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38A -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38A
KR20150016738A KR1020130092555A KR20130092555A KR20150016738A KR 20150016738 A KR20150016738 A KR 20150016738A KR 1020130092555 A KR1020130092555 A KR 1020130092555A KR 20130092555 A KR20130092555 A KR 20130092555A KR 20150016738 A KR20150016738 A KR 2015001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glass substrate
glass
regenerating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778B1 (ko
Inventor
황원식
Original Assignee
황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식 filed Critical 황원식
Priority to KR102013009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7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폐유리에 도포된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박리단계 및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기존의 방법으로 제거하기 어려웠던 모바일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폐유리의 잔영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비양자성 유기용매 대신 다량의 물을 사용하면서도 박리가 잘 이루어지며, 박리 단계에 따른 박리액의 농도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박리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유리 기판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METHOD FOR RECLAIMING GLASSSUBSTRATE FOR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유리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리 표면에 인쇄된 패턴 인쇄층을 제거하기 위한 박리액 및 이를 이용한 박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유리 기판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은 유리 기판 상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의 형상을 전사 시키는 노광 공정과 현상액을 이용하여 필요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리 기판에 도포된 인쇄층의 일정부분을 제거하는 현상 공정 및 에칭, 경막, 염색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유리 기판을 생성하기에 많은 공정을 거칠 필요가 있고 공정 진행 중에 유리 기판에 미세 먼지나 이물의 부착, 혼입, 핀홀, 패턴 일그러짐 등의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이 생긴 기판은 제조공정의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불량 기판으로서, 폐유리 처리가 되며 생산 수율을 저하시킨다.
유리의 원재료비가 모바일 제조비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상담함으로 모바일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불량 유리 기판은 폐기 처분하기보다는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모바일 제조 원가를 줄이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불량 유리 기판으로부터 유리 기판을 재생할 수 있는 유리 기판 재생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모바일 유리 기판은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데 리드 프레임 또는 섀도우 마스크 등의 모델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 패턴을 교체해야 한다.
이때, 유리 기판상의 상기 포토레지스트로 형성된 패턴을 제거하고 이미 사용된 유리 기판을 재생함으로써 재사용을 하고 있다.
상기 유리 기판 재생 공정으로는 기계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있다.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기판을 연마함으로써 작업 패턴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상기 화학적인 방법은 포토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패턴을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상기 기계적인 방법은 연마를 하게되면 상기 패턴 이외에도 유리 기판 표면의 일정 두께가 깎여 나가게 되므로 박형화가 요구되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유리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를 1mm 이하로 박형화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을 3회 이상 연마를 하여 재생하게 되면 유리 기판의 두께가 공정 기준치에 적합하지 않아 폐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화학적인 방법은 처리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공정 효율이 낮고, 인쇄층 뿐만 아니라 유리 기판도 상당량 침식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처리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유리 기판에 도포된 인쇄층의 잔영이 남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재생 유리에 잔영이 남게되면 모바일 유리 기판의 제조 공정 중 상기 노광 공정시 불량을 유발하게 되므로 반드시 재연마를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68108호에는 유기 아민 화합물, 설폭사이드, 글리콜에테르, 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설폭사이드와 피롤리돈의 비양자성극성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제거하면서 도전막과 같은 금속박막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양자성극성유기용매는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유리 기판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기판을 재생하는데 사용되기에는 반응성이 충분히 효율적이지 못하며 공정시 유해공기를 배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3696호에는 건식 에칭 후 잔류물 제거용액으로 황산 및 불소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불소화합물의 사용은 유리 기판 자체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특2001-0065038호에는 유리 하판의 배선막을 형성할 때 포토레지스트를 스트리퍼로 제거하고 증류수에 세척하기 전에 세정보조제로서 TMAH(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KOH와 TMAH 각각은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와 스프리핑 후 세정보조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불량 처리된 유리 기판의 모든 인쇄층을 없애는데 사용되기에는 충분히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지 못하다.