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618A -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618A
KR20150014618A KR1020130089995A KR20130089995A KR20150014618A KR 20150014618 A KR20150014618 A KR 20150014618A KR 1020130089995 A KR1020130089995 A KR 1020130089995A KR 20130089995 A KR20130089995 A KR 20130089995A KR 20150014618 A KR20150014618 A KR 2015001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image
targe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93B1 (ko
Inventor
고창건
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93B1/ko
Priority to PCT/KR2014/006935 priority patent/WO2015016579A1/en
Priority to US14/908,058 priority patent/US9826365B2/en
Priority to EP14831406.5A priority patent/EP3028514B1/en
Publication of KR2015001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은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새로운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에 등록하고, 등록된 전자 장치를 존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등록된 전자 장치 및 해당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AND ITS APPARATUS FOR CONFIGURING THE POSITION OF TARGET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존(Zone) 기반 서비스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수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는 방법 및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Host) 장치는 전자 장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RSSI를 기반으로 호스트 장치와 검색하고자 하는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서비스 공간에 부착된 적외선 센서나 혹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수신된 태그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RSSI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는 계산 가능한 대신,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알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호스트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매질에 의한 오차도 존재하게 된다. 더하여, 적외선 센서나 혹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적어도 3방향에 적외선 센서를 부착하거나 혹은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호스트 장치에서 오차를 최소화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가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위치가 결정된 타겟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촬영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를 입력 받아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위치가 지정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방법은,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과, 상기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는,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하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 후,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위치가 결정되지 않은 새로운 전자 장치가 감지될 시, 새로운 전자 장치 혹은 위치가 결정된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촬영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새로운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존을 결정함으로써, 새로운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에 등록하고, 등록된 전자 장치를 존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등록된 전자 장치 및 해당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위치를 결정하고자하는 타겟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촬영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집 내부에 설치된 호스트 장치 및 타겟 장치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타겟 장치의 위치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가 알려진 장치가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집 내부에 설치된 호스트 장치 및 타겟 장치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타겟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현재 위치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새로운 타겟 장치가 감지된 경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새로운 타겟 장치가 감지된 경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서 이미지 변경 여부에 따라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집 내부에 설치된 타겟 장치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장치 혹은 타겟 장치에서 추가된 타겟 장치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서 특정 존에 새로 등록된 타겟 장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집안에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존으로 구성된 장소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는 존 관리부(101) 및 통신부(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100)는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셋탑 박스(Set top box)일 수 있다.
존 관리부(101)는 다수의 존(Zone)으로 구성된 집안의 구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 관리 부(101)는 제 1 존(안방), 제 2 존(작은 방), 제 3 존(거실), 제 4 존(부엌)으로 구성된 구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존은 개발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혹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더하여, 존 관리부(101)는 등록된 타겟 장치가 위치한 존의 타입, 특징 및 등록된 타겟 장치의 종류에 따라, 타겟 장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존 관리부(101)는 동일한 타겟 장치일지라도, 타겟 장치가 위치한 존의 타입 및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할 수 있다. 더하여, 존 관리부(101)는 타겟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어하거나 혹은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 관리부(101)는 제 1 존이 거실임을 확인하고, 거실에서 자주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일기예보 애플리케이션을 타겟 장치인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존 관리부(101)는 제 2 존이 주방임을 확인하고, 주방에서 자주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레시피 애플리케이션을 타겟 장치인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더하여, 존 관리부(101)는 UID(Unique IDentification)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들의 UID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해당 UID가 미리 저장된 UID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장치가 호스트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장치가 미리 등록된 장치가 아닌 경우, 존 관리부(101)는 위치 등록이 필요한 타겟 장치가 존재함을 감지하고, 해당 UID를 타겟 장치의 UID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존 관리부(101)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 태그,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및 바 코드(Bar Code)등과 같은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들의 UID를 감지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의 존 관리부(101)에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이 구비된 경우, 존 관리부(101)는 통신부(103)를 통해 수신된 다수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호스트 장치(100)가 촬영된 이미지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방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존 관리부(101)는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호스트 장치를 촬영한 위치)와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정보 및 수신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좌표를 계산하여,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를 타겟 장치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장치(100)는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이미지를 촬영한 객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됨을 가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타겟 장치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거리 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방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존 관리부(101)는 수신된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좌표를 계산하여,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를 타겟 장치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타겟 장치의 계산된 좌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존 관리부(101)는 수신된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타겟 장치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장치(100)는 타겟 장치에서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한 이미지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장치 및 타겟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3)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3)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03)는 타겟 장치의 위치에서 호스트 장치(100)가 촬영된 이미지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방향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는 타겟 장치가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한 이미지 및 타겟 장치의 방향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03)는 타겟 장치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거리 정보 및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의 방향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는 타겟 장치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거리 정보 및 이미지 촬영 시, 타겟 장치의 방향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계산된 타겟 장치의 좌표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는 타겟 장치에서 계산된 타겟 장치의 좌표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호스트 장치(100)가 촬영된 이미지를 클라이언트 장치 혹은 타겟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카메라가 구비된 호스트 장치(100)의 경우, 호스트 장치(100)에서 타겟 장치를 촬영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통신부(201), 이미지 캡쳐부(203), 이미지 처리부(205), 방향 감지부(207) 및 UI 관리부(209)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일 수 있다.
