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121A -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121A
KR20150019121A KR20130095556A KR20130095556A KR20150019121A KR 20150019121 A KR20150019121 A KR 20150019121A KR 20130095556 A KR20130095556 A KR 20130095556A KR 20130095556 A KR20130095556 A KR 20130095556A KR 20150019121 A KR20150019121 A KR 2015001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ash plate
bar
bal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984B1 (ko
Inventor
김범환
Original Assignee
(주)대현하이드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하이드로릭스 filed Critical (주)대현하이드로릭스
Priority to KR102013009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84B1/ko
Priority to PCT/KR2014/004031 priority patent/WO2015023045A1/ko
Publication of KR2015001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작업장치를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체형과 운전환경에 맞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는 바디와,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에 위치된 푸시로드를 눌러주는 스와시 플레이트, 및 레버의 바아 및 스와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Handle of heavy equipment that angle control is available}
본 발명은 중장비의 작업장치를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체형과 운전환경에 맞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서는 붐, 아암, 버켓과 같은 작업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이스틱 핸들을 사용한다. 조이스틱 핸들은 본체(1)로부터 연결된 바아(2)의 단부에 레버(3)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이스틱 핸들에서는 바아(2)의 꺾임 각도에 의해 레버(3)의 각도가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신체 특성 및 운전자의 레버 조작 취향과 상관없이 장비 출하시 고정된 레버 각도를 사용함으로써, 작업기의 정밀한 조작이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버 바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장비용 핸들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37266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길이 조정이 가능한 중장비용 조이스틱 레버’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운전자의 체형 및 작업 내용에 따라 레버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기의 정밀한 조작이 어느 정도 가능하기는 하나, 여전히 작업기를 정밀하게 조작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체형과 작업환경 등에 따라 작업기를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는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는 바디와,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에 위치된 푸시로드를 눌러주는 스와시 플레이트, 및 레버의 바아 및 스와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레버 각도 조절수단은, 레버의 바아와 연결되고 스와시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및 스와시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회동부재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회동부재는 볼 조인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형태로 이루어져 스와시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볼부, 및 볼부로부터 연장되며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바아 연결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중심에 볼부의 상측이 관통되는 볼부 관통홀이 형성된 마감판, 및 마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스와시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결합부를 조일 때 회동부재가 마감판에 의해 눌려 스와시 플레이트에 견고히 고정되고, 결합부를 느슨하게 풀 때 회동부재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 개의 푸시로드가 구비되는 바디와, 바디의 상면에 제1 회동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로드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제1 스와시 플레이트, 및 제1 회동부재와 레버의 바아와 연결되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레버 각도 조절수단은, 제1 회동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축과, 하부축의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상부축을 포함하는 제2 회동부재와, 상부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스와시 플레이트와, 하부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디스크, 및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 상부로 돌출되게 나사 결합되어 그 돌출되는 높이에 따라 제2 스와시 플레이트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터브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제2 회동부재의 상부축과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나사 결합되어 제2 스와시 플레이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1 고정너트, 및 디스크의 상부에서 스터브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스터브 볼트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에 따르면, 중장비의 작업기를 운전하기 위한 핸들의 각도를 운전자의 체형과 작업환경 등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작업기를 운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운전자의 피로도가 감소하게 되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에 의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 선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에 의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레버(110), 바디(120), 스와시 플레이트(130), 및 레버 각도 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레버(110)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장착되는 붐, 아암, 버켓과 같은 작업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레버(110)에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140)에 연결되는 바아(111)가 구비된다.
바디(120)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 운전석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부에 4개의 푸시로드(150)가 돌출되게 이격 배치된다. 운전자가 레버(110)를 작동시킬 때 스와시 플레이트(130)가 푸시로드(150)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면 푸시로드(150)의 하단에 연결된 스풀(미도시)들이 움직이면서 작업기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푸시로드(150)을 누를 때 작업기의 조작형태가 각각 달리 이루어진다.
