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904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904A
KR20150014904A KR1020147023331A KR20147023331A KR20150014904A KR 20150014904 A KR20150014904 A KR 20150014904A KR 1020147023331 A KR1020147023331 A KR 1020147023331A KR 20147023331 A KR20147023331 A KR 20147023331A KR 20150014904 A KR20150014904 A KR 2015001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rod
hair
strengt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148B1 (ko
Inventor
테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에 헤드부(10)가 마련된 핸들체(1a)를 구비하고, 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용모의 모속(12a, 12b)이 식설된 것이고,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이고, (수직 모요(毛腰) 강도(A)[N/㎠])/(수평 모요 강도(B)[N])의 값(A/B)이 40[1/㎠] 이상인, 칫솔(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선의 가요성이 높고, 잇몸에의 모속의 닿는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5월 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2-10454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의 기본 기능으로서는, 구강 내의 청소 효과나 마사지 효과 등이 있다. 칫솔은, 그 기본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치간(齒間) 진입성이나, 청소 실감(實感), 또는 마사지성 등을 부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칫솔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식모 구멍의 배치나 형상, 브러시의 종류나 형상, 또는 모속의 모절(毛切) 형상 등을 복잡하게 조합시킨 사양이 일반적으로 유효하다.
그런데, 치주병에 걸린 환자는, 구강 내 청소시의 통증이나 출혈 등의 발생을 막기 위해, 잇몸에의 자극이 적은 부드럽게 닿는 느낌의 칫솔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잇몸에의 자극이 적은 칫솔로서는, 식모면에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하고, 구강 내 청소시의 쇄소압(刷掃壓)을 분산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2-3484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고밀도 식모의 칫솔에서는, 모속이 서로 마주 지탱하기 때문에, 청소시에는 전(全) 모속이 일체적으로 움직여, 모선(毛先)의 가요성이 억제된 경향이 있다. 모선의 가요성이 억제되면, 잇몸에 모속이 맞닿은 때에 모속을 딱딱하게 느끼는 일이 있다. 즉, 잇몸에의 모속의 닿는 느낌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또한, 모선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모속을 이용하면 좋지만, 부드러운 모속의 칫솔에서는, 이나 잇몸을 쇄소할 때에 쓰다듬는 것같은 감촉으로 되어, 청소 실감을 얻어지지 않아, 잇몸을 면(面)으로 쇄소하는 실감이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모선의 가요성이 높고, 잇몸에의 모속의 닿는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고,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에도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양태를 갖는다.
[1]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이고, (JIS S 3016에 따라 측정된 수직 모요(毛腰) 강도(A)[N/㎠])/(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수평 모요 강도(B)[N])의 값(A/B)이 4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수평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
피활주체(被摺動體)를 하기 (a) 내지 (d)의 활주 조건으로 모속에 활주시켜, 피활주체에 걸린 활주 방향의 최대하중을 수평 모요 강도(B)로 한다.
[활주 조건]
(a) 복수개의 원주형상의 봉상체(棒狀體)(스테인리스제, 직경 : 0.5㎜, 최대 표면 거칠기(Ra) : 0.4㎜)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상체의 중심끼리에서 3㎜ 간격)으로 배열된 피활주체를 이용한다.
(b) 피활주체와 식모면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c) 최장 모속의 선단부터 식모면측 1㎜의 위치에서 봉상체가 접촉함과 함께 칫솔의 길이 방향과 봉상체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피활주체를 왕복 이동시킨다.
(d) 피활주체의 이동 속도를 10㎜/분으로 한다.
[2] 모속의 적어도 하나는, 모속경(毛束徑)이 2.5㎜ 이상으로 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칫솔.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측면을 갖는다.
[1]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이고, (JIS S 3016에 따라 측정된 수직 모요 강도(A)[N/㎠])/(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수평 모요 강도(B)[N])의 값(A/B)이 40[1/㎠] 이상인 칫솔,
<수평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
피활주체를 하기 (a) 내지 (d)의 활주 조건으로 모속에 활주시켜서, 피활주체에 걸린 활주 방향의 최대하중을 수평 모요 강도(B)로 한다.
[활주 조건]
(a) 2개 이상의 원주형상의 봉상체(스테인리스제, 직경 : 0.5㎜, 최대 표면 거칠기(Ra) : 0.4㎜)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상체의 중심끼리에서 3㎜ 간격)으로 배열된 피활주체를 이용한다.
