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79B1 -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79B1
KR101508979B1 KR20130065815A KR20130065815A KR101508979B1 KR 101508979 B1 KR101508979 B1 KR 101508979B1 KR 20130065815 A KR20130065815 A KR 20130065815A KR 20130065815 A KR20130065815 A KR 20130065815A KR 101508979 B1 KR101508979 B1 KR 101508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guide plate
light guide
adhesive layer
patte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979A (ko
Inventor
윤소라
Original Assignee
(주)유아이
윤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아이, 윤소라 filed Critical (주)유아이
Priority to KR2013006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97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도광판에 점착되는 도광판 점착면을 분할 구획하도록 점착층에 비점착홈을 규칙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해 줌으로써, 비점착홈들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점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 비점착면들을 최소화 및 규칙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비점착홈을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비점착홈을 통해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규칙적으로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점착 테이프의 상기 비점착홈이 형성된 점착층과 기재층을 기설정된 색상으로 착색함으로써, 착색된 색상에 따라 빛의 반사 및 흡수 성능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에 필요한 최적의 휘도 및 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PATENING ADHESIVE TAPE ATTACHING TO THE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 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도광판에 광원 모듈을 부착하거나 또는 도광판을 유닛 케이스에 부착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표시 유닛의 뒤면에 설치되어 화상 표시를 위해 필요한 빛을 방출해 제공해 주는 광원 장치이다.
상기한 백 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하부 유닛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 광원 모듈이 부착되고, 하측에 반사 시트가 적층되며 부착되며, 상측에 광학 시트를 이루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차광 테이프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은 백라이트 유닛(BLU)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 상기한 광원 모듈로부터 입광부 측면을 통해 유입된 측광을 반사를 거듭하며 비입광부로 전달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전체 면에 대해 균일하게 면광 형태로 바꾸어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백 라이트 유닛 내에서 도광판의 입광부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광원 모듈을 부착하거나 또는 도광판을 하부 유닛 케이스 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부착 수단으로써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점착 테이프는 도광판에 점착되는 점착면을 통해 광원 모듈을 통해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휘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점착 테이프(200)를 도광판(20)에 점착하는 과정에서 도광판(20)과 점착 테이프(200)의 점착면에서 발생하는 들뜸, 기포, 점착제 뭉침 또는 점착제 표면의 굴곡 등의 원인에 의해 불규칙한 비점착면(210)들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점착 테이프(200)의 불규칙 비점착면(210)들은 광원으로부터 도광판(20)의 입광부쪽 측면을 통해 유입된 빛이 도광판(20) 내부를 따라 반사를 거듭하며 비입광부쪽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난반사 및 난굴절을 야기시켜 결국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에 점착되는 도광판 점착면을 분할 구획하도록 점착층에 비점착홈을 규칙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함으로써, 패터닝된 비점착홈들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점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 비점착면들을 최소화 및 규칙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 현상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상기한 비점착홈을 통해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규칙적으로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재층 또는 점착 테이프의 상기 비점착홈이 형성된 점착층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색된 색상에 따라 빛의 흡수, 반사 및 확산 등의 광학 성능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에 필요한 최적의 휘도 및 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는, 백 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도광판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을 점착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광판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케이스에 점착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도광판과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 형성되는 제1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서 층을 이루며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층부; 및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 상에서 상기 도광판과 점착면을 이루도록 점착되게 층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까지 규칙적인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비점착홈이 형성되는 패터닝 점착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점착홈은 하나 또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은 하나 또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양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비점착홈은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점착홈의 폭은 상기 도광판에 점착되는 점착면의 폭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점착홈의 폭은 100㎛ 내지 5000㎛ 범위 이내로 형성되고, 상기 비점착홈의 깊이는 3㎛ 내지 50㎛ 범위 이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의 두께는 상기 비점착홈의 깊이 즉 패터닝 점착층부의 두께의 1/5 내지 3배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점착층은 