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위에 열거한 인쇄층을 모두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잘 못 처리된 유리 기판을 재생하는 기술을 개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기술들은 고가의 화학제품을 사용함으로 경제적인 요소가 중요한 재생처리에서 사용되기에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8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36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650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폐유리의 잔영을 유리 기판의 손상 없이 신속하게 제거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유리에 도포된 인쇄층 박리를 진행함에 있어서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고가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다량의 물을 포함하면서도 단시간에 박리할 수 있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폐유리에 도포된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박리단계 및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리단계는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 금속류를 포함한 박리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에서 상기 박리단계의 공정온도는 75 내지 95℃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박리단계는 박리액을 이용하여 상기 폐유리의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1차 박리단계 및 상기 1차 박리단계 이후 잔영을 제거하기 위해 재박리하는 2차 박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박리단계는 상기 박리액에 폐유리를 침지하는 공정시간이 5분 이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박리단계는 상기 박리액에 폐유리를 침지하는 공정시간이 15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세정단계는 상기 박리단계 이후 초음파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박리액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금속류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 알코올류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 내지 5 중량% 계면활성제 및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물(H2O)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기존의 방법으로 제거하기 어려웠던 모바일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폐유리의 잔영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고가의 유기용매 대신 다량의 물을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유해 성분의 배출과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리 단계에 따른 박리액의 농도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박리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박리액에 따른 유리 기판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은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공정 순서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폐유리에 도포된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박리 단계 및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리단계는 박리액을 이용하여 상기 폐유리의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1차 박리단계 및 상기 1차 박리단계 이후 잔영을 제거하기 위해 재박리하는 2차 박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박리단계의 공정 온도는 75 내지 95℃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게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박리단계는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금속류를 포함한 박리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1차 박리단계는 상기 박리액에 인쇄층이 도포된 폐유리를 침지하는 공정 시간이 5분 이하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음에 2차 박리단계에서 사용되는 박리액의 농도보다 고농도의 박리액을 이용하여 5분 이하로 1차 박리단계를 진행하는데, 이로인해 유리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박리액으로 제거되지 않는 인쇄층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박리액의 농도는 수산화알칼리금속류로 조절이 가능하며, 수산화알칼리금속류는 기본적인 알칼리 농도를 유지하는 강알칼리성 물질로서 KOH 등이 있다.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질은 창 유리 또는 병 유리로 사용되는 소다라임기판인데, 이는 산화규소(SiO2)가 주성분으로서 산화칼슘(CaO2) 산화나트륨(NaO2)의 혼합물 조성을 포함하며, 유리 기판의 표면이 극성을 띠고 있어서 극성 작용기를 가지는 화학물질과 반응을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리기판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와 유기체, 형광체 및 보호막은 극성작용기를 가지는 유기물이 대부분이다.
1차 박리단계에서, 상기 박리액의 수산화 알칼리금속류로 KOH를 사용한다면 포토레지스트가 KOH 박리액에 녹는 현상은 KOH를 물에 녹인 경우 K+ 이온와 OH-이온으로 해리가 되는데 이중에 OH- 이온은 포토레지스트의 OH- 관능기에서 H를 탈양자화시켜 자신은 H2O가 되고 포토레지스트 O-이온(페놀레이트)으로 만들게 되며, 페놀레이트의 생성으로 포토레지스트는 분자간 상호작용이 크게 약화되어 수용성이 증가하게 되며 K+이온이 포토레지스트에 쉽게 침투하여 고체화 돼서 유기체, 형광체 및 보호막을 유리판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1차 박리단계에서 폐유리를 수산화알칼리금속류의 중량이 높은 박리액에 침지하는 공정시간이 5분 이하로 하는 것은 그 이상 침지를 하게 되면 유리 기판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뿐만 아니라 유리 기판 자체의 부식과 같은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5분 이하로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화알칼리금속류의 중량이 높은 박리액은 박리액의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수산화알칼리금속류가 10중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침지 시간을 한정한 것과 같이 유리 기판 자체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박리단계 후에 폐유리 기판에 묻은 박리액을 제거하여, 유리 기판 표면의 농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공업용수로 수세하는 중간 수세 단계를 거친다.
상기 중간 수세 단계에서 1차 박리된 유리 기판을 공업용수에 침지하면 박리액에 의해 떨어진 도료가 유리 기판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온의 공업용수를 통해 75 내지 95℃에서 가열된 유리 기판의 온도를 낮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2차 박리단계는 상기 1차 박리 단계에서 사용된 박리액보다 수산화알칼리금속류의 중량이 적은 박리액을 이용하여 1차 박리단계에서 남은 잔영을 제거한다.
상기 2차 박리단계는 1차 박리된 유리를 박리액에 침지하는 공정 시간이 15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차 박리단계에서 사용된 박리액 보다는 수산화알칼리금속류의 농도가 옅어져 반응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5분 이상 침지하여도 유리 기판에 손상을 입히지는 않지만 15분 이상 침지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유리 기판의 부식과 같은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15분 이하로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화알칼리금속류의 중량이 적은 박리액은 박리액의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수산화알칼리금속류가 5중량% 미만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액의 농도가 너무 낮게되면 오랫동안 침지시켜도 반응성이 낮아서 잔영이 제거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박리단계에서 사용되는 박리액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금속류와 전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 알코올류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 내지 5 중량% 계면활성제 및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물(H2O)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리액의 구성성분인 알코올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알코올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1가 알코올, 2가 알코올, 3가 알코올 등의 다가 알코올 및 1차 알코올, 2차 알코올, 3차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가 하나 이상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될 수 있는데, 하나가 치환되었을 경우에는 1가 알코올이라 하며, 두 개가 치환되었을 경우 2가 알코올이라 한다.
