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810A -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810A
KR20150022810A KR20147034292A KR20147034292A KR20150022810A KR 20150022810 A KR20150022810 A KR 20150022810A KR 20147034292 A KR20147034292 A KR 20147034292A KR 20147034292 A KR20147034292 A KR 20147034292A KR 20150022810 A KR20150022810 A KR 2015002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car
building
cri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157B1 (ko
Inventor
랜달 케이쓰 로버츠
조지 스콧 코프랜드
테레사 엠. 크리스티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2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들의 흔들림을 야기하는 빌딩 흔들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빌딩 흔들림 모드로 스위칭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에 대한 빌딩 흔들림의 진동 효과들을 완화하기 위해 빌딩 흔들림 모드를 통해 변화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Elevator rope sway mitig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을 위한 서스펜션 및/또는 구동 로프들의 흔들림(sway)의 완화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로프들 또는 다른 서스펜션 부재들을 포함하고, 이들 로프들 또는 다른 서스펜션 부재들로부터 엘리베이터 카가 매달리고, 이들 로프들 또는 다른 서스펜션 부재들을 통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구를 따라 구동된다. 특히, 이들을 서비스하는(servicing)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을 갖는 고층 빌딩들은 이들과 연관된 약간의 흔들림을 갖는다. 폭풍 기간 동안 가장 자주 경험되는 이러한 흔들림은 엘리베이터 성능에 심각한 충격을 가할 수 있고, 몇몇 경우들에서, 엘리베이터 구성요소들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흔들림은, 특히 칸이 상부 또는 하부 층계참(landing)으로 작용할 때 로프 길이가 단축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에서 과도한 수직 진동 및 잡음을 야기하는 상당한 측면 진폭을 갖는 로프 흔들림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칸에서 경험된 로프 흔들림 효과들은, 로프 흔들림 주파수가 빌딩 흔들림 진동 주파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특정한 층들에서 증가한다.
로프 흔들림 완화에 대한 기존의 접근법은 흔들림 아암들(arms), 스너빙(snubbing) 디바이스들, 칸 종동부들, 로프 가이드들, 절연체들 등과 같은 기계적 요소들을 전개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와 같은 기계적 요소들은 시스템 비용을 증가시키고, 여러 번 로프 흔들림의 효과들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신뢰도를 결핍시킨다. 다른 해법은 폭풍 사건 동안 보상 로프 흔들림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승강구에서 고정 도르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빌딩은 흔들림에 대해 모니터링되고, 바람 모드들이 구현되어, 엘리베이터 성능을 한정하는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 상의 빌딩 흔들림의 효과들이 가장 큰 미리 결정된 "임계 지역"에서 층들에 대한 서비스를 중지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빌딩 흔들림 사건들 동안 빌딩의 많은 서비스가능하지 않은 층들을 갖게 되고, 이것은 많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허용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은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들의 흔들림을 야기하는 빌딩 흔들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빌딩 흔들림 모드로 스위칭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 상에서 빌딩 흔들림의 진동 효과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빌딩 흔들림 모드를 통해 변경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들에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을 변경하는 것은 정지부(stoppage)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들의 흔들림 진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동 동안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은 이 후 재시작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들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에 실패 호출(false call)이 할당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들에서, 엘리베이터 칸은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기 위해 중간 층에서 호출을 위한 우선권이 주어진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들에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을 변경하는 것은, 빌딩에서의 상이한 레벨들에서 임계 지역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별적인 엘리베이터 칸들을 구성함으로써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 흔들림에 관해 임계 지역으로서 한정된 층 또는 다수의 층들에서 엘리베이터 칸이 소비할 수 있는 연속적인 시간 길이를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승객들을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들로 향하도록 이용되어, 각 승객의 목적지는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위한 임계 지역 내에 있지 않고, 이를 통해 각 임계 지역들에서 엘리베이터 칸들의 연속적인 시간을 한정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들에서, 임계 지역들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서 상이한 고정 도르래들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들 및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주제는 본 명세서의 결론에서 청구항들에 특히 나타나고 별도로 청구된다. 