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745A -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745A
KR20150014745A KR1020130090364A KR20130090364A KR20150014745A KR 20150014745 A KR20150014745 A KR 20150014745A KR 1020130090364 A KR1020130090364 A KR 1020130090364A KR 20130090364 A KR20130090364 A KR 20130090364A KR 20150014745 A KR20150014745 A KR 2015001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ransparent display
screen unit
state
lo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642B1 (ko
Inventor
이요한
강재현
한영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42B1/ko
Priority to US14/338,964 priority patent/US9395833B2/en
Priority to EP14833097.0A priority patent/EP3028146B1/en
Priority to ES14833097T priority patent/ES2749587T3/es
Priority to PCT/KR2014/006700 priority patent/WO2015016527A1/en
Priority to CN201480043422.5A priority patent/CN105453019B/zh
Publication of KR2015001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의 락과 언락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제공하고 아울러 락과 언락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투명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잠금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면 터치 입력 및 양면 표시가 가능한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락 또는 언락 방법으로, 화면 표시가 요구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락 또는 언락 상태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의 잠금 여부를 알리는 락 또는 언락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터치 입력이 존재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서 전면의 터치스크린과 후면의 터치스크린의 락과 언락을 제어하고 각각의 락과 언락에 따라 대응하는 투명도를 사용자 편의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navigation) 또는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 장치가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여러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어 시험 중이거나, 개발 단계에 있다.
최근에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 불리는 투명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를 각종 기기, 예컨대, 자동자의 계기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안경 모양의 가상현실기기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투명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데,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춰 양면 또는 한 면에 터치스크린을 적용하고 있다. 투명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한 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정성은 높지만, 터치가 가능한 면을 직관적으로 구분하기 어렵고, 한 면만을 이용해 입력하므로 문자 등의 입력 시에 입력 속도가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투명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D(3 Dimensional)화면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가 나오고 있지만, 한 면만을 터치해서는 이를 제어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투명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양면에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휴대단말기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투명디스플레이 장치 스크린의 양면에 터치 입력를 허용하게 되면 3D 화면이나 3D 어플 등을 양쪽의 터치를 이용하여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양면에 터치 입력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오작동을 없애기 위해 양면의 락 언락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설정하여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양면이 터치스크린인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를 그립(grip)하고 사용할 때,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서는 그립한 손의 손바닥 부분이 접촉하는 터치스크린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오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양면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에서는 직관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어떤 면이 락이고 어떤 면이 언락 상태인지의 여부를 분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의 양쪽 터치스크린 또는 어느 한쪽 터치스크린의 락 또는 언락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그립하여 접촉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면을 자동으로 락 상태로 전환하여 오작동을 없앨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락과 언락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조절하여 직관적으로 락 또는 언락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면 터치 입력 및 양면 표시가 가능한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락 또는 언락 방법으로, 화면 표시가 요구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락 또는 언락 상태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의 잠금 여부를 알리는 락 또는 언락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터치 입력이 존재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양면을 가지며, 사용자가 양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의 터치 또는 드래그 시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양면 또는 한 면에 시각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각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가 요구될 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읽어와 각각의 상태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의 잠금 여부를 알리는 락 또는 언락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의 터치 입력이 수신될 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를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직관적인 잠금장치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투명 디스플레이의 양쪽 터치스크린 또는 어느 한쪽 터치스크린의 락 또는 언락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락과 언락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투명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언락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뒤집는 경우 자동으로 제1 터치스크린부와 제2 터치스크린부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상호 역전시켜 뒤집기 전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그립하여 접촉하는 휴대단말기의 그립면을 자동으로 락 상태로 전환하므로 오작동을 없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락 언락을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도 14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의 락과 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터치스크린의 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도 16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를 락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설정된 투명도의 상태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도 18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및 센서부(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의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또는 네트웍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제어키 맵 등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투명디스플레이부(140)가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후술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또는 언락으로 설정됨에 따라 대응하는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효과음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략되거나 저장된 기설정된 효과음으로 대체될 수 있다.
투명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명령으로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투명도를 조절하여 나타내는 스크린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투명디스플레이부(140)는 양면디스플레이라는 특성도 갖는다. 즉, 화면이 전면 및 후면에서 모두 가시적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입력도 양면으로 입력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스크린부(143)는 화면을 표시하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투명도를 연속적인 투명과 불투명 사이의 값에서 선택된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락 언락 영역은 투명디스플레이의 일측에 UI 형태로 배치된다. 락 언락 영역은 삼각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의 정형적인 도형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터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한다.
