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610A -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610A
KR20150025610A KR20130103373A KR20130103373A KR20150025610A KR 20150025610 A KR20150025610 A KR 20150025610A KR 20130103373 A KR20130103373 A KR 20130103373A KR 20130103373 A KR20130103373 A KR 20130103373A KR 20150025610 A KR20150025610 A KR 2015002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light emitting
pattern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644B1 (ko
Inventor
박정운
김종진
김영일
신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644B1/ko
Priority to US14/470,043 priority patent/US9488337B2/en
Priority to EP14182422.7A priority patent/EP2853809B1/en
Priority to CN201410437837.2A priority patent/CN104423094B/zh
Publication of KR2015002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제1 발광 유닛과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CONNECTION LIGHIT SHIELD FILM AND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한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등은 광원을 이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거나 광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원으로는 다양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을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대면적의 발광 모듈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광 유닛을 대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므로 발광 모듈의 대면적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한 발광 모듈은 경계 부분에서 높은 휘도가 발생하여 강한 휘선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구조의 발광 모듈을 제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웃한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선을 방지할 수 있는 이음매 차광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광 균일도를 가지는 발광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서로 이웃하는 제1 발광 유닛과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 사이의 경계선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한 제1 패턴부와, 상기 경계선과 멀리 위치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의 크기, 밀도, 두께 및 차광 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가 상기 제2 패턴부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의 밀도가 상기 제2 패턴부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가 상기 제2 패턴부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차광 물질의 양이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차광 물질의 양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위치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위에 위치하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위에 위치하는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백색 안료 및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은 금속 입자 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복수 개의 도트를 구비하거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유닛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에서 상기 경계 부분에 제1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에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제2 얼라인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휘선의 폭 :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의 폭의 비율이 1:1 내지 1:2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휘선의 폭 :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의 폭의 비율이 1:1.2 내지 1:1.8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이, 상기 복수의 행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부와, 상기 복수의 열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차광부 위 또는 상기 제1 차광부 아래에 상기 제2 차광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발광 모듈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복수의 행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 패턴부와, 상기 복수의 열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은, 서로 이웃하는 제1 발광 유닛과 제2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 이음매 차광 필름을 위치시켜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광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공정 설비 등을 교체하거나 공정 라인 등을 변경하지 않아도 발광 유닛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광 균일도가 우수한 발광 모듈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험예 1에 따른 발광 유닛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 및 이음매 차광 필름의 차광 패턴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예 2에 따른 발광 유닛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 및 이음매 차광 필름의 차광 패턴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발광 유닛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및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 및 발광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00)은, 복수의 발광 유닛(10)과, 복수의 발광 유닛(10) 중 이웃하는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즉, 이웃한 발광 유닛(10)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포함한다. 