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29Y1 -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 Google Patents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29Y1
KR200224129Y1 KR2020000022558U KR20000022558U KR200224129Y1 KR 200224129 Y1 KR200224129 Y1 KR 200224129Y1 KR 2020000022558 U KR2020000022558 U KR 2020000022558U KR 20000022558 U KR20000022558 U KR 20000022558U KR 200224129 Y1 KR200224129 Y1 KR 200224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ventilation
partial
cabinet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자현
Original Assignee
송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자현 filed Critical 송자현
Priority to KR2020000022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세트로 제공되는 각 부분가구들이 제대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부분가구들의 각 수장실이 서로 연통되어 있어 문짝을 열고 닫을 때마다 이들 수장실 내의 공기가 인접해 있는 다른 수장실로 통풍되게 한 세트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트가구는, 서로 인접되는 각 인접측판상의 동일위치에 소정형상의 환기구가 천공되어 있어, 이들 환기구에 의해서 서로 연통된 수장실 내부의 공기가 문짝을 열고 닫을 때마다 자연스레 환기(통풍)되고, 특히 인접된 다른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의해서 상기 환기구가 가려진 정도를 보고 이들 부분가구들이 제대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의 각 부분가구들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았더라도 서로 인접해 있는 두 환기구에 소정의 환기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부분가구들이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게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재 내에 방충제나 방향제, 흡습제, 또는 원적외선 방사체 등을 넣어서, 상기 수장실 내부의 습기나 곰팡이, 세균, 벌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furniture with ventilator}
본 고안은 다수개의 부분가구가 일조로 제공되는 세트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 배치시 다른 부분가구의 측판과 마주보게 되는 각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천공하여 상기 환기구에 의해 이들 부분가구의 수장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고, 또한 상기 환기구가 다른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의해서 가려져 있는 정도를 보고 각 부분가구가 제자리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세트가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인접측판상의 환기구 내에 소정의 환기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환기부재가 모두 조립되면 부분가구들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 세트가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환기부재 내에 방충제나 방향제, 탈취제, 흡습제 등의 소모품을 내장시킴으로써 상기 환기부재가 통풍작용은 물론 방충, 방향, 흡습 등의 다른 부가적인 작용·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세트가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세트가구란, 개별적으로 거래될 수 있는 부분가구들이 가구 컨셉에 따라 일조로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칸막이판에 의해 내부공간이 종횡으로 구획된 경우까지를 포함하는 가구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불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장실과 내의와 같은 간단한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서랍으로 구성되는 붙박이장이나 장롱 등의 세트가구는, 문짝을 닫았을 때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차단된다.
이처럼 공기의 순환이 차단되면, 수장실이나 서랍 등에 보관되고 있던 물품들은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보관된 물품에 곰팡이나 해충이 쓸어 못쓰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 때문에, 보관된 수장물을 수시로 꺼내어서 건조시켜 주어야만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서, 문짝에 환기구를 형성한 장롱이 선보인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환기구만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방충효과나 방향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나프탈렌과 같은 방충제를 상기 수장실 등에 별도로 수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1-905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공보에 기재된 내용에 따르면, 상기 환기구는 장롱의 후면판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서로 분해·결합되는 내·외측 케이스(1,2) 사이에, 원륜형의 방충제(3)가 삽입되는 통풍캡(4)을 끼워 장롱 속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상기 방충제(3)에 의해 방충, 방향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내·외측 케이스를 분해하여 방충제를 교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장롱 후면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내·외측 케이스를 분해·결합하려면, 상기 내·외측 케이스중의 적어도 어느 한 쪽 케이스는 장롱의 후면판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외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 흉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환기구가 설치되는 장롱의 후면판과 실내 벽면 사이는 공기가 거의 유동되지 않는 습한 곳이기 때문에 출원인이 의도한 원활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환기구를 통해 곰팡이나 벌레 등이 침입하여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도2는 종래의 가구용 소형 환풍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4-3673호).
