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389A -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 Google Patents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389A
KR20150022389A KR20130100152A KR20130100152A KR20150022389A KR 20150022389 A KR20150022389 A KR 20150022389A KR 20130100152 A KR20130100152 A KR 20130100152A KR 20130100152 A KR20130100152 A KR 20130100152A KR 20150022389 A KR20150022389 A KR 2015002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pack according
plate
wire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553B1 (ko
Inventor
이범현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0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53B1/ko
Priority to PCT/KR2014/007570 priority patent/WO2015026103A1/ko
Priority to EP14838552.9A priority patent/EP3016173B1/en
Priority to JP2016531546A priority patent/JP6166475B2/ja
Priority to US14/908,848 priority patent/US10897033B2/en
Publication of KR2015002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셀들이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들이 상호 접하면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의 하나 이상의 모듈 어셈블리, 상기 모듈 어셈블리의 양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들, 일면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외장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다시 공급해주는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력 저장 장치 및 산업용 또는 상업용 중형 전력 저장 장치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과 결부되어 시장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한편, 전지팩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 또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들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여야 하고, 전지팩의 용량이 커질수록 확장성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을 사용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버스 바 또는 전원 연결 케이블과 같이 이들의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일반적으로 많은 부재들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부재들을 조립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전지모듈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의 추가가 필요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또한, 전지팩은 반복되는 충방전에 따른 팽창 및 수축, 오작동에 의한 열화, 단락, 및 폭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수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조립되므로, 내부의 복잡한 구조에 의해 부품 또는 배선 구조에서 간섭, 누전, 쇼트 등의 ?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가정용 또는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 이동을 해야 하거나, 소정의 장소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및 기술적 요청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구조 또는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a) 다수의 단위셀들이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들이 상호 접하면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의 하나 이상의 모듈 어셈블리;
(b) 상기 모듈 어셈블리의 양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들;
(c) 일면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d) 상기 모듈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외장 커버;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모듈이 결합된 모듈 어셈블리가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팩 내에 전지모듈들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팩은 외부 장착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구조에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단위셀은 판상형 전지셀 구조이거나, 또는 전극단자들이 노출된 상태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이 셀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케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은 본 출원인의 PCT 국제출원 제PCT/KR2004/00331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그러나, 전지케이스가 1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구성시 고전압 및 고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은 둘 이상의 단위셀들이 각각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단위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셀 적층 구조의 최외측 전지셀들에 장착되어 전지셀 적층구조를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카트리지들에 각각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들을 관통하면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단위셀 적층 구조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상면과 접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 결합부에는 전지모듈의 상면 모서리 부위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전지모듈 결합부와 전지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수 있다.
상기 모듈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전지모듈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출력 또는 용량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개가 전기적 연결을 이룬 상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2개의 전지모듈이 단위셀 적층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상호 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지팩은 내부에 복잡한 배선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선 구조에서는 간섭 또는 노이즈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 및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와 통신 와이어 하네스를 위치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모듈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에 통신 와이어 하네스가 인접한 경우에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하여 통신 와이어 하네스를 통하는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함으로써 오작동이 유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 및 통신 와이어 하네스 중 하나는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하여 이들을 분리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는 일측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통신 와이어 하네스는 대향측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는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파워 라인과 전지모듈들의 검출 전압을 전송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들에는 각각 양극, 음극, 및 접지선과 연결되는 3극의 파워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커넥터는 상기 파워 라인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접지를 이룸으로써 누전 등의 위험을 방지하고, 다른 와이어, 예를 