흰색, 은색, 회색 및 흑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착색되고, 이때, 상기 제1 점착층은 최대 30% 범위 이내의 불투명도를 가지고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광원 모듈 또는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의 타일면에 적층 형성되는 제2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은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제2 점착층 보다 경화제가 1.5 내지 3배 더 많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흰색, 은색, 회색 및 흑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안료첨가, 인쇄 또는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I(Polyimide), PE(Polyethylen),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나일론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등의 플라스틱류,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아라미드 종이(Aramid Paper) 등의 종이류, 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등의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과 금속이 합지된 합지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도광판에 점착되는 도광판 점착면을 분할 구획하도록 점착층에 비점착홈을 규칙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함으로써, 패터닝된 비점착홈들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점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 비점착면들을 최소화 및 규칙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 현상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비점착홈을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비점착홈을 통해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규칙적으로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재층 또는 점착 테이프의 상기 비점착홈이 형성된 점착층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색된 색상에 따라 빛의 흡수, 반사 및 확산 등의 광학 성능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에 필요한 최적의 휘도 및 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가 적용된 백 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도광판의 입광부측에 광원 모듈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잘라서 본 도광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도광판을 케이스에 부착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잘라서 본 도광판 비입광부측 케이스 고정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패터닝 점착층부의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규칙적으로 빛이 반사 및 굴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패터닝 점착층부의 패턴 형상에 대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도광판 부착용 테이프를 적용시 빛이 난반사 및 난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가 적용된 백 라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백 라이트 유닛(1)은 하부 유닛 케이스(10) 내에서 고정되는 도광판(20: LGP, Light Guide Plate)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 광원 모듈(70)이 부착되고, 하측에 반사 시트(30)가 부착되며, 상측에 광학 시트를 이루는 확산 시트(40), 프리즘 시트(50) 및 차광 테이프(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패키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 이하, "패터닝 점착 테이프"라 한다.)는 백 라이트 유닛(1)에 사용되는 도광판(20)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70)을 점착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광판(20)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하부 유닛 케이스(10)에 점착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도광판의 입광부측에 광원 모듈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잘라서 본 도광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를 이용해 도광판(20)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70)이 부착되게 점착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광원 모듈(70)은 도광판(20)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의 세로 폭에 맞추어 띠 형상을 가지는 에프피시비(71;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복수의 엘이디(72; LED, Light Emitting Diode)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엘이디 광원 모듈인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패터닝 테이프(100)를 이용해 도광판(20)의 입광부쪽 하부 가장자리면과 광원 모듈(70)의 에프피비시(71)의 상부 일측 가장자리면을 점착 고정시켜 광원 모듈(70)의 엘이디(72)에서 발생한 빛을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입광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광원 모듈(70)로부터 도광판(20)의 입광부 측면을 통해 유입된 빛은 도광판(20) 내부에서 반사를 거듭하며 비입광부로 전달되며 표시 유닛의 디스플레이 전체 면에 대해 균일하게 면광 형태로 바꾸어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1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도광판을 케이스에 부착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잘라서 본 도광판 비입광부측 케이스 고정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패턴닝 점착 테이프(100)를 이용해 도광판(10)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하부 유닛 케이스(10)의 내측 바닥면에 점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패턴닝 점착 테이프(100)은 도광판(10) 하부에 부착되는 반사 테이프(30)와 겹치지 않도록 하거나 겹침부를 최소화하며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는 필수적으로 도광판(20)에 광원 모듈(70)을 점착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광판(20)을 하부 유닛 케이스(10) 내에 점착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에서 도광판(20)에 점착되는 도광판 점착면(125)을 분할 구획하도록 점착층(120)에 비점착홈(126)을 규칙적으로 패터닝하여 비점착홈(126)들에 의해 종래 점착 테이프(200)를 점착하는 과정에서 들뜸, 기포, 점착제 뭉침 또는 점착제 표면의 굴곡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 비점착면들을 최소화 및 규칙화시켜 상기한 불규칙 비점착면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광판(20)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70)을 