스와시 플레이트(130)는 제1 회동부재(160)에 의해 바디(120)의 상면 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동시 그 저면으로 푸시로드(150)를 선택적으로 눌러준다.
제1 회동부재(160)는 바디(120)의 상면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축(161)과,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하부 중심에 삽입 고정되는 상부축(162), 및 하부축(161)의 상단과 상부축(162)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6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회동부재(160)를 통해 스와시 플레이트(130)는 전,후,좌,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레버 각도 조절수단(140)은 스와시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레버(1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전,후,좌,우 사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동부재(141), 및 제2 회동부재(141)를 각도 조절 후 스와시 플레이트(13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2)를 포함한다.
제2 회동부재(141)는 볼 조인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 형태로 이루어져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볼부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볼부(141a), 볼부(141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레버(110)의 바아(111)가 연결되는 바아 연결부(141b)를 포함한다. 바아 연결부(141b)에는 레버(110)의 바아(111)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바아 결합홈(141c)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바아 연결부(141b)의 외측면은 바아 연결부(141b)에 레버(110)의 바아(111)를 결합할 때 도구로 잡을 수 있도록 육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42)는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조일 때 제2 회동부재(141)를 스와시 플레이트(130)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풀 때 제2 회동부재(141)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42)는 중심을 제2 회동부재(141)의 볼부(141a) 상측이 관통되는 볼부 관통홀(142b)이 형성된 원형의 마감판(142a)과, 마감판(142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상부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142c)를 포함한다.
한편,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볼부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볼부(141a) 외측에는 오링(143)(144)이 끼워져 볼부(141a)와 스와시 플레이트(130) 사이의 마찰을 줄여준다. 즉, 스와시 플레이트(130)와 볼부(141a) 모두 금속재로 제작되므로 마찰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마찰부위가 마모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오링(143)(144)을 이용해 마찰을 줄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에 의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먼저, 도 4의 (a)와 같이 고정부재(142)를 풀어 제2 회동부재(141)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운전석에 앉아 자신의 체형과 작업환경에 맞게 레버(110)를 조작하여 작업에 편안하게 레버(1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어서, 도 4의 (b)와 같이 고정부재(142)를 조여주면 고정부재(142)의 마감판(142a)이 볼부(141a)의 상측을 가압하면서 볼부(141a)가 스와시 플레이트(130)의 볼부 삽입홈(131) 내에 밀착된다. 마감판(142a)도 볼부(141a)의 상측에 밀착되므로 제2 회동부재(141)는 회동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레버(110)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선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은, 레버(210), 바디(220),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 및 레버 각도 조절수단(240)을 포함한다.
레버(210)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장착되는 붐, 아암, 버켓과 같은 작업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레버(210)에는 바아(211)가 구비되어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디(220)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 운전석에 고정설치되며 그 상부에 4개의 푸시로드(250)들이 돌출되게 이격 배치된다. 운전자가 레버(210)를 작동시킬 때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가 푸시로드(250)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면 푸시로드(250)의 하단에 연결된 스풀(미도시)들이 움직이면서 작업기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푸시로드(250)을 누를 때 작업기의 조작형태가 각각 달리 이루어진다.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는 제1 회동부재(260)에 의해 바디(220)의 상면 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동시 그 저면으로 푸시로드(250)를 선택적으로 눌러준다.
제1 회동부재(260)는 바디(220)의 상면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하부축(261)과,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상부축(262), 및 제1 하부축(261)의 상단과 제1 상부축(262)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26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회동부재(260)를 통해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는 전,후,좌,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제1 상부축(262)의 외측에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는 나사 결합되므로,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는 제1 상부축(262)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1 상부축(262)은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를 관통하여 그 상방으로 돌출된다.
레버 각도 조절수단(240)은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에 대하여 레버(2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제2 회동부재(241),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 디스크(243), 스터브 볼트(244), 및 고정너트(245)(246)를 포함한다.