1가 알코올에 대표적인 예로 에탄올을 들 수 있으며, 에탄올과 에틸렌글리콜의 화학식은 에탄올(C2H5OH) 에틸렌글리콜(C2H4(OH)2)와 같다.
또한, 하이드록시기(-OH)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에 붙어있는 알킬기의 수에 따라 1개가 붙어 있을 경우 1차 알코올, 2개일 경우 2차 알코올 등으로 부른다.
또한, 상기 박리액의 구성성분인 계면활성제는 박리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박리 균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임의의 음 이온성, 양 이온성, 혼성 이온성, 비 이온성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용해될 때 친수기부분이 음이온으로 해리되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용해될 때 친구기 부분이 양이온으로 해리되는 것이다.
혼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 양이온성 관능기와 음이온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고있는 것을 말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 이온성과양 이온성 및 혼성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달라서 분자 중에 이온으로 해리되지않는 하이드록시기(-OH), 에테르기(-O-), 아마이드기(-CONH-) 및 에스테르기(-COOR) 등을 분자 중에 갖고 있는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박리액은 고가의 유기용매 대신 다량의 물을 용매로 이용하므로 재생유리의 생산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상기 박리 단계는 1차 박리단계 및 2차 박리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1차 및 2차 박리단계의 공정 온도는 75 내지 95℃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정 온도가 75℃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낮아지므로 거의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박리 속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가열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95℃ 초과하면 반응속도는 빠르지만 유리 표면이 침식되어 균일한 유리 기판의 표면을 얻을 수 없고, 박리액의 증발 속도가 빨라지고 과다한 증기의 발생으로 작업 환경이 유해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1차 박리단계와 2차 박리단계에서 박리액의 농도를 상이하게 하는 이유는 고농도를 쓰면 반응성은 크지만 반응성이 큰 만큼 유리에 손상을 주고, 저농도에서 반응하면 반응성이 저하된 만큼 박리 시간이 4배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늘어나 생산 효율이 낮아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고농도 박리액에 5분 이하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침지된 유리기판을 저농도 박리액에 침지하여 재박리하면 유리 기판에 도포된 인쇄층의 박리 효율이 향상되므로 박리액의 농도를 상이하게 하여 여러 차례의 박리단계를 진행하므로 재생 유리의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은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단계는 상기 박리 단계 이후 초음파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초음파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함으로, 세정 수조에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여 진동을 공업용수에 전달시켜 초음파에 의한 캐비테이션(Cavitation)효과에 의해 유리 기판을 세정하는 것이다.
캐비테이션 효과는 초음파에 의해 액 중에 미소한 공동을 만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방법의 상기 세정단계에서 초음파의 고주파를 사용하면 에너지가 강하기때문에 유리 기판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고주파의 범위가 광범위해서 초음파를 제어하기 힘들기 때문에 저주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단계는 제거된 도료를 씻어내는 초음파 세정단계와 미세 약품을 제거하는 탈지 초음파 세정단계 및 최종 수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음파 세정단계는 공업용수로 3회에 걸쳐 침지형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지며 초음파의 저주파를 가해 공업용수를 진동시켜 세정 효과를 증대시킨다.
상기 초음파 세정단계는 1차, 2차 및 3차 초음파 세정 수조에서 이루어지며, 1차와 2차 및 3차 초음파 세정 수조에 가해주는 초음파의 세기는 동일하고, 유리 기판을 수세하기 위해 공업용수에 침지하는 시간은 1분 내외로 한다.
1차 초음파 세정 수조에서 세정단계를 진행하면 초음파의 저주파에 의해 박리액 및 유리 기판에서 떨어진 도료들로 인해 공업용수가 뿌옇게 흐려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떨어진 도료의 재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1분 내외로 침지를 종료하고 2차 및 3차 초음파 세정 수조에 이동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세정 단계를 거친 유리 기판은 탈지제가 첨가된 탈지 초음파 세정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유리기판에 묻은 미세 약품을 제거하여 상기 잔영에 의해 유리기판의 일부에 파란 부분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탈지 초음파 세정 수조에 공업용수와 탈지제를 첨가하여 유리 기판의 미세 약품을 제거하고 제거되는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물리적인 힘으로 초음파의 저주파를 가해준다.
상기 탈지 초음파 세정단계를 거쳐 유리 기판의 잔영이 제거된 후 최종적으로 순수 공업용수로 수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의 수세단계는 상기 탈지 초음파 세정단계 진행이 종료 후 유리 기판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탈지제에 제거된 미세 약품 및 탈지제의 성분을 유리 기판 표면에서 제거하기 위해 진행된다.