본 발명의 이전 및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수의 승강구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수의 승강구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상세한 설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장점들 및 특징들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이해에 요구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특징부들(features)(가이드 레일들, 안전 장치들 등과 같은)은 본 명세서에 논의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부재들, 예를 들어 서스펜션 로프들(16)을 가지고 승강구(14)에 동작가능하게 매달리거나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12)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로프들(16)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주위에 라우팅될(routed) 하나 이상의 도르래들(18)과 상호 작용한다.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로프들(16)은 또한 평형추(20)에 연결되며, 이러한 평형추(2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을 주고 동작 동안 하나 이상의 도르래들(18)의 양쪽 측부들 상에 로프 응력에서의 차이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각 도르래들(18)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다른 도르래들(18)의 직경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직경(22)을 갖는다. 도르래들(18)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24)에 의해 구동된 구동 도르래일 수 있다. 기계(24)에 의한 구동 도르래의 움직임은 구동 도르래(18) 주위에서 라우팅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로프들(16)을 구동하고, 이동하고, 및/또는 추진하여(견인력을 통해), 승강구(14)를 따라 엘리베이터 칸(12)을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칸(12)으로부터 보상 도르래(27) 주위에서 승강구 피트(pit)(28)쪽으로 평형추(20)까지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보상 로프들(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질량(60)은 승강구 피트(28)에 배치될 수 있고, 보상 도르래(27)에 부착될 수 있다. 보상 로프들(26), 보상 도르래(27) 및 고정 질량(60)은 승강구(14)를 따라 엘리베이터 칸(12)의 운동을 안정화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엘리베이터 시스템들(10)은 제어기(30)를 통해 제어된 다수의 승강구들(14) 및 다수의 엘리베이터 칸들(12)을 포함하고, 제어기(30)는 목적지 급전(dispatching) 모드 또는 홀 콜(hall call) 급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홀 콜 급전에서, 승객은 승강구(14) 외부에서 복도(hallway)(34)에 위치된 홀 콜 버튼(33)을 누름으로써 호출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눌러진 버튼은 승객의 원하는 이동 방향(위 또는 아래)을 나타낼 것이다. 일단 엘리베이터 칸(12) 내부에 있으면, 승객은 목적지 층을 나타내기 위해 칸 패널(36) 상의 버튼을 누른다. 목적지 급전에서, 승객은 복도(34)에서 목적지 입력 패널(32) 상에서 목적지 층을 나타낸다. 제어기(30)는 승객이 어떤 엘리베이터 칸(12)에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예를 들어, 목적지 입력 패널(32) 상의 메시지 또는 청각적 신호에 의해 승객에게 정확한 엘리베이터 칸(12)으로 향하게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칸(12)이 빌딩(39)의 다양한 층들(38)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동할 때, 기계(24)와 엘리베이터 칸(12) 사이의 서스펜션 로프 길이(40)는, 엘리베이터 칸(12)이 빌딩(39) 위로 이동할 때 단축된다. 유사하게, 엘리베이터 칸(12)과 승강구 피트(28) 사이의 보상 로프 길이(42)는, 엘리베이터 칸(12)이 빌딩(39)에서 아래로 이동할 때 단축된다. 빌딩 흔들림, 예를 들어 폭풍 사건들의 상태들 동안, 서스펜션 로프들(16) 및 보상 로프들(26)은 주파수 및 진폭에서 측면으로 흔들릴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12)을 통해 빠른 단축 서스펜션 로프들(16) 또는 보상 로프들(26)은 빌딩(39)에서 이동하는 한편, 로프들(16 또는 26)은, 엘리베이터 칸(12)의 수직 운동과 결합될 때, 엘리베이터 칸(12)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수직 진동들 및 잡음을 초래하는 증가된 로프 진동 주파수에서 상당한 측면 흔들림 진폭 결과들을 갖는다. 그러한 상태들은, 엘리베이터 칸(12)이 빌딩(39)에서 긴 정지하지 않은 주행을 할 때,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12)이 승객을 빌딩(39)에서의 고층(38)으로부터 빌딩(39)의 1층(38)으로 운반하면서, 엘리베이터 칸(12)에 대한 어떠한 다른 호출들도 이루어지지 않을 때 가장 유력하다. 