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452A -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452A
KR20150021452A KR20140104480A KR20140104480A KR20150021452A KR 20150021452 A KR20150021452 A KR 20150021452A KR 20140104480 A KR20140104480 A KR 20140104480A KR 20140104480 A KR20140104480 A KR 20140104480A KR 20150021452 A KR20150021452 A KR 2015002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elion
radiation
group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선
최민지
이지현
서보영
박진희
민병인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2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으로부터 세포나 조직을 방호하는 효과를 갖는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X선(X-ray) 조사로 유발되는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들의 활성을 회복시키며, 방사선 조사로 인한 체중 감소를 억제하는 방사선 방호 효과가 우수하여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어 기전으로서 NO 생성과 관련된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 p65 단백질 발현 억제; Nrf2 및 H0-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완화 작용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체내에서도 안정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Radiation 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effective dandelion extracts}
본 발명은 방사선으로부터 세포나 조직을 방호하는 효과를 갖는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원소의 붕괴에 따라 방출되는 복사선이나 입자선을 의미하며,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X-ray) 등이 이에 포함된다. 알파선은 2개의 양성자와 2개의 중성자로 구성된 알파 입자가 움직이는 입자 방사선으로 원자량이 큰 원소가 붕괴할 때 가장 흔히 나오는 입자이다. 큰 질량과 전하량으로 인해 운동 에너지가 쉽게 감소해서 종이 정도의 두께를 가진 물질에도 흡수되어 차단되며 공기 중에서도 순식간에 멈추어 몇 cm 정도 밖에 움직이지 못한다. 베타선은 베타 붕괴를 통해 원자 바깥으로 나온 전자인 베타 입자가 움직이는 입자 방사선이다. 물질을 투과하는 능력은 알파선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에너지 분포가 연속적인 관계로 일정하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얇은 알루미늄 포일이나 플라스틱판 정도로도 베타선을 막을 수 있다. 감마선은 파장이 10pm 보다 작은 매우 짧은 전자기파, 즉 빛이다. 이온화 능력은 알파선이나 베타선에 비해 약한 편이지만, 투과력이 매우 강력해서 일반적인 방사선 피폭은 감마선에 의해 발생한다. 콘크리트나 철, 납처럼 밀도가 높은 물질을 통해서 차단할 수 있지만, 가장 잘 차단할 수 있는 납을 사용하더라도 10cm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다.
한편, X선(X-ray)은 전리방사선 중에서 간접전리방사선으로 미량의 X선을 이용 인체에 투과하면 인체의 내부 구조물을 볼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한 단순 촬영은 영상의학 분야에서는 약 50년간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기법으로 진단 및 치료 분야에 이바지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촬영에 이용되는 미량의 X선(X-ray)이라도, 피폭 돼는 방사능양이 축적되면 세포에 변이를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암 발병률이 배로 급상승하고 면역장애. 백혈병과 같은 무서운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방사선은 조직 및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들은 80%의 물을 함유하므로, 조사(irradiation)에 의해 유발되는 1차적 손상은 물에 대한 조사의 작용으로 인한 수중 자유라디칼들의 형성 때문이다. 자유라디칼들은 DNA, 단백질, 지질막과 같은 세포 거대분자들과 반응하여 세포 기능이상 및 사멸을 초래한다. 조사에 의해 상성된 ROS는 조직이나 세포에 직접적으로 유해하며, 미세환경의 사이토카인을 변경시키는 일련의 분자 활동들을 개시하여, 감염, 섬유증(fibrosis) 및 만성 산화스트레스를 초래한다. 수십년간 방사선보호(radioprotection)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을 표적으로 하는 생물학적 변형인자들(modifiers)에 대해 연구되어 왔지만, 특히 항산화적 방어를 개선시킬 자연적 산물들로부터의 좀 더 안전하고 잠재적인 화합물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110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285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886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에 대한 방호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체에 안전한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X선(X-r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조직 또는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항산화 효소의 활성 증진 및 염증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Glutathione Reductase) 또는 슈머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관련 단백질의 조절은 NO 생성과 관련된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Nuclear factor kappa B)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방어를 담당하는 Nrf2(NF-E2-related factor 2)와 H0-1(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90중량%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방사선에 노출되기 이전에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X선(X-ray) 조사로 유발되는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들의 활성을 회복시키며, 방사선 조사로 인한 체중 감소를 억제하는 방사선 방호 효과가 우수하여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어 기전으로서 NO 생성과 관련된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 p65 단백질 발현 억제; Nrf2 및 H0-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완화 작용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체내에서도 안정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시간 경과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체중 감소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백혈구 수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적혈구 수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전혈 수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헤모글로빈 수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헤마토크릿의 지표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카탈라아제 활성 측정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활성 측정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의 Mn-SOD 활성 측정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마우스 대장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① : NC그룹, ② : RC 그룹, ③ : DC 그룹, ④ : DR 그룹)이다.
