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346A -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 - Google Patents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346A
KR20150017346A KR1020147034345A KR20147034345A KR20150017346A KR 20150017346 A KR20150017346 A KR 20150017346A KR 1020147034345 A KR1020147034345 A KR 1020147034345A KR 20147034345 A KR20147034345 A KR 20147034345A KR 20150017346 A KR20150017346 A KR 2015001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opening
furniture unit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우세페 바부소
Original Assignee
어네스토메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네스토메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어네스토메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1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가구 유닛은 수용 격실(102)을 형성하는 격납 요소(101), 및 도어의 외면(1a)을 형성하는 제1 패널(2), 상기 제1 패널(2)과 마주하며 또한 도어의 내면(1b)을 형성하는 제2 패널(3), 및 제1 패널(2)과 제2 패널(3)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이들에 연결되는 외측 프레임(4)을 갖는 도어(1)를 포함한다. 도어는 외측 프레임(4)에 형성된 제1 개구(5a)와 제2 패널(3)에 형성된 제2 개구(5b)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기 닥트(5)를 그 내부에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DOOR FOR FURNITURE UNITS AND FURNITURE UNIT COMPRISING SAID DOOR}
본 발명은 가구 유닛(furniture unit), 더 구체적으로는 부엌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door) 및 가구 유닛, 예를 들어 도어를 포함하는 벽 캐비닛, 서랍장(chest of drawer) 및 거치식 찬장(floor-standing cupboard)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실내 장식 및 디자인 분야, 더 구체적으로는 고품질 부엌 가구의 생산에 적용한다.
실내 장식 분야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가구 분야에서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문제들 중 하나는 정체된 유체에 의해 유발된 악취 및 축축함(damp)을 방지하기 위해 가구 내부의 격실(compartment)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이들 문제점은 광범위한 식품 악취의 존재와 요리판(cooking hob) 및 오븐의 사용으로 인한 방(room) 내부의 빈번한 습도 변화로 인해 부엌에서는 특히 공통적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 문제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라도 도어와 가구 유닛의 본체 사이에 작은 갭(gap)을 남겨서 공기 순환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가구 도어를 형성함으로써 해결해왔다.
불리하게도 이 해결책은, 외관이 매력적이지 않은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격실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품질을 제어할 수 없으며, 더욱이 먼지, 곤충,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액체가 가구 내로 들어가게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목적은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가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심미안적 외관을 유지하면서 가구 격실이 잘 환기되게 하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가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구 유닛 내부의 격실이 효과적으로 폐쇄되게 하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목표 및 목적은 첨부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구범위에 설명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의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뒤따르는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의 일부 부분이 횡단면도로 도시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의 상세부(detail)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다른 부분을 더욱 잘 도시하기 위해 일부 부분이 절취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의 제2 실시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2의 도어의 각각의 상세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유닛의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유닛(100)을 위한 도어를 나타낸다.
도어(1)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즉 가구 유닛(100)의 내부의 격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가동 부분[틸팅(tilting), 미끄럼부, 측부-현수부(side-hung), 서랍, 등]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가동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1)는 가구 유닛(100)의 어떠한 타입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어(1)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또한 사용 시 가구 유닛(100)의 외면 및 내면을 형성하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포함한다. 또한, 도어(1)는 제1 면(1a)과 제2 면(1b)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이격시키는 복수의 측부(주변) 면(1c)을 포함한다.
이를 고려하여, 도어(1)는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즉, 이것은 단일 부품이 아니다)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므로, 더 큰 생산 융통성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도, 도어(1)는 (사용 시) 도어(1)의 외면[및 그에 따른 제1 면(1a)]을 형성하는 제1 패널(2), 및 제1 패널(2)과 마주하며 또한 (사용 시) 부품의 내면[및 그에 따라 제2 면(1b)]을 형성하는 제2 패널(3)을 포함한다.