통신부(201)는 호스트 장치(100) 및 타겟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3)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1)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201)는 이미지 캡쳐부(203)에 의해 촬영된 호스트 장치(100)의 이미지 및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1)는 타겟 장치에서 촬영된 호스트 장치(100) 이미지 및 이미지 촬영 시, 타겟 장치의 방향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01)는 이미지 처리부(205)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계산된 거리 정보 및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1)는 타겟 장치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계산된 거리 정보 및 이미지 촬영 시, 타겟 장치의 방향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01)는 이미지 처리부(205)에서 계산된 타겟 장치의 좌표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1)는 계산된 타겟 장치의 좌표 정보를 타겟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이미지 캡쳐부(203)는 UID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들의 UID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해당 UID가 미리 저장된 UID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장치가 미리 등록된 장치가 아닌 경우, 이미지 캡쳐부(203)는 위치 등록이 필요한 타겟 장치가 존재함을 감지하고, 해당 UID를 타겟 장치의 UID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캡쳐부(203)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 태그,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및 바 코드(Bar Code)등과 같은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들의 UID를 감지할 수 있다.
이미지 캡쳐부(203)는 타겟 장치 혹은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하여, 타겟 장치 혹은 호스트 장치(1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등)가 구비됨을 가정한다. 이미지 캡쳐부(203)는 호스트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이미지 캡쳐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미지 캡쳐부(203)는 자동으로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이미지 캡쳐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미지 캡쳐부(203)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이미지 캡쳐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205)는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장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이미지 처리부(205)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가 결정된 경우,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위치로부터 호스트 장치(100)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205)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 제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가 선택되어 결정된 경우, 획득된 이미지를 촬영한 타겟 장치의 위치와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205)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 제어에 의해 타겟 장치가 선택되어 결정된 경우, 획득된 이미지를 촬영한 현재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위치와 타겟 장치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205)는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촬영한 위치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더하여, 이미지 처리부(205)는 이미지 처리부(205)로부터 계산된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100) 혹은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타겟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 및 방향 감지부(207)로부터 결정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방향 감지부(207)는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향 감지부(207)는 이미지 촬영 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등)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감지부(207)는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미리 결정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UI(User Interface) 관리부(209)는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장치(200) 상이의 그래픽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UI 관리부(20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UI 관리부(209)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UI 관리부(209)가 구비된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I 관리부(209)는 이미지 캡쳐부(203)에 의해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획득된 이미지 내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미지 캡쳐부(203), 이미지 처리부(205), 방향 감지부(207) 및 UI 관리부가 각각 별도로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장치들은 하나의 위치 결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에서 위치를 결정하고자하는 타겟 장치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겟 장치(300)는 태그 관리부(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겟 장치(300)는 가정 내에 설치된 전자 장치(예를 들어, TV, 냉장고 및 컴퓨터 등)일 수 있다.