설명의 편이성을 위하여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를 그립 시, 위로 올라오는 부분을 제1 터치스크린부(141)라고 칭하고, 아래에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을 제2 터치스크린부(142)라고 칭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상호 전환 가능하며 터치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기능 차이는 없다.
휴대단말기(10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170)는 휴대단말기(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100)를 사용자가 그립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그립센서(171)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어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72)로 구성된다. 그립센서(171)는 압전센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동작감지센서(172)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이들 둘 센서를 복합적으로 구성한 센서일 수 있다.
그립센서(171)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그립하는 것인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립하는 경우면, 그립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60)는 그립센서(171)로부터 그립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어느 하나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제1 터치스크린(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142)에 불필요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터치 신호가 입력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하나의 상태를 락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172)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감지한다. 제어부(160)는 동작감지센서(172)가 감지한 동작신호를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지향하는 방향을 역전 회전시키는 동작신호이면, 각각 락 또는 언락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된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상태를 상호 역전시킨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락 또는 언락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UI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휴대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락과 언락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 및 UI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화면설정상태에 따라 또는 디폴트(Default) 설정에 대응하는 락 언락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대응하는 투명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모두 락으로 설정된 경우,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모두 언락으로 설정된 경우,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으로 설정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으로 설정된 경우 및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락으로 설정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으로 설정되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락 상태인 경우면, 불투명에 가깝게 표시하고 언락상태인 경우면 투명에 가깝게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락 언락 화면설정상태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입력되는 락 언락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 언락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설정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입력된 터치에 의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입력된 터치에 의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그립센서(171)로부터 그립신호가 감지되고, 예컨대, 제2 터치스크린부(142)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과 언락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도 2의 (S201)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온(on)시키거나, 또는 아이들 상태의 휴대단말기(100)를 활성화시키면, 제어부(160)는 (S202)과정에서 락 언락에 대응하는 화면설정상태를 감지한다. 예컨대, 설정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모두 락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모두 언락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으로 설정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락으로 설정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S203)과정에서 감지한 락 언락에 따른 대응하는 화면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투명디스플레이부(140)는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할 수 있는 UI영역(이후, 락 언락 영역이라 칭함)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일측에 표시한다. 이 때, 락 언락 영역은 락 언락에 상관없이 활성화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락 또는 언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락 언락에 따른 대응하는 화면의 표시는 대략 다음의 4가지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모두 락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투명도를 낮게 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임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스 크린부(141)가 락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와,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일 수 있다. 이 때,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투명도를 기설정된 투명도로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화면이 락이고 어떤 화면이 언락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투명도는 제2 디스플레이부(141)에 영향을 받아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41)의 락 언락에 상관없이 제2 디스플레이부(142)가 락 상태이면, 투명도를 불투명에 가깝게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상에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42)가 언락상태이면, 투명도를 투명에 가깝게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204)과정에서 각각의 락 언락 상태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입력된 사용자 터치에 따른 락 언락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S205)과정에서 (S204)과정의 락 언락 처리결과의 따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의 투명도를 기설정된 투명도로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206)과정에서 락 언락 제어를 종료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206)과정에서 판단하여 락 언락 제어를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락 언락 제어를 종료한다. 예컨대, 락 언락 제어의 종료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일 수도 있고, 아이들(idle)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S206)과정에서 판단하여 락 언락 제어를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S204)과정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락 언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S301)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S302)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3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303)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을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1, 142)를 동시에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3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304)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3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305)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3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306)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한편, (S3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307)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1, 142)를 동시에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307)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308)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307)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309)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언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락 상태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S401)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부(160)는 (S402)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4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403)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을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4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404)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4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405)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1)의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S4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406)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을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4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407)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4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408)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1)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터치스크린부(141)는 언락 상태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락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S501)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부(160)는 (S502)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5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503)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을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5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504)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5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505)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S5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506)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을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5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507)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5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408)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락 언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락 언락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S601)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부(160)는 (S602)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6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603)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6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터치 입력인 경우면, (S604)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 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6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605)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의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한편, (S602)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606)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 또는 제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1, 142)를 동시에 락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6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607)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 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606)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608)과정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603)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언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면, (S609)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S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경우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입력은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상부에 구성된 락 언락 영역(710) 내의 인디케이터(720)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의 터치스크린을 제1 터치스크린부(141)로 정하고, 후면의 터치스크린을 제2 터치스크린부(142)로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여 보면, 제1 터치스크린부(142)의 일측을 락 언락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상부 일측에 락 언락 영역(710)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락 언락 영역(710)의 우측 끝단에 락 상태임을 알리는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 인디케이터(720)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710)에 손가락을 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710)의 우측에 있는 인디케이터(720)에 검지손가락을 대고 좌측으로 드래그(drag)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후 인디케이터(720) 위의 락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은 언락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으로 바뀐다. 이 때, 도 7a 및 도 7b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을 언락으로 전환하는 경우,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이 언락으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락상태인 경우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동시에 락이 언락으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인 경우면, 제1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을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한다. 이는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한 터치스크린의 락 언락을 제어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7b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상태를 전환하도록 락 언락 화면설정이 되어 있다면,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상태가 락 상태에서 언락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투명디프플레이부(140)의 락 언락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만약,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도 8a 내지 도 8d는 락 언락 영역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상부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한 실시 예이다.
