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102B1 - 예취기 - Google Patents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102B1
KR101518102B1 KR1020120020434A KR20120020434A KR101518102B1 KR 101518102 B1 KR101518102 B1 KR 101518102B1 KR 1020120020434 A KR1020120020434 A KR 1020120020434A KR 20120020434 A KR20120020434 A KR 20120020434A KR 101518102 B1 KR101518102 B1 KR 10151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ing
lock
drive shaft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161A (ko
Inventor
마사히꼬 하야시
시게노리 기무라
히로끼 사이또
고오 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5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62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5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667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3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 기구를 간편하게 구성한다.
전단부에 전륜(1)이 지지된 전륜 전동 케이스(16)가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전환 조작부(F)를 구비하였다. 이 전환 조작부(F)가, 복수의 결합 구멍(82A)이 형성된 결합판(82)과, 결합 구멍(82A)에 대해 로크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되는 로크 부재(84)와, 이 로크 부재(84)를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로크 해제 와이어(86)를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예취기 {WALK-BEHIND MOWER}
본 발명은, 기체(機體)에 종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전방부에 전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상기 기체에 대해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지지체의 요동 자세의 설정에 의해 상기 예취날의 예취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접지체를 배치하고 있는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취기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3584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상단부측의 입력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전륜 전동 케이스가 지지되고, 이 전륜 전동 케이스의 선단측에 전륜이 지지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조작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륜 전동 케이스의 요동량을 설정하고, 노면용 예취 장치의 대지 높이를 변경하여 예취 높이의 조절을 행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취기로서 상기한 특허 문헌 1(단락 번호 〔0052〕내지〔0056〕, 도 18 내지 도 20)에는, 전방 차륜과 후방 차륜을 구비한 주행 기체에 노면용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의 측부에 법면의 풀류를 절단하기 위한 법면 절단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주행 기체의 측부 위치에 대해 전후 방향 자세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법면용 데크를 구비하고, 이 법면용 데크에 지지되는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이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접지체를 구비함으로써 법면용 절단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시에 접지체가 지면에 접지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예취날의 높이가 정해져, 법면용 절단 장치의 예취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법면용 데크가, 횡방향 자세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주행 기체에 지지되고,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법면용 데크와 함께 법면용 절단 장치를 경사시킴으로써 예취 높이의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전륜 전동 케이스의 요동량의 조절을 행하기 위해, 전륜 전동 케이스의 매달아 올림구를 연결하고, 이 매달아 올림구의 구동 나사부를 상방으로 연장하여, 조작 핸들의 기단부 보스부를 구동 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조작 핸들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기단부 보스부를 필요로 하고, 이 조작 핸들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필요로 하고, 기단부 보스부에 나사 결합되는 구동 나사부와, 이 구동 나사부를 전륜 전동 케이스 등을 필요로 하므로, 부품 개수가 증대되어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예취 높이 조절 기구에서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 위치에 작업자가 서서 조작 핸들을 조작할 필요가 있어, 번잡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법면용 절단 장치를 전체적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예취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서는, 가동 부분이 대형으로 되기 쉬워, 조절 구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조절 구조에서는, 접지체를 접지시킨 상태에서 법면용 절단 장치를 전체적으로 경사시키는 구성이므로, 예취 높이의 조절량을 크게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이 특허 문헌 1의 예취기에서는, 예취날 외주의 회전 궤적이 법면(지면)과 평행한 가상 평면 상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예취 높이가 가장 높아지고, 회전 궤적이 크게 경사지는 상태에서 예취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므로, 예취 높이를 높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취날로부터 하방으로의 돌출량이 큰 접지체에 교환을 필요로 함으로써 수고가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 기구를 간편하게 구성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접지체를 접지시킴으로써 예취 높이가 정해지는 예취 높이 조절 기구를 구비한 예취기에 있어서, 예취 높이를 크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기구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예취기는, 기체에 종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전방부에 전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상기 기체에 대해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지지체의 요동 자세의 설정에 의해 상기 예취날의 예취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예취기이며,
상기 조절 기구가, 상기 지지체의 자세를 고정하는 고정 상태와, 상기 지지체의 자세의 자유로운 요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 조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전환 조작부에 의해 상기 지지체를 상기 해제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기체의 전방부의 들어올림 높이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전륜의 하방 또는 상방으로 자유롭게 변위시키고, 이 변위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체의 요동이 허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환 조작부에 의해 지지체를 해제 상태로 설정하여 핸들의 조작에 의해 기체의 전방부의 들어올림량을 조절함으로써, 지지체가 자유롭게 요동하여 전륜이 접지하는 자세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예취날과 지면의 높이를 예취 높이에 대응하는 값까지 요동시킨 후에, 지지체를 전환 조작부에 의해 지지체를 고정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예취날과 지면의 대지 높이가 유지되어, 예취 높이의 조절이 실현된다.