종래에, 엘리베이터 칸(12)은 중지 없이 승강구(14)를 따라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12)이 승강구(14)의 바닥에 근접할 때 보상 로프들(26)의 빠른 단축을 통해 엘리베이터 칸(12)의 높은 진동을 초래한다. 엘리베이터 칸(12)이 빌딩(39)에서 상향 방향으로 긴 중지되지 않은 주행을 하고 서스펜션 로프들(16)이 빠르게 단축될 때 유사한 상태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검출된 빌딩 흔들림 상태 동안 제어기(30)에 의해, 예를 들어, 빌딩 흔들림 검출기(46)에 의해 특정 로직이 이용된다. 빌딩 흔들림 검출기(46)는 진자 스위치, 가속도계, 빌딩 튜닝된 질량 댐퍼로부터의 입력, 또는 바람 풍속계, 또는 다른 그러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빌딩 흔들림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 칸(12)이 전술한 것과 같이 긴 이동 주행에 있을 때, 제어기(30)는 엘리베이터 칸의 목적지 층(38) 이전의 층(38)에서 실패 호출을 할당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층(38)으로부터 로비 층(38)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어기(30)는 실패 호출을 5층(38)에 할당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2)을 단시간에 정지시킨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다수의 승강구들(14) 및 다수의 엘리베이터 칸들(12)을 포함하면, 긴 이동 주행 상의 엘리베이터 칸(12)은 엘리베이터 칸(12)을 단시간에 정지시키기 위해 중간 층(38)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용하도록 우선권이 할당된다.
엘리베이터 칸(12)의 단시간의 정지는, 실제 중간 호 또는 실패 호출로 인한 것과 상관없이, 서스펜션 로프들(16) 또는 보상 로프들(26) 중 어느 하나의 로프 흔들림 진폭이 엘리베이터 칸(12)이 운동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경감되도록 하여, 로프들의 고속 단축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12)에서의 진동을 초래하는 높은 진폭을 방지한다. 이러한 해법은, 낮은 부피의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이용할 때 실패 호출로서 승객에게만 명백한 경우 유리하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칸들(12)은 기존의 해법에서와 같이 빌딩 흔들림 사건 동안 각 작동(trip)에 대해 느려지지 않아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성능은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높은 부피의 이용 동안 개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흔들림 사건 동안, 빌딩(39)은 하나 이상의 임계 지역들(48)을 가져, 층들(38) 또는 층들(38)의 세트들을 같게 한다. 임계 지역 층계참들(landings) 또는 층들(38)은 엘리베이터 보상 로프들(26) 또는 서스펜션 로프들(16)의 길이를 설정하는 빌딩(39)에서의 수직 정지 장소들이고, 이것은 그 결과적인 자연적인 흔들림 기간이 빌딩 흔들림 기간들에 크기 면에서 가까워지게 한다. 이들 장소들(임계 지역들)에서, 빌딩 흔들림 사건들 동안 큰 로프 흔들림 진폭들을 증강하는 것은 매우 쉽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이 엘리베이터(10)의 칸(12)에서 서스펜션 로프들(16) 및 보상 로프들(26)의 한정하는 흔들림에 대한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10)의 평형추(20) 측에서 서스펜션 로프들(16) 및/또는 보상 로프들(26)의 한정하는 흔들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임계 지역들의 개념은 각 길이들(51 또는 50)에 평형추 측 끌어올림 로프들(16) 또는 보상 로프들(26)을 놓는 층계참들을 포함하도록 확장되고, 이것은 이들 로프 세그먼트들이 빌딩 흔들림 입력 기간과 유사하게 튜닝되게 한다. 엘리베이터 칸들(12)이 임계 지역들(48)에서 소비하는 시간은 빌딩 흔들림 사건 동안 과도한 서스펜션 로프(16) 또는 보상 로프(26) 진동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목적지 급전 또는 전형적인 홀 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그러한 흔들림 사건 동안 제어기(30) 동작의 부분으로서, 빌딩 흔들림 검출기(46)는 빌딩 흔들림 모드를 개시하기 위해 제어기(30)를 트리거링(triggering)한다. 제어기(30)는 이 후 임계 지역들(48)에서의 층계참들에 대해 개별적인 엘리베이터 칸(12)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호출들의 수를 한정할 것이다. 임계 지역들(48)에서 허용될 수 있는 호출들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2)이 임계 지역(48)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한정하여, 로프 흔들림 진폭들을 한정한다. 임계 지역(48)에서 허용될 수 있는 호출들의 수를 한정하는 것 외에도, 제어기(30)는, 얼마나 많은 승객들이 특정한 층(38)에서 엘리베이터 칸(12)에 올라타거나 내릴 것인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12)이 임계 지역(48)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지들의 수를 조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데, 이는 올라타거나 내리는 승객들의 수가 층(38)에서 필요한 전달 시간을 결정하므로 임계 지역(48)에서 소비된 시간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추가로, 제어기(30)는 제어기(30)에 입력된 정적 임계 지역(48) 결정들을 이용할 수 있거나, 제어기(30)에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계 지역(48)에 대해 동적 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12)의 중량은 서스펜션 로프들(16)에 영향을 가져, 제어기(30)는 엘리베이터 칸(12)에서의 승객들의 수 및/또는 부하 중량 셀로부터의 부하 중량에 기초하여 임계 지역(48)의 동적 계산을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엘리베이터 시스템들(10)에서, 비어있는 엘리베이터 칸(12)의 