점착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에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이를 통해 상기 도광판(10)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하부 유닛 케이스(10)에 점착 고정하도록 사용하는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패터닝 점착층부의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 규칙적으로 빛이 반사 및 굴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층(110), 제1 점착층(120) 및 제2 점착층(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재층(110)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I(Polyimide), PE(Polyethylen),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나일론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등의 플라스틱류,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아라미드 종이(Aramid Paper) 등의 종이류,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등의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과 금속이 합지된 합지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점착층(120)은 상기 도광판(20)과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110)의 일면에서 도광판(20)의 입광부쪽 가장자리 하면과 점착면을 이루며 점착되도록 점착재를 적층시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점착층(130)은 상기 광원 모듈(70)의 에프피시비(71)와 마주하는 타일면에서 에프피시비(71)의 엘이디(72) 대향측 가장자리 상면과 점착면을 이루며 점착되도록 점착재를 적층시켜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1 점착층(120)에는 베이스 점착층부(121) 및 패터닝 점착층부(122)를 가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점착층부(121)는 상기 기재층(110) 상에서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고 층을 이루며 전술한 패터닝 점착층부(122)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패터닝 점착층부(122)는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121) 상에서 상기 도광판(20)과 점착면(125)을 이루도록 점착되게 층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도광판(20)과의 점착면(125)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121)까지 규칙적인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비점착홈(126)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점착층(120) 및 제2 점착층(130)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점착층(120)은 일반 점착층을 이루는 상기 제2 점착층(130) 보다 경화제가 1.5 내지 3배 더 많은 포함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열악한 조건에서도 패터닝 점착층부(122)에 형성된 비점착홈(126)이 규칙적 패턴 형상 가지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120)은 점착제에 대하여 경화제가 0.8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상기 비점착홈(126)은 하나 또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비점착홈(126)은 평면상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과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이 서로 직교하며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를 패터닝 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점착홈(126)이 일 방향으로 따라 서로 나란히게 형성되는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서로 경사지게 교차하며 형성되는 것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반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125)부가 하나 또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양각지게 형성되고, 양각지게 형성된 점착면(125)부 사이에서 상기 비점착홈(126)부가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좀더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의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는 비점착홈(126)이 평면상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과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이 서로 직교하며 규칙적인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비점착홈(126)에 의해 도광판(10)에 점착되는 도광판 점착면을 작게 분할 구획하여 종래 비패터닝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얼룩 형상의 원인되는 들뜸, 기포, 점착제 뭉침 또는 점착제 표면의 굴곡 등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래 비패터닝 점착 테이프를 점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 비점착면들을 최소화 및 규칙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의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는 상기한 비점착홈(126)을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비점착홈(126)을 통해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규칙적으로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얼룩 방지 및 휘도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비점착홈(126)의 폭(b2)은 상기 도광판(20)에 점착되는 점착면(12)의 폭(b1)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점착면(125)의 폭(b1)과 비점착홈(126)의 폭(b2)은 각각 100㎛ 내지 5000㎛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면(125)부는 점착 테이프가 피착제인 도광판(20)에 부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 유지력 및 초기 점착력 등의 물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점착면(125)부의 폭(b1)이 100㎛(0.1mm) 미만인 경우 점착 테이프의 기본 물성의 값이 저하되며, 5000㎛(5mm) 초과인 경우 도광판(20)에 부착시 부착 면적이 넓어져 기포 발생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에 얼룩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비점착홈(126)은 점착 테이프가 피착제인 도광판(20)에 미부착되는 면적으로 그 크기에 따라 도광판(20)으로부터 유입된 빛을 규칙적으로 반사, 굴절 및 확산시켜 휘도 향상 및 얼룩 방지 등에 대한 광학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비점착홈(126)을 이루는 스트라이프 패턴들의 폭(b2)이 100㎛(0.1mm) 미만인 경우 빛이 통과되는 양이 적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얼룩 발생률이 높아 지지게 되고, 5000㎛(5mm) 초과인 경우 점착면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져 돌출된 양각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점착홈(126) 내부로 밀려 내려와 무너지게 된다.