도 12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시간 경과에 따른 랫(rat)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에서 지질 과산화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 내 iNOS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는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 내 NF-kB p65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 내 COX-2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7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 내 Nrf2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은 실험군별(NC: Normal Control group, DC: Dandelion Control group, RC: Radiation Control group, DR: Dandelion+Radiation group) 랫(rat)의 간 조직 내 HO-1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9는 실험군별 랫(rat)의 간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a)-(b): NC, (c)-(d): DC, (e)-(f): RC, (g)-(h): DR).그림의 좌측(a, c, e, g)은 10배율로 확대한 사진이며, 우측(b, d, f, h)은 20배율로 확대한 사진이다.
도 20은 실험군별 랫(rat)의 소장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a): NC, (b): DC, (c): RC, (d): DR).
본 발명은 민들레 주정(에탄올) 추출물이 X선(X-ray) 조사에 의해 생성된 세포내 ROS를 제거시키고, Mn-SOD, 카탈라아제 및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와 같은 항산화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규명함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항산화 효소들은 산화적 스트레스-유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Misra and Fridovich, 1972 Carrillo et al., 1991; Paglia and Valentine, 1967 Kang et al., 2004).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주정(에탄올)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어 기전으로서 NO 생성과 관련된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 p65 단백질 발현 억제; Nrf2 및 H0-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완화 작용이 우수함을 규명함에 그 특징이 있다.
"민들레(Dandelion)"는 속씨식물문의 쌍자엽강에 속하는 식물로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쓴다.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재로도 사용한다.
방사선은 ROS를 발생시키고, 방사선 조사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Bhosle et al., 2005; Choi et al., 2007). 본 발명자들은 앞서 Empetrum nigrum var.japonicum 가 세포 항산화제의 활성을 통해 H2O2-유발 세포 손상으로부터 세포들을 보호한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Kim et al., 2009).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민들레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민들레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민들레의 잎, 줄기, 뿌리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민들레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민들레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민들레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민들레 전체 부위를 건조시키고 분말화한 후, 민들레 시료 중량의 약 5 ~ 15배에 달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로 97℃에서 4시간 동안 중탕기와 환류 컨덴서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여과 및 회전 진공 농축 과정을 거쳐 민들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민들레로는 꽃, 잎, 줄기 또는 뿌리 전채 부위를 동결 건조하여 마쇄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 라디칼, 즉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활성 산소종(ROS)은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및 방사선 노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세포 분열, 생존, 노화, 사멸 등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 산소종이 조절되지 않거나 또는 과도한 양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DNA, 단백질, 지질 등의 세포 구성 요소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며, 결국 동맥 경화, 당뇨병, 관절염, 암, 신경 퇴행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급성 방사선 증후군 (Acute Radiation Syndrome)의 증상으로 적혈구 수가 감소하여 재생 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을 일으키며, 백혈구의 감소는 면역 기능 저하, 혈소판의 감소는 혈액 응고 능력 저하로 잦은 출혈을 유발한다. 또한 방사선성 손상의 적혈구에서는 헤모글로빈의 산화도 관찰되는데 이는 방사선이 유발하는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zen Species)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혈에 대한 적혈구의 용적율을 나타내는 헤마토크릿의 값은 방사선 조사가 혈구의 수를 감소시켰다는 사실을 한 번 더 뒷받침해주며(도 7 참조), 방사선 조사가 백혈구, 적혈구 및 헤모글로빈 수치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로 인한 체중 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게 일반 식이만 공급한 실험군과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일반 식이와 함께 공급한 실험군에게 방사선 조사를 했을 때 일반 식이만 공급한 군에 비해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함께 공급한 실험군의 경우 체중 감소폭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측정 실험을 통해 민들레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일반 식이를 먹인 군에 비해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일반 식이와 함께 공급한 군에서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및 Mn-SOD의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의 경우 방사선 조사 후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의 활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방사선 방호 효과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9,10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반 식이를 공급한 마우스에게 방사선을 조사한 후 마우스의 대장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점막층의 손상으로 흡수 세포와 술잔 세포가 관찰되지 않으며, 장샘의 배열이 온전하지 않고, 점막층의 형태가 망가져 있는 반면,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일반 식이와 함께 공급한 마우스의 경우 흡수 세포의 배열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일반 식이만 공급한 군에 비하여 훨씬 손상을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험동물로서 랫(rat)을 이용하여 방사선 방호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전체적 실험결과에 따르면 랫(rat)에 방사선을 조사한 실험군 대비 랫(rat)에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방사선을 조사한 실험군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체중 감량이 완화되는 효과, 지질 과산화가 억제되는 효과,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조직학적으로도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2 참조).