들어 통신 와이어 하네스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선의 접지 부위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가 위치하는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에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일 수 있으나, 통신 와이어 하네스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거나 격리되어 있는 위치라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와이어 하네스는 전지팩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와 제어부로서의 BMS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외장 커버에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부 표면에 요철구조의 보강 비드(bea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전지모듈들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팩의 외장 커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운반용 손잡이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외장 커버의 일부 부위가 만입된 구조 또는 외부로 돌출된 구조 또는 손잡이 형태의 부재가 장착된 구조 등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손잡이 형태의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장착부는, 상기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착부는 하향 절곡된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구조에는 상기 외부 장착부의 하향 절곡된 돌출 구조가 장착되는 홈 또는 걸림 구조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장착부에 대한 또 다른 예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시설물에 전지팩을 장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착용 브라켓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장착용 브라켓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설물은 예를 들어 건물의 벽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지팩이 벽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일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모듈이 결합된 모듈 어셈블리가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팩 내에 전지모듈들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팩은 외부 장착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구조에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팩은 파워 와이어 하네스와 통신 와이어 하네스를 위치적으로 분리하고, 파워 와이어 하네스의 파워 라인을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지시킴으로써 통신 와이어 하네스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지팩에서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외장 커버를 제거한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사이드 플레이트를 분리한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접지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지팩에서 단위셀을 구성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은 전극단자들(양극단자: 11, 음극단자: 12)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이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전지셀(10)은 금속층(도시하지 않음)과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13)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실링부(14)를 형성한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이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통칭하기도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전지팩에서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110)은 다수의 단위셀들(10)이 각각 카트리지(112)에 장착되어 단위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단위셀 적층 구조의 최외측 단위셀들(10)에 장착되어 전지셀 적층구조를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4, 115)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카트리지(112)의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14) 및 하부 플레이트(115)의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도 카트리지(112)의 체결구에 대응하는 체결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단위셀 적층 구조의 최상부 단위셀(10) 및 최하부 단위셀(10)의 외측에 각각 상부 플레이트(114) 및 하부 플레이트(11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구 및 체결홈(117)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18)를 사용하여 단위셀 적층 구조가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4, 115) 사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서 외장 커버를 제거한 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지팩(100)은 모듈 어셈블리(120), 사이드 플레이트들(130), 베이스 플레이트(140), 및 외장 커버(15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단위셀들이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110) 2개가 단위셀 적층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상호 접한 상태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모듈 어셈블리(120)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모듈 어셈블리(120)의 전지모듈들(110)을 고정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있다.
외장 커버(150)는 모듈 어셈블리(120)를 감싸는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있으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부 표면에 요철구조의 보강 비드(bead: 15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장 커버(150)의 양측에는 각각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운반용 손잡이(1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서 사이드 플레이트를 분리한 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이드 플레이트(130)에는 전지모듈(11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지모듈(110)의 상면과 접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 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 결합부(132)에는 전지모듈(110)의 상면 모서리 부위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또는 리벳 등이 체결홈(134)을 경유하여 전지모듈(110)의 상면 모서리 부위에 결합되면서 전지모듈(110)과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면접촉 되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40) 결합용 체결홈들(136)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각각 도 4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모듈 어셈블리(12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외측에는 각각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 및 통신 와이어 하네스(180)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는 일측 사이드 플레이트(130a)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통신 와이어 하네스(180)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가 장착되어 있는 일측의 대향측의 사이트 플레이트(130b)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 및 통신 와이어 하네스(18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에 의해 통신 와이어 하네스(180)에 노이즉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는 전지모듈들(110)을 연결하는 파워 라인과 전지모듈들의 검출 전압을 전송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며, 통신 와이어 하네스는 전지팩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와 제어부로서의 BMS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7 및 도 8을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양측에는 전지팩(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운반용 손잡이(160)가 형성되어 있다. 