도 8a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라고 가정하고 사용자의 검지가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된 상태에서 락 언락 영역을 하부로 드래그하여 내려지는 경우에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에는 현재 사용자가 실행중인 실행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상태에 대응하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8a에는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검지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된 상태에서 하부로 드래그하여 내리는 중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락 언락 영역(810)의 상부에 있는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이 하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투명한 상태로 표시된다..
도 8c는 도 8b에서보다 사용자의 검지가 좀 더 하부로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8c는 락 언락 영역(810)의 상부에 있는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이 하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투명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이 명확하게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비춰보이는 사용자의 손의 윤곽이 락 언락 영역(810)에 의해 구분된 상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에서 하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d에서는 사용자의 검지가 하부의 끝단부까지 내려진 상태를 도시하며,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상태가 락에서 언락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이후에 락 언락을 변경할 수 있도록 도 8a와 유사하게 락 언락 영역(810)이 표시된다. 그러나, 도 8a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를 도시하였다면, 도 8d에서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d는 락 언락 영역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상부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한 실시 예이다.
도 9a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 상태라고 가정하고 사용자의 검지가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된 상태에서 락 언락 영역을 하부로 드래그하여 내려지는 경우에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되도록 한다. 또한,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에는 현재 사용자가 실행중인 실행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언락 상태에 대응하는 투명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9a에는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검지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된 상태에서 하부로 드래그하여 내리는 중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b는 락 언락 영역(810)의 하부에 있는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이 상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투명한 상태로 표시된다.
도 9c는 도 9b에서보다 사용자의 검지가 드래그하여 좀 더 하부로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9c는 락 언락 영역(810)의 하부에 있는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이 상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투명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이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비춰보이는 사용자의 손의 윤관이 락 언락 영역(810)에 의해 구분된 하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에서 상부의 실행정보 표시영역(820)보다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d에서는 사용자의 검지가 하부의 끝단부까지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9d에서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에서 락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9d의 실시예에서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을 터치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터치스크린부(141)을 통해서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 입력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 입력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 언락을 전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동시에 락 언락 전환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둘 다 락인 경우이거나, 또는 둘 다 언락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 언락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서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 입력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에도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상태는 락 상태로 동일하거나, 언락 상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 입력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또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락 언락 영역(810)에 터치 입력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9d의 실시예에서, 락 언락 영역의 터치오브젝트를 상부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 터치오브젝트가 좌측, 우측,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의 통신 상태, 배터리 상태, 시간, 메시지, 부재중 통화, 근거리 통신 연결 여부 등을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영역(이후 인디케이터 영역(830)이라 칭함)을 락 언락 영역으로 지정하고 인디케이터 영역(830)을 하부로 드래그하여 제2 터치스크린(141, 142)을 언락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10a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락 상태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투명도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락 상태에서 투명도를 높여서 표시하고 언락 상태에서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지만, 락과 불투명을 대응시키고, 언락과 투명을 대응시키는 직관적인 반응에 따라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상태이면, 투명도를 낮게, 즉 불투명에 가깝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0a는 상부에 위치한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사용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0b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로 일부 드래그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구분된 실행정보 표시영역(820) 중 상부를 보면, 투명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c는 인디케이터 영역(830)이 도 10b의 상태보다 더 하부로 드래그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구분된 실행정보 표시영역(820) 중 상부를 보면, 투명도가 증가한 것을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d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의 끝단까지 드래그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0d는 도 10a에 대비하여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되면서 투명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160)는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투명도로 락 언락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락 상태에서 투명도를 높여서 표시하고 언락 상태에서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지만, 락과 불투명을 대응시키고, 언락과 투명을 대응시키는 직관적인 반응에 따라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상태이면, 투명도를 높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영역(830)을 락 언락 영역으로 지정하고 하부에 내려져 있는 인디케이터 영역(830)을 상부로 드래그하여 제2 터치스크린(141, 142)을 락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11a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언락 상태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투명도는 투명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도 11a는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사용자의 검지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1b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로 