(b) 피활주체와 식모면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c) 최장 모속의 선단부터 식모면측 1㎜의 위치에서 봉상체가 접촉함과 함께 칫솔의 길이 방향과 봉상체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피활주체를 왕복 이동시킨다.
(d) 피활주체의 이동 속도를 10㎜/분으로 한다.
[2] 모속의 적어도 하나는, 모속경이 2.5㎜ 이상으로 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칫솔, 및
[3] 모속의 적어도 하나는, 모속경이 3.0㎜ 이상이고,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이,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모장(毛丈)이 가장 높고, 양측을 향함에 따라 모장이 점차 낮아지는 돔형(型)인, [2]에 기재된 칫솔.
본 발명의 칫솔은, 모선의 가요성이 높고, 잇몸에의 모속이 닿는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고,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에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
도 3은 수직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수평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의 식모 구멍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실시례 3의 칫솔의 식모 구멍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실시례 4의 칫솔의 식모 구멍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실시례 5의 칫솔의 식모 구멍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의 돔형의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선단에 헤드부(10)가 마련된 핸들체(1a)를 구비한다.
헤드부(10)의 식모면(11)에는 2 이상의 식모 구멍(11a, 11b)이 형성되고, 식모 구멍(11a, 11b)에는, 용모(用毛)의 모속(12a, 12b)이 식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헤드부(10)는, 핸들체(1a)의 축선(L)에 따라 병설된 2 이상의 모속(12a)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부(10)의 단변 방향(축선(L)의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모속군(α)과, 헤드부(10)의 단변 방향에서 중앙 모속군(α)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모속(12b)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β)을 갖는다.
중앙 모속군(α)에서는, 모속(12a)이, 축선(L)의 방향(즉, 칫솔(1)의 길이 방향 L)에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측 모속군(β)에서는, 모속(12b)이, 축선(L)의 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 모속군(β)의 모속(12b)이 식설된 식모 구멍(11b)은, 중앙 모속군(α)의 모속(12a)이 식설된 식모 구멍(11a)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모속군(β)의 모속(12b)은, 중앙 모속군(α)의 모속(12a)보다도 굵게 되어 있다.
칫솔(1)에서는, 모속 전체로의 수직 모요 강도(A)와 수평 모요 강도(B)와의 비(A/B)가 40[1/㎠] 이상이고, 4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B가 40[1/㎠] 이상이면, 모선의 가요성이 충분하여, 잇몸에의 모속의 닿는 느낌이 좋아진다, 또는,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다.
A/B의 값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식모 밀도를 높게 함과 함께, 모속의 가요성을 높이기 위해, 가는 용모, 모장이 긴 용모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A/B는, 실용성의 점에서는 8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B의 범위는, 40 내지 80[1/㎠]가 바람직하고, 45 내지 60[1/㎠]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A/B)의 값에, 단위로서 「1/㎠」가 붙여져 있는데, 이것은, A의 단위가 「N/㎠」, B의 단위가 「N」이기 때문이다.
수직 모요 강도(A)는, JIS S 3016에 따라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모속(12a, 12b)을 길이 7㎜가 되도록 가지런히 자르고, 그 가지런히 자름에 의해 형성된 모속(12a, 12b)의 단면(端面)(12c)에 대해, 그 수직 방향에서, 가압면(101)을 갖는 하중체(100)를 접촉시켜, 10㎜/분의 속도로 가압하여 모속(12a, 12b)을 휘게 한다. 그 때에 하중체(100)에 걸리는 최대하중을 측정하고, 최대하중/식모면적으로 구하여진 값을 수직 모요 강도(A)[단위 : N/㎠]로 한다.
상기한 「식모면적」은, JIS S 3016에 규정되어 있고, 최외측의 각 식모 구멍의 구멍언저리(穴緣)의 최외부분을 연결한 때에 얻어지는 가상선(T)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식모 영역)의 면적이다. 이 가상선(T)은 인접하는 식모 구멍끼리의 접선을 구성한다.
수직 모요 강도(A)는 45 내지 75N/㎠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7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직 모요 강도(A)가 45N/㎠ 이상이면, 충분한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고, 75N/㎠ 이하면, 모선의 가요성이 보다 높아진다.