중량은 임계 지역(48)의 계산의 부분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목적지 급전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제어기(30)는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2)에 할당된 정지들의 수를 모니터링하고, 그런 후에 임계 지역(48)에서 소비될 수 있는 시간의 양에 적절한 수로 정지들의 수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빌딩(39)의 임계 지역(48)이 15층의 빌딩(39)에서 층들(10 내지 15)에 의해 한정되면, 제어기(30)는 임계 지역(48)에서 단지 하나 또는 2번의 정지들을 허용하는 동안, 층들(2 내지 9)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2)의 임의의 주어진 주행시, 층들(10 내지 15)을 정지시키기 위해 임의의 수의 승객들을 할당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예를 들어 층(12) 또는 임계 지역(48)에서의 다른 층들 중 한 층으로,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2)으로 이동하는 승객들만을 허용하면서,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12)으로의 임계 지역(48)에서의 임의의 다른 층들인 목적지를 갖는 승객들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기(30)는 임계 지역(48)에서의 임의의 층들에 대해 결속된 승객들이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12)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12)이 임계 지역(48)에서의 정지들 사이에서 임계 지역(48)으로부터 이동하도록 하여, 임계 지역(48)에서 소비된 연속적인 시간을 한정한다.
전형적인 홀 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빌딩 흔들림 모드는 임계 지역(48)에서 칸 패널(36)에 의해 허용된 엘리베이터 칸(12) 호출들의 수를 한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지역(48)보다 높은 층(10 내지 15)을 갖는 빌딩(39)에서, 제어기는, 임계 지역(48)에 대한 하나 또는 2번의 호출들이 칸 패널(36)에 의해 등록된 후에 칸 패널(36)의 임계 지역 층 호출 버튼들을 효과적으로 잠글 수 있다. 다수의 승객들이 빌딩(39)의 1층에서 엘리베이터 칸(12)에 들어간다면, 빌딩 흔들림 모드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하나의 정지만이 임계 지역(48)에서 허용되도록 종사된다. 첫 번째 승객은 칸 패널(36) 상의 층(12)을 위한 버튼을 누른다. 다른 승객들에 의해 층들(10-11 또는 13-15)에 대한 버튼들을 누르려는 임의의 시도들은 칸 패널(36)에 의해 등록되지 않을 것이다. 칸 패널(36)은 상태들로 인해 층들(10-11 또는 13-15)로 이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12)을 떠나고 다른 엘리베이터 칸(12)을 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승객들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는 청각적 메시지에 의해 증대되거나 청각적 메시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빌딩 흔들림 모드 동작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칸(12) 성능에 대한 로프 흔들림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임계 지역(48)에서 엘리베이터 칸들(12)이 소비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빌딩(39)의 모든 층들을 여전히 서비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고정 질량(60)의 양은 다중 승강구들(14)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10)에서의 승강구들(14)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예를 들어 제 1 고정 질량(60a)을 갖는 제 1 승강구(14a)를 위한 임계 지역(48a)이 50층 빌딩(39)의 층들(30-40)이라는 것이다. 제 2 승강구(14b)에서, 상이한 고정 질량(60b)이 설치되어, 임계 지역(48b)은 층들(40-50) 사이가 된다. 상이한 고정 질량(60a 및 60b)을 포함하는 목적지 급전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층들(30-40)로의 이동을 선택하는 승객들은 승강구(14b)에서의 엘리베이터 칸(12b)에 할당되는 한편, 층들(40-50)로의 이동을 선택하는 승객들은 제어기(30)에 의해 승강구(14a)에서의 엘리베이터 칸(12a)에 할당된다. 전형적인 홀 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고정 질량 변동은 엘리베이터 칸(12a)의 칸 패널(36a) 상의 층들(30-40)을 위한 버튼들을 잠그고, 엘리베이터 칸(12b)의 칸 패널(36b) 상의 층들(40-50)을 위한 버튼들을 잠금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잠겨진 버튼들을 누르는 승객들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메시지에 의해 선택된 층에 대한 적절한 승강구로 향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층들(38)을 표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들(12) 위에 표지판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한정된 수의 실시예들에만 연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와 동등한 임의의 수의 변경들, 변동들, 교체들 또는 동등한 배치들을 병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상들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전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들의 흔들림(sway)을 야기하는 빌딩 흔들림을 검출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빌딩 흔들림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cars)에 대한 상기 빌딩 흔들림의 진동 효과들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빌딩 