일부 드래그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의해 구분된 실행정보 표시영역(820) 중 하부를 보면, 투명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에서 락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c는 인디케이터 영역(830)이 도 11b의 상태보다 더 상부로 드래그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구분된 실행정보 표시영역(820) 중 하부를 보면, 상부보다 투명도가 낮은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에서 락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d는 사용자의 검지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상부의 끝단까지 드래그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언락 상태에서 락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1d는 도 11a에 대비하여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되면서 투명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1d의 과정에서 터치 동작 중 드래그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8a 내지 도 11d의 과정의 전반에 걸쳐서 호버링(hovering) 동작이 드래그를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160)는 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투명도로 락 언락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1d에서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830)에 터치 입력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으로 동일하거나, 언락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동시에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터치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를 구성함에 있어, 락(도 12a), 일부 락(도 12b) 및 언락(도 12c)을 나타내는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을 같이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먼저, 투명디스플레이(140)의 상부에 락 언락 영역(1210)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한편, 투명디스플레이(140)의 하부에는 락 언락 영역(1210) 및 그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락 언락을 제어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1220)가 표시된다. 도 12a의 상태를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2a의 상태, 즉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 언락 영역을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언락 영역(1210) 내의 인디케이터(12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락 언락 영역(1210) 위에 도시된 자물쇠 아이콘의 상태는 반만 열려 있는 상태로 변하게 된다. 즉,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어느 하나만이 언락 상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2c는 도 12a의 상태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 영역(1210)을 인디케이터(1220)를 좌특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락 언락 영역(1210) 위에 그려지 자물쇠 아이콘의 상태는 완전히 열려진 상태를 표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투명디스플레이부(140)에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2개의 개별적인 UI를 배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a 내지 13c를 참조하면, 도 13a에서 2개의 락 언락 영역(1310, 1320)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한다. 제어부(160)는 도 13a에서 상부 및 하부에 개별적으로 구성된 락 언락 영역을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락 언락 영역 중 상부에 배치된 락 언락 영역을 제1 UI영역(1310)으로 칭하고, 하부에 배치된 락 언락 영역을 제2 UI영역(1320)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1 UI영역(1310)은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또는 언락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UI영역(1322)은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과 언락을 제어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제2 UI영역(1322)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과 언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b는 도 13a의 상태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을 언락으로 변환시키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의 예에서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터치가 입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에 상관없이 제2 UI영역(1320)에 입력되는 터치에 대응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도록 한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제1 UI영역(1310)에 입력된 터치에 대응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 어느 하나를 락 또는 언락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c는 도 13a의 상태에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제1 UI영역(130)에 입력되는 터치에 대응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을 언락으로 전환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c에는 제2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입력되는 예가 되시되어 있지만,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또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 중에서 어느 방향에서 제1 UI영역(1310)으로 터치가 입력되는 것에 상관없이 좌측에 있는 인디케이터(131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동시에 락에서 언락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c에서는 각 UI의 인디케이터가 좌측에 배치된 경우에 락, 우측에 배치된 경우에 언락으로 지정하여 설명했지만, 좌측에 배치된 경우 언락으로 우측에 배치된 경우에 락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락 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도 14의 (S1401)과정은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온(on)시키면 제어부(160)는 스크린에 초기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S1402)과정에서 동작감지센서(172)로부터 휴대단말기(100)의 위상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발생된 동작감지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S1402)과정에서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면, (S1403)과정에서 동작감지신호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지향하는 방향을 전환하는 역전 회전을 감지하여 발생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동작감지신호가 휴대단말기(100)가 대략 180° 내외의 회전에 의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지향하는 방향이 전환됨에 의해 발생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60)는 (S1403)과정에서 판단하여 동작감지신호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지향하는 방향을 역전 회전시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S1404)과정에서 락 또는 언락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된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 상태를 상호 역전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에서, 동작감지센서(172)가 방향이 역전되는 것을 감지하였다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으로 설정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으로 설정한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도 좌우를 상호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하를 상호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도 14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의 락과 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먼저,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100)가 반투명한 상태로 되어 작동하고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5a에 있어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을 언락으로 가정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5b는 휴대단말기(100)가 도 15a의 상태에서 회전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b의 상태는 아직은 작동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전후면이 바뀌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c는 휴대단말기(100)의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전후면이 역전되었음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도 15c의 글자들은 좌우가 바뀌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략 180° 내외의 회전에 의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지향하는 방향이 전환되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 상태를 상호 역전시킨다. 