그 결과, 많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구성을 이용하지 않아도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 기구가 간편하게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환 조작부가, 상기 지지체의 복수의 요동 자세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부와, 복수의 상기 결합부 중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체의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로크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 조작부로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로크체의 결합 및 해제의 전환을 행하는 조작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결합부로부터 로크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해제 후에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결합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크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지체를 복수의 요동 자세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결합부에 로크체를 결합시키는 구성이므로, 요동 자세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 영역에 복수의 결합 구멍이 배치되는 결합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크체가,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 이탈되는 로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환 조작부가,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시키는 가압력을 얻는 로크 스프링을 갖고 있고, 상기 조작 유닛이, 상기 로크 부재를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을 작용시키는 조작 와이어를 갖고, 이 조작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로크 해제 레버가,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결합판의 결합 구멍에 대해 로크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로크 부재를 결합시키므로,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로부터 조작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로크 부재를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성이므로, 작업자가 기체의 전방부에 서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기체에 원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가,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륜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내장하는 전동 케이스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원동부의 구동력을 전동 케이스로부터 전륜에 전달하여 주행 구동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예취기는, 종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접지체를 배치하고 있는 예취기이며,
상기 구동축에 내부 끼움되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의 구동 축심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시프트축을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축의 하단부에 상기 접지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축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절부에 의해 구동축에 대해 시프트축을 구동 축심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시프트축의 하단부에 구비한 접지체와 구동축에 구비한 예취날의 상대 거리를 변화시켜, 예취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이 구성에서는, 구동축과 시프트축의 상대적인 이동량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고, 특허 문헌 1과 같이 구동축과 예취날을 일체적으로 경사시키는 구성의 것과 비교하여 가동 부분이 작아 대형화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체를 접지시킴으로써 예취 높이가 정해지는 예취 높이 조절 기구를 구비한 예취기이면서, 예취 높이를 크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기구가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축이 삽입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부의 내주와 상기 시프트축의 외주 사이에,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시프트축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시프트축을 일체 회전시키는 전동 수단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통 형상의 구동축의 구멍부에 시프트축을 삽입 관통하고, 구동축에 대해 구동 축심을 따라 시프트축을 이동시킨 경우에는, 전동 수단이 구동축의 구멍부의 내주와 시프트축의 외주 사이에 형성되는 전동 수단이 이동을 허용하고,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전동 수단이 시프트축으로 전달되어, 이들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축의 구동력을 시프트축에 전달하기 위해 기어식이나 체인식 등의 복잡한 전동계를 구비하지 않아도, 전동 수단을 스플라인이나 각축 등을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가, 상기 시프트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프트축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구동 축심에 평행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조작축과, 이 조작축이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구동 축심을 따라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조작축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나사부에서의 힘에 의해 결합 부재를 구동 축심을 따라 작동시키고, 이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시프트축을 구동 축심을 따라 작동시킨다. 또한, 조절부가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근소한 양의 조절도 가능하고, 시프트축으로부터 구동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어도 나사 부분이 회전하는 일이 없어, 설정된 예취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체에 지면에 접하는 차륜과 원동부가 구비되고, 이 기체의 측부 위치에서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기단부가 지지되고, 이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축이 지지되고, 이 구동축에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기체의 측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우징의 기단부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취날의 회전 궤적이 법면과 평행 자세로 되도록 하우징의 요동을 허용함으로써, 법면의 풀의 예취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하우징에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구동축으로부터 하방으로의 돌출량이 조절 가능한 시프트축에 접지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요동 자세에 상관없이 예취 높이를 설정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취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예취기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예취기의 전동계의 측면도.
도 4는 노면용 절단 장치와 법면용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노면용 절단 장치와 법면용 절단 장치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작업 상태의 노면용 절단 장치와 법면용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사이드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시프트축과 시프터와 조작축의 횡단 평면도.
도 9는 접지체의 연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전환 조작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f)의 사이드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 전륜(1)과 단일 후륜(2)으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A)의 상부 위치에 원동부로서의 엔진(4), 연료 탱크(5), 머플러(6) 등을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A)의 후방부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좌우 한 쌍의 조종 핸들(7)을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A)의 하면측에 노면의 풀류를 절단하는 노면용 절단 장치(B)를 구비하고, 또한 이 주행 기체(A)의 좌측부에 법면의 풀류를 절단하는 법면용 절단 장치(C)를 구비하여 예취기가 구성되어 있다. 이 예취기에서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여 원동부를 구성해도 된다.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0)에 센터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이 내부 하측에 센터 블레이드(12)(예취날의 일례)를 갖는 노면용 절단 장치(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10)의 좌측부에 사이드 하우징(l3)을 구비하고, 이 내부 하측에 사이드 블레이드(14)를 갖는 법면용 절단 장치(C)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A)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요동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센터 하우징(11)에 좌측 단부의 일부를 요동 축심(P)을 중심으로 하는 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사이드 하우징(l3)의 우측 단부의 일부를 요동 축심(P)을 중심으로 하는 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들의 통 형상부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힌지 축(15)을 구비함으로써 요동을 실현하고 있다.