상기의 가구용 소형 환풍기는, 장롱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통풍시키기 위한 송풍팬(5)과, 방충용 나프탈렌을 수납하기 위한 나프탈렌케이스(6)와, 듣기좋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멜로디 발생장치와,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7)와, 상기 모터와 멜로디 발생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광전센서 등이 하나의 통체(8)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써, 상기 광전센서의 수광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송풍팬 등이 장롱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정지되고, 장롱 문을 열면 상기 송풍팬과 멜로디 발생장치가 작동되어 장롱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듣기 좋은 멜로디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형 환풍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가지 구성요소가 하나의 통체에 내장되기 때문에 부피가 크며, 모터를 구동하거나 멜로디 발생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첨부도면중 도3은, 본 고안이 제공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특히 흡습기능을 가진 종래의 가구(특히, 장롱)를 나타낸 것이다.(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76031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숯장롱은 천판(9), 지판(10), 선반(11)중 어느 하나의 판에 숯을 내장시켜 상기 숯의 흡습작용에 의해 수장실 내부가 건조한 상태에 있게 한 것으로서, 숯이 가지는 또 다른 특성에 의해 유해 전자파와 나쁜 냄새까지도 제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판과 선반을 숯이 내장된 합판으로 제작하게 되면 무거운 이불 등을 떠받치기에는 강도가 부족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숯을 에워싸고 있는 상하 플라이(12,13)는 결합제로서 멜라민 수지나 페놀수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숯의 흡습기능을 저해하기 때문에, 동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자동 습도조절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다른 부분가구의 측판과 마주보는 각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를 동일 위치에 천공하여 상기 환기구에 의해서 이들 부분가구의 수장실이 서로 연통되게 하고, 또한 상기 환기구가 다른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의해서 가려져 있는 정도를 보고 각 부분가구들이 제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인접측판의 환기구 내에, 방충제나 방향제, 탈취제, 흡습제 등의 소모품이 내장된 환기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환기부재가 모두 조립되면 이들 부분가구가 정위치에 세팅되도록 한 세트가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가구용 환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가구용 소형 환풍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흡습기능을 가진 종래의 숯장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환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환기부재가 설치된 장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장롱의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6은 상기 도5의 'A'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환기부재가 인접측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내측 케이스, 2...외측 케이스,
3...방충제, 4...통풍캡,
5...송풍팬, 6...나프탈렌케이스,
7...모터, 8...통체,
9...천판, 10...지판,
11...선반, 12,13...플라이,
14...내측 마개부재, 15...외측 마개부재,
16...통기공, 17...판체부분,
18a,18b...원통부분, 20a...인접측판,
20b...자유측판, 21...환기구,
22...중공체.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부분가구들의 인접측판에 환기구를 천공하고 그 환기구에 소정의 환기부재를 착탈 자유로이 설치함으로써, 문짝을 여닫을 때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기류)에 의해, 상기 환기구로 연통되어 있는 각 수장실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레 통풍되게 한 세트가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환기구가 다른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의해 가려지는 정도를 보고 각 부분가구들이 제자리에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더욱이 상기 부분가구들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 인접측판에 천공된 두 환기구에 걸쳐 소정의 환기부재를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각 부분가구들이 정확한 위치에 세팅되게 한 세트가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환기부재가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들, 예를 들면 방충기능이나 흡습기능 등을 부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환기부재를 분해하여 그 속에 방충제나 방향제, 탈취제 또는 흡습제 등의 소모품을 선택적으로 장입할 수 있게 한 세트가구를 제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환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환기부재는 나사식으로 분해·결합되는 2개의 내·외측 마개부재(14,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내·외측 마개부재(14,15)는, 다수개의 통기공(16)이 천공된 판체부분(17)과 상기 판체부분에서 수직·연장된 원통부분(18a,18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부분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마개부재의 원통부분(18a)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면, 외측 마개부재의 원통부분(18b)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외측 마개부재중 어느 한쪽 마개부재에는, 예를 들면 판체부분이나 원통부분에 도4와 같이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마개부재의 고정돌기가 이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측판에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마개부재들을 나사식으로 결합시킬 때 서로 겉도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분의 내경은 적어도 판체부분에 천공되어 있는 통기공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또한, 내·외측 마개부재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쪽 원통부분(18b)의 외경은 다른 쪽 원통부분(18a)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아야 한다.
한편, 환기부재의 형상 및 구조가 이상과 같이 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 방식으로 분해·결합되는 것도 사용이 가능하고, 도7에 도시된 것처럼 통상의 중공체(22)이어도 무방하다.
도5는 상술한 도4의 환기부재가 장롱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장롱 문짝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환기부재는 세트가구를 구성하는 각 부분가구들의 측판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의 세트가구가 부분가구들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다수의 칸막이판에 의해서 수장실 내부가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칸막이판마다 설치할 수 있다.
