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11B1 -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11B1
KR102150611B1 KR1020130077313A KR20130077313A KR102150611B1 KR 102150611 B1 KR102150611 B1 KR 102150611B1 KR 1020130077313 A KR1020130077313 A KR 1020130077313A KR 20130077313 A KR20130077313 A KR 20130077313A KR 102150611 B1 KR102150611 B1 KR 10215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en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uppor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174A (ko
Inventor
라세웅
홍승권
김민재
박현규
조인희
최만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의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가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가 적어도 2 이상인,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기발광성이 없어 항상 모든 액정표시장치에는 조명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역할을 하는데, 액정모듈의 후면에서 빛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광원자체를 포함하여 광원의 구동을 위한 전원 회로 및 균일한 평면광을 이루도록 해주는 일체의 부속물을 이루는 복합체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이라고 한다.
그런데,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점점 슬림화되고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배젤(Bezel)폭을 감소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베젤폭을 줄이기 위해서, 발광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나 상기 발광소자의 광을 도광하기 위한 도광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구조도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슬림하게 하다보니,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배선이 손상되거나,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는 층들끼리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배선을 손상시키기 않으면서,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슬림하게 변경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 사이의 절곡부를 모서리가 2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곡부 형성에 의해 절연기판이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곡부를 둔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와 연결된 배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지기판과 절연기판의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를 양각구조 또는 음각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절곡부 형성 시, 절연기판이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의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가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가 적어도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둔각에 의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의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가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모서리는 곡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는 양각구조 또는 음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절연기판의 절곡부 일면에 대응되는 지지기판의 절곡부 일면 또는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절곡부 타면이 양각구조 또는 음각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 사이의 절곡부를 모서리가 2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곡부 형성에 의해 절연기판이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부를 둔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와 연결된 배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기판과 절연기판의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를 양각구조 또는 음각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절곡부 형성 시, 절연기판이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내 절곡부에서의 지지기판이나 절연기판이 형성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절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10)은 제1 영역(A) 및 제1 영역(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0), 지지기판(10) 상의 절연기판(30), 및 절연기판(30)과 지지기판(10) 사이의 접착층(2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20)은 절연기판(30) 상의 제1 영역(A)에 발광소자(50)를 실장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20)의 절곡부(60)에 힘을 가하면, 절곡부(60)가 구부러진 인쇄회로기판(130)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지지기판(10), 접착층(20), 절연기판(30)이 차례로 적층되고, 발광소자(50)를 실장한 상태에서 절곡부(60)를 형성하는 경우, 지지기판(10)으로부터 절곡부(60)의 접착층(20)이나 절연기판(30)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의 사이가 절곡되는 절곡부(60)를 형성할 때, 절곡부(60)에 의한 모서리(edge)가 2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을 절곡하는 경우. 절곡부(60)에 모서리가 하나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가 적어도 2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50)와 발광소자(50)와 연결된 배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절곡부(60) 형성에 의해 절연기판(30)이 지지기판(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절곡형 인쇄회로기판(130)은 발광소자(50)를 실장한 상태에서 절곡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곡 시 절곡기구에 의해 발광소자(50)나 배선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곡부(60)의 모서리를 2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강한 힘이나 열에 의해 지지기판(10)으로부터 접착층(20)이나 절연기판(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절곡부(60)는 모서리를 둔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둔각이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이다. 즉, 절곡부(60)의 모서리가 곡선구조(라운드)를 가질 수 있도록 둔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내 절곡부에서의 지지기판이나 절연기판이 형성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210)은 지지기판(10), 접착층(20), 절연기판(30)의 절곡부가 안쪽으로 돌출되는 양각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기판(10)의 절곡부 일면은 돌출되는 양각구조로 형성하고, 지지기판(10)의 상기 일면과 대양하는 절곡부 타면에 홈(h)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기판(10)의 절곡부 일면은 양각구조로 형성하고, 지지기판(10)의 절곡부 타면은 음각구조로 형성하며, 절연기판(30)의 절곡부 일면은 양각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기판(10)은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판(10)은 제1 면에 둔각이 형성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지지기판(10)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영역과, 절곡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과 절곡영역 사이의 각도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각도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인쇄회로기판(210)과 같이, 양각구조를 가지는 양각부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음각구조를 가지는 음각부는 제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각부와 음각부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지지기판(10)의 절곡부 일면은 빈공간을 갖는 홈을 형성하고, 지지기판(10)의 절곡부 타면은 양각구조로 형성하며, 절연기판(30)의 절곡부 일면은 음각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220)은 지지기판(10), 접착층(20), 절연기판(30)의 절곡부 일면이 계단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기판(10)의 절곡부 일면은 돌출되는 계단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계단구조에 대향되는 지지기판(10)의 타면은 직선구조를 가지며, 절연기판(30)의 절곡부 일면은 계단구조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절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의 절곡부에 의한 모서리가 적어도 2 이상 갖도록 금형부(110)를 제작하고, 금형부(110)에 인쇄회로기판(100)을 두고 절곡기구(120)로 인쇄회로기판(100)의 절곡부에 힘을 가해서 절곡형 인쇄회로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금형부(110)와 절곡기구(120)는 절곡부의 형태에 따라 모서리가 적어도 2 이상 갖도록 형성하거나,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금형부(110)는 곡선구조를 가지고, 절곡기구(120)는 양각구조 또는 음각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인쇄회로기판은 절연기판(30) 상의 제1 영역(A)에 실장되는 발광소자(50), 발광소자(50)를 실장하기 위한 실장층(40), 및 발광소자(50)와 연결되는 패드배선을 포함하는 패드부, 및 발광소자(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스트링 배선을 포함하는 스트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장층(40)은 구리(Cu)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발광소자(50)가 실장된 제1 영역(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링부는 제2 영역(B)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지지기판
20: 접착층
30: 절연기판
40: 실장층
50: 발광소자
60: 절곡부

Claims (5)

  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인 제2 면을 포함하는 지지기판; 및
    상기 지지기판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된 절연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영역 및 상기 절곡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절곡영역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절곡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영역은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양각부 및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영역에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 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양각부 및 상기 음각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양각부 및 상기 음각부는 각각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음각부는 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77313A 2013-07-02 2013-07-02 인쇄회로기판 KR10215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13A KR102150611B1 (ko) 2013-07-02 2013-07-02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13A KR102150611B1 (ko) 2013-07-02 2013-07-02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74A KR20150004174A (ko) 2015-01-12
KR102150611B1 true KR102150611B1 (ko) 2020-09-01

Family

ID=5247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313A KR102150611B1 (ko) 2013-07-02 2013-07-02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7344B1 (en) * 2004-02-27 2005-08-09 Motorola, Inc. Flexible circuit board assembly
KR101884628B1 (ko) * 2011-08-24 2018-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닛
KR101970543B1 (ko) * 2011-10-06 2019-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330770B1 (ko) * 2011-11-16 2013-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절곡 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74A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6084B1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KR102127341B1 (ko) 인쇄회로기판
US980788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KR102109752B1 (ko)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US10219382B2 (en) Clamp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132928B1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US20160178956A1 (en) Display device
KR10133077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KR20130053873A (ko)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0611B1 (ko) 인쇄회로기판
JP5890379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プリント回路基板を含む照明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2203682B1 (ko) 인쇄회로기판
KR102148845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88762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522973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252077B1 (ko) 표시 장치
KR102170480B1 (ko) 인쇄회로기판
KR102140692B1 (ko)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221608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27343B1 (ko) 인쇄회로기판
KR20160135143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KR102355280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445380B1 (ko) 조명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57990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40145372A (ko)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