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00B1 -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00B1
KR102029900B1 KR1020140175384A KR20140175384A KR102029900B1 KR 102029900 B1 KR102029900 B1 KR 102029900B1 KR 1020140175384 A KR1020140175384 A KR 1020140175384A KR 20140175384 A KR20140175384 A KR 20140175384A KR 102029900 B1 KR102029900 B1 KR 10202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resin layer
head
coating liquid
sli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027A (ko
Inventor
곽준호
안성상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05B12/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for sequential operation or multipl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05C5/0275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flow controlled, e.g. by a valve
    • B05C5/0279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flow controlled, e.g. by a valve independently, e.g. individually, flow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제1 심과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Slit nozz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릿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를 형성하는 슬릿 노즐에 관한 것이다.
패널과 윈도우의 합착 방법은 광학적 접착제(OCA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UV 등으로 레진을 경화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적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은 접착제 자체 두께로 인해 패널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레진을 이용한 UV 경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레진의 유동성에 의해 레진이 흘러내림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레진을 도포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한 슬릿 노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는 제1 헤드 및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제1 심과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심은 상기 도포액을 면 도포하고, 상기 제3 심은 상기 도포액을 라인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심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는,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오목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심은, 하부에 제 2폭을 가지며, 서로 제1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오목부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관통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헤드는,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상에 제1 레진층 및 제2 레진층을 포함하는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상기 제1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진층의 양 측 상단에 상기 제2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의 상부 폭과 상기 패널의 하부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레진층은 면 도포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진층은 선 도포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레진층에 UV 가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층 상면에 패널을 진공 상태에서 압착하는 단계; 및 UV경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서로 합착시켜,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진층 상에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은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하므로, 합착 과정에서 표시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 상에 레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도 2의 레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레진을 이용하여 서로 본딩시키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면 도포를 하는 단일의 심만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서 윈도우 상에 레진을 면 도포한 후,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시킨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은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헤드(10, 12)와 상기 제1 및 제2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심(20)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헤드(10, 12)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제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 인근의 하부에는 예각을 이루며 돌출된 돌출부(10a, 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헤드(10)는 후면부에 도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구(1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한 개의 주입구(11)를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주입구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주입구(11)는 상기 제1 헤드(10)의 후면부 이외에 다른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액은 예를 들어, 레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헤드(10)의 상기 제1 심(14) 내지 제3 심(18)의 배열에 따라서, 상기 주입구(11)는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차례대로 배치된 제1 헤드(10), 제1 심(14) 내지 제3 심(18) 및 제2 헤드(12)의 배열이 제1 헤드(10), 제3 심(18) 내지 제1 심(14) 및 제2 헤드(12)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주입구(11)는 제1 헤드(10)가 아닌 제2 헤드(12)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헤드(10, 12)는 예를 들어, SUS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심(14), 제2 심(16) 및 제3 심(18)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심(14)은 하부가 제1 폭(a)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14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상기 제1 오목부(14a)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심(18)은 하부에서 제1 간격(c)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제2 폭(b)을 갖도록 제거된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목부(18a, 18b)는 상부의 폭에 비하여 하부의 폭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은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 심(16)의 상기 관통부(16a, 16b)와 서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은 하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심(14)의 상기 제1 오목부(14a)와 서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심(14)은 제1 오목부(14a)를 포함하므로, 예를 들어, 윈도우(미도시) 상에 상기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면 도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된 도포액은 상기 제1 심(14)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심(14)은 상기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상기 윈도우(미도시) 상에 제1 폭(a)을 갖는 면 도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10)에서 상기 제1 심(14)으로 이동한 도포액은 상기 제2 심(16)의 관통부(16a, 16b)를 거쳐,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로 이동하여, 상기 윈도우 상에 제2 폭(b)을 갖는 라인 도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14)에서 제1 오목부(14a)의 제1 폭(a) 및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의 제2 폭(b)은 상기 윈도우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도포액의 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심(14)의 하부 및 상기 제3 심(18)의 하부에 각각 제1 오목부(14a) 및 제2 오목부(18a, 18b)가 형성된 것과 달리, 상기 제2 심(16)에서는 하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1 오목부(14a) 및 상기 제2 오목부(18a, 18b)와 소정의 영역이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상기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심(14)의 면 도포와 상기 제3 심(18)의 라인 도포 간의 시간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심(14)과 상기 제3 심(18) 사이에 복수의 관통부(16a, 16b)를 갖는 제2 심(16)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심(14) 및 상기 제3 심(18)에서 도포되는 도포액 간에 시간차가 형성되어, 면 도포 상에 라인 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100)을 이용하여, 윈도우(200) 상에 레진층(300)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된 도포액으로서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레진은 상기 제1 심(14)의 제1 오목부(14a)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윈도우(200) 상에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한다.