이음매 차광 필름(20)은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발광 유닛(10)에서 방출된 광이 합쳐지면서 발생되는 휘선을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유닛(10)은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면 및 설명에서는 발광 유닛(10)은 제1 발광 유닛(11), 제2 발광 유닛(12), 제3 발광 유닛(13) 및 제4 발광 유닛(1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이 서로 제1 방향(도면의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여 하나의 행을 구성하고, 제3 발광 유닛(13)과 제4 발광 유닛(14)이 서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또 다른 하나의 행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1 발광 유닛(11)과 제3 발광 유닛(13)이 서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여 하나의 열을 구성하고, 제2 발광 유닛(12)과 제4 발광 유닛(14)이 서로 제2 방향으로 인접하여 또 다른 하나의 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발광 유닛(10)이 두 개의 열 또는 두 개의 행을 가지게 되면 각각의 발광 유닛(10)과 외부 회로 등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발광 유닛(10)이 2개, 3개, 5개 이상 등과 같이 다양한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 유닛(10)이 세 개 이상의 열 또는 행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열 또는 행을 구성하지 않도록 특수한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유닛(10)의 개수, 배열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각 발광 유닛(10)은, 발광 소자(102)와, 발광 소자(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104)과, 회로 기판(104) 위에 위치하며 확산 패턴(108)이 형성된 반사 시트(106)와, 발광 소자(102)를 덮도록 형성되는 도광 수지층(110)과, 도광 수지층(110) 위에 위치하며 탄성을 가지는 차광 시트(112)를 포함한다. 그 외 도광 수지층(110)과 차광 시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침투 방지막(11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로 기판(104)은 발광 소자(102)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배선, 회로 패턴(미도시) 등이 형성된 기판이다. 회로 기판(104)은 경질(rigid)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메탈 코어 인쇄 회로 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MC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102)는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방식의 소자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소자(102)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는 광 전환 효율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친환경적이며,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회로 기판(104)이 발광 유닛(100)의 하부면을 구성하고, 발광 소자(102)가 회로 기판(104) 위에 형성되는 직하형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반사 시트(106), 별도의 시트 또는 케이스 등이 발광 유닛(100)의 하부면을 구성하고, 회로 기판(104) 및 발광 소자(102) 중 적어도 하나가 측면으로 위치하는 등의 변형도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형 구조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로 기판(104)에는 발광 소자(102)로부터 방출되어 회로 기판(104) 쪽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106)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 시트(106)로는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106)는 금속(좀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은 등), 또는 금속 산화물(좀더 구체적으로, 티타늄 산화물, 실리카 등)을 포함하는 백색 반사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 시트(106)가 다양한 물질,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반사 시트(106)가 차광 시트(112)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104)의 일면(도면의 상면)에 위치하여 발광 소자(102)로부터 방출된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 시트(106)의 상면에는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 패턴(108)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확산 패턴(108)은 백색의 안료를 포함하는 백색 잉크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확산 패턴(108)은 발광 소자(102)와 가까운 부분에서 작은 크기, 작은 밀도를 가지도록 하고 발광 소자(102)와 멀리 위치한 부분에 큰 크기, 큰 밀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광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 기판(104) 및 반사 시트(106)를 덮도록 도광 수지층(110)이 위치할 수 있다. 도광 수지층(110)은 발광 소자(102)를 덮으면서 형성될 수도 있고, 발광 소자(102)의 측면 부분에서 발광 소자(102)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광 수지층(110)은 고투과율을 가지며 대기와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여, 대기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전반사(total reflection)에 의하여 광을 도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광 수지층(110)은 폴리우레탄 계열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굴절률이 1.3 내지 1.5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유닛(100)이 직하형 구조를 가져 도광 수지층(110)이 발광 소자(102) 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측면형 구조 등에서는 도광 수지층(110)이 발광 소자(102)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광 수지층(110) 위에는 침투 방지막(114)이 위치할 수 있다. 침투 방지막(114)의 외부의 산소, 수분 등이 도광 수지층(110)의 내부 또는 발광 소자(102)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 수지층(110)의 황변을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지층(110)이 끈적거리는 등과 같이 택(tack)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침투 방지막(114)에 의하여 택 특성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침투 방지막(114)은 산소, 수분 등을 차단하면서 택 특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침투 방지막(11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침투 방지막(114)을 사용하지 않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침투 방지막(114) 위에는 발광 소자(102)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광 소자(102)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광하여 다른 부분으로 확산시켜 광을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차광 시트(112)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광 시트(112)는, 탄성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112a)와, 베이스 부재(112a) 상에 형성된 차광 패턴(112b) 및 접착 부재(112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2a)는 차광 패턴(112b)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광이 투과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2a)는 수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공정 중에는 베이스 부재(112a)에서 차광 패턴(112b) 및 접착 부재(112c)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후면 보호 필름(back protection film, BPF)(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여 