전륜(1)은, 지지체로서의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전단부측의 하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륜(2)은 후륜 전동 케이스(17)의 하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A)의 상부 위치에는 엔진(4)의 구동력을 후륜 전동 케이스(17)와 전륜 전동 케이스(16)에 전달함으로써 전륜(1)과 후륜(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주행 구동 기구(Dr)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센터 하우징(11)의 상면과 사이드 하우징(13)의 상면에 걸치는 영역에, 엔진(4)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노면용 절단 장치(B)와, 법면용 절단 장치(C)에 전달하는 예취 구동 기구(Dc)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A)의 측부 위치에 사이드 하우징(13)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주행 기체(A)의 좌측에 법면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이드 하우징(13)을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법면용 절단 장치(C)가 법면을 따르는 자세에 도달할 때까지 요동하여, 법면의 풀류의 절단을 실현한다. 또한, 노면용 절단 장치(B)의 센터 블레이드(12)와, 법면용 절단 장치(C)의 사이드 블레이드(14)는 회전 궤적이 겹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블레이드(12)와 사이드 블레이드(14)의 회전 위상을 90도 어긋나게 함으로써, 센터 블레이드(12)와 사이드 블레이드(14)가 접촉하지 않는 관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 구동 기구(D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하우징(13)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굴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이 예취기에서는, 엔진(4)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륜(1)과 후륜(2)을 구동하여 주행 기체(A)를 주행시키면서, 엔진(4)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노면용 절단 장치(B)와 법면용 절단 장치(C)를 구동하여 수평 자세의 노면의 상면의 풀류를 노면용 절단 장치(B)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법면의 풀류를 법면용 절단 장치(C)에 의해 절단하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주행 구동 기구〕
전륜 전동 케이스(16)는, 도 2, 도 3,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에 입력축(18)을 구비하고, 하단부에 전륜 구동축(l9)을 구비하고, 이 전륜 구동 축(19)에 전륜(1)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전륜 전동 케이스(16)에는 입력축(l8)의 구동력을 전륜 구동축(19)에 전달하는 체인식의 전동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 위치에 종방향 자세의 전방부 브래킷(20)을 구비하고, 이 전방부 브래킷(20)에 대해, 입력축(18)과 동 축심으로 되는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전륜 전동 케이스(16)가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8)에 연결하는 중간축(21)을 구비하고, 이 중간축(21)의 외측 단부에 입력 스프로킷(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륜 전동 케이스(16)는, 요동 자세의 설정에 의해 노면용 절단 장치(B)에 의한 풀류의 예취 높이를 설정하는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후륜 전동 케이스(17)는, 상단부에 피구동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하단부에 후륜 구동축(25)을 구비하고, 상하의 중간 위치에 중간 출력축(26)을 구비하고, 후륜 구동축(25)에 후륜(2)이 연결되어 있고, 이 후륜 전동 케이스(17)에는 피구동축의 구동력을 후륜 구동축(25)과 중간 출력축(26)에 전달하는 체인식의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이 후륜 전동 케이스(17)는 기체 프레임(10)의 후단부에 연결 고정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구동축(도시하지 않음)과 동 축심 상에 주행 클러치 기구(27)와 입력 풀리(28)를 구비하고, 주행 클러치 기구(27)는, 입력 풀리(28)로부터 피구동축(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한다.
중간 출력축(26)의 외측 단부에 출력 스프로킷(29)을 구비하고, 이 출력 스프로킷(29)과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입력 스프로킷(22)에 걸쳐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연동 체인(30)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엔진(4)의 출력축에 구비한 제1 출력 풀리(31A)와 입력 풀리(28)에 무단 벨트로 이루어지는 전동 벨트(32)가 권회되어 있다. 이 전륜 전동 케이스(16)와, 후륜 전동 케이스(17)와, 엔진(4)의 구동력을 후륜 전동 케이스(17)에 전달하는 전동 벨트(32)와, 후륜 전동 케이스(17)의 구동력을 전륜 전동 케이스(16)에 전달하는 연동 체인(30)을 구비하여 주행 구동 기구(Dr)가 구성되어 있다.
주행 클러치 기구(27)를 조작하는 주행 클러치 레버(33)(도 10을 참조)가 조종 핸들(7)의 좌측 그립(7G)의 근방에 구비되고, 이 주행 클러치 레버(33)의 파지 조작에 의해 주행 클러치 기구(27)를 제어하는 주행 클러치 와이어(34)가, 주행 클러치 레버(33)와 주행 클러치 기구(27)의 조작 아암(27A)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세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주행 클러치 와이어(34)는 아우터 와이어의 내부에 이너 와이어를 수용한 구조를 갖고 있고, 주행 클러치 레버(33)에 이너 와이어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조작 아암(27A)에 이너 와이어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주행 클러치 레버(33)를 파지 조작함으로써 주행 클러치 와이어(34)를 통하여 주행 클러치 기구(27)가 온 조작 되어, 엔진(4)의 구동력이 전동 벨트(32)로부터 후륜 전동 케이스(17)에 전달된다. 이 전동에 의해 후륜(2)이 구동되고, 이 구동과 동기하는 구동력이 연동 체인(30)으로부터 전륜 전동 케이스(16)에 전달되어, 전륜(1)이 구동되어 주행 기체(A)의 주행이 행해진다.