제1 패널(2) 및 제2 패널(3)은 이들을 멀리 떨어트리기 위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프레임(4)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1 패널(2)과 제2 패널(3) 모두는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도록 외측 프레임(4)에 대해 인접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도, 패널(2, 3)은 프레임(4)에 제거 불가능하게(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며, 즉 그 "분리"는 도어가 재사용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패널 및 프레임은 역전 가능한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널(2)은 도어(1)가 설치되는 방의 장식 및 가구 세팅에 따라, 임의의 타입 또는 재료를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도, 프레임(4)은 환형 구조를 가지며, 즉 이것은 폐쇄된(다각형) 주위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4)은 사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세그먼트(4a)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프레임(4)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압출된 부분[세그먼트(4a)]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프레임은 목재,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와 같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4)의 주변 부분은 제1 면(1a) 및 제2 면(1b)의 엣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프레임(4)은 도어(1)의 측면(1c)을 형성한다.
도어는 핸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또는 프레임의 홈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1) 또는 패널(2)에 집적될(매립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이 해결책은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라, 도어(1)는 외측 프레임(4)에 또는 제1 패널(2)에 형성된 제1 개구(5a)와 제2 패널(3)에 형성된 제2 개구(5b)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기 닥트(5)를 도어의 내부에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그와 같이, 공기는 도어 범퍼에 갭을 제공하지 않고서도 가구 유닛(100)의 내부과 외측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챔버("C")는 제1 패널(2)과 제2 패널(3) 사이에서 도어(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챔버("C")는 외측 프레임(4)에 의해 횡방향으로 제한된다.
달리 말하면, 도어(1)는 그 벽이 제1 패널(2), 제2 패널(3), 및 프레임(4)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형(box-like) 본체이다.
챔버("C")는 제1 개구(5a)로부터 또한 제2 개구(5b)로부터 접근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공기 통기 닥트(5)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도, 도어(1)는 도어(1) 내부의 공명(resonating)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챔버("C") 내부에 위치된 필러(filler) 재료의 블록(또는 부재)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필러 재료(8)의 블록은 도어(1) 내부의 "빈(empty)" 공간을 감소시키며(즉, 이것은 점유되지 않는 공간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도어(1)가 폐쇄될 때마다 생성되는[공명통(共鳴胴)에서처럼] 공명 효과를 감소시킨다.
이에 관해, 필러 재료(8)의 블록은 팽창된 폴리머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블록)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필러 재료는 중량이 가볍고, 또한 이것이 상변화(phase change)를 받지 않도록 열 저항 특성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필러 재료는 발포성 재료(expanded material), 예를 들어 스티렌, 폴리스티렌 등이다.
바람직하게도, 필러 재료(8)의 블록은 소리 흡수 타입이다.
바람직하게도, 제1 개구(5a)는 이것이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감춰지도록 외측 프레임(4)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개구(5a)는 도어(1)의 주변 면에 대응하는, 프레임(4)의 한 쪽 상에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제1 개구(5a) 및 제2 개구(5b)[제2 패널(3) 상에 형성되는]는 서로 횡단하는(바람직하기로는, 직각으로)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통기 닥트(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L의 형상이다.
따라서 도어(1)는 유리하게도, 제1 개구(5a)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측부 상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벽 캐비닛 상에 장착된 도어(1)에 있어서, 개구(5a)는 프레임(4)의 상부 세그먼트(4a)(천정과 마주하는)에 형성된다. 거치식 캐비닛 상에 장착된 도어(1)에 있어서, 개구(5a)는 프레임(4)의 바닥 세그먼트(4a)[플로어(floor)와 마주하는]에 형성된다.
오직 여과된 공기만이 순환되도록, 도어(1)는 제1 개구(5a) 및 제2 개구(5b)와 각각 연결된 제1 필터(6a) 및 제2 필터(6b)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도, 가구 유닛(100)의 내부의 격실은 먼지 또는 곤충이 없는 상태로 존재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먼지 또는 곤충은 그 내부로의 길을 찾고 또한 그 모든 내용물의 가구 유닛(100)을 세척하지 않고서는 제거하기가 어려운데, 이것은 귀찮은(및 시간-소모적인) 작업이다.