태그 관리부(301)는 타겟 장치(300)의 고유의 식별 정보 UID를 저장 및 관리하며, 해당 식별 정보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 태그,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및 바 코드(Bar Code)등 과 같은 태그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겟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설계방식에 따라, 타겟 장치(300)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이미지 촬영 시, 타겟 장치(300)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부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300)를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2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자 장치는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300)일 수 있으며, 제 2 전자 장치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장치가 구비된 장치로써, 호스트 장치(100),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타겟 장치(300)를 촬영함으로써, 타겟 장치(3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타겟 장치(300)는 타겟 장치(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함으로써, 호스트 장치(1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100) 혹은 타겟 장치(3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제어 혹은 호스트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이미지 촬영 위치에서 이미지 내 객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내의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와 이미지를 촬영한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 촬영하는 순간에 제 2 전자 장치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의 방향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 2 전자 장치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후, 제 2 전자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중 미리 인지하고 있는 하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제 1 전자 장치 혹은 제 2 전자 장치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전자 장치는 409단계에서 결정된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결정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된 내부 구조도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타겟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수단(411)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이 구비됨을 가정한다.
더하여, 제 2 전자 장치는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수단(413)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됨을 가정한다.
더하여,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415)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를 구비됨을 가정한다.
더하여, 제 2 전자 장치는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417)을 포함한다. 자세히 말해, 제 2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한 객체와 촬영된 객체 사이의 거리 정보, 이미지를 촬영한 객체의 방향 정보 및 미리 인지하고 있는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객체의 좌표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제 2 전자 장치는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수단(419)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내부 구조도를 갱신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200)에서 호스트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를 촬영하여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01단계에서 타겟 장치(300)의 UID(Unique IDentific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QR 코드, 바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통해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03단계에서 타겟 장치(300)가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타겟 장치(300)의 UID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저장된 UID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가 아닌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위치 결정이 필요한 타겟 장치(300)가 감지됨을 인지하고, 505단계에서 호스트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를 타겟 장치(300)의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와 호스트 장치(100) 사이의 거리 측정을 위해 타겟 장치(300)가 설치된 위치에서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가 설치된 위치(603)에서 호스트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601)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의 위치에서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해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 제어에 의해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가 촬영된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다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내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된 객체(701)를 호스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호스트 장치(100)와 타겟 장치(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획득된 이미지 내의 호스트 장치(100)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한 클라이언트(200) 사이의 거리를 공지된 거리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모듈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11단계에서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 결정된 거리 정보 및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호스트 장치(100)를 촬영하는 순간의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 결정된 거리 정보 및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를 바탕으로 집안에 위치한 타겟 장치(300)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호스트 장치(100)의 지정된 위치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결정된 존(Zone) 구분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존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의 결정된 좌표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존 중에서 어떤 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존에 타겟 장치(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위치가 결정된 타겟 장치(300) 및 해당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집 내부 구조도 내 결정된 존에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의 위치 및 존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호스트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타겟 장치(300)의 위치 및 존을 직접 결정하였으나, 거리, 방향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하여 타겟 장치(300)의 위치 및 존 결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가 알려진 장치가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에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01단계에서 타겟 장치(300)의 UID(Unique IDentific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QR 코드, 바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통해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03단계에서 타겟 장치(300)가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태깅을 통해 획득된 타겟 장치(300)의 UID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저장된 UID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타겟 장치(300)가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장치가 아닌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위치 결정이 필요한 타겟 장치(300)가 감지됨을 인지하고, 8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집 내부 구조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집 내부 구조도 내에서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현재 위치한 곳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07단계에서 타겟 장치(300)가 설치된 장소를 현재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서 타겟 장치(300)가 설치된 장소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설정된 현재 위치(901)에서 타겟 장치(300)가 설치된 위치(903)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촬영을 수행하거나 혹은, 호스트 장치(100)의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 제어에 의해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가 촬영된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다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내에서 선택된 객체(1001)를 타겟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타겟 장치(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획득된 이미지 내의 타겟 장치(300)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한 클라이언트 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공지된 거리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모듈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현재 위치를 알고 