2 (ja) | 電流センサ、電流センサ付きテーブルタップ、電流センサ用カバー | |
JP2016170127A (ja) | 電流検出装置 | |
US20210265110A1 (en) | Current transformer | |
DK2909642T3 (en) | MOUNTING CIRCUIT FOR THE CURRENT AND / OR VOLTAGE SENSOR | |
JP5970164B2 (ja) | トランスモジュール及びdc−dcコンバータ装置 | |
JP5039630B2 (ja) | 計測モジュール | |
JP2007303952A (ja) | 電流測定装置 | |
US20140311547A1 (en) | Distributor Load Cell for Determining Phase Current in Photovoltaic Installations | |
JP2005134233A (ja) | 計測器 | |
JP2019168341A (ja) | 膜厚計の位置合わせ治具 | |
CN114026439B (zh) | 用于测量残余电流的电流互感器 | |
KR101954638B1 (ko) | 교류와 직류 겸용 전류 측정장치 | |
JP2017017273A (ja) | 電力供給用クランプおよび測定装置 | |
JPH11121253A (ja) | 電流センサ取り付け装置 | |
JP2013003127A (ja) | 電気計測器の電線固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