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242A -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242A
KR20150018242A KR1020130094906A KR20130094906A KR20150018242A KR 20150018242 A KR20150018242 A KR 20150018242A KR 1020130094906 A KR1020130094906 A KR 1020130094906A KR 20130094906 A KR20130094906 A KR 20130094906A KR 20150018242 A KR20150018242 A KR 20150018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device
patterns
display devices
scatter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194B1 (ko
Inventor
임재익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194B1/ko
Priority to US14/288,846 priority patent/US964528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정면의 휘도 손실 없이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정면의 휘도 손실 없이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네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표시장치로서 적용된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표시 장치들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과 높은 휘도 및 빠른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색 특성이 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 백색이 구현되더라도 측면에서 관찰 시에는 백색에서 특정 색으로 변화된 색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색 변이(color shift) 현상이라 한다.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면에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사용으로 인해 정면의 휘도 손실 또는 무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정면의 휘도 손실 없이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란층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원통형, 반구형, 및 육면체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의 크기는 10nm 내지 9㎛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은 20% 이하의 헤이즈(haz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2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2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프레스 기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요철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요철 원단과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 사이에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과 하판 사이의 거리를 좁혀 상기 요철 원단 및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상기 요철 원단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기계가 상기 요철 원단 및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의 표면에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상부면에 복수의 구슬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슬이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상부면에 비주기적인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은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정면의 휘도 손실 없이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100)은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을 포함한다.
투명층(1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투명층(110)으로 입사되는 광은 대부분 정면으로 투과된다.
산란층(120)은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입자(122)를 포함하고 있어, 산란층(120)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산란 입자(122)에 의해 산란된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은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이 수평 방향으로 뻗을 수도 있으며, 격자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의 경계면은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100)은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됨으로써, 필름(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비등방 산란됨으로써, 정면의 휘도 손실 없이 측면의 색 변이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필름(1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패턴(13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패턴(130)은 필름(1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패턴(130)은 비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패턴(130)들 사이의 간격은 불규칙적일 수 있다.
패턴(130)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패턴(130)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130)은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패턴(130)은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패턴(130)의 크기는 10nm 내지 9㎛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130)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때, 패턴(130)의 직경이 10nm 내지 9㎛일 수 있다. 복수의 패턴(130)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패턴(130)이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패턴(130)들 사이의 간격이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패턴(130)의 크기 및/또는 간격을 불규칙적으로 함으로써, 비주기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필름(100)은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됨에 따라 간섭이 발생하여 무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복수의 패턴(130)을 비주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의 주기성을 소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130)에 의해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턴(130)은 필름(100)의 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표 1을 참고하여 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패턴의 크기: 2㎛ 패턴의 크기: 0.7㎛
패턴의 비율(%) 헤이즈(%) 투과율(%) 패턴의 비율(%) 헤이즈(%) 투과율(%)
85.39561 86.50729 75.43963 63.55784 92.31319 54.2255
73.41258 77.71087 82.58578 40.48421 90.37656 70.19564
64.37872 69.39686 86.7871 31.82033 86.74806 76.30437
36.63569 39.57112 95.22185 25.73349 81.70134 81.13394
27.35311 29.22624 96.66361 11.58063 81.70134 81.13394
21.68439 22.88414 97.56476 7.962863 40.81153 94.54924
15.33025 15.90457 98.15857 6.067414 32.78378 95.90831
4.110513 23.29753 97.05983
필름(100)에서 패턴(130)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질수록 헤이즈(haze)도 감소하여 패턴(130)에 의해 광이 산란되는 비율은 줄어들게 되고, 투과율은 증가하게 된다.
패턴(130)을 직경 2㎛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헤이즈(haze)가 약 22.88%일 때 투과율은 약 97.56%이고, 헤이즈가 약 15.90%일 때 투과율은 약 98.16%이다.
또한, 패턴(130)을 직경 0.7㎛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헤이즈가 약 23.30%일 때 투과율은 약 97.06%이다.