운반용 손잡이(160)는 손잡이 형태의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파지부(162), 및 파지부(16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64)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저면에는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부(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부 장착부(144)는 하향 절곡된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구조에는 외부 장착부(144)의 하향 절곡된 돌출 구조가 장착되는 홈 또는 걸림 구조등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 장착부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0)에는 전지모듈들(110)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통풍구(146)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4의 접지 부위에 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들(110)에는 각각 양극, 음극, 및 접지선과 연결되는 3극의 파워 커넥터(19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파워 커넥터(190)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의 파워 라인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접지선(192)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접촉되어 접지를 이룸으로써 누전 등의 위험을 방지하고, 통신 와이어 하네스(180)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접지선(192)은, 파워 와이어 하네스(170)가 위치하는 사이트 플레이트(130)의 외면에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접지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a) 다수의 단위셀들이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들이 상호 접하면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의 하나 이상의 모듈 어셈블리;
    (b) 상기 모듈 어셈블리의 양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들;
    (c) 일면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외부 구조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d) 상기 모듈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외장 커버;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의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하나의 판상형 전지셀 구조이거나, 또는 전극단자들이 노출된 상태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이 셀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후 외주면을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둘 이상의 단위셀들이 각각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단위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셀 적층 구조의 최외측 전지셀들에 장착되어 단위셀 적층 구조를 고정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그것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상면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결합부에는 전지모듈의 상면 모서리 부위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어셈블리는 2개의 전지모듈이 단위셀 적층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상호 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은 파워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는 통신 와이어 하네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 및 통신 와이어 하네스 중 하나는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는 일측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통신 와이어 하네스는 대향측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을 경유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와이어 하네스는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파워 라인과 전지모듈들의 검출 전압을 전송하는 센싱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에는 각각 양극, 음극, 및 접지선과 연결되는 3극의 파워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선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접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의 접지 부위는 파워 와이어 하네스가 위치하는 사이트 플레이트의 외면에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와이어 하네스는 전지팩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와 제어부로서의 BMS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외장 커버에는 요철구조의 보강 비드(bea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착부는 하향 절곡된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시설물에 전지팩을 장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착용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설물은 건물의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30100152A 2013-08-23 2013-08-23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KR10172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52A KR101729553B1 (ko) 2013-08-23 2013-08-23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PCT/KR2014/007570 WO2015026103A1 (ko) 2013-08-23 2014-08-14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EP14838552.9A EP3016173B1 (en) 2013-08-23 2014-08-14 Battery pack for power storage device
JP2016531546A JP6166475B2 (ja) 2013-08-23 2014-08-14 電力貯蔵装置用電池パック
US14/908,848 US10897033B2 (en) 2013-08-23 2014-08-14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52A KR101729553B1 (ko) 2013-08-23 2013-08-23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389A true KR20150022389A (ko) 2015-03-04
KR101729553B1 KR101729553B1 (ko) 2017-04-24

Family

ID=5248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152A KR101729553B1 (ko) 2013-08-23 2013-08-23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97033B2 (ko)
EP (1) EP3016173B1 (ko)
JP (1) JP6166475B2 (ko)
KR (1) KR101729553B1 (ko)
WO (1) WO20150261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191A (ko) * 2015-03-10 2016-09-21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모듈
KR20170053911A (ko) *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44099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44714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084756A (ko) * 2020-12-14 2022-06-21 (주) 영진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CN106531919B (zh) * 2016-11-29 2019-10-11 德阳九鼎智远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箱
EP3566253B1 (en) 2017-01-04 2022-12-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1211656B2 (en) 2017-05-16 2021-12-28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