바람직하게도, 제1 필터는 공기 통기 닥트(5)의 제1 개구(5a)에 위치된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그물(netting)(7)을 포함한다.
그물(7)은 바람직하기로는 동일한 그물(7)에 의해 점유되는 표면의 22%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약 28%의 이송 능력을 갖는 매우 미세한 망(mesh)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그물(7)은, 그물이 제1 개구(5a)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단부에 제1 개구(5a)에 대해 인접한 접촉 부분(7b)을 가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7a)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제1 개구(5a)는 프레임(4)의 세그먼트(4a)를 통해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을 갖는 그물(7)은 그 세그먼트의 두께를 통과하며, 또한 그 접촉 부분(7b)은 프레임(4)의 내부 면과 인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접촉 부분(7b)은 삽입뿐만 아니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구(5a)[및 그에 따른 제1 필터(6a)]는 프레임(4)의 각각의 세그먼트(4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elongate)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필터(6b)는 그물을 제2 개구(5b)에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도, 제2 필터(6b)는 제2 개구(5b)를 차단하기 위해 반-투과성 재료로 제조되며 또한 제2 패널(3)에 대해 인접한 막(9)을 포함한다.
"반-투과성(semi-permeable)"이라는 용어는 막의 특성이 일부 타입의 분자는 이를 통과하고 다른 분자는 통과하지 않을 정도를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막(9)은 가구 유닛(100)의 내부에 건조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기 위해 가스는 투과시키지만 액체는 투과시키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도, 반-투과성 재료로 제조된 막(9)은 부직포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의해 형성된다.
막(9)은, 외관상 눈에 덜 거슬리는 방식으로 챔버("C")의 내부 상에서 제2 패널(3)의 면(3a)에 대해 인접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도, 막(9)은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고, 신속하고, 또한 경제적이도록 제2 패널(3)의 면(3a)에 접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널(3)은 복수의 관통 구멍(10)을 가지며, 구멍은 함께(즉, 그 전체가) 공기 통기 닥트(5)의 제2 개구(5b)를 형성한다.
그런 상태로 도어는, 유리하게도, 도어는 심미안적 외관이나 또는 구조적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확산된 환기를 허용한다.
더욱이, 단일의 큰 개구 대신에 복수의 작은 구멍의 제공은 챔버("C")의 내부에 인접하여 제2 필터(6b)[특히, 막(9)]의 시야로부터 감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널(3)은 복수의 관통 구멍(10)을 갖는 플레이트(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관통 구멍은 플레이트(11)의 중심 부분 위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10)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 영역("A")을 형성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심미안적/기능적 요구에 따라, 관통 구멍(10)은 상이한 형상의 부분을 점유하는 방식으로, 다각형이거나 또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공기 통기 닥트(5)에서 오직 공기만 재순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도어(1)는 그 내면(1b)에 위치된 외측 밀봉부(12)를 포함한다.
더 정확히, 밀봉부(12)는 제2 면(1b)의 주변의 둘레로 루프(loop)로 형성된다. 밀봉부(12)는 제2 패널(3) [도어(1)의 내면에 대응하는 면(3b)에서] 또는 프레임(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와 가구 유닛(100)의 가구 격납(containment) 요소(101) 사이의 연결은 기밀하게 밀봉된다.
이러한 밀봉은 유리하게도, 가구 유닛(100)의 격실(102) 내로 먼지 또는 오물의 유입뿐만 아니라 도어를 따라 떨어질 수도 있는, 도어의 기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예를 들어, 막(9)을 젖게 함) 액체의 통과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도, 밀봉부(12)는 폐쇄된 구성에서, 가구 유닛(범퍼)과 접촉하는 모든 구역에서 제2 패널(3) 둘레로 완전히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프레임(4)은 밀봉부(12)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외측 홈(13)[제2 패널의 면(3b) 상에서 제2 패널(3)을 둘러쌈]을 포함한다. 홈(13)은 프레임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2 패널과 프레임이 서로 결합될 때 제2 패널(3)과 프레임(4) 자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12)는 고무, 폴리머 재료, 고무-코팅된 스펀지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변형 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삽입 및 교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밀봉부는 제2 패널(3)과 또는 프레임(4)[특히, 홈(13)]과의 접촉을 위해 접착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안된 목적을 달성하며 또한 상당한 장점을 발휘한다.