〔예취 구동 기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하우징(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센터 기어 케이스(40)와, 사이드 하우징(13)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사이드 기어 케이스(41)를 구비하는 동시에, 센터 기어 케이스(40)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센터 블레이드(12)에 전달하는 전동계와, 구동축(4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2개의 조인트 기구(43)와, 신축 가능한 중간 전동축(44)과, 이들로부터의 구동력을 사이드 기어 케이스(41)의 수동축(45)에 전달하고, 이 사이드 기어 케이스(41)로부터 사이드 블레이드(l4)에 전달하는 전동계를 구비하여 예취 구동 기구(Dc)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2개의 조인트 기구(43)로서 유니버설 조인트 등, 굴절 상태에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중간 전동축(44)으로서 외축의 내부에 내축을 내부 끼움되어, 이 내부 끼움 부분에 스플라인이나 각축 등을 사용함으로써 토크 전동 가능하고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형태에서 신축 가능해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구동축(42)의 외측 단부 위치에는 구동 풀리(46)가 구비되고, 엔진(4)의 출력축에 구비한 제2 출력 풀리(31B)와, 구동 풀리(46)에 걸쳐 구동 벨트(47)가 권회되어, 이 구동 벨트(47)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텐션 풀리(48)가 구비되어 있다. 이 텐션 풀리(48)는 기체 프레임(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 아암(49)의 요동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텐션 아암(49)의 요동 조작에 의해 구동 벨트(47)의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50)가 조종 핸들(7)의 우측 그립(7G)의 근방에 구비되고, 예취 클러치 기구를 제어하는 예취 클러치 와이어(51)가 예취 클러치 레버(50)와 텐션 아암(49)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와이어(51)는, 아우터 와이어의 내부에 이너 와이어를 수용한 구조를 갖고 있고, 예취 클러치 레버(50)에 이너 와이어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텐션 아암(49)에 이너 와이어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예취 클러치 레버(50)를 파지 조작함으로써 예취 클러치 와이어(51)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 기구가 온 조작되므로, 엔진(4)의 구동력이 구동 벨트(47)로부터 예취 구동 기구(Dc)에 전달되어, 노면용 절단 장치(B)와 법면용 절단 장치(C)의 구동이 실현된다. 또한, 법면용 절단 장치(C)가 법면을 따르는 요동 자세에 도달한 경우에는, 이 요동 자세의 각도에 상관없이 2개의 조인트 기구(43)의 굴절과, 중간 전동축(44)의 신축에 의해 엔진(4)의 구동력이 법면용 절단 장치(C)에 전달된다.
〔노면용 절단 장치〕
센터 기어 케이스(40)는, 하부 케이스(40A)를 센터 하우징(11)에 대해 상하로 관통하는 자세로 구비되고, 이 하부 케이스(40A)에는 종방향 자세의 센터 구동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센터 구동축(55)이 지지되고, 구동축(42)의 구동력을 센터 구동축(55)의 상단부에 전달하도록 제1 센터 베벨 기어(56A)가 구동축(42)에 구비되고, 이것에 맞물리는 제2 센터 베벨 기어(56B)가 센터 구동축(55)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 센터 구동축(55)의 하단부에 지지 플레이트(57)를 고정 설치하고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57)의 하면에 권취 방지 콘(58)의 저벽부를 배치하고, 이 하측에 2매의 센터 블레이드(12)를 겹쳐 배치하고, 이들을 상하로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 볼트(59)를, 지지 플레이트(57)에 고정된 너트(57N)에 체결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7)에 대해 센터 블레이드(12)와, 권취 방지 콘(58)이 지지되어 있다.
권취 방지 콘(58)은, 하부의 외경보다 상부의 외경이 커지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권취 방지 콘(58)의 저벽부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에 대해 연결 볼트(59)가 삽입 관통하고, 2매의 센터 블레이드(12)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에 대해 연결 볼트(59)가 삽입 관통한다. 또한, 2매의 센터 블레이드(12) 중 상측의 센터 블레이드(12)의 외측 단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도록 굴곡시키고, 하측의 센터 블레이드(12)의 외측 단부를 하방으로 변위시키도록 굴곡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예취 구동 기구(Dc)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센터 구동축(55)과, 이 센터 구동축(55)에 의해 구동되는 센터 블레이드(12)를 구비하여 노면용 절단 장치(B)가 구성되어 있다.