즉, 실험 결과로 미루어볼 때, 패턴(130)이 20% 이하의 헤이즈로 이루어질 때 필름(100)은 약 97%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투과율 저하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표시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패턴의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10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을 포함하고,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복수의 패턴(13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패턴(130)은 비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패턴(130)들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적일 수 있다.
패턴(130)은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패턴(130)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130)은 육면체형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패턴(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130)은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턴(130)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물결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턴(130)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패턴(13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패턴(130) 중 일부 패턴(130)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패턴(130)은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패턴(130)의 형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비주기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510)과 하판(520)을 포함하는 프레스 기계(500)를 준비한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프레스 기계(500)의 상판(510)과 하판(5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어, 프레스 기계(500)의 상판(510)과 하판(520) 사이에 요철 원단(200)을 배치한다. 이때, 요철 원단(200)은 상판(51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요철 원단(20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패턴(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패턴(202)은 비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패턴(202)의 간격이 불규칙적이나, 복수의 패턴(202) 형상 또는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어, 요철 원단(200)과 프레스 기계(500)의 상판(510) 사이에 표시 장치용 필름(100)을 배치한다. 이때, 필름(100)은 요철 원단(200)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름(100)의 하부면이 요철 원단(200)의 패턴(20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필름(10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110) 및 산란층(12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기계(500)의 상판(510)과 하판(520) 사이의 거리를 좁혀 요철 원단(200) 및 필름(100)에 압력을 가한다. 압력에 의해 요철 원단(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202)이 필름(100)의 하부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필름(100)의 하부면에 복수의 패턴(130)이 비주기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요철 원단(20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202)의 형상을 변경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요철 원단(20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패턴(202)의 크기, 간격, 형상 등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필름(100)의 하부면에 복수의 패턴(130)을 비주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표시 장치용 필름(100)을 준비한다. 표시 장치용 필름(10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110) 및 산란층(120)을 포함한다.
이어, 필름(100)의 상부면에 복수의 구슬(bead, 610)을 포함하는 바인더(600)를 코팅한다. 바인더(600)는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슬(610)은 고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인더(600)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슬(610)을 바인더(600)에 섞어서 필름(100) 위에 코팅한 후 경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구슬(610)이 필름(100) 위에 비주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슬(610)이 비주기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필름(100)의 상부면에는 비주기적인 복수의 패턴이 형성된다. 복수의 패턴의 형상은 구슬(61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구슬(610)의 형태가 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패턴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슬(610)은 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슬(610)의 크기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구슬(610)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100)은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을 포함한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의 경계면은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의 경계면이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이루는 각은 2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따라서, 필름(100)의 단면을 살펴보면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더라도 투명층(110)이 반복되는 주기와 산란층(120)이 반복되는 주기가 서로 겹치게 하여 주기를 소멸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아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필름에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필름(100)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을 포함하고, 투명층(110)과 산란층(120)의 경계면은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2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있다.
