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06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067A
KR20150018067A KR1020130094511A KR20130094511A KR20150018067A KR 20150018067 A KR20150018067 A KR 20150018067A KR 1020130094511 A KR1020130094511 A KR 1020130094511A KR 20130094511 A KR20130094511 A KR 20130094511A KR 20150018067 A KR20150018067 A KR 20150018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ircuit board
pad portion
circui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170B1 (ko
Inventor
김동호
박대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1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곡면 표시패널과 밀착되어 배치 가능하면서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는 저감된 회로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제1 패드부와, 상기 제1 패드부와 상이한 단부에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제3 패
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면 표시패널과 밀착되어 배치 가능하면서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는 저감된 회로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형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곡면 표시장치의 경우, 표시패널이 적어도 어느 일 방향, 예컨대 가로방향을 따라 휘어지면서 곡면을 갖게 된다.
한편, 표시패널은 이에 연결된 회로기판을 통해 각종 전원 및/또는 신호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에 연결된 후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서 실장된다.
하지만, 표시패널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표시패널과 회로기판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회로기판이 접히거나 휘어지는 부분에 물리적 스트레스가 집중되면서 회로기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곡면 표시패널과 밀착되어 배치 가능하면서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는 저감된 회로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제1 패드부와, 상기 제1 패드부와 상이한 단부에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제3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 각각은, 상기 제2 및 제3 패드부가 형성되는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개부는 반원형 혹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패드부 각각은, 상기 절개부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배치된 제2 및 제3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일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3 패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기판과, 상기 연결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적어도 두 개의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제1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은 배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은 곡면 표시패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형태의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패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은, 박막의 필름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연결되면서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한 적어도 이 중 구조의 회로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회로기판을 접어서 실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기 회로기판이 접히거나 구부러질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곡면 표시패널과 회로기판이 중첩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들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회로기판의 휘어지는 단부에 절개부를 형성함에 의하여,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를 저감하여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일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회로기판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1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회로기판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2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회로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2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표시패널에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일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다른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과, 상기 표시패널(10)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20)과, 상기 제1 회로기판(20)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10)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패널(10)의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대향되는 상이한 면으로, 일례로 제1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으로 설정되고 제2면은 배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패널(10)은 일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패널(10)은 적어도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은 가로 방향을 따라 휘어진 곡면을 갖는 곡면 표시패널(Curved Display Panel)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소정의 고정된 곡률을 가지는 형태의 곡면 표시패널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표시패널(10)은 형태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패널로 형성되되, 일례로 제1 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 내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된 표시패널일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0)은, 표시패널(10)과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 패드부(22)와, 제2 회로기판(30)과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2 패드부(26)를 포함한다.
제1 패드부(22)는 표시패널(10)의 제1면, 예컨대 전면의 일측 단부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1 패드부(22)는 상기 표시패널(10)을 향하는 일면(예컨대, 배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제1 패드들(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패드들(24)은 도시되지 않은 표시패널(10) 상의 각종 전원선들 및/또는 신호선들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1 회로기판(20)으로부터의 구동 전원들 및/또는 신호들이 표시패널(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6)는 제2 회로기판(30)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1 회로기판(20)의 상기 제2 회로기판(30)을 향하는 일면 단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패드부(26)는 제1 패드부(22)와 같이 제1 회로기판(2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패드부(26)는 제1 회로기판(20) 상에서 제1 패드부(22)와는 상이한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례로 제1 패드부(22)와 동일한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패드부(22)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되는 다른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부(26)는 제2 회로기판(30)의 패드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패드들(28)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회로기판(30)으로부터의 각종 전원들 및/또는 신호들이 제1 회로기판(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30)은, 제2 패드부(26)와 중첩되면서 상기 제2 패드부(26)에 연결되는 제3 패드부(3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3 패드부(32)는 제2 회로기판(30)의 제1 회로기판(20)을 향하는 일면 단부에 형성되며, 제2 패드들(28) 각각과 대응되는 제3 패드들(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회로기판(30)은 표시패널(10)의 제2면, 예컨대 배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의 제1면(예컨대, 전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20)과, 상기 제1 회로기판(20)에 연결되면서 상기 표시패널(10)의 제2면(예컨대,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0)을 포함한 적어도 이 중 구조의 회로기판(20, 30)을 구비한다.
따라서, 회로기판(20, 30)을 접어서 실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기 회로기판(20, 30)이 접히거나 구부러질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은 곡면 표시패널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형태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20)도 표시패널(10)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져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로기판(20)의 제1 패드부(22)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표시패널(10)의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기판(20)을 통해 상기 표시패널(10)과 연결되면서 상기 표시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0)도, 제1 회로기판(20)과 같이 표시패널(10)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져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0)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은 박막의 필름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이 표시패널(10)의 곡면 형태를 따라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표시패널(10)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이 휘어져 실장되게 되면,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의 단부, 특히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단부에 하나 이상의 절개부(29, 39)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 각각은 제2 및 제3 패드부(26, 32)가 형성되는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29, 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9, 39)는 일례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절개부(29, 39)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29, 39)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일자 형태의 슬릿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회로기판이 접히는 구조로 실장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및 제3 패드부(26, 32)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이 앞뒤로 압착되는 것으로 절개부(29, 39)가 형성되더라도 이러한 절개부(29, 39)가 배선공간의 제약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29, 39)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제2 및 제3 패드들(28, 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및 제3 패드부(26, 32)에 절개부(29, 39)가 형성되더라도 이로 인해 배선공간이 좁아지지는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패널(10)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20)과, 상기 제1 회로기판(20)에 연결되면서 상기 표시패널(10)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30)을 포함한 적어도 이 중 구조의 회로기판(20, 30)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회로기판(20, 30)을 접어서 실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회로기판(20, 30)이 접히거나 구부러질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0, 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곡면 표시패널(10)과 회로기판(20, 30)이 중첩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들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의 휘어지는 단부에 절개부(29, 39)를 형성함에 의하여, 휘어짐에 따른 스트레스를 저감하여 회로기판(20, 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회로기판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1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0)은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한다. 이중,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패널(10) 및 제2 회로기판(30)을 향하는 제2면에는, 각각 제1 패드들(24) 및 제2 패드들(28)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22) 및 제2 패드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부(26) 측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회로기판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2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회로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 제2 회로기판의 제1면 및 제2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2 회로기판(30)은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한다. 이중,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회로기판(20)을 향하는 제2면에는, 상기 제1 회로기판(20)의 제2 패드부(26)에 대응되는 제3 패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패드부(32)는 제2 패드부(26)의 제2 패드들(28) 각각에 대응되는 제3 패드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로기판(30)은 반드시 하나의 회로기판으로만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30')은, 제1 회로기판(20)에 연결되는 연결기판(30a)과, 상기 연결기판(30a)을 경유하여 제1 회로기판(20)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30b)을 포함한 적어도 두 개의 회로기판(30a, 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기판(30a)은 제1 회로기판(20)을 향하는 제2면에, 상기 제1 회로기판(20)과의 연결을 위한 제3 패드들(34)을 포함한 제3 패드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30b)은 도시되지 않은 패드부를 통하여 연결기판(30a)에 연결되며,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10)의 제2면, 즉 배면 상에 배치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표시패널에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b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의 제1면 단부 상에 제1 회로기판(20)을 압착하여 연결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제1 회로기판(20)의 제2면에 형성된 제1 패드부(22)가 표시패널(10)의 일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10)에 연결된다.
한편, 표시패널(10)의 제2면 측에서 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20)의 제2 패드부(26)가 노출된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제2 패드부(26) 상에 도 4b에 도시된 제2 회로기판(30)의 제3 패드부(32)를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압착시킴에 의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을 서로 연결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의 절개부(29, 39)가 형성된 단부는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되, 제1 및 제2 회로기판(20, 30)의 다른 측 단부는 각각 표시패널(10)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표시패널 20: 제1 회로기판
22: 제1 패드부 24: 제1 패드
26: 제2 패드부 28: 제2 패드
29, 39: 절개부 30, 30': 제2 회로기판
32: 제3 패드