베이스 부재(112a)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보호 필름은 발광 유닛(10)에 차광 시트(112)를 위치시키는 공정이 완료되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2a)은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부재(112a) 내에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선택 파장 흡수제, 난연제, 가소제, 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형광상 백제 및 대전 방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2a) 위에 위치하는 차광 패턴(112b)은 발광 소자(102)에서 발광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발광 소자(102)와 인접한 부분에서 광을 차단 및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 패턴(112b)은 발광 소자(102)와 인접한 부분(즉, 발광 소자(102)의 위에 위치한 부분)에서 넓고 조밀하게 형성되고, 발광 소자(102)와 멀어지면서 점진적으로 작고 덜 조밀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광 소자(102)가 위치한 부분의 강한 세기의 광을 차단하여 다른 부분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광을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차광 패턴(112b)의 평면 형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는 차광 패턴(112b)이 베이스 부재(112a) 위에 위치하는 단일층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차광 패턴(112b)의 2도 인쇄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서로 다른 두 개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차광 패턴(112b)의 제1 층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1 층 위에 위치하는 제2 층은 백색 안료와 함께 청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차광 및 확산 효과를 향상할 수 있으며 제2 층의 청색 안료에 의하여 황색 보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광 패턴의 적층 구조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접착 부재(112c)는 도광 수지층(110), 침투 방지막(114) 등에 차광 시트(112)를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 부재(112c)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감압성 접착 물질(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 부재(112c)는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부재(112c)의 물질,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발광 유닛(10)을 복수 개 준비한 후에 후면(도면의 하부면)에 위치한 접착층(116)에 의하여 케이스부(118)에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을 케이스부(118)에 일체롤 고정하여 발광 모듈(100)을 구성하게 된다. 접착층(116)의 물질, 케이스부(118)의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층(116) 및 케이스부(118) 이외의 다른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복수의 발광 유닛(10) 중에 이웃한 발광 유닛(10)(즉,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 제1 발광 유닛(11)과 제3 발광 유닛(13), 제2 발광 유닛(12)과 제2 발광 유닛(14), 그리고 제3 발광 유닛(13)과 제4 발광 유닛(14))의 경계 부분(즉,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는 이웃한 발광 유닛(10)에서 방출된 광이 합쳐진다. 따라서,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밝아지게 되면서 휘선 또는 휘점 등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눈에 인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이음매 차광 필름(20)이 위치한다. 이러한 이음매 차광 필름(20)은 이웃한 발광 유닛(10) 사이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 개의 발광 유닛(10)의 전면을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음매 차광 필름(20)은, 베이스 부재(22)와, 베이스 부재(22)에 위치한 차광 패턴(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2)에 위치한 접착 부재(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2)는 차광 패턴(24)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광이 투과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2)는 수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PET, PC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공정 중에는 베이스 부재(22)에서 차광 패턴(22) 및 접착 부재(24)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후면 보호 필름(back protection film, BPF)(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여 베이스 부재(22)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보호 필름은 발광 유닛(10)에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위치시키는 공정이 완료되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2)은 광학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부재(22) 내에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선택 파장 흡수제, 난연제, 가소제, 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형광상 백제 및 대전 방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2) 위에 위치하는 차광 패턴(24)은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선을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 패턴(24)의 휘선이 발생하는 부분의 광을 차단 및 확산하여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차광 패턴(24)은 형상, 배치 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강한 휘도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에 이음매 차광 필름(20)이 위치하므로 차광 패턴(24)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차광 패턴(24)이 베이스 부재(22) 위에 차례로 위치하는 제1 층(24a), 제2 층(24b) 및 제3 층(24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의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차광 패턴(24)이 제1 층(24a)만을 구비하거나, 제1 층(24a) 및 제2 층(24b)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층(24a, 24b, 24c)의 적층 구조, 각 층의 물질, 두께 등은 휘선의 강도, 발광 유닛(10)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휘점 또는 휘선의 강도가 그리 크지 않다면, 제1 내지 제3 층(24a, 24b, 24c)이 모두 백색 안료만을 포함할 수 있다. 휘점 또는 휘선의 강도가 크다면, 제1 층(24a)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2 층(24b)은 백색 안료와 함께 청색 안료를 포함하며, 제3 층(24c)은 금속 입자 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청색 안료는 차광 효과를 향상하면서 백색 안료에 의하여 황색으로 시프트 되는 현상(yellow shift)를 보정할 수 있다. 