흔들림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이동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정지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들의 흔들림 진폭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실패 호출(false call)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기 위해 중간층에서 호출을 위한 우선권이 주어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서스펜션 또는 보상 부재 흔들림에 관해 임계 지역으로서 한정된 층 또는 다수의 층들에서 엘리베이터 칸이 소비할 수 있는 연속적인 시간의 길이를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어기는 상기 임계 지역에서 한정되지 않은 수의 정지들(stops)을 허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임계 지역에서 소비하는 연속적인 시간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지들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임계 지역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임계 지역으로 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빌딩에서의 상이한 레벨들에서 임계 지역들을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별적인 엘리베이터 칸들을 구성하는 단계와;
    승객들이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상기 임계 지역 내에 각 승객의 목적지가 있지 않아, 각 임계 지역들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들의 연속적인 시간을 한정하도록 승객들을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들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임계 지역들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서 상이한 고정(tie down) 질량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승객들을 상기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들로 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별적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상기 임계 지역 내에서 층들의 선택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KR1020147034292A 2012-06-04 2012-06-04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 KR10206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40688 WO2013184085A1 (en) 2012-06-04 2012-06-04 Elevator rope sway miti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810A true KR20150022810A (ko) 2015-03-04
KR102065157B1 KR102065157B1 (ko) 2020-01-10

Family

ID=4971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92A KR102065157B1 (ko) 2012-06-04 2012-06-04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14619B2 (ko)
KR (1) KR102065157B1 (ko)
CN (1) CN104350002B (ko)
GB (1) GB2517384B (ko)
IN (1) IN2014DN10423A (ko)
WO (1) WO2013184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429A1 (en) * 2010-07-30 2012-02-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detection
US9278829B2 (en) * 2012-11-07 2016-03-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way of ropes in elevator systems by modulating tension on the ropes
CN117068892A (zh) * 2013-09-24 2023-11-17 奥的斯电梯公司 通过控制进入电梯来减缓绳索摇摆
EP2913289B1 (en) * 2014-02-28 2016-09-2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WO2016018786A1 (en) * 2014-07-31 2016-02-04 Otis Elevator Company Building sway operation system
US10450167B2 (en) * 2015-06-30 2019-10-22 Shanghai Yangtze 3-Map Elevator Co., Ltd. Middle-drive type elevator
KR20180025898A (ko) 2015-07-03 2018-03-0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진동 감쇠 디바이스
EP3232177B1 (en) 2016-04-15 2019-06-05 Otis Elevator Company Building settling detection
CN107879232B (zh) * 2016-09-30 2021-07-20 奥的斯电梯公司 补偿链稳定装置和方法,电梯井道以及电梯系统
US10207894B2 (en) * 2017-03-16 2019-02-1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ntrolling sway of elevator cable with movement of elevator car
US10669124B2 (en) * 2017-04-0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rotective hoistway liner assembly
US11040849B2 (en) 2018-02-28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blocking and filtering false automatic elevator calls
US11661312B2 (en) 2019-01-29 2023-05-30 Otis Elevator Company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US11292693B2 (en) 2019-02-07 2022-04-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control based on building sway