특히,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어 기전으로서 NO 생성과 관련된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 p65 단백질 발현 억제; Nrf2 및 H0-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완화 작용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내지 도 18참조).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체중 감소 억제하는 효과,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내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대 효과,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조절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가짐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사선 방호의 용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상기 방사선은 이온화 방사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온화 방사선은 세포 및 조직에 흡수되는 경우, 반응성 산소종의 형성 및 DNA의 손상을 유도하는 등 세포 및 생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을 말한다. 이러한 종류의 방사선으로는 X-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및 입자 충격(예컨대, 중성자빔, 전자빔, 양성자, 중간자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X선(X-ray) 방사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선 방호란 방사선에 노출된 또는 노출될 정상 세포에 대하여 방사선에 의한 유해 작용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1 ~ 100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1 ~ 1000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대상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방사선 방호의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지질대사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민들레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민들레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에 따른 체중 감량을 완화시키고,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고,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조직학적으로도 세포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 방호에 효과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로부터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1㎎/kg~1000㎎/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민들레 주정 추출물( Dandelion Ethanol Extract ; DEE ) 준비
민들레(Dandelion)를 수세 후,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서 건조시킨 후, 미세 분쇄하였으며 50mesh로 통과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분쇄물은 서늘한 암소에 보관하였다. 상기 민들레를 추출하는데 이용한 주정(ethanol 95%)은 (주)우리주정의 발효주정을 이용하였다. 주정을 이용하여 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는 상기 분쇄된 민들레 분쇄물의 부피에 10배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97℃에서 4시간 동안 중탕기와 환류 컨덴서(reflux condenser)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였고, 추출 후 회전 진공 농축 장치(Buchi.St.Gallen.Switzerland)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농축하였으며, 추출물의 회수율은 36.6% 였다.
< 실험예 1>
실험동물로서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
<1-1> 마우스 관리 및 식이 섭취
효창 사이언스(대구, 한국)에서 7주령 ICR mice 36마리를 구입한 뒤 평균 체중이 30g에 달했을 때 한 군당 6수 씩 일반 식이를 지급한 군(Normal Control group ; NC), 일반 식이와 7Gy의 방사선 조사한 군(Radiation Control group ; RC), 일반 식이와 민들레 주정 추출물(100mg/kg)을 지급한 군(Dandelion Control group ;DC), 일반 식이와 민들레 주정 추출물(100mg/kg)과 7Gy의 방사선을 조사한 군(Dandelion+Radiation group ; DR)으로 총 4군으로 나누었다. 또한, 상기 실험동물은 인제대학교 동물자원센터 B동 001호에서 사육하였고, 상기 실험동물의 적응 기간 동안에는 일반식이(chow)를 자유 급식하였으며, 군별 배치 후에는 2주간 존데(sonde)를 사용하여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DEE)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액의 농도는 100mg/kg이었으며, 경구 투여 기간이 끝난 후로는 다시 일반 식이를 자유 급식하였다.
<1-2> 방사선 조사
실험에 사용한 방사선은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에서 종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선형 가속기(Electa Linac, Sweden)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mouse)의 체포면 전체에 X선(X-ray)을 7Gy를 조사하였다.
<1-3> 시료 채취
마우스의 경우 방사선 조사 일주일 후 실험을 종료하였으며, 희생되기 하루 전날 절식을 시켰다. 마취는 드라이아이스로 시행하였고, 전혈은 모두 항응고제 처리된 튜브에 넣어 리더스 동물병원(해운대, 한국)에 일반 혈액 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를 의뢰하였다. 간은 생리식염수(saline)로 관류하여 혈액을 제거하였고, 대장은 장관 속 내용물은 빼낸 후 붙어있는 지방 조직을 떼내었다. 또한, 간과 대장 조직 일부는 현미경의 조직학적 관찰 의뢰를 위해 레퍼런스 바이오랩(서울, 한국)으로 발송하였다.
<1-4> 체중 변화 분석
실험이 시작된 첫 날(1day), 7Gy의 방사선 조사 후 몸무게(14days), 방사선 조사 일주일 후(20days)의 체중 변화를 전기식 지시 저울(Max : 200g, min:0.2g)에 투명 플라스틱 용기를 놓고 영점으로 맞춘 후 한 마리씩 용기에 넣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 후 방사선 조사군인 RC(Radiation Control group)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 모두 체중이 감소했고, 이는 방사선의 일반적인 부작용인 위장관 신드롬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 전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공급받은 DR(Dandelion+Radiation group)그룹은 RC(Radiation Control group) 그룹에 비하여 체중 감소폭이 현저하게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이 방사선 유도성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방사선 비 조사군도 1일에서 14일까지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이는 단지 경구 투여에 대한 스트레스로 추측하며, 방사선 조사 일주일 후에는 4군 모두 실험 첫 날의 체중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 조사로 인한 체중 감소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는데, 방사선 조사군인 RC(Radiation Control group)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 모두에서 체중 감소 값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RC 그룹 대비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DR 그룹에서 체중 감소 정도가 두드러지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혈구 계산
ICR mice 마우스에서 채취한 전혈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헤모글로빈 수 및 헤마토크릿의 지표를 측정하였다.