제3 층(24c)이 금속 입자 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면 휘점 또는 휘선의 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광 패턴(24)에 의하여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점 및 휘선을 차광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포함한 발광 모듈(100)에서 균일하게 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접착 부재(26)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발광 유닛(10)에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 부재(26)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PSA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 부재(26)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안정적으로 발광 유닛(10)에 접착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유닛(10)이 두 개의 열과 두 개의 행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 사이의 경계 부분이 두 개의 행 사이에서 제1 방향(행 방향, 도면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과, 두 개의 열 사이에서 제2 방향(열 방향, 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음매 차광 필름(20)은, 두 개의 행을 구성하는 발광 유닛(10)을 연결하면서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부(202)와, 두 개의 열을 구성하는 발광 유닛(10)을 연결하면서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부(204)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이음매 차광 필름(20)이 일종의 십자가 형상을 가지게 되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베이스 부재(22)가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의 경계 부분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광부(202, 204)에 대응하도록 십자가 형상을 가지고, 이러한 형상의 베이스 부재(22)에 차광 패턴(24) 및 접착 부재(26)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를 그대로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의 경계부에 놓은 상태로 접착 부재(26)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제1 내지 제4 발광 유닛(11, 12, 13, 14)의 경계 부분에 간단한 공정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이음매 차광 필름(20)과 발광 유닛(10)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10a, 20a)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 유닛(10)의 제2 얼라인 마크(10a)에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제2 얼라인 마크(20a)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발광 유닛(10)에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발광 유닛(10)에 우수한 얼라인 정밀도를 가지도록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10a, 20a)는 별도의 물질을 도포하거나, 일부를 제거한 음각으로 형성하거나, 그 외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를 서로 다른 별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차광 패턴(24) 및 접착 부재(26)의 형상, 배치 등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차광 패턴(24)이 복수의 도트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면에서는 차광 패턴(24)의 도트 형상으로 사각형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차광 패턴(24)이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의 다양한 다각형의 도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원형, 타원형, 부정형의 도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차광 패턴(24)은 이웃한 발광 유닛(10) 사이의 경계선과 가까운 부분에 위치한 제1 패턴부(242)와, 경계선으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2 패턴부(244)가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웃한 발광 유닛(10)이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으로 구성되는바, 이하에서는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웃한 발광 유닛(10)의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제1 패턴부(242)는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의 경계선과 가까이 위치하여 높은 휘도를 가지는 부분에 위치하므로 광을 좀더 많이 효과적으로 차광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반면, 제2 패턴부(244)는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의 경계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여 제1 패턴부(242)가 위치하는 부분보다는 휘도 차이가 크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제1 패턴부(242)보다는 광의 차광 및 확산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도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서는 제1 패턴부(242)가 제2 패턴부(244)보다 크고, 제1 패턴부(242)의 밀도가 제2 패턴부(244)의 밀도보다 크다. 그러면,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의 휘도를 좀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부(242)와 제2 패턴부(244) 사이에 크기 및/또는 밀도가 제1 패턴부(242)보다 작고 제2 패턴부(244)보다 큰 제3 패턴부(246)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발광 유닛(11)과 제2 발광 유닛(12)의 경계선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차광 패턴(24)의 크기 및/또는 밀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경계 부분의 휘도를 최대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차광 패턴(24) 내에서 좀더 균일하게 광을 확산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패턴부(242, 244, 246)의 크기, 밀도 등을 조절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242)를 제2 패턴부(244)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패턴부(242)의 차광 효과를 상대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부(242)의 제1 내지 제3 층(도 2의 참조부호 24a, 24b, 24c 참조, 이하 동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에 대응하는 제2 패턴부(244)의 제1 내지 제3 층(24a, 24b, 24c)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차광 효과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또는, 제1 패턴부(242)에 포함되는 차광 물질의 농도(또는 양)를 제2 패턴부(244)에 포함되는 차광 물질의 농도보다 크게 하여 차광 효과를 좀더 향상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패턴부(242)의 제1 내지 제3 층(24a, 24b, 24c)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차광 물질의 농도를 이에 대응하는 제2 패턴부(244)의 제1 내지 제3 층(24a, 24b, 24c)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차광 효과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제3 패턴부(246)의 두께, 차광 물질의 농도(또는 양)은 제1 