필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복수의 패턴(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패턴(130)은 비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패턴(130)의 크기, 간격, 및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필름
110: 투명층
120: 산란층
122: 산란 입자
130: 필름의 패턴
200: 요철 원단
202: 요철 원단의 패턴
500: 프레스 기계
510: 프레스 기계의 상판
520: 프레스 기계의 하판
600: 바인더
610: 구슬

Claims (20)

  1. 표시 장치용 필름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원통형, 반구형, 및 육면체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크기는 10nm 내지 9㎛인,
    표시 장치용 필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20% 이하의 헤이즈(haze)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수직인,
    표시 장치용 필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2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루는,
    표시 장치용 필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13. 표시 장치용 필름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층과 상기 산란층의 경계면은 상기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2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루는,
    표시 장치용 필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
  15.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프레스 기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요철 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요철 원단과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 사이에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스 기계의 상판과 하판 사이의 거리를 좁혀 상기 요철 원단 및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상기 요철 원단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기계가 상기 요철 원단 및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표시 장치용 필름의 표면에 비주기적으로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18.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투명층 및 산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상부면에 복수의 구슬을 포함하는 바인더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이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상부면에 비주기적인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30094906A 2013-08-09 2013-08-09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06A KR102087194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14/288,846 US9645288B2 (en) 2013-08-09 2014-05-28 Film fo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06A KR102087194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42A true KR20150018242A (ko) 2015-02-23
KR102087194B1 KR102087194B1 (ko) 2020-03-11

Family

ID=5244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906A KR102087194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5288B2 (ko)
KR (1) KR102087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937A (ko) * 2013-10-14 2015-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시트,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5023632A (zh) * 2020-02-12 2022-09-06 迪睿合株式会社 伪随机点图案及其作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105A (ja) * 1998-06-05 2000-02-25 Dainippon Printing Co Ltd 指向性光拡散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US6424395B1 (en) * 1998-04-08 2002-07-23 Toppan Printing Co., Ltd. Light scatter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46921U (ja) * 2007-11-26 2008-12-04 遠東紡織股▲分▼有限公司 光学シート
JP2010237585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Paper Chemical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8351119B2 (en) * 2010-01-20 2013-01-08 Gigastorage Corporation Multi-coated hybrid optical film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921B2 (ja) * 1995-04-27 2001-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フロー装置
US6301418B1 (en) * 1997-10-24 2001-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waveguide with diffuse light extraction
US6297908B1 (en) * 1998-06-05 2001-10-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rectional light-diffus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a display device that uses same
EP1197765B1 (en) 2000-03-23 2003-11-1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mission light-scattering layer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76866B1 (ko) 2008-12-01 2010-08-23 한국기계연구원 반사 방지 필름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CN102472847B (zh) 2009-07-16 2014-03-12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衍射光栅、使用该衍射光栅的有机el元件及其制造方法
KR101107180B1 (ko) 2009-11-10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7055B1 (ko) 2012-05-09 2018-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395B1 (en) * 1998-04-08 2002-07-23 Toppan Printing Co., Ltd. Light scatter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056105A (ja) * 1998-06-05 2000-02-25 Dainippon Printing Co Ltd 指向性光拡散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3146921U (ja) * 2007-11-26 2008-12-04 遠東紡織股▲分▼有限公司 光学シート
JP2010237585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Paper Chemical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8351119B2 (en) * 2010-01-20 2013-01-08 Gigastorage Corporation Multi-coated hybrid optical film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194B1 (ko) 2020-03-11
US20150043080A1 (en) 2015-02-12
US9645288B2 (en) 201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8316A (ko) 빛의 조준-확산 구조를 갖는 광학기판
CN104238213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2372411A1 (en) Optical filter for reducing color shift in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49799B (zh) 在基板上形成凹凸結構的方法與模具製作的方法
CN108008576B (zh) 一种扩散片及其制作方法、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40047412A (ko) 탠덤 배열 렌즈 시트
US1195048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grooves on surfaces of color resist units
KR102087194B1 (ko) 표시 장치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11060994A (zh) 防眩光膜与显示面板
JP5834524B2 (ja) 光学部材、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068856A (ja) マイクロルーバー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011667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EP1045273B1 (en)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uperior display quality
KR20120075059A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US1177479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66474B1 (ko) 기판
JP2009053686A (ja) 谷部断面を凹曲線化した曲面化プリズム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449633B1 (ko) 고휘도 모아레 프리 마이크로 렌즈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마이크로 렌즈 필름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장치
KR20120139283A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CN112485941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0953696B1 (ko) 복합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1012778B1 (ko) 발산 반사의 방향성을 가진 반사 구조와 이를 구비한 장치
KR20160091179A (ko)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광학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7137B1 (ko) 확산수단이 일체화된 확산판 기능포함 복합광학시트
KR20120121563A (ko) 인쇄 공정에 의한 눈부심 방지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