또한, 임의의 간격(M)을 두고 상기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레진층(300b)은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통하여 토출된 레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간격(M)은 상기 제1 및 제3 심(14, 18) 사이에 배치된 제2 심(16)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3 심(14, 18) 사이에 상기 제2 심(16)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심(14)의 제1 오목부(14a)와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에서는 레진이 동시에 토출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도 2의 레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윈도우(200) 상에 제1 심(14)을 통하여 제1 폭(a)을 갖는 제1 레진층(30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상기 제1 심(14)의 면 도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하부 및 상부가 서로 다른 폭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하부가 제1 폭(a)을 갖는 것과 달리,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상부는 상기 제1 폭(a) 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200) 상에 형성된 제1 레진층(300a)은 유체의 특성상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하지 못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레진층(300a)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심(14) 및 제2 심(16)을 거쳐 상기 제3 심(18)의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를 통하여, 제2 폭(b)을 갖는 레진(300b')이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형성한다.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도포된 레진(300b')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1 레진층(300a) 상에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레진층(300b) 및 상기 제1 레진층(300a)은 서로 합쳐지면서,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상부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레진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에는 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레진층(300a, 300b)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레진층(300a)에 비하여 상부의 폭이 더 넓은 레진층(30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미도시)과 상기 윈도우(200)을 보다 효율적으로 합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레진층(300b)이 형성되도록 도포액을 도포하는 상기 제3 심(18)의 제2 오목부(18a, 18b)는, 상기 제2 레진층(300b)의 상부면과 제1 레진층(300a)의 상부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18a, 18b) 간의 간격인 제2 폭(c)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폭(c)은 윈도우(200) 상에 도포되는 레진의 점도 등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 상기 레진이 상기 제1 헤드(10)의 주입구(11)에 주입되는 주입 속도, 제1 레진층(300a) 및 제2 레진층(300b)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진이 도포된 후, 가경화를 하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런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레진을 이용하여 서로 본딩시키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도 1의 100)을 이용하여, 윈도우(200) 상에 레진층(300)을 형성한다.
상기 레진층(300)은 상기 윈도우(200) 상에 면 도포되어 형성된 제1 레진층(300a) 및 상기 제1 레진층(300a)의 양 측 상단에 제2 폭(b)을 갖도록 선 도포되어 형성된 제2 레진층(300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유체의 특성상 중력으로 인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는 상기 레진층(30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광조사부(500)를 이용한 가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가경화 공정은 상기 레진층(300)과 패널(400)을 합착시키는 후속 경화 공정이 진행되도록, 상기 레진층(300)의 형상이 유지될 정도의 최소의 가경화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500)는 예를 들어, UV 램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레진층(300) 상에 패널(400)을 진공 상태에서 압착시킨다. 상기 패널(400)의 하부 폭과 상기 레진층(300)의 상부 폭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400)과 상기 레진층(30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를 서로 합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진층(300)에 광조사부(500)를 이용하여 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레진층(300)을 통하여 서로 합착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에서 기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챔버(600) 내에서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 1의 슬릿 노즐(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a)은 복수의 헤드(10, 12) 및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심(20')은 제1 심 내지 제3 심(14, 16', 18)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심(16')은 도 1의 제2 심(16)과 달리, 한 개의 관통부(16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심(14)에서 상기 제3 심(18)으로 이동하여 도포되는 도포액의 시간차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릿 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 1의 슬릿 노즐(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릿 노즐(100b)은 복수의 헤드(10, 12), 상기 복수의 헤드(10, 12) 사이에 배치되는 심(14), 및 상기 심(14)과 접촉하는 상기 제2 헤드(12)의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22a)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은 선 도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심(14)으로부터 형성된 면 도포로부터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도포액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심(14)과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하여 토출되는 도포액 간의 시간차는 상기 심(14)과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헤드(1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서 도포액이 토출되는 시간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심(14)에서 토출되는 도포액과의 시간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릿 노즐(100b)이 제1 방향(x)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는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심(14)에 의하여 형성된 도포액 상에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하여 토출되는 도포액이 합쳐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슬릿 노즐(100b)이 상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2 방향(-x)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가 상기 제2 헤드(12)의 후면이 아닌 상기 제1 헤드(10)의 후면, 즉 주입구(11)가 형성된 면에 배치되어야 상기 심(14)에 의하여 형성된 도포액 상에 상기 라인 디스펜서(22a)에 의한 도포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면 도포를 하는 단일의 심만을 포함하는 슬릿 노즐에서 윈도우 상에 레진을 면 도포한 후,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시킨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200)와 패널(400) 사이에 배치된 레진층(310)은 유체의 특성상 중력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 상에 도포된 레진이 흘러내려 상부가 볼록하거나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레진층(310)의 양 끝단에서는 상기 레진층(310)의 기울기에 의하여, 상기 패널(400)과 상기 레진층(310) 간에 박리(A)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400)과 상기 윈도우(200) 합착시 불량이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전술한 박리와 같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200) 상에 레진을 과다 도포한 경우로서, 패널(400)의 하부와 레진층(320)의 상부 간에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진층(320)이 상기 윈도우(200)의 양 끝 단을 범람하는 오버플로우(ocerflow) 불량이 발생한다.