한편, 패터닝 점착층부(122)의 두께에 상당하는 비점착홈(126)의 깊이(t2)는 3㎛ 내지 50㎛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점착홈(126)의 깊이(t2)가 3um 미만인 경우 점착 테이프를 도광판(20)에 가압 부착시 비점착홈(126)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점착면(125)부에 의해 메워져 비점착홈(126)부에 의한 상기 광학적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게 되며 또한, 50um을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양각지게 돌출된 점착면(125)부의 측벽면이 압력에 취약해져 비점착홈(126)를 인접하는 점착면(125)부가 서로 붙어 뭉쳐지게 됨에 따라 도광판(20)과의 점착면이 불규칙해 광 균일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121)의 두께(t1)는 상기 비점착홈(126)의 깊이에 상당하는 패터닝 점착층부(121)의 두께(t2)의 1/5 내지 3배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점착층부(121)는 패터닝 점착층부(122)를 지지하는 지지층으로 이들의 두께(t1)에 따라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 유지력 및 초기 점착력 등의 물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점착층부(121)의 두께(t1)가 패터닝 점착층부(122)의 두께(t2)의 1/5배 미만인 경우 베이스 점착층부(121)의 물성치가 하락하게 되어 이에 의해 지지되는 패터닝 점착층부(122)의 지지력이 약해져 측면에서의 압력에 의해 점착면(125)부가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무너져 서로 뭉쳐지게 된다.
또한, 베이스 점착층부(121)의 두께(t1)가 패터닝 점착층부(122)의 두께(t2)의 3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패터닝 점착층부(122)의 두께가 얇아져 점착 테이프를 도광판(20)에 부착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점착면(125)부가 쉽게 무너지며 베이스 점착층부(121)에 흡수되어 비점착홈(126)부에 의한 상기 광학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패턴닝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층(110) 또는 제1 점착층(120)을 착색하여, 이들 색상에 따라 점착 테이프에 빛의 반사, 흡수, 차단 및 확산시키는 광학 성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110) 또는 제1 점착층(120)은 각각 흰색, 은색, 회색 및 흑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착색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기재층(110)에 색상을 부여하는 방식은 기재층을 이루는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기재층(110)을 이루는 재질이 상기한 금속류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 자체의 고유 색상을 부여하거나, 증착 방식을 통해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증착 방식으로 진공 증착, 화학 증착(도금)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 증착의 경우 기재층(110)을 이루는 금속체가 진공 플라즈마 상태에서 금속입자들이 기재에 안착 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화학 증착의 경우 전해질 용액에 기재 및 금속판을 담근 후 금속판의 입자가 기재에 안착 되는 방식으로 기재에 금속류의 색상을 구현하는 하는 방식이다.
기재층(110)을 이루는 재질이 합성수지인 플라스틱류의 경우 플라스틱 제조 시 안료를 첨가하여 색상 부여하여 할 수 있다. 일례로, 흑색이 경우 카본 블랙을 안료를 투입하고 백색의 경우 이산화 티탄을 안료를 투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재층(110)을 이루는 재질이 종이류인 경우 인쇄 방식에 의해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종이류의 인쇄 방식에는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이 있고, 잉크의 색상을 기재에 인쇄시켜 원하는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점착층(120)에 색상을 부여하는 방식은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에 잉크(액상)를 혼합하여 색상을 부여하거나, 안료(고상)를 혼합하여 색상을 부여하거나, 또는 금속분말 또는 광물질을 혼합하여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점착제에 금속분말 또는 광물질을 혼합하여 색상을 부여는 방식은 일례로 오산화인이 주성분인 백색 난연제를 혼합하는 경우 백색을 띄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점착층(120)은 색상 부여를 위해 첨가는 액상의 잉크, 고상의 안료, 금속분말 또는 광물질에 의해 고유의 점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최대 30% 범위 이내의 불투명도를 가지고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기재층(110) 또는 제1 점착층(120)에 색상을 부여하여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가 상기한 특정 색상을 띄게 됨으로써, 그 색상에 다른 광학적 특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즉, 패터닝 점착 테이프(100)가 흑색을 띄게 되는 경우 빛의 흡수 및 차단 효과를, 백색 또는 은색을 띄게 경우 빛의 반사 효과를, 그리고 회색의 경우 빛의 확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재층(110) 또는 제1 점착층(120)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색된 색상에 따라 빛의 흡수, 반사 및 확산 등의 광학 성능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에 필요한 최적의 휘도 및 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백 라이트 유닛 10: 하부 유닛 케이스
20: 도광판 30: 반사 시트
40: 확산 시트 50: 프리즘 시트
60: 차광 테이프 70: 광원 모듈
71: 에프피시비(FPCB) 72: 엘이디(LED)
100: 패터닝 점착 테이프 110: 기재층
120: 제1 점착층 121: 베이스 점착층부
122: 패터닝 점착층부 125: 점착면
126: 비점착홈 b1: 점착면의 폭
b2: 비점착홈의 폭 t1: 베이스 점착층부의 두께
t2: 비점착홈의 깊이(패터닝 점착부의 두께)

Claims (14)

  1. 삭제
  2. 백 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도광판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을 점착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광판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하부 유닛 케이스에 점착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도광판과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 형성되는 제1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서 층을 이루며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층부; 및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 상에서 상기 도광판과 점착면을 이루도록 점착되게 층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까지 규칙적인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비점착홈이 형성되는 패터닝 점착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점착홈은,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형성되며 상기 점착면을 구획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3. 백 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도광판의 입광부측 가장자리에 광원 모듈을 점착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도광판의 비입광부측 가장자리를 하부 유닛 케이스에 점착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도광판과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 형성되는 제1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상에서 층을 이루며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층부; 및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 상에서 상기 도광판과 점착면을 이루도록 점착되게 층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까지 규칙적인 패턴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비점착홈이 형성되는 패터닝 점착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과의 점착면이,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스트라이프 패턴 형상을 가지고 양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비점착홈은,