수직 모요 강도(A)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식모 밀도를 조정하면 좋다.
수평 모요 강도(B)는,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활주체를 하기 (a) 내지 (d)의 활주 조건으로 모속에 활주시켜, 피활주체에 걸린 활주 방향의 최대하중을 수평 모요 강도(B)[단위 : N]로 한다.
[활주 조건]
(a) 2개 이상의 원주형상의 봉상체(201)(스테인리스제, 직경 : 0.5㎜, 최대 표면 거칠기(Ra) : 0.4㎜)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상체의 중심끼리로 3㎜ 간격)으로 배열된 피활주체(200)를 이용한다.
(b) 피활주체(200)와 식모면(11)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c) 최장 모속(모속(12a))의 선단부터 식모면(11)측 1㎜의 위치에서 봉상체(201)가 접촉함과 함께 칫솔(1)의 길이 방향과 봉상체(201)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피활주체(200)를 왕복 이동시킨다.
(d) 피활주체(200)의 이동 속도를 10㎜/분으로 한다.
수평 모요 강도(B)는 0.8 내지 2.5N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 모요 강도(B)가 0.8N 이상이면, 모선의 가요성이 보다 높아지고, 2.5N 이하면, 충분한 청소 실감을 얻기 쉬워진다.
수평 모요 강도(B)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용모의 굵기, 또는 길이를 조정하면 좋다.
식모 영역에서의 식모 밀도는 2500개/㎠ 이상이고, 280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모 밀도」는, 식모 영역에서의 용모의 갯수/식모면적으로 구하여지는 값이다.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인 것에 의해, 구강 내 청소시에,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식모 밀도는, 제조상의 점에서 600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개/㎠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모 밀도의 범위는, 2500 내지 6000개/㎠가 바람직하고, 2800 내지 6000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 내지 5000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모 밀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식모 갯수를 많게 하거나, 2개의 식모 구멍의 간격(식모 구멍(11a, 11a)끼리의 간격, 식모 구멍(11b, 11b)끼리의 간격, 또는 식모 구멍(11a)과 식모 구멍(11b)과의 간격)을 좁게 하거나 하면 좋다.
식모 구멍(11a, 11b)의 적어도 하나는, 용이하게 모속(12a, 12b)을 굵게 하여 식모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는, 구멍 지름이 2.5㎜ 이상 4.5㎜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모속군(β)의 모속(12b)이 식설된 식모 구멍(11b)의 구멍 지름이 2,5㎜ 이상 4.5㎜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속(12a, 12b)의 적어도 하나의 지름은 2.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속(12a, 12b)의 지름이란, 식모면(11)의 위치에서의 모속(12a, 12b)의 지름이다. 모속(12a, 12b)이 2.5㎜ 이상 4.5㎜ 이하면, 용이하게 고밀도 식모로 되고, 특히, 외측 모속군(β)의 모속(12b)의 지름이 2.5㎜ 이상이면, 고밀도 식모로 하고 나서, 모선의 가요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식모면(11)의 위치에서, 식모 구멍의 지름과 모속의 지름은 같은 값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속(12a, 12b)을 구성하는 용모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프로필렌), 또는 일래스토머(예 :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용모는, 심부(芯部)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심 구조라도 좋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3각형,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등.), 또는 이형(예를 들면, 성형, 3엽의 클로버형, 또는 4엽의 클로버형 등.) 등으로 할 수 있다.
각 용모의 굵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는,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7mil(1mil=1/1000inch=0.025㎜) 이하가 바람직하다. 7mil 이하면,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함과 함께, 하나의 식모 구멍에 식모할 수 있는 갯수를 많게 할 수가 있어서, 용이하게 고밀도 식모로 할 수 있다.
또한, 용모 굵기의 하한은, 모속의 상태에서 자립(自立) 가능하고, 쇄소 실감, 또는 모 벌어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는, 전부가 같은 굵기라도 좋고, 2종 이상이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모속군(α)의 모속(12a)을 구성하는 용모가, 외측 모속군(β)의 모속(12b)을 구성한 용모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모속군(α)의 선단이 외측 모속군(β)의 선단보다도 돌출되어 있고, 이와 잇몸과의 간극에 진입하기 쉬어 치경부의 청소성이 높게 되어 있다.
