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646A -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646A
KR20150016646A KR1020130082443A KR20130082443A KR20150016646A KR 20150016646 A KR20150016646 A KR 20150016646A KR 1020130082443 A KR1020130082443 A KR 1020130082443A KR 20130082443 A KR20130082443 A KR 20130082443A KR 20150016646 A KR20150016646 A KR 2015001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shim
head
pane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402B1 (ko
Inventor
곽준호
안성상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402B1/ko
Priority to US14/102,345 priority patent/US10011100B2/en
Priority to CN201410078676.2A priority patent/CN104275276B/zh
Priority to CN201810203698.5A priority patent/CN108454220B/zh
Publication of KR2015001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6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two different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the sam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wice, to the sam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제1 심과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Slit nozz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릿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를 형성하는 슬릿 노즐에 관한 것이다.
패널과 윈도우의 합착 방법은 광학적 접착제(OCA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UV 등으로 레진을 경화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적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은 접착제 자체 두께로 인해 패널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레진을 이용한 UV 경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레진의 유동성에 의해 레진이 흘러내림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레진을 도포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한 슬릿 노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제1 심과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심은 상기 도포액을 면 도포하고, 상기 제3 심은 상기 도포액을 라인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심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는,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오목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심은, 하부에 제 2폭을 가지며, 서로 제1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오목부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관통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상에 제1 레진층 및 제2 레진층을 포함하는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상기 제1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진층의 양 측 상단에 상기 제2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의 상부 폭과 상기 패널의 하부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레진층은 면 도포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진층은 선 도포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레진층에 UV 가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층 상면에 패널을 진공 상태에서 압착하는 단계; 및 UV경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서로 합착시켜,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은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하므로, 합착 과정에서 표시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 상에 레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도 2의 레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레진을 이용하여 서로 본딩시키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면 도포를 하는 단일의 심만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서 윈도우 상에 레진을 면 도포한 후,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시킨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은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헤드(10, 12)와 상기 제1 및 제2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심(20)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헤드(10, 12)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제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 인근의 하부에는 예각을 이루며 돌출된 돌출부(10a, 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헤드(10)는 후면부에 도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1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한 개의 주입구(11)를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주입구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주입구(11)는 상기 제1 헤드(10)의 후면부 이외에 다른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액은 예를 들어, 레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헤드(10)의 상기 제1 심(14) 내지 제3 심(18)의 배열에 따라서, 상기 주입구(11)는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차례대로 배치된 제1 헤드(10), 제1 심(14) 내지 제3 심(18) 및 제2 헤드(12)의 배열이 제1 헤드(10), 제3 심(18) 내지 제1 심(14) 및 제2 헤드(12)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주입구(11)는 제1 헤드(10)가 아닌 제2 헤드(12)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헤드(10, 12)는 예를 들어, SUS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심(14), 제2 심(16) 및 제3 심(18)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심(14)은 하부가 제1 폭(a)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14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상기 제1 오목부(14a)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심(18)은 하부에서 제1 간격(c)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제2 폭(b)을 갖도록 제거된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목부(18a, 18b)는 상부의 폭에 비하여 하부의 폭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은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심(16)의 상기 관통부(16a, 16b)와 서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은 하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심(14)의 상기 제1 오목부(14a)와 서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심(14)은 제1 오목부(14a)를 포함하므로, 예를 들어, 윈도우(미도시) 상에 상기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면 도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된 도포액은 상기 제1 심(14)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심(14)은 상기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상기 윈도우(미도시) 상에 제1 폭(a)을 갖는 면 도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10)에서 상기 제1 심(14)으로 이동한 도포액은 상기 제2 심(16)의 관통부(16a, 16b)를 거쳐,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상에 제2 폭(b)을 갖는 라인 도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14)에서 제1 오목부(14a)의 제1 폭(a) 및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의 제2 폭(b)은 상기 윈도우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도포액의 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심(14)의 하부 및 상기 제3 심(18)의 하부에 각각 제1 오목부(14a) 및 제2 오목부(18a, 18b)가 형성된 것과 달리, 상기 제2 심(16)에서는 하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1 오목부(14a) 및 상기 제2 오목부(18a, 18b)와 소정의 영역이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상기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심(14)의 면 도포와 상기 제3 심(18)의 라인 도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심(14)과 상기 제3 심(18) 사이에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갖는 제2 심(16)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심(14) 및 상기 제3 심(18)에서 도포되는 도포액 간에 시간차가 형성되어, 면 도포 상에 라인 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100)을 이용하여, 윈도우(200) 상에 레진층(300)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된 도포액으로서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레진은 상기 제1 심(14)의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윈도우(200) 상에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한다.