〔법면용 절단 장치〕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기어 케이스(41)는, 하부 지지 케이스(41A)를 사이드 하우징(13)에 대해 상하로 관통하는 자세로 구비되고, 이 하부 지지 케이스(41A)에는 종방향 자세의 시프트축(61)과, 이 시프트축(61)에 하단부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 구조를 통하여 외부 끼움되는 통 형상의 사이드 구동축(62)이 사이드 구동 축심(Y)과 동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수동축(45)의 구동력을 시프트축(61)의 상단부에 전달하도록, 제1 사이드 베벨 기어(63A)가 수동축(45)에 외부 끼움되어, 이 제1 사이드 베벨 기어(63A)에 맞물리는 제2 사이드 베벨 기어(63B)가 사이드 구동 축심(Y)과 동 축심에 의해 구비되고, 이 제2 사이드 베벨 기어(63B)가 시프트축(61)의 상단부 부분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 구조를 통하여 외부 끼움됨으로써, 사이드 구동 축심(Y)의 방향으로 제2 사이드 베벨 기어(63B)와 시프트축(61)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축(61)의 하부의 외면과, 이것에 외부 끼움되는 통 형상의 사이드 구동축(62)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플라인 끼워 맞춤 구조가, 시프트축(61)과 사이드 구동축(62)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이드 구동 축심(Y) 방향으로 시프트축(61)과 사이드 구동축(62)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 수단의 일례이다. 이 전동 수단으로서 시프트축(61)의 하부와, 이것이 내부 끼움되는 사이드 구동축(62)의 구멍 형상 부분의 단면 형상을, 4각형 등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나, 시프트축(61)의 외면과 사이드 구동축(62)의 내면에 사이드 구동 축심(Y)을 평행한 자세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걸리는 키 등을 구비함으로써 전동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사이드 구동축(62)은,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형의 베어링(64)에 의해 하부 지지 케이스(4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사이드 구동축(62)의 하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5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57)의 하면에 권취 방지 콘(58)의 저벽부를 배치하고, 이 하측에 2매의 사이드 블레이드(14)를 겹쳐 배치하고, 또한 이 하측에 상부 플레이트(65)를 배치하고, 이들을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 볼트(59)를, 지지 플레이트(57)에 고정된 너트(57N)에 체결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7)에 대해 사이드 블레이드(14)와, 권취 방지 콘(58)과, 상부 플레이트(65)가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65)에는 한 쌍의 권취 방지편(65A)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형성되고, 권취 방지편(65A)에는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의 폭을 작게 하는 오목 형상부(65B)가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시프트축(61)의 하단부가 사이드 구동축(62)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이 하단부에 하부 플레이트(70)가 고정 볼트(71)에 의해 고정되고, 이 하부 플레이트(70)의 하측에 접지체(72)가 복수의 보유 지지 볼트(7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보유 지지 볼트(73)가 접지체(72)에 고정되고,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보유 지지 너트(74)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 상태에 도달한다.
하부 플레이트(70)에는, 한 쌍의 권취 방지체(70A)가 상방으로 돌출된 자세로 형성되고, 권취 방지체(70A)에는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의 폭을 작게 하는 오목 형상부(7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권취 방지체(70A)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부 플레이트(65)에 형성된 한 쌍의 권취 방지편(65A)을 연결하는 직선이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도록, 한 쌍의 권취 방지편(65A)과 한 쌍의 권취 방지체(70A)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설정되고, 이들 권취 방지체(65A, 70A)에 의해 시프트축(61)에 풀 등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권취 방지편(65A)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65B)와, 한 쌍의 권취 방지체(70A)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70B)는 연결 볼트(59)의 헤드부나, 보유 지지 너트(74)를 조작하는 스패너 등의 공구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7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이고, 중앙부일수록 하방으로 돌출되는 주발 형상의 성형물이며, 예취 작업시에, 이 접지체(72)의 중앙부가 법면(지면)에 접촉함으로써, 법면과 사이드 블레이드(14)의 거리를 정하여,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지체(72)는 시프트축(6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접지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법면(지면)에 대한 원활한 활동성을 실현하고 있다. 사이드 기어 케이스(41)의 근방 위치에 접지체(72)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정하는 사이드 예취 높이 설정 기구가 구비되고, 그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사이드 예취 높이 조절 기구〕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구동 축심(Y)과 평행 자세의 조작축(77)이, 그 상단부를 사이드 기어 케이스(4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사이드 기어 케이스(41)에 구비되어 있다. 시프트축(61)의 중간 위치의 외주에는 환형상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환형상 홈부에 베어링(78A)을 통하여 결합되는 결합 부재로서의 시프터(78)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축(77)의 하단부에는 나사부(77A)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77A)에 대해 시프터(78)의 암나사부를 나사 결합시키고, 이 시프터(78)의 포크 부분을 베어링(78A)에 결합시키고 있다. 조작축(77)의 상단부에 회전 조작 아암(79)이 구비되고, 이 회전 조작 아암(79)의 외측 단부에는 노브(79A)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77)과, 나사식으로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시프터(78)를 구비하여 시프트축(61)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노브(79A)를 파지하여 조작축(77)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시프터(78)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 작동에 수반하여 시프트축(61)을 상하 이동시켜, 접지체(72)와 사이드 블레이드(14)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거리를 변경하므로 예취 높이의 조절이 실현된다.