있음으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13단계에서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 결정된 거리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이미지로 촬영한 타겟 장치(300)의 이미지 촬영 시,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방향 정보, 결정된 거리 정보 및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집안에 위치한 타겟 장치(300)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현재 위치를 미리 알고 있음으로,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15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결정된 존(Zone) 구분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존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타겟 장치(300)의 결정된 좌표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존 중에서 어떤 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817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존에 타겟 장치(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위치가 결정된 타겟 장치(300) 및 해당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집 내부 구조도 내 결정된 존에 타겟 장치(300)를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새로운 타겟 장치가 감지된 경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101단계에서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위치가 지정된 호스트 장치(100)일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장치들의 UID를 수집하고, 수집된 UID들 중에서 전자 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UID가 감지된 경우, 새로운 타겟 장치가 추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103단계에서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는 타겟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호스트 장치)는 새로운 타겟 장치가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에 등록된 모든 클라이언트 장치들 중에서, 카메라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가 등록된 장치들 중에서 어떤 장치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등록된 모든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105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전자 장치로부터 이미지 촬영 요구 신호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정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107단계에서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각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위치에서 정면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새로운 장치가 추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새로운 타겟 장치가 감지된 경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하는 수단(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다른 장치를 감지하기 위한 태그 리더기 혹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는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는 수단(1113) 및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단(1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는 냉장고, TV, 컴퓨터 등과 같은 가전제품 혹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는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1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다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타겟 장치의 결정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에서 이미지 변경 여부에 따라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하고, 획득된 UID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200)란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203단계에서 타겟 장치(300)가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타겟 장치(300)의 UID가 호스트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UID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타겟 장치(300)가 호스트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장치(300)가 호스트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장치인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타겟 장치(300)가 호스트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장치가 아닌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1205단계로 진행하여 위치가 지정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로 이미지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위치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로 이미지 촬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로부터 각 장치의 위치에서 정면을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 지정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타겟 장치들(1301, 1303, 1305, 1307 및 1309)에게 이미지 촬영을 요청한 후,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타겟 장치들(1301, 1303, 1305, 1307 및 1309)로부터 해당 장치의 위치에서 정면을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209단계에서 각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별로 사전에 저장된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 각각의 위치에서 미리 촬영된 정면 이미지와 촬영 요청 수신 후, 촬영한 정면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211단계에서 이미지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이미지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이미지가 변경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및 타겟 장치(300)가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1213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이미지 내에서 추가된 그래픽 객체를 판단하고, 해당 그래픽 객체를 타겟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 요청 수신 후,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던 객체가 촬영 요청 수신 후, 촬영한 이미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를 타겟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던 냉장고가 촬영 요청 수신 후, 촬영한 이미지에 추가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해당 냉장고를 타겟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에 냉장고가 존재하였으나, 촬영 요청 수신 후, 촬영한 이미지에 냉장고 및 TV가 존재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이미지에 추가된 TV를 타겟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변경된 이미지를 촬영한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미지 내 타겟 장치(300)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1217단계에서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의 방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장치(100)는 이미지를 촬영한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가 이미지 촬영 시, 감지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의 방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219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거리, 방향 및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의 위치 및/혹은 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결정된 거리 정보, 방향 정보 및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된 타겟 장치(300)가 위치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호스트 장치(100)는 타겟 장치(300)의 결정된 좌표를 바탕으로 타겟 장치(300)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존 중에서 어떤 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는 추가된 냉장고의 좌표를 결정하고, 해당 좌표가 어떤 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2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위치 및/혹은 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호스트 장치(100)는 추가된 타겟 장치(3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에서 추가된 타겟 장치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치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장치(200) 혹은 타겟 장치(300)(이하, '위치가 지정된 장치'라 칭함)는 타겟 장치(300)의 UID를 획득하고, 1403단계에서 획득된 UID를 호스트 장치(100)로 보고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태깅 혹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타겟 장치의 UID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UID를 호스트 장치(100)로 보고할 수 있다.
이후,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1405단계에서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촬영 요청이 수신하고, 1407단계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됨을 가정한다.
이후,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1409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이미지 촬영 시, 감지된 방향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호스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1411단계에서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1413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됨을 가정한다.