상기 수세단계는 1차, 2차 및 3차 세정 수조를 이용한 3회에 걸쳐 침지형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지며 상기 초음파 세정단계에서 사용된 초음파 강도보다는 약하게 초음파를 가해준다.
수세 단계에서 초음파를 강하게 가해주면 유리 기판에 캐비테이션 효과로 인한 점박이가 생겨 불량 유리 기판을 생산해내므로 초음파의 세기를 약하게 가해주어 유리 기판을 수세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7)

  1. 폐유리에 도포된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박리단계;
    및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단계는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 금속류를 포함한 박리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단계의 공정온도는 75 내지 95℃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단계는
    박리액을 이용하여 상기 폐유리의 패턴 인쇄층을 박리하는 1차 박리단계;
    및 상기 1차 박리단계 이후 잔영을 제거하기 위해 재박리하는 2차 박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박리단계는 상기 박리액에 폐유리를 침지하는 공정시간이 5분 이하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박리단계는 상기 박리액에 폐유리를 침지하는 공정시간이 15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단계는 상기 박리단계 이후 초음파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상기 박리된 유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액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수산화알칼리금속류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 알코올류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 내지 5 중량% 계면활성제
    및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물(H2O)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KR1020130092555A 2013-08-05 2013-08-05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KR10157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55A KR101573778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55A KR101573778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38A true KR20150016738A (ko) 2015-02-13
KR101573778B1 KR101573778B1 (ko) 2015-12-02

Family

ID=5257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55A KR101573778B1 (ko) 2013-08-05 2013-08-05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3322A (zh) * 2016-11-28 2017-04-26 莱特巴斯光学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光学玻璃表面清洗方法
CN107096782A (zh) * 2017-05-20 2017-08-29 合肥市惠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MicroLED玻璃基板超声波清洗方法
CN109530325A (zh) * 2017-09-21 2019-03-29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玻璃工件脱墨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93B1 (ko) * 2016-10-14 2017-06-01 김경훈 폐유리로부터 폴리비닐부티랄을 분리하는 분리회수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147A (ja) 2004-11-30 2006-06-15 Sanyo Chem Ind Ltd 電子部品
JP5137389B2 (ja) 2006-12-11 2013-02-06 花王株式会社 ガラス型の洗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3322A (zh) * 2016-11-28 2017-04-26 莱特巴斯光学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光学玻璃表面清洗方法
CN107096782A (zh) * 2017-05-20 2017-08-29 合肥市惠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MicroLED玻璃基板超声波清洗方法
CN109530325A (zh) * 2017-09-21 2019-03-29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玻璃工件脱墨加工方法
CN109530325B (zh) * 2017-09-21 2021-08-10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玻璃工件脱墨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778B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1827C (zh) 光致抗蚀剂剥离液组合物及使用光致抗蚀剂剥离液组合物的光致抗蚀剂的剥离方法
CN1275100C (zh) 光致抗蚀剂剥离液组合物及使用光致抗蚀剂剥离液组合物的光致抗蚀剂的剥离方法
KR101573778B1 (ko) 모바일용 유리 기판의 재생 방법
CN105116696A (zh) 一种光刻胶剥离液及其应用
US6280527B1 (en) Aqueous quaternary ammonium hydroxide as a screening mask cleaner
CN103336412A (zh) 一种新型的光刻胶剥离液及其应用工艺
US20010039251A1 (en) Removal of screening paste residue with quaternary ammonium hydroxide-based aqueous cleaning compositions
CN101154558A (zh) 刻蚀设备组件的清洗方法
CN101234386A (zh) 利用深池化学反应有选择地回收tft-lcd玻璃基底的方法
TW201130627A (en) A cleaning method of a metal mol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KR20080087679A (ko) 입자를 함유하는 레지스트 박리액 및 그것을 이용한 박리방법
KR20110115579A (ko) 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레지스트 박리 방법
JP2008085150A (ja) 洗浄方法
KR101936938B1 (ko) 오프셋 인쇄용 요판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CN110571134A (zh) 一种挡板上钼及其氧化物的清洗工艺
KR960007446B1 (ko) 레지스트박리액 및 그것을 사용한 레지스트의 박리방법
JP2002179438A (ja) 画素の剥離方法
KR20080063091A (ko) 태양전지용 기판 세정 방법
KR102296538B1 (ko) 수지층의 제거 방법
KR100690347B1 (ko) 박리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및 그 박리 장치
KR101806941B1 (ko) 윈도우 글래스 보호 코팅막 박리 방법
KR101766210B1 (ko) 오프셋 인쇄용 요판 세정액 조성물
CN113832471B (zh) 一种用于快速剥离聚酰亚胺薄膜的清洗剂及其应用
KR101766209B1 (ko) 오프셋 인쇄용 요판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JP5627404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の薄膜化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