법면용 절단 장치(C)에 의해 풀류를 절단할 때는, 법면용 절단 장치(C)가 자중에 의해 요동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하강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접지체(72)가 법면(지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 접지체(72)의 접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이드 구동 축심(Y)의 방향으로 사이드 블레이드(14)의 회전 궤적이 존재하는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가 예취 높이로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노브(79A)를 조작하여 접지체(72)의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접지체(72)의 지면과의 접지 위치를 기준으로 한 사이드 블레이드(14)에 의한 절단 레벨을 변화시켜 예취 높이의 조절이 실현되는 것이다.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플랜지부에 종방향 자세의 보조 플레이트(81)가 고정 설치되고, 이 보조 플레이트(81)에 대해 결합판(82)이 지지되고, 이 결합판(82)에는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이 원호면에 대해 복수의 결합 구멍(82A)이 천공되어 있다. 전방부 브래킷(20)에는, 결합판(82)의 원호면의 결합 구멍(82A)과 대향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 자세의 가이드 통(83)이 고정 설치되고, 이 가이드 통(83)에 대해 핀 형상의 로크 부재(84)가 출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84)를 결합 구멍(82A)의 방향으로 돌출 가압하는 로크 스프링(85)이 가이드 통(83)의 내부에 구비되고, 로크 부재(84)에는, 이 로크 부재(84)를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 와이어로서의 로크 해제 와이어(86)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결합 구멍(82A)이 형성된 결합판(82)과, 이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결합부의 일례)에 결합 이탈되는 로크 부재(84)(로크체의 일례)에 의해 전륜 전동 케이스(16)(지지체의 일례)의 요동 자세를 고정하는 고정 상태와, 자유로운 요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 조작부(F)가 구성되어 있다.
조종 핸들(7)의 좌측 그립(7G)의 근방에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압입 조작하는 조작 형태로 되는 로크 해제 레버(88)가 축체(89)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로크 해제 레버(88)에 대해 로크 해제 와이어(86)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레버(88)와, 이 로크 해제 레버(88)의 조작력을 로크 부재(84)에 전달하는 로크 해제 와이어(86)에 의해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로크 부재(84)를 분리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로크 해제 와이어(86)는 아우터 와이어의 내부에 이너 와이어를 수용한 구조를 갖고 있고, 로크 해제 레버(88)에 이너 와이어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로크 부재(84)에 이너 와이어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판(82)과, 이 결합판(82)의 복수의 결합 구멍(82A)에 결합 이탈되는 로크 부재(84)와, 로크 스프링(85)과, 로크 해제 와이어(86)와, 로크 해제 레버(88)를 구비하여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륜 전동 케이스(16)는 지지 축심(Q)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에 로크 부재(84)가 걸리는 로크 상태에서는,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요동 자세가 유지된다. 또한,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로크 부재(84)를 인출한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자중에 의해 전단부측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한,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전단부측을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이 하방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로크 해제 레버(88)를 하방으로 압입 조작하고,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로크 부재(84)를 인출한 로크 해제 상태로 설정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종 핸들(7)을 밀어내림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후륜(2)의 접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주행 기체(A)의 전방부를 들어올릴 수 있어, 전륜 전동 케이스(16)가, 그 전단부측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로크 해제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종 핸들(7)을 들어올림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후륜(2)의 접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주행 기체(A)의 전방부를 내릴 수 있어, 전륜 전동 케이스(16)가, 그 전단부측이 올라가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즉, 조종 핸들(7)을 밀어내리거나, 또는 들어올림으로써, 센터 블레이드(12)의 대지 높이를 임의로 세트할 수 있고, 이 세트 상태에 있어서, 로크 해제 레버(88)의 압입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로크 부재(84)가 로크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구멍(82A)에 결합되는 상태에 도달하고, 센터 블레이드(12)의 대지 높이를 유지하는 상태로 되어 예취 높이의 조절이 실현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수평 자세로 되는 노면과, 이 노면에 경사지는 자세의 법면의 풀류를 동시에 예취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취기의 주행 기체(A)의 전륜(1)과 후륜(2)을 노면에 접지시켜, 사이드 하우징(13)을 법면의 상방에 배치하고, 이 사이드 하우징(13)을 요동 축심(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공기 형상의 접지체(72)가 접지됨으로써 사이드 하우징(13)이 법면에 평행으로 되는 자세에 도달한다. 이후에, 예취 클러치 레버(50)에 의해 예취 클러치 기구를 온 조작하고, 주행 클러치 레버(33)에 의해 주행 클러치 기구(27)를 온 조작 하여 작업을 개시함으로써, 노면용 절단 장치(B)를 노면을 따르게 하는 형태에서 노면의 풀류의 예취가 행해지고, 이것과 동시에, 공기 형상의 접지체(72)가 구동 회전하는 상태에서 법면에 접촉함으로써 낮은 저항에서 회전하여 원활한 이동을 행하면서, 법면용 절단 장치(C)를 법면을 따르게 하는 형태에서 법면의 풀류의 예취가 행해진다.