패턴부(242)와 제2 패턴부(244)의 사이 값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패턴부(244)의 외측, 즉,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가장자리(좀더 정확하게는, 베이스 부재(22)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접착 부재(26)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26)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이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포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제1 및 제2 발광 유닛(11, 12)과의 접착력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착 부재(26)가 차광 패턴(24)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도면 및 설명에서는 차광 패턴(24)이 도트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광 패턴(24)이 도트 형상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변형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 패턴(24)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차광 패턴(24)에서 경계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 패턴부(242)는 경계선으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패턴부(244)보다 큰 크기(좀더 구체적으로는, 큰 선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턴부(242)와 제2 패턴부(242) 사이에는 제1 패턴부(242)보다 작고 제2 패턴부(244)보다 큰 크기(선폭)을 가지는 제3 패턴부(246)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경계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멀리 위치하는 부분으로 향하면서 차광 패턴(24)의 선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차이를 효과적으로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때, 발광 모듈(100)에서 발생되는 휘선의 폭 : 이음매 차광 필름(20)(좀더 정확하게는,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24)(즉, 두 개의 제2 패턴부(244))의 최외곽 가장자리 사이의 길이)의 폭의 비율이 1:1 내지 1:2일 수 있다. 여기서, 휘선이라 함은 1%를 초과하는 휘도차를 가져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밝은 선을 의미하고, 휘선의 폭이라 함은 휘도 차이가 다른 부분보다 1%를 초과하게 큰 부분의 폭을 의미한다. 휘선의 폭은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제거한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이 1:1 미만인 경우에는 휘선을 충분하게 차광하기 어렵고, 비율이 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차광 패턴(24)이 넓게 형성되어 휘선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광을 차광할 수 있다. 휘선의 효과적인 차광 등을 고려하면 상기 비율이 1:1.2 내지 1:1.8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음매 차광 필름(20)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발광 유닛(10)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100)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면적의 발광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광 유닛(10)을 대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므로 발광 모듈(100)의 대면적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연결하여 대면적의 발광 모듈(10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서 높은 휘도가 발생하여 강한 휘선이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발광 유닛(100)을 실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유닛(10)의 경계 부분에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위치시켜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100)의 광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연결하여 하나의 발광 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발광 유닛(10)보다 훨씬 큰 면적의 발광 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50인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발광 유닛(10)을 4개 연결하여 발광 모듈(100)을 제조하면 100인치 이상의 발광 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고, 그 발광 모듈(100)의 광 균일도가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공정 설비 등을 교체하거나 공정 라인 등을 변경하지 않아도 발광 유닛(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광 균일도가 우수한 발광 모듈(100)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 차광 필름(20)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구성하는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가 서로 별개로 구성된다. 즉, 제1 차광부(202) 및 제2 차광부(204)가 모두 길게 이어지는 일자 형상을 가지 베이스 부재(도 2 및 도 3의 참조부호 22 참조)와 이에 형성된 차광 패턴(도 2 및 도 3의 참조부호 24 참조) 및 접착 부재(도 2 및 도 3의 참조부호 26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를 포함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은, 제1 차광부(202)를 행 방향으로 발광 유닛(10)에 부착한 다음, 제2 차광부(204)를 열 방향으로 발광 유닛(10)에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차광부(202) 위에 제2 차광부(204)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차광부(204)를 먼저 부착한 다음 제1 차광부(202)를 부착하면 제1 차광부(202) 아래에 제2 차광부(204)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를 일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다양한 구조, 형상의 발광 모듈(100)에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자유롭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얼라인하고 부착하는 공정의 시간, 비용 등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음매 차광 필름(20)을 구성하는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별개로 구성된다. 