이후, 위치가 지정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에서 특정 존에 새로 등록된 타겟 장치(30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1501단계에서 특정 존에 특정 타겟 장치(300)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자세히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혹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겟 장치(300)의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 목록에 새로운 타겟 장치(300)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503단계에서 해당 존의 타입 및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존 목록에서 등록된 타겟 장치(300)가 위치한 존을 확인하고, 해당 존의 타입 및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장치(100)는 1505단계에서 해당 존의 타입, 특징 및 등록된 타겟 장치(300)의 종류를 기반으로 등록된 타겟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등록된 타겟 장치(300)가 위치한 존의 타입, 특징 및 등록된 타겟 장치(300)의 종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혹은 제거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동일한 타겟 장치(300)가 타입 및 특징이 서로 다른 존에 설치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타겟 장치(300)의 존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가 제 1 존(거실)에 새로 등록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제 1 존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 1 존에 등록된 냉장고에 일기예보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하여, 호스트 장치(100)는 제 1 존에 설치된 냉장고에 거실에 설치된 TV의 리모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는 냉장고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냉장고가 제 2 존(부엌)에 새로 등록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제 2 존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 2 존에 등록된 냉장고에 레시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장치(100)는 제 2 존에 설치된 냉장고에 오븐 및 가스레인지와 관련된 레시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TV가 제 3 존(아이 방)에 새로 등록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제 3 존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 3 존에 등록된 TV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 4 존(부모 방)에 설치된 TV 및/혹은 클라이언트 장치(부모의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TV가 제 4 존에 새로 등록된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제 4 존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 4 존에 등록된 TV에 클래식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 명의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 판독가능 전파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라는 용어는 예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기기, 장치 및 머신을 포함한다. 기기는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한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 및 제 1 전자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미리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에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장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 및 제 1 전자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미리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미리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 및 제 1 전자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를 미리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에 새로운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김지한 식별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 장치의 존재를 감지하는 과정과,
    사용자에게 새로운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가 결정될 시, 상기 결정된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상기 감지된 새로운 전자 장치의 위치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를 촬영한 전자 장치의 위치와 상기 결정된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의 타입 및 특징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존의 타입, 특징 및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제거하거나 혹은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호스트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 2 전자 장치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과,
    상기 결정된 위치를 등록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제 2 전자 장치 및 제 1 전자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미리 결정하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할 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에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미리 결정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결정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에 새로운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감지하고, 상기 김지한 식별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 장치의 존재를 감지하며, 사용자에게 새로운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 및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가 결정될 시, 상기 결정된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상기 감지된 새로운 전자 장치의 위치로 결정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촬영한 전자 장치의 위치와 상기 결정된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결정된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을 결정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위치한 존의 타입 및 특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존의 타입, 특징 및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제거하거나 혹은 메뉴를 제어하는 장치.
  22.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타겟 장치를 감지하고,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미지 촬영을 요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 후, 클라이언트별로 미리 등록된 촬영 이미지와 현재 수신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30089995A 2013-07-30 2013-07-30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95A KR102044493B1 (ko) 2013-07-30 2013-07-30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14/006935 WO2015016579A1 (en) 2013-07-30 2014-07-29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4/908,058 US9826365B2 (en) 2013-07-30 2014-07-29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4831406.5A EP3028514B1 (en) 2013-07-30 2014-07-29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95A KR102044493B1 (ko) 2013-07-30 2013-07-30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618A true KR20150014618A (ko) 2015-02-09
KR102044493B1 KR102044493B1 (ko) 2019-11-13

Family

ID=5243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995A KR102044493B1 (ko) 2013-07-30 2013-07-30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6365B2 (ko)
EP (1) EP3028514B1 (ko)
KR (1) KR102044493B1 (ko)