노면용 절단 장치(B)의 예취 높이 조절을 행하는 경우에는, 로크 해제 레버(88)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 조작함으로써 전환 조작부(F)의 결합판(82)의 결합 구멍(82A)으로부터 로크 부재(84)를 뽑아냄으로써 로크를 해제한다. 이 로크 해제 상태에서 조종 핸들(7)의 밀어내림량의 조절, 또는 들어올림량의 조절에 의해, 센터 블레이드(12)를 목표로 하는 예취 높이로 세트하고, 로크 해제 레버(88)의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로크 부재(84)가, 로크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의해 세트된 높이의 근방의 결합 구멍(82A)에 결합되므로 전륜 전동 케이스(16)가 로크되어 예취 높이 조절이 실현된다.
법면용 절단 장치(C)의 예취 높이 조절을 행하는 경우에는, 회전 조작 암(79)의 노브(79A)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시프트축(61)을 상하로 작동시켜 사이드 블레이드(14)와 접지체(72)의 상대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예취 높이 조절이 실현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a) 전환 조작부(F)를,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결합판의 원호면에 구비한 복수의 핀과, 이 복수의 핀에 결합되는 구멍부를 가진 피결합 부재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이어도, 핀과 구멍부의 결합에 의해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요동 자세를 변경하여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지고, 변경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조작 유닛으로서의 조작 와이어 등에 의해 피결합 부재를 핀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조작 형태를 설정해도 된다.
(b) 센터 예취 높이 조절 기구로서, 결합판(82)의 외주의 원호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이 다수의 요철에 결합 이탈 가능한 다수의 요철면을 형성한 로크 부재(84)를 구비하고, 이 로크 부재(84)를 결합판(82)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로크 스프링(85)을 구비하고, 로크 부재(84)를 로크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격시키기 위한 조작 와이어 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구멍(82A)에 대해 단일 로크 부재(84)를 결합 이탈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륜 전동 케이스(16)의 요동 자세를 작은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취 높이 조절의 미묘한 설정이 실현된다.
(c) 조작 유닛으로서, 로드 재를 사용한 링크 기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서 것이어도, 전환 조작부(F)의 전환 조작을 조종 핸들(7)의 부위로부터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 시프트축(61)의 상하 조작에 의해 접지체(72)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노면용 절단 장치(B)에 적용한다. 이에 의해, 공통되는 부품의 이용이 가능해져, 동일한 조작 형태에서 복수의 블레이드의 예취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e) 법면용 절단 장치(C)로서, 복수의 사이드 블레이드(14)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사이드 블레이드(14) 중 하나에 접지체(72)를 구비하고, 이 접지체(72)의 상하의 위치 조절을 행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사이드 블레이드(14)를 구비한 것이어도, 하나의 접지체(72)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구성에 의해 예취 높이 조절이 실현된다.
(f)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축(61)의 상단부를 제2 사이드 베벨 기어(63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설치한다. 이 시프트축(61)의 상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 홈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로서의 시프터(78)를 구비하고, 이 시프터(78)를 사이드 구동 축심(Y)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조작축(77)에 형성된 나사부(77A)에 시프터(78)의 암나사부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조절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이어도 작업자가 노브(79A)를 파지하여 조작축(77)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시프터(78)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 작동에 수반하여 시프트축(61)을 상하 이동시켜, 접지체(72)와 사이드 블레이드(14)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거리를 변경하므로 예취 높이의 조절이 실현된다.