동 도에서와 같이, 인접해 있는 두 부분가구의 인접측판(20a)에 걸쳐 본 고안의 환기부재를 설치한 경우, 상기 장롱의 문짝을 열거나 닫을 때, 수장실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환기부재로 서로 연통되어 있는 수장실 중 어느 한 쪽 수장실의 문짝을 여는 순간, 마치 수장실의 체적이 넓어지는 것과 같이 되어 상기 수장실 내부의 공기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감압효과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기압력을 갖는 타측 수장실로부터 공기가 흘러 들어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열어 놓은 문짝을 닫으면, 수장실의 체적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어 상기 수장실 내의 공기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본 고안의 환기부재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양측 수장실 사이에는, 공기의 수수(授受)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수장실 내에 정체되어 있던 공기는 문짝을 열거나 닫을 때 교란되는데, 상기 교란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과 앞서 설명한 압력 차이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합쳐져, 공기의 유동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
이 와중에 세균이나 곰팡이, 수분, 먼지와 같은 분진이 공기의 흐름에 동반하여 부유하게 되고, 따라서 공기가 흘러 다니는 유동로상에 집진 수단을 설치해 두면, 이들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분진은 수장실 내에 장입되어 있는 물품에 해를 끼치므로, 본 고안에서는 공기의 유동로 역할을 하는 환기부재 내에 숯 등의 흡습제 또는 흡착제를 내장하여 이들 분진을 흡착·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이들 분진 중에서, 세균처럼 개체가 번식하는 것은 숯의 흡착작용만으로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나프탈렌과 같은 방충제를 설치할 필요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향제를 설치할 필요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상기 환기부재를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내장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게 하였는데, 상기의 내장물로는 예를 들면 숯과 같은 흡습제나 방향제, 나프탈렌과 같은 방충제, 그리고 옥이나 게르마늄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환기부재가 나사식으로 분해·결합되는 것(도4 참조)으로 가정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스냅방식으로 분해·결합되는 것(도1 참조)이어도 무방하며, 도7과 같은 중공체(22)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환기부재가 도1과 같이 스냅방식으로 분해·결합되는 것이거나 도7과 같은 중공체인 경우에는,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천공되는 환기구의 형상이 원형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사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장실들이 환기구로만 연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환기부재가 상술한 환기구 내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부분가구의 자유측판(20b)에도 환기구를 천공하여, 문짝을 열고 닫을 때, 상기 환기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수장실 내로 들어오거나 수장실에서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측판에 천공되어 있는 환기구에도 소정의 환기부재를 설치하여, 수장실 내로 도입되는 공기 속의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측판(20a)이란 세트가구를 구성하는 각 부분가구들이 실내에 배치되었을 때 다른 부분가구의 측판에 접하는 측판을 의미하며, 자유측판(20b)이란 각 부분가구들의 천판(상판) 및 지판(하판)과 같이 다른 부분가구의 측판과는 접하지 않는 측판을 의미한다.
본 고안이 제공코자 하는 제2의 목적은,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인접측판(20a)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환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장롱이나 붙박이장과 같이 2개 이상의 부분가구들이 일조로 제공되는 세트 가구는, 상기 부분가구들을 실내에 들여놓았을 때 그 배열된 형상이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부분가구들의 바닥면이 수평상태에 있도록 하여야만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부분가구들의 배열상태나 수평상태를 육안으로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어서, 각각의 부분가구들을 정확한 위치에 세팅한다는 것이 대단히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인접측판(20a)의 동일한 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환기구(21)를 천공함으로써, 가구 배치시, 인접된 다른 부분가구의 인접측판에 의해 상기 환기구가 가려진 정도를 보고 각 부분가구들이 제대로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부분가구들이 다소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더라도, 서로 인접해 있는 두 환기구 내에 본 고안의 환기부재를 끼우면, 각 부분가구들의 상하좌우 위치가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게 하였다.
한편, 상기의 환기부재는 다소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두 부분가구들의 환기구에 끼워져서 이들 부분가구가 제자리에 놓이게 하는 역할을 함으므로,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단력 또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녀야 한다.