또한, 임의의 간격(M)을 두고 상기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레진층(300b)은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통하여 토출된 레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간격(M)은 상기 제1 및 제3 심(14, 18) 사이에 배치된 제2 심(16)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3 심(14, 18) 사이에 상기 제2 심(16)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심(14)의 제1 오목부(14a)와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에서는 레진이 동시에 토출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도 2의 레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윈도우(200) 상에 제1 심(14)을 통하여 제1 폭(a)을 갖는 제1 레진층(30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상기 제1 심(14)의 면 도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하부 및 상부가 서로 다른 폭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하부가 제1 폭(a)을 갖는 것과 달리,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상부는 상기 제1 폭(a) 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200) 상에 형성된 제1 레진층(300a)은 유체의 특성상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하지 못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심(14) 및 제2 심(16)을 거쳐 상기 제3 심(18)의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통하여, 제2 폭(b)을 갖는 레진(300b')이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형성한다.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도포된 레진(300b')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레진층(300b) 및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서로 합쳐지면서,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상부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레진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에는 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레진층(300a, 300b)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레진층(300a)에 비하여 상부의 폭이 더 넓은 레진층(30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미도시)과 상기 윈도우(200)을 보다 효율적으로 합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레진층(300b)이 형성되도록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는, 상기 제2 레진층(300b)의 상부면과 제1 레진층(300a)의 상부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 간의 간격인 제2 폭(c)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폭(c)은 윈도우(200) 상에 도포되는 레진의 점도 등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 상기 레진이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되는 주입 속도, 제1 레진층(300a) 및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진이 도포된 후, 가경화를 하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런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레진을 이용하여 서로 본딩시키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도 1의 100)을 이용하여, 윈도우(200) 상에 레진층(300)을 형성한다.
상기 레진층(300)은 상기 윈도우(200) 상에 면 도포되어 형성된 제1 레진층(300a) 및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제2 폭(b)을 갖도록 선 도포되어 형성된 제2 레진층(300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유체의 특성상 중력으로 인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는 상기 레진층(30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광조사부(500)를 이용한 가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가경화 공정은 상기 레진층(300)과 패널(400)을 합착시키는 후속 경화 공정이 진행되도록, 상기 레진층(300)의 형상이 유지될 정도의 최소의 가경화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500)는 예를 들어, UV 램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레진층(300) 상에 패널(400)을 진공 상태에서 압착시킨다. 상기 패널(400)의 하부 폭과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 폭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400)과 상기 레진층(30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를 서로 합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진층(300)에 광조사부(500)를 이용하여 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레진층(300)을 통하여 서로 합착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에서 기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챔버(600) 내에서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 1의 슬릿 노즐(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a)은 복수의 헤드(10, 12) 및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제1 심 내지 제3 심(14, 16', 18)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도 1의 제2 심(16)과 달리, 한 개의 관통부(16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심(14)에서 상기 제3 심(18)으로 이동하여 도포되는 도포액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 1의 슬릿 노즐(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b)은 복수의 헤드(10, 12),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되는 심(14), 및 상기 심(14)과 접촉하는 상기 제2 헤드(12)의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22a)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은 선 도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심(14)으로부터 형성된 면 도포로부터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도포액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심(14)과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하여 토출되는 도포액 간의 시간차는 상기 심(14)과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헤드(1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서 도포액이 토출되는 시간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심(14)에서 토출되는 도포액과의 시간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릿 노즐(100b)이 제1 방향(x)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는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심(14)에 의하여 형성된 도포액 상에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하여 토출되는 도포액이 합쳐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슬릿 노즐(100b)이 상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2 방향(-x)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가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이 아닌 상기 제1 헤드(10)의 후면, 즉 주입구(11)가 형성된 면에 배치되어야 상기 심(14)에 의하여 형성된 도포액 상에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한 도포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면 도포를 하는 단일의 심만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서 윈도우 상에 레진을 면 도포한 후,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시킨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200)와 패널(400) 사이에 배치된 레진층(310)은 유체의 특성상 중력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 상에 도포된 레진이 흘러내려 상부가 볼록하거나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레진층(310)의 양 끝단에서는 상기 레진층(310)의 기울기에 의하여, 상기 패널(400)과 상기 레진층(310) 간에 박리(A)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 합착시 불량이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전술한 박리와 같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200) 상에 레진을 과다 도포한 경우로서, 패널(400)의 하부와 레진층(320)의 상부 간에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진층(320)이 상기 윈도우(200)의 양 끝 단을 범람하는 오버플로우(ocerflow) 불량이 발생한다.