    양각지게 형성된 상기 점착면들 사이에서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음각지게 구획되며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비점착홈의 폭은 상기 도광판에 점착되는 점착면의 폭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6. 제5항에서,
    상기 비점착홈의 폭은 100㎛ 내지 5000㎛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서,
    상기 비점착홈의 깊이는 3㎛ 내지 50㎛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8. 제7항에서,
    상기 베이스 점착층부의 두께는 상기 비점착홈 깊이의 1/5 내지 3배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9.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흰색, 은색, 회색 및 흑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착색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최대 30% 범위 이내의 불투명도를 가지고 착색되어 형성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11.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광원 모듈 또는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기재층의 타일면에 적층 형성되는 제2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제2 점착층 보다 경화제가 1.5 내지 3배 더 많이 포함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13.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기재층은,
    흰색, 은색, 회색 및 흑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안료 첨가, 인쇄 또는 증착되어 착색되는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테이프.
  14. 삭제
KR20130065815A 2013-06-10 2013-06-10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KR101508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15A KR101508979B1 (ko) 2013-06-10 2013-06-10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15A KR101508979B1 (ko) 2013-06-10 2013-06-10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79A KR20140143979A (ko) 2014-12-18
KR101508979B1 true KR101508979B1 (ko) 2015-04-10

Family

ID=5267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815A KR101508979B1 (ko) 2013-06-10 2013-06-10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724B1 (ko) * 2016-04-21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417947A (zh) * 2017-05-16 2017-12-01 上海正邻机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导光板的制造方法
KR101888451B1 (ko) * 2017-08-31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772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7059386A (ja) * 2005-07-26 2007-03-08 Cosmo Tec:Kk バックライト構造体及び両面粘着テープシート
KR20100035172A (ko) * 2007-08-03 2010-04-0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용이 첩부성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0016A (ko) * 2007-10-12 2010-06-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386A (ja) * 2005-07-26 2007-03-08 Cosmo Tec:Kk バックライト構造体及び両面粘着テープシート
KR20070016772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035172A (ko) * 2007-08-03 2010-04-0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용이 첩부성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0016A (ko) * 2007-10-12 2010-06-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79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704967B2 (ja) 照明装置
US9970604B2 (en) Lighting device
EP2463706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57924B2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2090644B1 (ko) 이음매 차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US20110050558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1484466B1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JP201906192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I434102B (zh) 光源以及具有該光源的背光模組
KR101379924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508979B1 (ko)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US9778506B2 (en) Lighting device with enhanced optical properti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ing device
US20150253492A1 (en) Ligh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17184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9306B1 (ko) 조명장치
KR10215754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40022329A (ko) 도광판 및 도광판 제작용시트
KR20200042167A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TW201510620A (zh) 薄型直下式背光模組
KR101641970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2373190B1 (ko) 조명 장치
KR101985148B1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KR1016730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0923B1 (ko) 도광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