가. 백혈구 수 측정
백혈구 수 측정의 참고치(reference value)는 6 에서 16.9K/㎕를 기준으로 하였고, 상기 참고치와 비교해 봤을 때, 방사선 조사/비조사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로 방사선에 의한 백혈구 수의 감소를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나. 적혈구 수 측정
적혈구 수 측정의 참고치(reference value)는 5.5 에서 8.5M/㎕을 기준으로 하였고, 상기 참고치와 비교해 봤을 때, 비 방사선 조사 그룹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섭취한 그룹의 적혈구 수가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도 4 참조).
다. 전혈 수 측정
전혈 수 측정은 참고치(reference value)는 175 에서 500K/㎕을 기준으로 하였고, 상기 참고치와 비교해 봤을 때, 전혈 수치 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방사선 조사군 그룹은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비 조사군에서는 민들레 섭식군의 혈소판 수치가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도 5 참조).
라. 헤모글로빈 수 측정
헤모글로빈 수 측정은 참고치(reference value)는 12 에서 18G/DL을 기준으로 하였고, 상기 참고치와 비교해 봤을 때, 방사선 조사군은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비 방사선 조사군에서는 민들레 섭식군이 비 섭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참조).
마. 헤마토크릿의 지표 측정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로 전혈에 대한 적혈구 용적 비율인 헤마토 크로짓의 지표는 참고치(reference value) 37 에서 55%를 기준으로 하였고, 상기 참고치와 비교해 봤을 때, 헤마토크릿의 지표 또한 방사선 조사군과 비 조사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도 7 참조).
<1-5> 항산화 효소의 활성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70℃의 deep freezer에 보관해두었던 ICR 마우스의 간 조직을 모두 같은 무게로 정량 후 20배의 인산완충액(Phospate buffer, 50mM, Ph7.4)와 함께 글라스 테프론 호모게나이저 (glass teflon homogenizer)에 균질화하였다. cap tube에 넣은 균질액은 3000rpm, 4C에서 원심 분리기(centrifuge)에 10분간 돌린 후,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만 취해 다시 원심 분리기에 10,000rpm의 속도로 30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얻은 상등액에는 리소좀(lysosome), 침전물에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가 함유되어 있으며, 두 층 모두 개별 항산화 효수 실험을 시행하기 전에 브래드포드 분석(Bradford assay)을 통해 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상등액 층에서는 카탈라아제 활성(Catalase activity),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Glutathione reductase) 활성을 측정하고, 침전물 층에서는 망간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활성을(Mn-SOD) 측정하였다.
가. 카탈라아제( Catalase )활성 측정
카탈라아제 활성은 Hugo Aebi의 방법 (Abei H., Catalase in vitro in method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Grlando, Florida, 105 : 121, 1984)으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50mM의 나트륨-칼륨 인산 완충액 (Na-K buffer, pH7.0) 0.6㎖에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0.03㎖를 더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기 직전에 과산화수소 0.3㎖ (30mM, H2O2)를 첨가하였다. 이때 블랭크로(Blank)는 인산 완충액 0.3㎖ (Phosphate buffer)을 사용하였고, 과산화수소를 넣고 바로 240nm에서 60초 동안 10초 간격으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H2O2의 표준 곡선은 인산 완충액과 과산화수소를 각각 0, 2, 4, 6, 8, 10mM의 농도로 조제하여 역시 240nm에서 측정하였다.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은 1분간 1μmole의 H2O2를 분해시키는 효소의 양을 1 unit로 정의된다.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을 30초간의 abs 변화율 (sample-blank)을 standard curve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군과 비 조사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비 조사군 내에서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섭식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카탈라아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활성 측정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활성(Glutathione Reductase)은 Inger C. 와 Bengt M.의 방법(Inger carlberg and Bengt mannervik,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113 : 484-490, 1985)으로 측정하였다.