WO (1) WO2015016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39A1 (ko) * 2021-08-23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2111B2 (en) 2003-11-24 2012-10-30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rdware registration in a network device
US9740873B1 (en) * 2015-06-11 2017-08-22 Tp Lab, Inc. Documents with location attributes for access and storage
US9742744B1 (en) * 2015-06-11 2017-08-22 Tp Lab, Inc. Documents with location attributes for access and storage
US10104198B1 (en) * 2015-09-14 2018-10-16 Tp Lab, Inc.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an electronic document over a data network
CN107038462B (zh) * 2017-04-14 2020-12-15 广州机智云物联网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操作方法及系统
US10536859B2 (en) 2017-08-15 2020-01-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an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KR102407026B1 (ko) 2017-08-31 2022-06-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실시간 실내 영상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11716558B2 (en) 2018-04-16 2023-08-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network services
US11182222B2 (en) 2019-07-26 2021-11-2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rocessor device software development and operation
US11528748B2 (en) 2019-09-11 2022-1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rrier unlicensed heterogeneous channel access
US11368552B2 (en) * 2019-09-17 2022-06-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US20210176612A1 (en) * 2019-12-06 2021-06-10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E102021200513A1 (de) 2021-01-21 2022-07-21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rn-Steuerung eines Hausgerä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74B1 (ko) * 2005-11-28 2006-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인식 방법 및 그장치
KR20110083509A (ko) * 2010-01-12 2011-07-20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507B1 (en) 1999-07-27 2004-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in a home network
KR100697810B1 (ko) 2004-06-04 2007-03-20 주식회사 코맥스 랜드마크를 이용한 이동체의 자기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79864B1 (ko) 2005-10-22 2007-02-07 이정웅 지역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지역정보표시방법
US20080297608A1 (en) * 2007-05-30 2008-12-04 Border John N Method for cooperative capture of images
KR20100041926A (ko) 2008-10-15 2010-04-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US8315674B2 (en) * 2010-10-08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location in augmented reality
CN103168294A (zh) 2010-10-22 2013-06-1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图像匹配装置和图像匹配方法
TWI462060B (zh) * 2011-05-20 2014-11-21 Wistron Corp 手持控制裝置與控制電子裝置的方法
US10068084B2 (en) * 2011-06-27 2018-09-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location-aware certificate based authentication
KR101838119B1 (ko) * 2011-12-15 2018-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US9544737B2 (en) * 2012-12-28 2017-01-10 Trimble Inc. Performing data collection based on external raw observables using a mobile data collection platform
US20140362255A1 (en) * 2013-06-09 2014-12-11 Shaobo Ku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hotograph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device
KR102151705B1 (ko) * 2014-02-20 202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791919B2 (en) * 2014-10-19 2017-10-17 Philip Lyren Electronic device displays an image of an obstructed targ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74B1 (ko) * 2005-11-28 2006-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인식 방법 및 그장치
KR20110083509A (ko) * 2010-01-12 2011-07-20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39A1 (ko) * 2021-08-23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4043A1 (en) 2016-06-16
EP3028514A1 (en) 2016-06-08
WO2015016579A1 (en) 2015-02-05
EP3028514A4 (en) 2017-02-22
EP3028514B1 (en) 2019-06-19
US9826365B2 (en) 2017-11-21
KR102044493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493B1 (ko)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24481B2 (en) Maintaining heatmaps using tagged visual data
JP5766217B2 (ja)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位置特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
US201302117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navigation service
US9872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FID tags
KR201700845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 설치 장치 및 방법
Ozer et al. Improving the accuracy of bluetooth low energy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kalman filtering
TW201333842A (zh) 具有實時增強實體板的資料中心基礎設施管理系統
US20180376289A1 (en) Crowd Condition Estimation System, Crowd Condition Estim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528452B2 (e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beacons and video analytics
JP2013191059A (ja) 迷子通知案内システム、迷子通知案内方法、目撃情報配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360250B1 (ko) 주변 대상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2946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 보수 과정의 추적
KR1023084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228756A1 (en) Surveillance system, surveillance network construction method, and program
US20200296684A1 (en) Terminal device for position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and system
JPWO2016136670A1 (ja) 計測装置及び計測システム
EP3241036B1 (en) Crowdsourcing visual data tagged with wireless signal information
KR101969262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창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9093292A (ja) 製品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の情報処理端末及びサービス管理装置
CN111294552A (zh) 图像采集设备确定方法及装置
JP2014139745A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36989A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23032769A1 (ja)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CN117677860A (zh) 位置估计系统和位置估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