실제로, 도어를 통해 가구 유닛의 내부과 외측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공기 통기 닥트의 존재는, 범퍼에 외관상 매력적이지도 않고 매우 기능적이지도 않은 갭을 남길 필요성을 제거한다.
닥트의 개구에 여과 요소의 사용은 외측과 교환되는 공기의 품질을 개선시킨다.
또한, 외측 밀봉부의 사용은 도어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오직 여과된 공기만 가구 유닛의 격실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며, 따라서 격실 내부의 공기의 품질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또한, 내부 패널에 부직포의 적용은 액체가 도어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오직 가스(공기)만 통과하게 한다.

Claims (11)

  1. - 도어의 외면(1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패널(2);
    - 제1 패널(2)과 마주하며 또한 도어의 내면(1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2 패널(3);
    - 제1 패널(2)과 제2 패널(3)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연결되는 외측 프레임(4)을 포함하는,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로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 외측 프레임(4)에 형성된 제1 개구(5a)와 제2 패널(3)에 형성된 제2 개구(5b)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기 닥트(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통기 닥트(5)의 내부에서 오직 여과된 공기만 순환되도록, 제1 개구(5a) 및 제2 개구(5b)와 각각 연결된 제1 필터(6a) 및 제2 필터(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필터(6a)는 공기 통기 닥트(5)의 제1 개구(5a)에 위치되는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그물(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필터(6b)는 제2 개구(5b)를 차단하기 위해 반-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2 패널(3)에 대해 인접한 막(9)을 포함하며, 상기 막(9)은 가구 유닛(100)의 내부에 건조한 공기가 순환되도록 가스는 투과시키지만 액체는 투과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반-투과성 재료로 제조된 막(9)은 부직포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2 패널(3)은 제2 개구(5b)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2 패널(3)은 복수의 관통 구멍(10)을 갖는 플레이트(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10)은 공기 통기 닥트(5)의 제2 개구(5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도어가 도어의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어와 가구 유닛(100) 사이에 밀폐된 연결을 하도록, 내면(1b)의 엣지 상에 위치된 외측 밀봉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1 개구(5a) 및 제2 개구(5b)로부터 접근 가능하며, 공기 통기 닥트(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챔버(C)가 제1 패널(2)과 제2 패널(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도어 내부의 공명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챔버(C)의 내부에 위치된 필러 재료(8)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1. 가구 유닛으로서;
    - 수용 격실(102)을 형성하는 격납 요소(101);
    - 격실(102)로의 접근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격실(1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격납 요소(101)와 연결된,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도어(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유닛.