2mM EDTA가 혼입된 0.2M K-P 완충액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 50㎕에 20mM GSSG 5㎕, 2mM NADPH가 혼입된 10mM Tris-HCl (pH 7.0) 5㎕, 증류수 40㎕를 섞은 반응 혼합액에 상등액 샘플 100㎕를 넣은 즉시 340nm에서 90초 동안 10초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활성의 unit은 1분당 1nmole NADPH의 환원을 촉매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된다.
그 결과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섭취한 후 방사선을 조사한 군에서 효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방사선만을 조사한 RC 그룹 대비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고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DR 그룹의 경우,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활성이 두드러지게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 Mn - SOD 활성 측정
Mn-SOD(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Oyanagui 등의 문헌( Oyanagui Y.,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al. Biochem., 142, p.290-296, 1984 )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0.1% Triton X-100 0.2㎖에 녹인 후 65mM 인산 완충액 ( pH. 7.8 ) 에 각각 5, 15, 30 농도로 희석하였다. 각 농도별 샘플 150㎕에 4mM KCN 60㎕, 75mM Na-Xanthine 15㎕, 10mM Hydroxylamine hydrochloride 15㎕을 첨가 후 10분간 인큐베이터에서 37℃로 유지시켰다.
여기에 0.1 unit/㎖ Xanthine oxidase 60㎕를 가한 후 다시 20분간 37도를 유지해주고, 1% Sulfanilamide 300㎕과 0.02% N-(1-naphth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300㎕을 혼합시켜 실온에 20분 방치했다. 농도별 샘플들을 96well에 triplicate하여 540nm에서 흡광도 측정을 하였다.
1 NU ( Nitrate Unit )은 생성된 슈퍼옥사이드에 의한 반응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 50% 저해당할 경우 해당되는 값( ID )으로 정의된다.
그 결과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군과 비 조사군 간의 유의성은 없으나 방사선 조사군 내에서는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 투여군의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 조사군 내에서도 유의성은 없었으나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SOD 활성을 보여주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호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 증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항산화 효소로서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의 활성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6> 조직학적 관잘
광학 현미경 관찰을 위해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 표본은 ICR 마우스의 사후 조직 절편을 채취해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전문 검사 기관으로 송부하였다. 검사 기관으로부터 절편 제작되어 H&E 염색(Hematoxylin & Eosin 염색)된 샘플의 현미경 사진을 통해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 11에서 나타내내 바와 같이, NC(Normal Control group) 그룹은 대장의 근육층, 점막층의 구분이 뚜렷하고), 장샘 세포, 술잔 세포, 흡수 세포가 점막층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도 11-①참조, RC 그룹은 점막층의 손상으로 흡수 세포와 술잔 세포가 관찰되지 않으며, 장샘의 배열이 온전하지 않고, 점막층의 형태가 아예 망가져 있었다(도 11-② 참조). 또한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은 NC 그룹과 마찬가지로 고르고 바른 배열을 보여주었으며(도 11-③ 참조),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은 내강 틈이 꽤 벌어져 있고, 흡수 세포의 배열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RC(Radiation Control group)군에 비하여 훨씬 손상을 덜 받은 것이 비교된다(도 11-④참조).
< 실험예 2>
실험동물로서 랫(rat)을 대상으로 한 실험
<2-1> 랫( rat )의 관리 및 식이 섭취
효창 사이언스(대구, 한국)에서 7주령 SD rat 40마리를 구입한 뒤 평균 체중이 200g에 달했을 때 한 군당 10수 씩 10% 주정 경구 투여군(Normal Control group ; NC), 10% 주정과 7Gy의 방사선 조사한 군(Radiation Control group ; RC), 민들레 주정 추출물(300mg/kg) 경구 투여군(Dandelion Control group ; DC), 민들레 주정 추출물(300mg/kg) 경구 투여와 7Gy의 방사선을 조사한 군(Dandelion+Radiation group ; DR)으로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이때,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300mg/kg B.W 농도로 10% 주정에 녹여서 경구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인제대학교 동물자원센터 B동 001호에서 사육하였고, 상기 실험동물의 적응기간(입고일로부터 7일) 동안에는 일반식이(chow)를 자유 급식하였으며, 군별 배치 후에는 2주간(8일차부터 23일간) 존데(sonde)를 사용하여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DEE) 매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가 완료된 다음날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 조사일로부터 8일 후 해부를 진행하였다. 해부 전날을 제외하고는 자유급식 및 급수를 실시하였으며, 해부 12시간 전에는 금식하며 물만 공급하였다.
<2-2> 방사선 조사
실험에 사용한 방사선은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에서 종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선형 가속기(Electa Linac, Sweden)를 이용하였으며, 랫(rat)의 체포면 전체에 7Gy를 조사하였다.