예컨대, 앞선 가정에서와 같이 도 15a의 상태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에서, 이와 같이 회전하여 도 15c의 상태가 되었다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으로 설정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언락으로 자동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15c에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지향하는 방향이 바뀌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글씨의 좌우가 바뀌어 있는 상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도 15c에서 상기 제어부(160)가 제1 터치스크린부(141)와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지향하는 방향이 바뀌어 역전됨을 감지하면 그 글자의 위치가 보기 편하도록 좌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 터치스크린의 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에 락 또는 언락 터치가 입력되고, 락 언락 이외의 영역에 비정형의 터치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에 입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S1601)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온(on)시키면 제어부(160)는 스크린에 초기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S1601)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또는 언락에 상관없이 활성화 상태로 락 또는 언락시킬 수 있는 락 언락 영역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일측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S1602)과정에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에 락 또는 언락하기 위한 터치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S1602)과정에서 판단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언락 영역으로 락 또는 언락 터치가 입력된 경우, (S1603)과정에서 락 또는 언락 터치가 입력된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 또는 언락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키는 터치가 입력되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킨다.
(S1604)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비정형의 터치 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비정형의 터치 입력은 일반적으로는 락 언락 영역 이외의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한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또는 락 언락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있거나, 또는 락 언락 영역을 터치하고 정해진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도 비정형 터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S1604)과정에서 판단하여 비정형의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S1605)과정에서 비정형의 터치가 입력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키는 터치가 입력되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언락시키고, 비정형 터치가 입력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시킨다. 만약,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였다면, 비정형 터치는 입력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도 16에서 (S1602)과정 및 (S1603)과정 이후에 (S1604)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S1604)과정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또는 (S1604)과정이 (S1602)과정 및 (S1603)과정에 앞서서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6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터치스크린부(141)에 락 언락 입력이 입력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에 비정형 입력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언락 영역에 입력된 터치에 따라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락 또는 언락시키고, 동시에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비정형 터치하게 되는 경우,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락시킬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도 16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를 락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도 17a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해 락 또는 언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서 비정형의 터치 입력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17b를 참조하여 보면, 제1 터치스크린부(141)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를 통한 락 언락 영역에 터치에 의해 락에서 언락으로 전환시키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는 비정형 터치에 의해 언락에서 락으로 전환된다. 만약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였다면 비정형의 터치 입력은 입력되지 않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설정된 투명도의 상태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온시키면 제어부(160)는 (S1801)과정에서 스크린에 초기 상태를 표시한다. (S1801)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 및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 또는 언락에 상관없이 활성화 상태로 락 또는 언락시킬 수 있는 락 언락 영역을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일측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S1802)과정에서 후면으로 설정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S1802)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이면, (S1803)과정에서 락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투명도로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S1802)과정에서 판단하여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이면, (S1804)과정에서 언락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투명도로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락에 대응하는 투명도는 불투명에 가깝게 표시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의 언락에 대응하는 투명도는 투명에 가깝게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인 상태에서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투명에 가깝게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상태에서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불투명에 가깝게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명과 연관되는 언락을 대응하여 표시하고, 불투명과 연관되는 락을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의 직관에 가깝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도 18에 따라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면, 도 19a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 상태일 경우,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전체영역을 투명하거나 또는 투명도가 높은 반투명 상태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투명함을 가시적으로 보여주어 사용자에게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동시에 입력 가능하다는 것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도 19a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인 상태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는 제1 터치스크린부(141)도 언락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보다 제1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터치 입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만, 반드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언락이라고 해서 제1 터치스크린부(141)가 언락일 필요는 없다.