EP3848319B1 (en) * 2020-01-07 2022-05-04 KONE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US11649138B2 (en) * 2020-05-01 2023-05-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hoistway wind speed
US11440774B2 (en) * 2020-05-09 2022-09-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oping sway damper assembly
DE102023100019A1 (de) 2023-01-02 2024-01-18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vorrichtung mit antriebsbasiert implementierter Zugmittelschwingungsdämpfung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3276A (en) * 1985-05-02 1987-02-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H05319720A (ja) * 1992-05-19 1993-12-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強風管制運転方式
JP4999243B2 (ja) 2001-09-28 2012-08-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659482B2 (ja) * 2005-02-23 2011-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WO2006100750A1 (ja) * 2005-03-22 2006-09-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揺すり検知装置
JP4880937B2 (ja) * 2005-07-26 2012-02-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強風管制システム
JP5255180B2 (ja) * 2005-12-05 2013-08-07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方法
JP5014623B2 (ja) * 2005-12-12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方法
WO2007099619A1 (ja) * 2006-03-01 2007-09-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US7926620B2 (en) * 2006-08-29 2011-04-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1663220B (zh) * 2007-08-30 2013-04-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管制运转系统
ATE556972T1 (de) * 2007-09-14 2012-05-15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 System und verfahren zur minimierung von seilschwingungen in fahrstühlen
KR101229023B1 (ko) * 2008-03-17 2013-02-0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흔들림 완화를 위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제어
WO2010119525A1 (ja) * 2009-04-15 2010-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269038B2 (ja) * 2010-11-10 2013-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FI123182B (fi) * 2012-02-16 2012-12-14 Kone Corp Menetelmä hissin ohjaamiseksi ja hissi
JP5605860B2 (ja) * 2012-11-15 2014-10-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装置
US9475674B2 (en) * 2013-07-02 2016-10-2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ntrolling sway of elevator rope using movement of elevator car
CN117068892A (zh) * 2013-09-24 2023-11-17 奥的斯电梯公司 通过控制进入电梯来减缓绳索摇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17384A (en) 2015-02-18
CN104350002A (zh) 2015-02-11
US9914619B2 (en) 2018-03-13
IN2014DN10423A (ko) 2015-08-21
WO2013184085A1 (en) 2013-12-12
KR102065157B1 (ko) 2020-01-10
GB2517384B (en) 2018-03-07
CN104350002B (zh) 2017-02-22
US20150166304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810A (ko) 엘리베이터 로프 흔들림 완화
KR101229023B1 (ko) 흔들림 완화를 위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제어
JP5873884B2 (ja) エレベータ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JP56109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3722242A2 (en) Elevator for particularly small elevator shafts
JPWO201815078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778973B (zh) 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JP6490248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87004B2 (ja) エレベータの長尺物引っ掛かり防止装置
KR101943218B1 (ko) 카 순환식 엘리베이터 장치
EP3553012A1 (en) Elevator
JP5433748B2 (ja) 揺れ軽減用のエレベータ運行制御
JP6172082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6314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05190A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