이처럼 면 도포만 가능한 슬릿 노즐의 경우, 윈도우(200) 및 패널(400)의 합착 과정에서 박리나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 도포 및 라인 도포가 가능한 노즐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합착 불량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슬릿 노즐을 이용하여 윈도우와 패널을 합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가요성 표시장치 120: 기판
10: 제1 헤드 11: 주입구
12: 제2 헤드 14: 제1 심
14a: 제1 오목부 16a, 16b, 16c: 관통부
16, 16' 제2 심 18: 제3 심
18a, 18b: 제2 오목부 22a: 라인 디스펜서
100, 100a, 100b: 슬릿 노즐 200: 윈도우
300: 레진층 300a: 제1 레진층
300b: 제2 레진층 310, 320: 레진층
400: 패널 500: 광조사부
600: 챔버

Claims (12)

  1.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포함하는 제1 헤드;
    상기 제1 헤드와 마주하는 제2 헤드; 및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은,
    상기 도포액으로 제1 레진층을 도포하는 제1 심;
    상기 제1 레진층 상에 제2 레진층을 도포하는 제3 심; 및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심과 상기 제3 심 간의 도포에 시간차를 형성하는 제2 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의 동일한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도포액은 상기 제1 레진층을 도포하는 상기 제1 심, 및 상기 제2 레진층을 도포하는 상기 제3 심을 모두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은 상기 도포액을 면 도포하고, 상기 제3 심은 상기 도포액을 라인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4. 삭제
  5. 삭제
  6. 도포액이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포함하는 제1 헤드;
    상기 제1 헤드와 마주하는 제2 헤드;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레진층을 도포하는 심; 및
    상기 심과 접촉하는 상기 제2 헤드의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진층 상에 제2 레진층을 도포하는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와 동일한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도포액은 상기 제1 레진층을 도포하는 상기 심, 및 상기 제2 레진층을 도포하는 상기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에 모두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면 도포를 하며, 상기 라인 디스펜서는 라인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심은, 상기 제1 오목부와 일부가 오버랩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심은,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도록 하부가 제거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하부가 제1 폭을 갖도록 제거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디스펜서는,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슬릿 노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관통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하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오목부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노즐.
KR1020140175384A 2014-12-08 2014-12-08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2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84A KR102029900B1 (ko) 2014-12-08 2014-12-08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84A KR102029900B1 (ko) 2014-12-08 2014-12-08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443A Division KR101503402B1 (ko) 2013-07-12 2013-07-12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027A KR20150008027A (ko) 2015-01-21
KR102029900B1 true KR102029900B1 (ko) 2019-12-02

Family

ID=5257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84A KR102029900B1 (ko) 2014-12-08 2014-12-08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3196B (zh) * 2023-05-24 2023-11-10 北京大学长三角光电科学研究院 狭缝涂布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496A1 (en) * 2003-06-04 2004-12-23 Nordso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nozzle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dispensing and controlling liquid
JP2010279938A (ja) * 2009-06-08 2010-12-16 Uni Charm Corp 接着剤用コータの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6165A (en) * 1982-06-07 1984-10-09 Acumet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ulti-layer viscous fluid deposition such as for the application of adhesives and the like
KR101356652B1 (ko) * 2011-10-31 2014-02-04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합착방법 및 이를 위한 합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496A1 (en) * 2003-06-04 2004-12-23 Nordso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nozzle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dispensing and controlling liquid
JP2010279938A (ja) * 2009-06-08 2010-12-16 Uni Charm Corp 接着剤用コータの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027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402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9547192B2 (en) Display device
US201402111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4368506B (zh) 利用狭缝喷嘴的涂布层形成方法及涂布装置
WO2016106839A1 (zh) 液晶显示装置、液晶显示面板母板及其制备方法
TWI737243B (zh) 顯示裝置
KR102029900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145845B1 (ko) 슬릿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도포 장치
KR10135665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합착방법 및 이를 위한 합착장치
JP6979574B2 (ja) ディスプレイ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
KR10207407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ocr 합착 방법
CN113724597A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130273360A1 (en) Dual substrate device and dual substrate bonding method
TW201426101A (zh) 液晶顯示裝置之自動接合系統以及使用該系統之接合方法
US979308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for heating sealing unit with different laser beams
KR101219737B1 (ko) 향상된 도포 품질을 갖는 기판 코터 장치의 슬릿 노즐
TWI604251B (zh) 觸控螢幕液晶顯示裝置
US10598991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cut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134270B1 (ko) 기판 부상용 스테이지,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8365131B (zh) 一种片材装配方法、装配结构和显示屏
JP6356911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反射型空中結像素子の製造方法
Pennington et al. 4.4: vacuumless lamination of printable LOCA
JP2015135425A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9086571A5 (ko)
TWI576926B (zh) 一種封裝基板製造方法及封裝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