참고: 일반적으로 사람의 전신에 조사했을 때 치사선량이 7-10Gy이나, 쥐의 경우 사람보다 방사선에 대한 저항력이 커서 죽지는 않지만 큰 데미지를 주므로 효과를 보기가 쉽다. 또한 특정 장기가 아니라 전신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므로 영양학적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간과 소장, 전혈, 체중으로 그 차이를 나타내고자 한다. 위장관 증후군(Gastrointestinal syndrome)은 6-15Gy의 방사선을 조사했을 때 발생하며, 조사 후 7-10일 사이에는 소장 점막의 노출이 일어나 장액성 설사, 탈수, 전해질 손실, 위장 출혈이 유발되므로 임상적 소견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2-3> 시료 채취
랫(rat)의 경우 방사선 조사 8일 후 각각 실험을 종료하였으며, 희생되기 하루 전날 절식을 시켰다. 마취는 드라이아이스로 시행하였고, 전혈은 모두 항응고제 처리된 튜브에 넣어 리더스 동물병원(해운대, 한국)에 일반 혈액 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를 의뢰하였다. 간은 생리식염수(saline)로 관류하여 혈액을 제거하였고, 대장은 장관 속 내용물은 빼낸 후 붙어있는 지방 조직을 떼내었다. 또한, 간과 대장 조직 일부는 현미경의 조직학적 관찰 의뢰를 위해 레퍼런스 바이오랩(서울, 한국)으로 발송하였다.
<2-4> 체중 변화 분석
7주령 SD rat의 일주일 적응 기간 후 평균 체중이 200g이 되었을 때부터 시작하여 이틀 단위로 기록하였으며, 전기식 지시 저울에 투명 플라스틱 용기를 놓고 영점으로 맞춘 후 한 마리씩 용기에 넣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 후 방사선 조사군인 RC(Radiation Control group)와 DR(Dandelion+Radiation group)그룹 모두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방사선의 일반적인 부작용인 위장관 신드롬(Gastrointestinal syndrome)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 전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공급받은 그룹에서는 방사선 대조군인 RC 그룹에 비하여 체중 감소폭이 유의하게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이 방사선 조사 후 오는 체중 감소를 완화시킬 수 있음으로 이에 따른 2차적 영양 불균형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도 12에서는 체중 변화도를 4일 단위로 끊어서 나타내었으며 각 그룹 간의 체중 증가 유의함을 a, b로 표시하였다.
<2-5> TBARS assay - 지질과산화물의 억제 효과
방사선 조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간 조직에서 오카와 등의 방법( Ohkawa H., et al., Assay for lipid peroxide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pp.351-358, 1979)을 약간 변형하여 TBARS를 측정하였다.
간 조직 0.1g과 HEPES buffer 1ml (50mM, pH 7.4 with 125mM KCl)을 균질화하고, 샘플 150㎕와 H₂O₂50㎕를 37℃에서 60분 반응시켰다. 그 후 0.4% TBA(thiobarbituric acid), 15% TCA(trichloroacetic acid), 2.5% HCl을 혼합한 TBARS solution(tri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을 400㎕ 더해주고 95℃의 온수조에서 20분 가열해주었다. 이를 5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해 96well에 옮긴 후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이 조사된 RC(Radiation Control group)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에서 수치적인 차이는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에 비해 방사선을 조사받지 않고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은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생성량이 현저하게 낮아 방사선 조사군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마찬가지로 방사선을 조사받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투여 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 그룹의 MDA 생성량은 방사선 조사군 보다 낮지만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보다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는 지질 과산화의 반응에 의해 2차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서, 화학명 1,3-propanedial이며, 디알데히드로부터 생체 아민과 반응하여 가교를 형성하며 티오바르비투르산과 반응하여 적색을 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해 간 조직에 산화적 손상을 유발하며, 민들레 추출물은 지질 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간 조직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6> 웨스턴 블랏 분석
본 실험에서는 민들레 주정 추출물이 염증 관련된 단백질(iNOS, NF-kB p65, COX-2, Nrf2 및 HO-1)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의 세포 처리에 따른 상기 단백질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참고로, iNOS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약어로서 유도성 NOS라고 불리며, 병원균의 세포막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IL-1,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 방사선 등의 면역 자극제에 의해 세포가 활성화될 때에만 여러 세포에서 많은 양이 발현되어 산화질소(NO) 생성을 유도하고, 이렇게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염증발현이나 숙주방어기전 등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iNOS 발현 유도가 억제되는 경우 NO 생성이 억제된다.