이처럼 면 도포만 가능한 슬릿 노즐의 경우, 윈도우(200) 및 패널(400)의 합착 과정에서 박리나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한 노즐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합착 불량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가요성 표시장치 120: 기판
10: 제1 헤드 11: 주입구
12: 제2 헤드 14: 제1 심
14a: 제1 오목부 16a, 16b, 16c: 관통부
16, 16' 제2 심 18: 제3 심
18a, 18b: 제2 오목부 22a: 라인 디스펜서
100, 100a, 100b: 슬릿 노즐 200: 윈도우
300: 레진층 300a: 제1 레진층
300b: 제2 레진층 310, 320: 레진층
400: 패널 500: 광조사부
600: 챔버

Claims (19)

  1.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제1 심과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
    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은 상기 도포액을 면 도포하고, 상기 제3 심은 상기 도포액을 라인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오목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심은,
    하부에 제 2폭을 가지며, 서로 제1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관통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하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오목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0.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심; 및
    상기 심과 접촉하는 상기 제2 헤드의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
    를 포함하는 슬릿 노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오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면 도포를 하며, 상기 라인 디스펜서는 라인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4.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상에 제1 레진층 및 제2 레진층을 포함하는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상기 제1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진층의 양 측 상단에 상기 제2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의 상부 폭과 상기 패널의 하부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진층은 면 도포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진층은 선 도포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레진층에 UV 가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층 상면에 패널을 진공 상태에서 압착하는 단계; 및
    UV경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서로 합착시켜,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30082443A 2013-07-12 2013-07-12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50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43A KR101503402B1 (ko) 2013-07-12 2013-07-12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4/102,345 US10011100B2 (en) 2013-07-12 2013-12-10 Slit nozz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1410078676.2A CN104275276B (zh) 2013-07-12 2014-03-05 狭缝喷嘴和使用狭缝喷嘴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201810203698.5A CN108454220B (zh) 2013-07-12 2014-03-05 狭缝喷嘴和使用狭缝喷嘴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43A KR101503402B1 (ko) 2013-07-12 2013-07-12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84A Division KR102029900B1 (ko) 2014-12-08 2014-12-08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46A true KR20150016646A (ko) 2015-02-13
KR101503402B1 KR101503402B1 (ko) 2015-03-17

Family

ID=5225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443A KR101503402B1 (ko) 2013-07-12 2013-07-12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11100B2 (ko)
KR (1) KR101503402B1 (ko)
CN (2) CN104275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77B1 (ko) * 2016-04-05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011727B2 (en) 2016-11-17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6014270A1 (de) 2016-11-30 2018-05-30 Dürr Systems Ag Düsenvorrichtung zur Ausgabe von zwei sich annähernden Strahlen eines Abgabemediums
DE102016014269A1 (de) * 2016-11-30 2018-05-30 Dürr Systems Ag Düsenvorrichtung mit zumindest zwei Düsenplatten und zumindest drei Öffnungen
CN108311307B (zh) * 2018-02-11 2024-02-23 佛山华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板状叠加式多孔喷头
JP6580807B1 (ja) * 2019-06-06 2019-09-25 株式会社オリジン 接合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124B1 (ko) * 1971-05-04 1976-05-14
US4476165A (en) * 1982-06-07 1984-10-09 Acumet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ulti-layer viscous fluid deposition such as for the application of adhesives and the like
US4584380A (en) * 1982-10-07 1986-04-22 Ici Americas Inc. Synthesis of 2-substituted-5-methyl-pyridin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FR2560230B1 (fr) * 1984-02-24 1987-12-04 Asa Sa Procede pour l'obtention d'un file de fibres
ES2115700T3 (es) * 1992-07-08 1998-07-01 Nordson Corp Aparato y procedimientos para la aplicacion de coberturas discretas.
US6423144B1 (en) 1996-08-07 2002-07-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US7152815B2 (en) 2003-06-04 2006-12-26 Nordso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nozzle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dispensing and controlling liquid
CN100576077C (zh) * 2005-05-30 2009-12-30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涂布方法和涂布装置
KR101201319B1 (ko) 2005-12-20 2012-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US7798434B2 (en) * 2006-12-13 2010-09-21 Nordson Corporation Multi-plate nozzle and method for dispensing random pattern of adhesive filaments
JP2008168225A (ja) 2007-01-12 2008-07-24 Fujifilm Corp スリット塗布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100064499A (ko) 2008-12-05 2010-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1356652B1 (ko) * 2011-10-31 2014-02-04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합착방법 및 이를 위한 합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54220B (zh) 2021-02-05
KR101503402B1 (ko) 2015-03-17
US20150013900A1 (en) 2015-01-15
CN104275276B (zh) 2018-09-28
US10011100B2 (en) 2018-07-03
CN104275276A (zh) 2015-01-14
CN108454220A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402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049776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9547192B2 (en) Display device
TWI700529B (zh) 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218589B1 (ko) 수지 도포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층 형성방법
KR20140096596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302863B2 (en) Methods of attaching surfaces together by adhesives, and devices including surfaces attached together by adhesives
WO2011131121A1 (zh) 胶涂覆设备及胶涂覆方法
KR102145845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도포 장치
JP5358847B2 (ja) 板状部材の貼り合せ方法及び貼り合せ装置
TW201816474A (zh) 貼合器件的真空貼合裝置
KR20150008027A (ko)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327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10065205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141B1 (ko) 이형 글라스 보강장치
KR20120069486A (ko) 패턴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85875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실런트 도포장치
Pennington et al. 4.4: vacuumless lamination of printable LOCA
US10510982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10598991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cut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616954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기판 접합 방법
KR10073770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밀봉재 도포용 나이프
TWI790660B (zh) 免框膠式膠合結構之製作方法
KR102492939B1 (ko) 개선된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코팅 장치 및 코팅 방법
JP6557779B2 (ja) ディスプレイ用電子基板の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用電子基板の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