다만, 제1 차광부(202) 및 제2 차광부(204)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베이스 부재(22)는 존재하되 차광 패턴(24)이 형성되지 않는 차광 패턴 미형성부(UA)가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차광부(202)에 차광 패턴 미형성부(UA)가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차광부(204)에 차광 패턴 미형성부(UA)가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하나의 차광부에 차광 패턴 미형성부(UA)가 위치하면, 제1 차광부(202)와 제2 차광부(204)가 겹치는 부분에서도 차광 패턴(24)이 다른 하나의 차광부에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광 패턴(24)이 중첩되는 것에 의하여 그 부분에서 오히려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발광 모듈의 광을 좀더 균일하게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베이스 부재(20)는 발광 모듈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고, 차광 패턴(24)이 복수의 행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 패턴부(240a)와, 복수의 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 패턴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20)를 일종의 광학 필름(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등)으로 구성하여 이음매 차광 필름(20)의 역할과 함께 광학 필름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에 의하여 발광 유닛(10)의 전면적을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 유닛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102) 및 이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104)이 도광판(110a)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형 발광 모듈이다. 도광판(110a)은 전반사에 의하여 광의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 예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은 열 경화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2)를 감싸도록 베젤(102a)을 위치시키고 차광 시트(도 2의 참조부호 112 참조)를 생략한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간략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발광 유닛(10)의 후면을 고정하는 접착층(도 2의 참조부호 116 참조) 및 케이스부(도 2의 참조부호 118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광 모듈은 다양한 구조의 발광 유닛(10)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두 개의 발광 유닛을 인접한 상태에서 5mm의 폭을 가지는 이음매 차광 필름을 이웃한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 부착하였다. 발광 유닛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 및 이음매 차광 필름의 차광 패턴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두 개의 발광 유닛을 인접한 상태에서 7mm의 폭을 가지는 이음매 차광 필름을 이웃한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 부착하였다. 발광 모듈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 및 이음매 차광 필름의 차광 패턴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두 개의 발광 유닛을 인접한 상태에서 발광 유닛이 발광하는 상태에서 경계 부분의 사진, 이에 따른 휘도 그래프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2에서는 이웃한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의 휘암차(휘도차)가 1% 이내의 값을 가지는 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예에서는 이웃한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의 휘암차(휘도차)가 2%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험예 1 및 2와 같이 이음매 차광 필름을 사용하면 경계 부분에서의 휘도차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 모듈
10, 11, 12, 13, 14: 발광 유닛
20: 이음매 차광 필름
22: 베이스 부재
24: 차광 패턴
26: 접합 부재

Claims (20)

  1. 서로 이웃하는 제1 발광 유닛과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
    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 사이의 경계선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한 제1 패턴부와, 상기 경계선과 멀리 위치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의 크기, 밀도, 두께 및 차광 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발광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가 상기 제2 패턴부보다 큰 발광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의 밀도가 상기 제2 패턴부의 밀도보다 큰 발광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가 상기 제2 패턴부보다 두꺼운 발광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차광 물질의 양이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차광 물질의 양보다 큰 발광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의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발광 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위치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위에 위치하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위에 위치하는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백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백색 안료 및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은 금속 입자 또는 금속 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복수 개의 도트를 구비하거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는 발광 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유닛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에서 상기 경계 부분에 제1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에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제2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는 발광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휘선의 폭 :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의 폭의 비율이 1:1 내지 1:2인 발광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상기 휘선의 폭 :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의 폭의 비율이 1:1.2 내지 1:1.8인 발광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을 구성하며,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이, 상기 복수의 행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부와, 상기 복수의 열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이 십자가 형상을 가지는 발광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차광부 위 또는 상기 제1 차광부 아래에 상기 제2 차광부가 위치하는 발광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발광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차광 필름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발광 모듈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발광 모듈.
    상기 차광 패턴이, 상기 복수의 행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차광 패턴부와, 상기 복수의 열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을 연결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20. 서로 이웃하는 제1 발광 유닛과 제2 발광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에서 발생하는 휘선을 차광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위치한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이음매 차광 필름.