KR1020147034345A 2012-06-05 2013-06-04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 KR20150017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12A000305 2012-06-05
IT000305A ITBO20120305A1 (it) 2012-06-05 2012-06-05 Anta per mobili
PCT/IB2013/054593 WO2013182986A1 (en) 2012-06-05 2013-06-04 Door for furniture units and furniture unit comprising said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46A true KR20150017346A (ko) 2015-02-16

Family

ID=4654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345A KR20150017346A (ko) 2012-06-05 2013-06-04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50108889A1 (ko)
EP (1) EP2854597B1 (ko)
KR (1) KR20150017346A (ko)
CN (1) CN104411208A (ko)
CY (1) CY1118639T1 (ko)
ES (1) ES2616061T3 (ko)
HK (1) HK1204248A1 (ko)
IT (1) ITBO20120305A1 (ko)
PL (1) PL2854597T3 (ko)
SG (1) SG11201407615UA (ko)
SM (1) SMT201700120B (ko)
WO (1) WO2013182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1869B1 (en) * 2010-11-23 2019-05-28 Jerry G. Crittenden Hollow core door for preventing pressure build up having a prefabricated center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door
IT201600087371A1 (it) * 2016-08-25 2018-02-25 Tecnoform Spa Componente d'arredo per veicoli ricreativi
CN106351547B (zh) * 2016-08-30 2018-08-07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门结构
AT525777A1 (de) * 2021-12-21 2023-07-15 Blum Gmbh Julius Doppelwandige Schubladenzarg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8180A (en) * 1965-12-28 1969-04-15 Trane Co Air-cleaning apparatus
GB2121451B (en) * 1982-06-01 1986-01-02 Sound Engineering Limited Sound insulating structures
GB2232703B (en) * 1989-06-16 1992-03-18 Leaderflush Doors Ltd A door
US5111618A (en) * 1989-12-11 1992-05-12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stylized substantially all glass front
US5437503A (en) * 1993-06-01 1995-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storage drawer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CN2246700Y (zh) * 1996-06-11 1997-02-05 张元庆 多用途储藏柜
US6579169B1 (en) * 2002-07-08 2003-06-17 Bold Technologies, Inc. Window fan assembly
JP2008544204A (ja) * 2005-11-23 2008-12-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気調和機
US7320637B2 (en) * 2005-11-28 2008-01-22 Lack Nicholas L Filter window adapter unit
KR100767850B1 (ko) * 2005-12-20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US20070267402A1 (en) * 2006-05-17 2007-11-22 Harned Gary V Oven With An Articulating And Retractable Door
KR101291272B1 (ko) * 2006-10-12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201388348Y (zh) * 2009-03-13 2010-01-20 宁波英特赛电子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通风效果好的网络机柜
US8418427B2 (en) * 2009-04-14 2013-04-16 Assa Abloy Door Group, Llc Insulated door and method of making same
MX2010005581A (es) * 2010-05-19 2011-11-18 Mabe Sa De Cv Puerta de un solo vidrio para secado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18639T1 (el) 2017-07-12
ES2616061T3 (es) 2017-06-09
PL2854597T3 (pl) 2017-06-30
WO2013182986A1 (en) 2013-12-12
SG11201407615UA (en) 2014-12-30
HK1204248A1 (en) 2015-11-13
ITBO20120305A1 (it) 2013-12-06
CN104411208A (zh) 2015-03-11
EP2854597A1 (en) 2015-04-08
US20150108889A1 (en) 2015-04-23
SMT201700120B (it) 2017-03-08
EP2854597B1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7346A (ko) 가구 유닛을 위한 도어 및 그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유닛
US7770985B2 (en) Kitchen appliance having floating glass panel
JP3224021U (ja) 多機能通気性収納棚
US9763553B2 (en) Door assembly for a dishwasher
DE102012201276B4 (de)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akustischen Dichtrahmen zur Geräuschreduzierung
WO2015062756A1 (en) A door for a domestic appliance
JP6552880B2 (ja) 移動間仕切装置
US202000133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ic absorption
US20160045027A1 (en) Flip core door assembly
JP2019536568A (ja) 臭気中和構造体を形成する壁レールセクション及びそのような壁レールセクションを備える擬似壁
US20150022068A1 (en) Front frame for a cooking device
JP2014009936A (ja) 厨房用フィルター
KR200470961Y1 (ko) 붙박이장
KR101825470B1 (ko)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1368854B1 (ko)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0224129Y1 (ko)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CN108577244B (zh) 燃气柜
JP2015140592A (ja) 収納扉、ドア及び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475658Y1 (ko) 환기망
KR100604373B1 (ko)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JP7169234B2 (ja) ペリメータ空間の換気構造
CN211559263U (zh) 一种用于鞋柜的除臭烘干装置
KR200473903Y1 (ko) 수납장
KR101346719B1 (ko) 선박용 가구에 설치되는 서랍부
JP3172433U (ja) 冷蔵庫用脱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