한편, NF-kB(Nuclear factor kappa B)는 세포의 생존, 면역 반응 등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 TF)로서 자유 라디칼, 자외선, 산화적 스트레스, 세균, 바이러스 등에 의해 자극되어지며, 면역 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COX-2(Cyclooxygenase 2)는 혈관 내피 세포 및 혈관벽을 구성하는 평활근 세포, 점막하에 존재하는 선세포, 상피세포 등에서 발현되는 원암유전자의 하나로 염증매개유전자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합성하는 효소로서, 아라키돈산을 프로스타노이드로 변환시켜 발열, 피로, 상피파열, 염증 및 여러 알러지 증상을 심화시키며 정상 조직에는 소량 존재하지만 염증 발생시 20배 이상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Nrf2(NF-E2-related factor 2)는 활성 산소종, 자외선 등 산화적 스트레스가 생체에 가해지면 대표적 방어 기전으로 활성화되는 유전자로서, Nrf2는 다양한 산화 방어 유전자들을 발현시킴으로 생체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HO-1(heme oxygenase-1)은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는 대표적 효소로서 사이토카인, 과산화수소, 저산소 상태 등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할 때 체내 보호 기전을 위해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웨스턴 블랏 분석을 위해, 먼저, 간 조직에서 총 단백질(total protein)을 분리하였다. 자세하게는, -70도의 deep freezer에 보관해두었던 간 조직 20mg을 단백질 추출 용액(pro-prep protein extraction solution) 1.2ml과 함께 글라스 테프론 호모게나이저( glass teflon homogenizer )에 균질화한 뒤, 이 균질액은 cell lysis를 위해 얼음에서 20-30분 incubation 후, 13000rpm/ 4C에 맞춘 원심 분리기 (centrifuge)에 10분 돌리고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만 취해 다른 튜브에 옮겨주었다. 이때 얻은 상등액으로 Bradford assay( Bradford MM. et al., Ann Biochem, 72, pp248-254, 1976 )를 통해 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standard로는 BSA를 사용했으며 각 그룹 간 조직 내에서의 HO-1, COX-2, NF-kB p65, Nrf2, iNOS 단백질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상기에서 분리된 단백질 샘플을 로딩 버퍼(loading buffer)와 1:1로 섞은 후 98℃에서 5분간 변성하였다. 얼음에서 식힌 얼음을 8~12%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 주입하고 90V, 3시간 전기 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나고 나면 젤(gel)을 분리하여 폴리비닐리덴 다이플로라이드 (PVDF, Whatman) 멤브레인에 300mA, 2시간 동안 이동시킨 후, 이동이 완료된 PVDF 멤브레인은 non-specific 한 부위에 항체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 non fat dry milk (Difco)가 함유된 TBS-트윈(phosphate buffer saline with 0.05% tween 20)으로 상온에서 90분 동안 블로킹하였다. 발현을 위해 1:1,000으로 희석한 HO-1, NF-kB p65, ß-actin, NOS, COX-2 항체(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 Nrf2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Cruz, CA, USA )를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1:3,000로 희석한 Anti-rabbit IgG1 HRP linked antibody(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를 사용하여 2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발현은 암실에서 Chemiluminescence film( GE Healthcare, Little Chalfont, UK )과 western blotting luminal reagent(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Cruz, CA, USA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이 때 house keeping gene인 ß-actin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각 단백질 간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4 내지 도 18에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경구 투여에 따른 iNOS 단백질 발현 정도는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RC(Radiation Control group) 그룹이 방사선 조사에 의한 iNOS 단백질 발현이 두드러지게 증대되는데 반해,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 받은 후 방사선을 조사한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의 경우 iNOS 단백질 발현양이 방사선을 조사 받지 않은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만큼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이 방사선 조사에 따라 상승하는 iNOS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NO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처리에 따른 NF-kB p65 단백질 발현 정도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NF-kB의 발현도가 RC(Radiation Control group) 그룹에서 가장 증가하였고,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투여 받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에서는 유의적으로 NF-kB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방사선을 조사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와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간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이 방사선 조사에 따라 상승하는 NF-kB p65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처리에 따른 COX-2 단백질 발현 정도는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RC(Radiation Control group) 그룹의 COX-2 발현이 가장 증가하였고, 민들레 주정 추출물을 투여 받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은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만큼 COX-2 발현이 감소되어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처리에 따른 Nrf2 단백질 발현 정도는 도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와 RC(Radiation Control group)는 같은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나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 받은 DC(Dandelion Control group)에서는 그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민들레 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을 조사한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에서는 그 수치가 가장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에서는 Nrf2를 증가시킴으로써 그 방어 기전을 마련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처리에 따른 HO-1 단백질 발현 정도는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 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와 RC(Radiation Control group)는 HO-1의 발현에 유의성이 없는데 반해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 받은 DC(Dandelion Control group)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은 유의적으로 HO-1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사선 조사를 받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은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에 비해 HO-1 발현이 유의적으로 낮음이 관찰되어 민들레 추출물의 투여는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켜 산화에 대해 방어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민들레 주정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어 기전으로서 NO 생성과 관련된 iNOS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 p65 단백질 발현 억제; Nrf2 및 H0-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완화 작용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조직학적 관찰
간과 소장 조직은 10% NBF(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여 파라핀 block 제작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Hematoxylin & Eosin stain)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 그룹의 조직학적 변화를 하기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었으며 간 조직은 동양 혈관의 자세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0배율로 찍은 같은 부위를 20배율로 한 번 더 확대하여 나타냈다.