KR1020130103373A 2013-08-29 2013-08-29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KR10209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3A KR102090644B1 (ko) 2013-08-29 2013-08-29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US14/470,043 US9488337B2 (en) 2013-08-29 2014-08-27 Light shield connection film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4182422.7A EP2853809B1 (en) 2013-08-29 2014-08-27 Light device including a light shield connection film
CN201410437837.2A CN104423094B (zh) 2013-08-29 2014-08-29 光屏蔽连接膜和包括该光屏蔽连接膜的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3A KR102090644B1 (ko) 2013-08-29 2013-08-29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10A true KR20150025610A (ko) 2015-03-11
KR102090644B1 KR102090644B1 (ko) 2020-03-18

Family

ID=5139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73A KR102090644B1 (ko) 2013-08-29 2013-08-29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8337B2 (ko)
EP (1) EP2853809B1 (ko)
KR (1) KR102090644B1 (ko)
CN (1) CN1044230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426A (ko) * 2019-08-22 2021-03-05 에피스타 코포레이션 발광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모듈
CN113377077A (zh) * 2021-07-08 2021-09-10 刘志程 一种智能制造数字化工厂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4161B2 (en) 2015-06-30 2019-04-30 Signify Holding B.V. LED spot with customizable beam shape, beam color and color uniformity
CN105182466A (zh) * 2015-09-11 2015-12-23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其制备方法、背光源、显示装置
CN105068320B (zh) * 2015-09-22 2018-08-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
WO2018180844A1 (ja) * 2017-03-29 2018-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面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7092139B (zh) * 2017-07-04 2020-06-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JP6906560B2 (ja) 2019-04-03 2021-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CN110794923B (zh) * 2019-10-21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
KR20210059553A (ko) * 2019-11-15 202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63647A (ko) * 2019-11-25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480725B2 (en) * 2020-06-04 2022-10-25 Nichia Corporation Planar light sour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anar light source
JP7260796B2 (ja) 2020-11-06 2023-04-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面状光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1068A1 (en) * 2006-10-26 2008-05-01 Minebea Co., Ltd.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of multiple panel type
US7632002B1 (en) * 2008-10-24 2009-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cklight unit
US20110235308A1 (en) * 2010-03-24 2011-09-29 Kang Eui Jeong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75317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698A (ja) 2002-11-20 2004-06-17 Toyota Industries Corp 光学部材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光学部材の製造方法
EP2280218A1 (en) * 2009-07-31 2011-02-02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1068A1 (en) * 2006-10-26 2008-05-01 Minebea Co., Ltd.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of multiple panel type
US7632002B1 (en) * 2008-10-24 2009-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cklight unit
US20110235308A1 (en) * 2010-03-24 2011-09-29 Kang Eui Jeong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75317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426A (ko) * 2019-08-22 2021-03-05 에피스타 코포레이션 발광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모듈
CN113377077A (zh) * 2021-07-08 2021-09-10 刘志程 一种智能制造数字化工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3094A (zh) 2015-03-18
KR102090644B1 (ko) 2020-03-18
US20150077990A1 (en) 2015-03-19
CN104423094B (zh) 2019-06-11
EP2853809A1 (en) 2015-04-01
EP2853809B1 (en) 2017-05-31
US9488337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644B1 (ko)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JP6404432B2 (ja) 照明装置
KR10223278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688730B (zh) 面發光裝置
KR102034067B1 (ko) 조명유닛
KR2018006254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609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6192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6490136B2 (ja) 面状照明装置
KR102215971B1 (ko) 조명장치
TWI596407B (zh) 背光單元
KR101508979B1 (ko)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KR101829306B1 (ko) 조명장치
TWI743572B (zh) 反射式顯示器
KR101829305B1 (ko) 조명장치
KR1023994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202024694A (zh) 背光模組
KR102400057B1 (ko) 조명장치
WO201004716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601097B1 (ko) 조명장치
US20170205564A1 (en) Light-Emitting Diode Strip, Backlight Source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087030B1 (ko) 가이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JP7019881B2 (ja) 面状照明装置
KR101947532B1 (ko) 조명장치
KR20170078480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