제2 회동부재(241)는 제1 회동부재(260)의 제1 상부축(262)에 연결되며 디스크(243)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하부축(241a),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상부축(241b), 및 제2 하부축(241a)의 상단과 제2 상부축(241b)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241c)를 포함한다. 디스크(243)와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는 각각 제2 하부축(241a)과 제2 상부축(241b)의 외측에 나사 결합된다. 디스크(243)의 경우 제1 상부축(262)과 제2 하부축(241a) 모두에 걸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축(262)과 제2 하부축(241a)은 나사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는 제2 상부축(241b)의 외측에 나사 결합된다.
디스크(243)는 제2 하부축(241a)에만 나사 결합되거나 제1 상부축(262) 및 제2 하부축(241a) 모두에 걸쳐서 나사 결합되며, 동심원상에 4개의 스터브 볼트(244)가 상부로 돌출되게 나사 결합된다. 각 스터브 볼트(244)는 나사 결합정도를 달리하여 디스크(243)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스터브 볼트(244)는 디스크(243)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 상부로 돌출되게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그 돌출되는 높이에 따라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의 회동이 제한된다. 즉, 4개의 스터브 볼트(244) 중 높이가 낮은 쪽으로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가 기울어지며,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반대쪽 스터브 볼트(244)의 높이를 높혀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의 저면에 접촉시키면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너트(245)(246)는 레버(210)의 바아(211)와 제2 상부축(241b)의 연결부분에 나사 결합되어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가 풀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1 고정너트(245)와, 각 스터브 볼트(244)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스터브 볼트(244)가 디스크(243) 내로 더 이상 삽입되고 높이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너트(246)로 구성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에 의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1 스와시 플레이트(230) 및 디스크(243)를 조이거나 풀어 그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나서, 도 7의 (a)와 같이 스터브 볼트(244)에 결합되는 제2 고정너트(246)를 풀어 스터브 볼트(244)의 높이를 낮게 한다.
스터브 볼트(244)의 높이를 낮게 한 후에는 도 7의 (b)와 같이 레버(210)를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진다. 스터브 볼트(244)에 의해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가 걸려 레버(210)가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지지 않으면 기울이는 방향에 위치되는 스터브 볼트(244)의 높이를 추가로 낮춘다.
원하는 각도로 레버(210)를 기울인 후에는 레버(210)를 그 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터브 볼트(244)를 풀어 스터브 볼트(244)의 상단이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레버(210)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4개의 스터브 볼트(244)를 높이를 달리한 상태에서 모두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의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이므로 레버(210)는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하지 못하고 그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레버(210)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는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가 풀리지 않도록 제1 고정너트(245)를 견고히 조여주고, 제2 스와시 플레이트(242)를 지지하는 스터브 볼트(244)의 높이가 낮아지지 않도록 제2 고정너트(246)를 견고히 조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10 : 레버 111 : 바아
120 : 바디 130 : 스와시 플레이트
131 : 볼부 삽입홈 140 : 레버 각도 조절수단
141 : 제2 회동부재 142 : 고정부재
143, 144 : 오링 150 : 푸시로드
160 : 제1 회동부재 161 : 하부축
162 : 상부축 163 : 유니버셜 조인트
210 : 레버 211 : 바아
220 : 바디 230 : 제1 스와시 플레이트
240 : 레버 각도 조절수단 241 : 제2 회동부재
242 : 제2 스와시 플레이트 243 : 디스크
244 : 스터브 볼트 245 : 제1 고정너트
246 : 제2 고정너트 250 : 푸시로드
260 : 제1 회동부재 261 : 제1 하부축
262 : 제1 상부축 262 : 제1 유니버셜 조인트

Claims (7)

  1.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에 위치된 푸시로드를 눌러주는 스와시 플레이트; 및
    레버의 바아 및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레버의 바아와 연결되고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볼 조인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볼부; 및
    상기 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바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중심에 상기 볼부의 상측이 관통되는 볼부 관통홀이 형성된 마감판; 및
    상기 마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의 상부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를 조일 때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마감판에 의해 눌러 상기 스와시 플레이트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를 느슨하게 풀 때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5. 중장비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 개의 푸시로드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에 제1 회동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로드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제1 스와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회동부재와 레버의 바아와 연결되어 레버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레버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축과, 상기 하부축의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상부축을 포함하는 제2 회동부재;
    상기 상부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스와시 플레이트;
    상기 하부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 상부로 돌출되게 나사 결합되어 그 돌출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제2 스와시 플레이트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터브 볼트;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재의 상부축과 레버의 바아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스와시 플레이트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1 고정너트; 및
    상기 디스크의 상부에서 상기 스터브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터브 볼트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각도 조절핸들.