용모의 모장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7 내지 13㎜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용모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선의 둥근 부분을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또는 모선이 주걱모양, 구상(球狀), 또는 끝이 갈라진 형상 등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용모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테이퍼모를 이용하면, 모선은 보다 휘기 쉬워지고, 수평 모요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모속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 또는 열용착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에서는, 용모를 2개 이상 묶어서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구를 끼우고 식모 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을 각 식모 구멍에 식모한다.
평선은, 식모 구멍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또한, 식모 구멍을 넘도록 식모 구멍에 타설되어 있다.
평선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진유(brass)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경질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평선의 길이나 폭, 또는 두께는, 모속이나 식모 구멍에 맞추어서 임의로 조정하면 좋지만, 통상, 평선의 길이는 식모 구멍의 직경보다도 크게, 평선의 폭은 식모 구멍의 깊이보다도 작게 된다. 또한, 평선의 두께를 조절함에 의해, 모속을 식모 구멍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선은, 식모 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을 막기 위해, 식모 구멍의 양측에서 비어져 나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0.3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체(1a)의 재질로서는,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굽휨 강도 3000N/㎠ 초과의 경질 수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굽휨 강도 4000 내지 15000N/㎠의 경질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PBT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체(1a)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가 부분적 또는 전체에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앙 모속군과 외측 모속군의 식모 구멍의 구멍 지름이 전부 동일하고, 외측 모속군의 용모가 중앙 모속군의 용모보다도 가늘어도 좋다. 또한, 중앙 모속군과 외측 모속군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아도 좋고, 모속의 직경이 전부 동일하고, 모든 용모가 동일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중앙부)의 모장이 가장 높고, 양측을 향함에 따라 모장이 점차 낮아지는 돔형이라도 좋고, 모장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플랫형이라도 좋다. 돔형인 경우에는, 피트성 및 닿는 느낌이 향상된다.
상기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중앙부)은, 헤드부의 단변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2㎜의 범위이고, 점차 낮아지는 경우에는, 전 모속 중에서 최단의 모장이 최장의 모장에 대해 적어도 60% 이상 있는 것이 좋고, 80 내지 95%가 바람직하다. 60% 이하인 경우는 피트성 및 닿는 느낌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칫솔로서는,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단변 방향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모속군과,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을 가지며,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 4500개/㎠ 이하이고,
(JIS S 3016에 따라 측정된 수직 모요 강도(A)[N/㎠])/(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수평 모요 강도(B)[N])의 값(A/B)이 40[1/㎠] 이상 60[1/㎠] 이하이고,
외측 모속군의 모속경이 2.8㎜ 이상 3.5㎜ 이하이고,
외측 모속군의 용모의 굵기가 4 내지 7mil이고,
외측 모속군의 모장이 11.5 내지 12.5㎜이고,
외측 모속군의 용모가 스트레이트모 또는 테이퍼모이고,
중앙 모속군의 모속경이 1.3㎜ 이상 1.8㎜ 이하이고,
중앙 모속군의 용모의 굵기가 4 내지 7mil이고,
중앙 모속군의 모장이 12.5 내지 3㎜이고,
외측 모속군의 용모가 테이퍼모이고,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이,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모장이 가장 높고, 양측을 향함에 따라 모장이 점차 낮아지는 돔형이고,
상기 수직 모요 강도(A)가 50 내지 70N/㎠이고,
상기 물 평모요 강도(B)가 1.0 내지 1.5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2,비교례 1, 2)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식모 구멍(11a)에 식설된 모속(12a)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α)과, 식모 구멍(11b)에 식설된 모속(12b)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β)을 갖는 칫솔(1)을 제작하였다.
외측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중앙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 및 식모 밀도를 표 1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표 1 중, 용모의 형상의 「S」는 스트레이트모를 나타내고, 「T」는 테이퍼모를 나타낸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0.6㎜로 하였다.
또한, 각 예의 칫솔에 관해,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수직 모요 강도(A) 및 수평 모요 강도(B)를 측정하고, (A/B)의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비교례 3 내지 5)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그재그·격자를 조합시킨 모속(12d)의 배열로 하여,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 이상의 모속 직경을 전부 동일하게 하고, 용모의 직경, 길이 및 형상도 전부 동일하게 한 칫솔을 제작하였다. 서로 인접하는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0.6㎜로 하였다. 또한, 이들의 예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이트모는, 모선의 선단측의 1.5㎜를 원추형으로 하였다.