도 19b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일 경우에 투명디스플레이부(140)의 일부영역을 불투명하거나 투명도를 낮게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실행정보 표시영역(820)의 투명도와는 상관없이 인디케이터 영역(830)만을 불투명에 가깝게 나타내어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임을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9c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일 경우에 투명디스플레이부(140) 전체 영역을 불투명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투명디스플레이부(140)는 불투명에 가까우므로 뒷면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이지 않으므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를 통해 입력을 힘든 상태이다.
도 19d는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일 경우에 투명디스플레이부(140)를 전체 영역을 불투명하게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즉, 가시적으로 제2 터치스크린부(142)가 락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기설정된 투명도는 투명과 반투명 사이의 연속된 값 중 선택된 값으로 표시하되, 사용자는 기설정된 투명도를 설정 메뉴에서 투명도 값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UI를 통해 원하는 투명도 값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투명도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5b에서와 같이 일부영역만의 투명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처리부 140 : 투명디스플레이부
141 : 제1 터치스크린부 142 : 제2 터치스크린부
143 : 스크린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센서부
171 : 그립센서 172 : 동작감지센서 

Claims (17)

  1. 양면 터치 입력 및 양면 표시가 가능한 투명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락 또는 언락 방법에 있어서,
    화면 표시가 요구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락 또는 언락 상태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의 잠금 여부를 알리는 락 또는 언락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터치 입력이 존재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중앙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 언락 영역에 터치는 상단에서 하단으로의 드래그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의 드래그 또는 좌에서 우로의 드래그 또는 우에서 좌로의 드래그 또는 상기 락 언락 영역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인,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이 언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1투명도를 갖도록 표시하고, 양면 중 한 면이 언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2투명도를 갖도록 표시하며, 양면이 모두 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3투명도를 갖도록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도는 상기 제2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제2투명도는 상기 제3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한 면은 락 상태이고, 다른 한 면은 언락 상태에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가 활성화 중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바뀌는 회전이 검출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상기 락 상태의 면을 언락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언락 상태인 면을 락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언락 상태인 면에 비정형 패턴의 터치 입력 시 상기 언락 상태의 면을 락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한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9. 터치 입력이 가능한 양면을 가지며, 사용자가 양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의 터치 또는 드래그 시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양면 또는 한 면에 시각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각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가 요구될 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읽어와 각각의 상태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의 잠금 여부를 알리는 락 또는 언락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의 터치 입력이 수신될 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를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중앙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 또는 언락 영역에 터치 입력은,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의 드래그 또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의 드래그 또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좌에서 우로의 드래그 또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우에서 좌로의 드래그 또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상기 락 언락 영역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인,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이 언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1투명도를 갖도록 제어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한 면이 언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2투명도를 갖도록 제어하며,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이 모두 락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제3투명도를 갖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도는 상기 제2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제2투명도는 상기 제3투명도보다 높은 투명도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한 면은 락 상태이고, 다른 한 면은 언 락 상태에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중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회전이 검출될 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상기 락 상태의 면을 언락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언락 상태인 면을 락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언락 상태인 면에 비정형 패턴의 입력 시 상기 언락 상태의 면을 락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한 면의 락 또는 언락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데이터 통신 또는 네트웍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장치.