KR102171344B1 (ko) * 2017-07-18 2020-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9055658A2 (en) 2017-09-13 2019-03-21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EP3759761A4 (en) 2018-03-01 2021-09-08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IN VEHICLE BATTERY COMPARTMENT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CN108807754B (zh) * 2018-06-08 2021-10-08 山东泰全重型汽车配件股份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用多功能电池防护箱
CN108878704B (zh) * 2018-06-11 2024-04-09 沃太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实现自由拼装隐藏走线的动力电池成组结构
USD920903S1 (en) * 2018-12-26 2021-06-01 Lg Chem, Ltd. Front cover for battery module
USD920230S1 (en) * 2018-12-26 2021-05-25 Lg Chem, Ltd. Front cover for battery module
CN110299574B (zh) * 2019-05-21 2021-11-12 重庆交通大学 电池过充保护装置
CN110237461A (zh) * 2019-05-30 2019-09-17 东华大学 一种锂电池自动灭火的装置
USD921579S1 (en) * 2019-06-26 2021-06-08 Lg Chem, Ltd. Front cover for battery module
US20230411764A1 (en) * 2022-05-18 2023-12-21 Caterpillar Inc. Cable Coupling and Grounding Arrangement for a Structura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078A (ja) 1993-09-02 1995-03-14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KR100250704B1 (ko) * 1996-12-17 2000-04-01 정몽규 쏠라 카용 밧데리 트레이
AU5628100A (en) * 1999-06-21 2001-01-09 Procter & Gamble Company, The Battery having a housing for electronic circuitry
JP3880916B2 (ja) 2002-11-11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の車体取付構造
JP5000107B2 (ja) * 2004-11-30 2012-08-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CA2523240C (en) * 2005-10-11 2009-12-08 Delaware Systems Inc. Universal battery module and controller therefor
WO2007102670A1 (en) * 2006-03-06 2007-09-13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JP4940966B2 (ja) 2007-01-30 2012-05-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8277058A (ja) * 2007-04-26 2008-11-13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KR101029838B1 (ko) 2007-06-28 201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104151B1 (ko) * 2007-06-28 2012-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레이트형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KR100914839B1 (ko) * 2007-11-21 200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5453013B2 (ja) 2009-08-07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1534873B1 (ko) * 2009-12-04 2015-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팩 마운팅 브라켓
JP5517595B2 (ja) * 2009-12-17 2014-06-11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バッテリ固定装置
JP2011171029A (ja) * 2010-02-17 2011-09-0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KR101231111B1 (ko) 2010-10-27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구성이 향상된 전지팩
JP5595871B2 (ja) 2010-10-28 2014-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1302357B1 (ko) * 2010-11-22 2013-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EP2624334B1 (en) 2010-11-22 2018-05-02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a compact structure
KR101303416B1 (ko) * 2011-02-15 2013-09-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JP5853417B2 (ja) * 2011-05-17 2016-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KR101400083B1 (ko) 2011-08-10 2014-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 충진에 의한 안전성이 향상된 단위모듈
KR101400090B1 (ko) 2011-12-14 2014-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488411B1 (ko) 2012-01-02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결부재, 측면 지지부재 및 하단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14154831A (ja) 2013-02-13 2014-08-25 Toyota Motor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675972B1 (ko) 2013-07-31 2016-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191A (ko) * 2015-03-10 2016-09-21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모듈
KR20170053911A (ko) *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44099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44714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8780860A (zh) * 2016-10-24 2018-11-09 株式会社Lg化学 用于车辆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US10910616B2 (en) 2016-10-24 2021-02-02 Lg Chem, Ltd. Battery pack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20220084756A (ko) * 2020-12-14 2022-06-21 (주) 영진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7033B2 (en) 2021-01-19
KR101729553B1 (ko) 2017-04-24
JP2016531395A (ja) 2016-10-06
EP3016173A4 (en) 2016-05-04
WO2015026103A1 (ko) 2015-02-26
EP3016173A1 (en) 2016-05-04
US20160164053A1 (en) 2016-06-09
JP6166475B2 (ja) 2017-07-19
EP3016173B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553B1 (ko)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KR101675972B1 (ko) 외부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EP3018733B1 (en) Stackable battery module having easily modifiable connection structure
KR101653307B1 (ko) 단위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EP2607908B1 (en) Voltage detection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2538230B1 (en) Voltage detection assembly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TWI504045B (zh) 電池模組及包含此電池模組之電池組
US10205204B2 (en) Battery module of cartridge stacking structure
KR101805757B1 (ko) 전면에 bms의 통신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749721B1 (ko) 퓨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50033551A (ko) 삽입형 bms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47398B1 (ko) 병렬 연결 구조의 적층형 전지모듈
KR101746127B1 (ko) 직렬 연결 구조의 적층형 전지모듈
KR20130116446A (ko)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EP3016176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ring terminal guides
KR20140020375A (ko) 삽입형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