KR1020130095556A 2013-08-12 2013-08-12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KR10151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56A KR101516984B1 (ko) 2013-08-12 2013-08-12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PCT/KR2014/004031 WO2015023045A1 (ko) 2013-08-12 2014-05-07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56A KR101516984B1 (ko) 2013-08-12 2013-08-12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121A true KR20150019121A (ko) 2015-02-25
KR101516984B1 KR101516984B1 (ko) 2015-05-04

Family

ID=5246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556A KR101516984B1 (ko) 2013-08-12 2013-08-12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6984B1 (ko)
WO (1) WO2015023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3B1 (ko) * 2019-12-10 2021-05-12 주식회사 호룡 굴착기의 조이스틱 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914B (zh) * 2016-07-30 2018-08-03 泰州市腾达建筑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操控装置
WO2019171950A1 (ja) * 2018-03-08 2019-09-12 日東工器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及び穿孔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85A (ja) * 1993-07-12 1995-01-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0726584A (ja) * 1993-07-14 1995-01-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0853858A (ja) * 1994-08-10 1996-02-27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走行レバー装置
SE9704726L (sv) 1997-12-18 1998-11-23 Scania Cv Ab Inställningsanordning vid tvådelad växelspa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3B1 (ko) * 2019-12-10 2021-05-12 주식회사 호룡 굴착기의 조이스틱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3045A1 (ko) 2015-02-19
KR101516984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568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n auxiliary handle
US5725422A (en) Auto body buffing machine with handle angularly adjustable to different fixed positions
KR101516984B1 (ko) 중장비용 각도조절 핸들
US20070131211A1 (en) Height mechanism for equipment, including concrete saws
WO2004018154A1 (ja) クランプ装置
US20030079569A1 (en) Torque wrench
TWI490066B (zh) 鋸切機的角度調整裝置
US11447052B2 (en) Adjustable width control pod bracket assembly
US5620619A (en) Weaver for a welding torch capable of compatibly using a straight weaving and an angular weaving
JP6884988B2 (ja) サポート治具
US20170106458A1 (en) Adjustable work table
JP2011042008A (ja) 電動工具装置用操作補助具、操作補助具付電動工具装置
US11090797B2 (en) Fast rotation structure of wrench and wrench thereof
KR200364236Y1 (ko) 용접기용 미니 케리저의 전방위 용접각도 조절장치
KR101889031B1 (ko) 회전날 강재 절단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강재 절단 장치
US20050252355A1 (en) Vertical band saw machine
KR200363627Y1 (ko) 용접기용 미니 케리저의 용접각도 조절장치
KR101687214B1 (ko) 오토캐리지
TWM562556U (zh) 工具機換向桿組
TWM579079U (zh) Ball joint remover
JP2018058131A (ja) 作業ツール支持ユニット
JP7363447B2 (ja) ティラーバーハンドル接続構造
KR101889030B1 (ko) 강재 절단 장치
KR101518102B1 (ko) 예취기
JP3132005U (ja) アジャスタブル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