KR1020130090364A 2013-07-30 2013-07-30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64A KR102156642B1 (ko) 2013-07-30 2013-07-30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338,964 US9395833B2 (en) 2013-07-30 2014-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in portable terminal
EP14833097.0A EP3028146B1 (en) 2013-07-30 2014-07-23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r unlocking
ES14833097T ES2749587T3 (es) 2013-07-30 2014-07-23 Procedimiento y terminal portátil para controlar el bloqueo o desbloqueo
PCT/KR2014/006700 WO2015016527A1 (en) 2013-07-30 2014-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in
CN201480043422.5A CN105453019B (zh) 2013-07-30 2014-07-23 用于在便携式终端中控制锁定或解锁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64A KR102156642B1 (ko) 2013-07-30 2013-07-30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45A true KR20150014745A (ko) 2015-02-09
KR102156642B1 KR102156642B1 (ko) 2020-09-16

Family

ID=5242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364A KR102156642B1 (ko) 2013-07-30 2013-07-30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5833B2 (ko)
EP (1) EP3028146B1 (ko)
KR (1) KR102156642B1 (ko)
CN (1) CN105453019B (ko)
ES (1) ES2749587T3 (ko)
WO (1) WO20150165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4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17850A (ko) * 2015-08-05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73837A1 (ko) * 2015-10-27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84B1 (ko) * 2013-06-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5314B1 (ko) * 2013-08-28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WO2015050096A1 (ja) * 2013-10-04 2017-03-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携帯装置、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CN103677476B (zh) * 2013-12-13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96826A (ko) * 2014-02-17 201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98115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N105278851A (zh) * 2014-07-25 2016-01-27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手持式电子装置、触控外盖及计算机执行的方法
CA2972911A1 (en) * 2015-01-22 2016-07-28 Neptune Research, Inc. Composite reinforcement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97549B2 (ja) * 2015-03-05 2019-04-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50382A (zh) * 2015-05-27 2015-08-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控制方法、电子设备和显示拼接群组
US10409439B2 (en) * 2015-08-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67153B1 (ko) * 2016-05-25 2018-06-12 민상규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EP3287887B1 (en) * 2016-08-22 2022-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60947B1 (ko) * 2016-10-05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N107480489B (zh) * 2017-07-18 2019-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8196762A (zh) * 2017-11-30 2018-06-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73266B (zh) * 2017-12-15 2020-12-04 麒麟合盛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锁屏方法及装置
CN112272937B (zh) 2018-05-08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双前置摄像头的操作方法
US11086516B2 (en) * 2018-10-31 2021-08-10 Christie Scott Wall Mobile, versatile, transparent, double-sided data input or control device
CN109782639A (zh) * 2018-12-29 2019-05-21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工作模式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0842A1 (en) * 2005-12-23 2007-06-28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090298547A1 (en) * 2008-05-29 2009-12-03 Jong-Hwan Kim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786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US20110163986A1 (en) * 2010-01-06 201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ent displayed on transparent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8810524B1 (en) * 2009-11-20 2014-08-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sided touch sensor
US8957919B2 (en) 2010-04-05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KR101659958B1 (ko) 2010-04-05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US8854318B2 (en) 2010-09-01 2014-10-07 Nokia Corporation Mode switching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JP5784960B2 (ja) * 2011-04-26 2015-09-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タッチパネル操作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WO2013003984A1 (en) * 2011-07-06 2013-01-10 Google Inc. Dual display computing device
CN103186333B (zh) * 2011-12-28 2018-05-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解锁系统及方法
CN103186340B (zh) * 2012-01-02 2017-07-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解锁系统及方法
WO2013118522A1 (ja) * 2012-02-08 2013-08-1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動作方法
CN103870772B (zh) * 2012-12-17 2017-08-08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触摸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21369B1 (ko) * 2013-01-10 2014-07-18 주식회사 팬택 터치락 레이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102080742B1 (ko) * 2013-01-22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33846B2 (en) * 2013-01-28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display mod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52371B1 (ko) * 2013-02-01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듀얼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0842A1 (en) * 2005-12-23 2007-06-28 Imran Chaudhri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090298547A1 (en) * 2008-05-29 2009-12-03 Jong-Hwan Kim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786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US20110163986A1 (en) * 2010-01-06 201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ent displayed on transparent display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4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17850A (ko) * 2015-08-05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73837A1 (ko) * 2015-10-27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527A1 (en) 2015-02-05
EP3028146A4 (en) 2017-03-29
EP3028146B1 (en) 2019-09-25
ES2749587T3 (es) 2020-03-23
EP3028146A1 (en) 2016-06-08
CN105453019B (zh) 2019-10-11
US20150035770A1 (en) 2015-02-05
US9395833B2 (en) 2016-07-19
CN105453019A (zh) 2016-03-30
KR102156642B1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642B1 (ko) 휴대단말기의 락 또는 언락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844989B (zh) 基于触摸的移动设备和用于执行移动设备的触摸锁功能的方法
KR102085267B1 (ko) 변환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속도계 입력의 사용
KR101888457B1 (ko)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687406B (zh) 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CN105359086B (zh) 控制聊天窗口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电子设备
KR1016788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4801503B2 (ja) 項目選択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331146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2064075A (ja) 文字入力装置
KR101611866B1 (ko) 케이스에 장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859479A (zh) 提供图形用户接口的方法和适应于该方法的移动装置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690391B2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KR20110103265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45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755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A2854753C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KR101699735B1 (ko) 네일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