이들의 칫솔에 대해서도,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수직 모요 강도(A) 및 수평 모요 강도(B)를 측정하고, (A/B)의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례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모속(12e)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γ)과, 모속(12f)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δ)을 갖는 칫솔(2)을 제작하였다.
외측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중앙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 및 식모 밀도를 표 1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례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모속(12g)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ε)과, 모속(12h)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ζ)을 갖는 칫솔(3)을 제작하였다.
외측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중앙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 및 식모 밀도를 표 1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례 5)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모속(12i)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η)과, 모속(12j)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θ)을 갖는 칫솔(4)을 제작하였다.
외측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중앙 모속군에서의 모속 직경 및 용모,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 및 식모 밀도를 표 1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례 3 내지 5의 칫솔에 대해서도,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수직 모요 강도(A) 및 수평 모요 강도(B)를 측정하고, (A/B)의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수직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
전 모속을 길이 7㎜가 되도록 가지런히 자르고, 그 가지런히 자름에 의해 형성된 모속의 단면에 대해, 그 수직 방향에서, 원형상의 가압면(직경 : 5cm)을 갖는 하중체를 접촉시키고, 또한 모속을 10㎜/분의 속도로 가압하여 모속을 휘게 하였다. 그 때에 하중체에 걸리는 최대하중을 측정하고, 최대하중/식모면적으로 구한 값을 수직 모요 강도(A)[단위 : N/㎠]로 하였다.
<수평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
피활주체를 하기 (a) 내지 (d)의 활주 조건으로 모속에 활주시켜서, 피활주체에 걸린 활주 방향의 최대하중을 수평 모요 강도(B)로 하였다.
[활주 조건]
(a) 2개 이상의 원주형상의 봉상체(스테인리스제, 직경 : 0.5㎜, 최대 표면 거칠기(Ra) : 0.4㎜)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상체의 중심끼리에서 3㎜ 간격)으로 배열된 피활주체를 이용한다.
(b) 피활주체와 식모면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c) 최장 모속의 선단부터 식모면측 1㎜의 위치에서 봉상체가 접촉함과 함께 칫솔의 길이 방향과 봉상체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피활주체를 왕복 이동시킨다.
(d) 피활주체의 이동 속도를 10㎜/분으로 한다.
[표 1]
Figure pct00001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에 관해, 구강 내를 청소한 때의, 청소 실감, 모선이 휘는 정도, 및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들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청소 실감]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청소 실감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상당히 느낀다.
2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낀다.
1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모선의 휘는 정도]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여, 모선의 휘는 정도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모선의 휘어짐을 상당히 느낀다.
2점 : 모선의 휘어짐을 느낀다.
1점 : 모선의 휘어짐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모선의 휘어짐을 느끼지 않는다.
[잇몸을 면으로 청소한 실감]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여, 잇몸을 면으로 청소한 실감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잇몸을 면으로 청소하는 실감을 상당히 느낀다.
2점 : 잇몸을 면으로 청소하는 실감을 느낀다.
1점 : 잇몸을 면으로 청소하는 실감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잇몸을 면으로 청소하는 실감을 느끼지 않는다.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이고 (A/B)의 값이 40[1/㎠] 이상인 실시례 1 내지 5의 칫솔은, 모선의 휘는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높은 청소 실감이 얻어지고,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에도 우수하였다.
비교례 1 내지 4의 칫솔은, 식모 갯수가 2500개/㎠ 미만이었기 때문에,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이 불충분하였다.
비교례 4, 5의 칫솔은, (A/B)의 값이 40[1/㎠] 미만이었기 때문에, 모선의 휘는 느낌이 불충분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선의 가요성이 높고, 잇몸에의 모속의 닿는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고, 잇몸을 면으로 쇄소하는 실감에도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2,3, 4 : 칫솔
1a : 핸들체
10 : 헤드부
11a, 11b : 식모 구멍
12a, 12b, 12d, 12e, 12f, 12g, 12h, 12i, 12j : 모속
α, γ, ε, η : 중앙 모속군
β, δ, ζ, θ : 외측 모속군

Claims (3)

  1.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 밀도가 2500개/㎠ 이상이고,
    (JIS S 3016에 따라 측정된 수직 모요 강도(A)[N/㎠])/(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수평 모요 강도(B)[N])의 값(A/B)이 4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수평 모요 강도의 측정 방법>
    피활주체를 하기 (a) 내지 (d)의 활주 조건으로 모속에 활주시켜서, 피활주체에 걸린 활주 방향의 최대하중을 수평 모요 강도(B)로 한다.