특히, 이 다른 실시 형태(f)에서는, 제2 사이드 베벨 기어(63B)와 사이드 구동축(62)을 통 형상으로 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통 형상체의 내면에 대해 시프트축(61)을 스플라인 끼워 맞춤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사이드 구동축(62)의 치수를 길게 하여 강도의 향상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예취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2 : 차륜(전륜, 후륜)
4 : 원동부(엔진)
7 : 핸들(조종 핸들)
11 : 예취날(센터 블레이드)
13 : 하우징(사이드 하우징)
14 : 예취날(사이드 블레이드)
16 : 지지체·전동 케이스(전륜 전동 케이스)
41A : 하우징(하부 기어 케이스)
61 : 시프트축
62 : 구동축(사이드 구동축)
72 : 접지체
77 : 조작축
77A : 나사부
78 : 결합 부재(시프트)
82 : 결합판
82A : 결합부·결합 구멍
84 : 로크체·로크 부재
85 : 로크 스프링
86 : 조작 와이어(로크 해제 와이어)
88 : 로크 해제 레버
A : 기체(주행 기체)
Dc : 전동 기구(예취 구동 기구)
F : 전환 조작부
P : 요동 축심
Q : 지지 축심
X : 구동 축심(센터 구동 축심)
Y : 구동 축심(사이드 구동 축심)

Claims (8)

  1. 기체에 종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전방부에 전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상기 기체에 대해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지지체의 요동 자세의 설정에 의해 상기 예취날의 예취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예취기이며,
    상기 조절 기구가, 상기 지지체의 자세를 고정하는 고정 상태와, 상기 지지체의 자세의 자유로운 요동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 조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의 그립 중에서 동일한 그립의 근방에, 주행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는 주행 클러치 레버와, 상기 전환 조작부를 상기 고정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로크 해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클러치 레버를 상방에 파지 조작함으로써 주행 클러치 기구가 온 조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크 해제 레버를 하방으로 압입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환 조작부가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환 조작부에 의해 상기 지지체를 상기 해제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기체의 전방부의 들어올림 높이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전륜의 하방 또는 상방으로 자유롭게 변위시키고, 이 변위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체의 요동이 허용되는, 예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작부가, 상기 지지체의 복수의 요동 자세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부와, 복수의 상기 결합부 중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체의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로크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 조작부로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로크체의 결합 및 해제의 전환을 행하는 조작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 영역에 복수의 결합 구멍이 배치되는 결합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크체가,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 이탈되는 로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환 조작부가,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시키는 가압력을 얻는 로크 스프링을 갖고 있고, 상기 조작 유닛이, 상기 로크 부재를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을 작용시키는 조작 와이어를 갖고, 상기 로크 해제 레버는, 이 조작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취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원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가,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륜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내장하는 전동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예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축심은 제1 구동 축심이고, 종방향 자세의 제2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예취용 예취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측에 접지체를 배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내부 끼움되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의 구동 축심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시프트축을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축의 하단부에 상기 접지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축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는, 예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축이 삽입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부의 내주와 상기 시프트축의 외주 사이에,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시프트축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시프트축을 일체 회전시키는 전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예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가, 상기 시프트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프트축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구동 축심에 평행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조작축과, 이 조작축이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구동 축심을 따라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취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기체에 지면에 접하는 차륜과 원동부가 구비되고, 이 기체의 측부 위치에서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기단부가 지지되고, 이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축이 지지되고, 이 구동축에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예취기.
KR1020120020434A 2011-09-29 2012-02-28 예취기 KR101518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5367 2011-09-29
JP2011215366A JP5706287B2 (ja) 2011-09-29 2011-09-29 草刈機
JP2011215367A JP5896672B2 (ja) 2011-09-29 2011-09-29 草刈機
JPJP-P-2011-215366 201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61A KR20130035161A (ko) 2013-04-08
KR101518102B1 true KR101518102B1 (ko) 2015-05-06

Family

ID=4843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34A KR101518102B1 (ko) 2011-09-29 2012-02-28 예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8102B1 (ko)
TW (1) TWI474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1805B2 (ja) * 2020-09-24 2023-04-04 三笠産業株式会社 回転式操作ハンドルのロック切換機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16A (ja) 2001-12-20 2003-07-02 Iseki & Co Ltd 移動農機
JP2005137272A (ja) * 2003-11-06 2005-06-02 Kubota Corp 歩行型草刈機
JP2010273584A (ja) * 2009-05-27 2010-12-09 Kubota Corp 草刈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639U (ko) * 1974-09-30 1976-04-02
JPH11137045A (ja) * 1997-11-12 1999-05-25 Kioritz Corp 機体の地上高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16A (ja) 2001-12-20 2003-07-02 Iseki & Co Ltd 移動農機
JP2005137272A (ja) * 2003-11-06 2005-06-02 Kubota Corp 歩行型草刈機
JP2010273584A (ja) * 2009-05-27 2010-12-09 Kubota Corp 草刈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61A (ko) 2013-04-08
TWI474775B (zh) 2015-03-01
TW201313115A (zh)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5332B2 (en) Walk-behind,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JP5896672B2 (ja) 草刈機
US20080121065A1 (en) Work machine
US10625797B2 (en) Snow thrower track drive
EP3282826B1 (en) Lawn mower cutting height adjustment assembly
JP2018088832A (ja) 作業機
JP6651369B2 (ja) 歩行型刈取機
KR101518102B1 (ko) 예취기
JP2015514419A (ja) フレイル草刈機およびフレイル草刈機用のリンク機構
JP4014560B2 (ja) 歩行型草刈機
JP5706287B2 (ja) 草刈機
JP4082538B2 (ja) バリカン式草刈機
JP3844910B2 (ja) 草刈機
JP4564252B2 (ja) 歩行型草刈機
JP5843667B2 (ja) 歩行型作業機
JP4148877B2 (ja) 作業機の前後進切換え構造
JP3664051B2 (ja) 歩行型草刈機
JPH071719U (ja) ハンドル取付角調節装置
JPH0870671A (ja) 草刈機
JP2009083564A (ja) 歩行型移動農機
JPH09238544A (ja) 草刈機
JPH0739225A (ja) 自走式草刈機
JPH09238546A (ja) 草刈機
JPH09238541A (ja) 草刈機
JPH09238538A (ja) 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