그 결과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은 중심 정맥과 주위의 동양 혈관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이지만(a, c), 20배율로 관찰했을 때 NC(Normal Control group)보다 민들레 추출물을 투여받은 DC(Dandelion Control group)의 조직이 더 치밀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b, d). 방사선 대조군 RC(Radiation Control group)는 확연하게 중심 정맥 주위를 비롯하여 동양 혈관들이 멀리까지 크게 확장된 것이 관찰되었으나(e, f) 민들레 추출물을 경구 투여 받은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에서는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대조군들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양호하였다(g, h).
또한 도 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NC(Normal Control group), DC(Dandelion Control group) 그룹 모두 융모가 조밀하고 고르게 배열되어 있고 장샘 역시 잘 발달되어 있다(a, b). 반면 방사선 대조군인 RC(Radiation Control group)는 한 눈에 융모 구조가 망가져 있는 것과 함께 불규칙한 배열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장샘 또한 그 숫자가 현저하게 적고 기형적 모양을 하고 있었다(c). 한편, DR(Dandelion+Radiation group) 그룹의 조직에서는 융모 배열이 고르지는 않지만 조밀하게 들어서 있었으며, 장샘 또한 잘 발달되어 있었으나 방사선 조사에 의해 goblet cell 수가 방사선 비조사 대조군들보다 현저하게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X선(X-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조직 또는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항산화 효소의 활성 증진 및 염증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치온 리덕타아제(Glutathione Reductase) 또는 슈머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관련 단백질의 조절은 NO 생성과 관련된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단백질 발현 억제; 면역반응과 관련된 NF-kB(Nuclear factor kappa B)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방어를 담당하는 Nrf2(NF-E2-related factor 2)와 H0-1(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 증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90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약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방사선에 노출되기 이전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방호용 약제.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건강기능식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40104480A 2013-08-20 2014-08-12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KR20150021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357 2013-08-20
KR1020130098357 2013-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52A true KR20150021452A (ko) 2015-03-02

Family

ID=5301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4480A KR20150021452A (ko) 2013-08-20 2014-08-12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49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49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790B2 (ja) イチイ属の形成層または前形成層由来植物幹細胞株を有効性分として含有する抗酸化、抗炎症または抗老化用組成物
Chen et al. p-Coumaric-acid-containing Adenostemma lavenia ameliorates acute lung injury by activating AMPK/Nrf2/HO-1 signaling and improving the anti-oxidant response
Rit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lected local banana peel (Musa sp.) methanol extracts cultivated in Bali
Ng et al. Protective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on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s
KR100519720B1 (ko) 유해활성산소 및 방사선에 의한 생체손상 억제효과와면역활성 증진효과를 갖는 프로폴리스 함유 복합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070079465A (ko)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haki et al. Evaluation effects of Quercetin on liver apoptosi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Zhang et al.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irradiated ginseng adventitious roots
Popov et al. Radioprotective, anticlast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otal extract of Haberlea Rhodopensis on rabbit blood samples exposed to gamma radiation in vitro
Jian et al. The effect of 17-methoxyl-7-hydroxy-benzene-furanchalcone isolated from Millettia pulchra on myocardial ischemia in vitro and in vivo
KR20180106103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1452A (ko)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방호용 조성물
KR20180080896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ulaimon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ctivity of Irvingia gabonensis (Aubry-Lecomte ex O’Rorke) leaf and bark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KR101128002B1 (ko) 갈근탕 또는 갈근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ni et al. The beneficial effects of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calyces in alloxan-diabetic rats: reduction of free-radical load and enhancement of antioxidant status
CN103520279B (zh) 樟属植物提取物在制备治疗或预防肿瘤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Lawal et al. Biochemical properties, in-vitro antimicrobial,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AU2018100291A4 (en) Hepatoprotective composition
KR102352936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250247A (zh) 虾青素在制备防治非酒精性脂肪性肝病药物中的应用
CN101596268B (zh) 大蒜总皂苷在制备抗氧化应激损伤药物和食品中的应用
CN113181173B (zh) 药用组合物及其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肝癌的产品中的应用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Li et al. Medicinal foods, yt and rh combination, suppress cigarette smoke-induced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nf-κb/erk signaling path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