이처럼, 2개 이상의 환기부재를 인접측판이나 자유측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특히 부분가구들의 수장실 내부가 선반(칸막이판)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된 경우에는 상기 선반에 본 고안의 환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수장실 내부 전체가 통풍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서는 상기 수장실 내에 설치되는 서랍에도 본 고안의 환기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분가구의 지판(하판, 바닥판)이 실내 바닥면과 접하는 경우, 상기 지판상의 환기구에는, 도6에 도시한 내·외측 마개부재(14,15)중 하나만을 설치해도 되지만 그 내부에 방충제 등의 소모품을 내장하면 특정한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세트가구는, 서로 인접되는 각 부분가구들의 인접측판에 소정형상의 환기구를 천공하되 이들 부분가구가 제대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환기구가 서로 일치되도록 같은 위치에 천공하여, 이들 환기구에 의하여 상기 부분가구들의 수장실이 모두 연통되게 함으로써 어느 한 쪽의 문짝을 열고 닫을 때마다 각 수장실 내부의 공기가 전부 통풍(환기)되도록 하여, 어느 한 수장실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인접해 있는 타측 인접측판에 의해 상기 환기구가 가려진 정도를 보고, 이들 부분가구가 제대로 배치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소정의 환기부재를 상기 환기구에 착탈 자유로이 설치함으로써, 상기 환기부재 내에 삽설되는 물질의 기능에 따라 방충, 방향, 흡습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였으며, 특히 같은 위치에 천공된 두 환기구에 걸쳐 본 고안의 환기부재를 끼우는 것만으로도 각 부분가구들이 모두 정확한 위치에 세팅되게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세트가구의 최외측면에 해당하는 자유측판상에도 부가적으로 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문짝을 열고 닫을 때마다 외부공기가 각 수장실 내로 도입되어 통풍(환기)되게 한 특징이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부분가구들이 일조로 제공되는 세트가구에 있어서,
    각 부분가구들의 수장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서로 인접·배치되는 상기 부분가구들의 인접측판상의 동일한 위치에 환기구를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두 환기구에 걸쳐서, 환기부재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장실 내의 선반에 환기구가 천공되고, 상기 환기구에 환기부재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장실에 설치되는 서랍에도 환기구가 천공되고, 상기 환기구에 환기부재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가구의 최외측면에 해당하는 자유측판에도 환기구가 천공되어 소정의 환기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재에는 소모품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KR2020000022558U 2000-08-08 2000-08-08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KR200224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58U KR200224129Y1 (ko) 2000-08-08 2000-08-08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58U KR200224129Y1 (ko) 2000-08-08 2000-08-08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29Y1 true KR200224129Y1 (ko) 2001-05-15

Family

ID=7308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58U KR200224129Y1 (ko) 2000-08-08 2000-08-08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2B1 (ko) 2008-05-07 2008-10-28 (주) 대동종합건설 붙박이장 시스템
KR101847767B1 (ko) 2017-01-31 2018-04-10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2B1 (ko) 2008-05-07 2008-10-28 (주) 대동종합건설 붙박이장 시스템
KR101847767B1 (ko) 2017-01-31 2018-04-10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2241A (ko) 제습기능과 살균기능을 구비한 옷장
KR100666498B1 (ko) 냉기순환팬을 갖는 김치저장고의 습도유지 및 탈취구조
KR101808991B1 (ko) 붙박이장
KR200224129Y1 (ko)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KR200388257Y1 (ko)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200187262Y1 (ko) 위생 신발장
JP2001095632A (ja) 空気清浄機能付棚
CN104411208A (zh) 家具单元的门和包括所述门的家具单元
KR101183234B1 (ko) 드레스 룸
KR200337053Y1 (ko) 자외선 살균기 및 히터와 팬 기능이 내장된 옷장 및이불장(장농)
JP2006122566A (ja) 換気付き収納容器装置
WO1996006645A1 (en) Air treatment and room temperature equalizer
KR200391950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318114Y1 (ko)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KR200231555Y1 (ko) 통풍구가 형성된 가구
KR101255727B1 (ko) 붙박이장 환기구조
KR101818890B1 (ko) 주방가구 시스템
KR100467665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KR200258652Y1 (ko) 침대
JP3049795B2 (ja) 脱臭装置付き収納庫
KR100604373B1 (ko)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KR200359981Y1 (ko) 신발류 수납장
JP6337268B2 (ja) 冷蔵庫
KR200184006Y1 (ko) 가구
KR100400456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