    [활주 조건]
    (a) 2개 이상의 원주형상의 봉상체(스테인리스제, 직경 : 0.5㎜, 최대 표면 거칠기(Ra) : 0.4㎜)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상체의 중심끼리에서 3㎜ 간격)으로 배열된 피활주체를 이용한다.
    (b) 피활주체와 식모면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c) 최장 모속의 선단부터 식모면측 1㎜의 위치에서 봉상체가 접촉함과 함께 칫솔의 길이 방향과 봉상체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피활주체를 왕복 이동시킨다.
    (d) 피활주체의 이동 속도를 10㎜/분으로 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모속의 적어도 하나는, 모속경이 2.5㎜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모속의 적어도 하나는, 모속경이 3.0㎜ 이상이고,
    모속 전체의 프로파일이, 헤드부의 단변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모장이 가장 높고, 양측을 향함에 따라 모장이 점차 낮아지는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47023331A 2012-05-01 2013-04-26 칫솔 KR102047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4548 2012-05-01
JP2012104548 2012-05-01
PCT/JP2013/062383 WO2013164986A1 (ja) 2012-05-01 2013-04-26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904A true KR20150014904A (ko) 2015-02-09
KR102047148B1 KR102047148B1 (ko) 2019-11-20

Family

ID=4951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331A KR102047148B1 (ko) 2012-05-01 2013-04-26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19111B2 (ko)
KR (1) KR102047148B1 (ko)
CN (1) CN104284611B (ko)
WO (1) WO2013164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186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0835B2 (ja) * 2013-12-26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JP6599088B2 (ja) * 2014-09-02 2019-10-30 辻 陽平 歯ブラシの製造方法
KR102291109B1 (ko) * 2014-10-29 2021-08-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JP2016209373A (ja) * 2015-05-12 2016-12-15 三菱鉛筆株式会社 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の製造方法
WO2017155033A1 (ja) * 2016-03-09 2017-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199139B2 (ja) * 2016-08-03 2023-01-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928472B2 (ja) * 2017-04-03 2021-09-0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JP7270551B2 (ja) * 2017-11-30 2023-05-10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用取替ブラシ及び電動歯ブラシ
JP7117901B2 (ja) * 2018-06-07 2022-08-15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0168465A (ja) * 2020-07-07 2020-10-1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2972040A (zh) * 2021-02-08 2021-06-18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头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091A (ja) * 2004-12-24 2006-07-06 Lion Corp 歯ブラシ
JP2012034845A (ja) 2010-08-06 2012-02-2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2040247A (ja) * 2010-08-20 2012-03-01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7782B2 (en) * 1990-03-29 1994-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Toothbrus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091A (ja) * 2004-12-24 2006-07-06 Lion Corp 歯ブラシ
JP2012034845A (ja) 2010-08-06 2012-02-2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2040247A (ja) * 2010-08-20 2012-03-01 Lion Corp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186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148B1 (ko) 2019-11-20
WO2013164986A1 (ja) 2013-11-07
CN104284611B (zh) 2016-05-18
JP6019111B2 (ja) 2016-11-02
CN104284611A (zh) 2015-01-14
JPWO2013164986A1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904A (ko) 칫솔
CN106998898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
CN107072382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
TWI513431B (zh) Toothbrush with the core of the composite wire and the use of its toothbrush
KR101640274B1 (ko)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6648B1 (ko) 칫솔
AU2009327195A1 (en) Toothbrush
US1053716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5909192B2 (ja) 歯ブラシ
JP2008154808A (ja) 歯ブラシ
JP5779413B2 (ja) 歯ブラシ
KR101165264B1 (ko) 칫솔
JP4350002B2 (ja) 歯ブラ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JP2012217692A (ja) 歯ブラシ
KR20240001376A (ko) 칫솔
JP6452220B2 (ja) 歯ブラシ
JP6511229B2 (ja) 歯ブラシ
TW202002846A (zh) 牙刷
JPH10262733A (ja) 歯ブラシおよび歯ブラシに植設される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2011125582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