Claims (11)

  1.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1면 상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제1 패드부와, 상기 제1 패드부와 상이한 단부에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제3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 각각은, 상기 제2 및 제3 패드부가 형성되는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반원형 혹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패드부 각각은, 상기 절개부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배치된 제2 및 제3 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일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3 패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기판과, 상기 연결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적어도 두 개의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제1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2면은 배면으로 설정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곡면 표시패널인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방향을 따라 휘어진 형태의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패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은, 박막의 필름기판으로 형성된 표시장치.
KR1020130094511A 2013-08-09 2013-08-09 표시장치 KR10210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11A KR102107170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11A KR102107170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67A true KR20150018067A (ko) 2015-02-23
KR102107170B1 KR102107170B1 (ko) 2020-05-07

Family

ID=5304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11A KR102107170B1 (ko) 2013-08-09 2013-08-0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2077A (zh) * 2018-11-07 2019-01-11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液晶显示装置的制作方法
US10575403B2 (en) 2016-10-05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96010A1 (ko) * 2019-11-11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2675B2 (ja) * 2003-01-30 2008-06-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可撓配線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2675B2 (ja) * 2003-01-30 2008-06-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可撓配線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403B2 (en) 2016-10-05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192077A (zh) * 2018-11-07 2019-01-11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液晶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09192077B (zh) * 2018-11-07 2019-09-03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液晶显示装置的制作方法
WO2021096010A1 (ko) * 2019-11-11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47227B2 (en) 2019-11-11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170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18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US10172236B2 (en) Narrow frame display panel and display
US7719857B2 (en) Structure of mounting shield cover and display device
TWI517115B (zh) 弧面顯示模組
JP6448391B2 (ja) 表示モジュール
JP4831789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10809431B2 (en) Polarizer and touch device
US948281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JP6927825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表示装置
US9730317B2 (en)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234965B2 (en) Wiring structure us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optical module using the same
TW201616184A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US9462686B2 (en) Printed circuit board
KR20150018067A (ko) 표시장치
US9506637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JP2022164684A (ja) 電気光学装置
KR102132928B1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JP6724845B2 (ja) 表示装置
CN109496067B (zh) 柔性电路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40233257A1 (en) Light emitting module applied to display device
US847197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072328B (zh) 一种软性电路板
US20210405843A1 (en) Chip on flex, touc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JP6829377B2 (ja) 表示装置
KR20150004174A (ko)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