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119B1 -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19B1
KR101838119B1 KR1020110135352A KR20110135352A KR101838119B1 KR 101838119 B1 KR101838119 B1 KR 101838119B1 KR 1020110135352 A KR1020110135352 A KR 1020110135352A KR 20110135352 A KR20110135352 A KR 20110135352A KR 101838119 B1 KR101838119 B1 KR 10183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erminal
subscriber terminal
locat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316A (ko
Inventor
강지영
김경화
김희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19B1/ko
Priority to US13/673,018 priority patent/US8965400B2/en
Priority to CN201210538944.5A priority patent/CN103167412B/zh
Publication of KR2013006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자 단말에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이,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통화모드에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통화자 단말의 위치정보와 수신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두 단말간의 거리를 계산하며,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통화자 단말의 방향이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와 일치할 때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 상대가입자의 단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이런 통신 기능들 중의 하나가 영상통화(Video call)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는 통화자(자신과 상대 통화자)의 정보가 화면 상에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상대 통화자의 영상이 자신보다 크게 표시된다.
이때 상기 영상 통화 중에 상대 통화자의 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대 통화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휴대단말기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이를 바로 표시할 수 없다. 즉, 통화중인 A 가입자가 B 가입자로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수신 위치를 바로 표시하지 못하고 2단계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하여야 B 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와 목적지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경로로 진행된다. 예를들면, 휴대단말기가 제3자(3rd party)에 의헤 제공되는 위치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경우, 상대가입자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휴대단말기 위치에서 상대가입자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은 쌍방향 통신이 아닌 일방향(one way) 통신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통화중 상태에서 통화자 간의 위치정보를 공유할 수 없으며,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공유된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상태에서 통화자 간의 위치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통화 중인 상태에서 통화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상대방 가입자로부터 제공 받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영상통화인 경우,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에 위치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하고 이를 표시화면(communication window; 통화자의 영상이 display되는 window)에서 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지원되는 통화(예를들면 video call) 상황에서의 영상 표시영역과 AR(augmented reality) 기술 및 통화자 및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 감지 기술(GPS 정보, WIFI 혹은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도 활용 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위치를 손쉽게 찾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자 단말에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가, 통신부와,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단말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통화모드에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하며,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두 단말간의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방향이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와 일치할 때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자 단말에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이,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통화자 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두 단말간의 거리를 계산하며, 방향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통화자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와 일치할 때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상태에서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에 위치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하고 이를 표시화면(communication window; 통화자의 영상이 display되는 window)에서 바로 보여 줌으로써, 검색된 결과를 보기 위해 다른 window (혹은 application)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Video call(쌍방향 communication)에서 사용되는 window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표시부150의 화면 표시 영역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휴대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통화중인 상대방 가입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대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통화자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수신시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 및 전송하는 기능 및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또는 맵 상에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 및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AR기술 및 사용자 위치 감지 기술(GPS 정보, WIFI 혹은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등)을 통해 활용하여 사용자가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또는 맵 화면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특히 영상 통화시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위치감지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또는 3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감지부160은 GPS수신부를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60은 단말기가 위치된 높이(고도) 정보를 발생하는 고도센서(height sens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도센서는 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위성신호(및 압력)을 이용하는 센서, 레이더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수신부가 단말기의 고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고도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방향감지부(direction sensor)170은 단말기가 위치되는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compass) 및/또는 자이로센서(gyroscope)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120은 휴대단말기와 각각 대응되는 통신망을 무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기지국 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상승시키는 변환기(frequency up converter)와 전력증폭기 등으로 구성되는 송신부와, RF 수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기와 RF신호를 기저대역으로 하강 변환하는 변환기(frequency down convert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20은 상기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는 변조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복조부는 통신 방식에 따라 WCDMA, CDMA 등의 3G, GSM 또는 LTE 방식의 4G 변복조부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변복조부는 WiFi, Wibro, Wimax 등의 변복조부가 될 수 있다.
카메라130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4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40 및 표시부150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Panel)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1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인스톨 데이터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0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맵은 2D 맵 또는 3D 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가입자의 위치 표시는 카메라130을 통해 촬영되는 화면에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통화자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로써,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의해 상대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휴대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상대가입자는 통화자에 의해 위치정보가 요청되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부100은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버튼,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정보 요청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통화자에 전송하는 기능(버튼,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통화중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통화자는 위치정보 요청 기능을 선택하며,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100은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을 통해 상대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상대가입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위치정보 전송 기능을 선택하며,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100은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부160은 GPS수신부가 될 수 있으며, 현재 상대가입자가 위치된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60이 고도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외에 고도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후면 카메라130(즉, 표시부150의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을 구동하여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대가입자로부터 위치정보 수신시, 상기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와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분석하여 두 휴대단말기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방향감지부170을 통해 상기 카메라130이 향하고 있는 방위(NEWS; north, east, west, south direction)를 설정한다. 즉, 상기 방향감지부170은 현재 카메라130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감지하며, 지자기 센서 및/또는 자이로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30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이유는 상기 카메라13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표시기능은 카메라130으로 촬영되는 영상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방향감지부170을 통해 카메라130로부터 촬영되는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통화자 휴대단말기와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 간의 위치(위도 및 경도) 정보에 따라 상대가입자와의 거리 및 방향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표시부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3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화면에 상대가입자의 위치 및 상기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감지된 방향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통화자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거리 변화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영상통화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화자와 상대가입자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런 경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휴대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이를 위하여 위치감지부(여기서는 GPS 수신부가 될 수 있음) 160 및 내 위치 공유 메뉴로 접근할 수 있는 루트(route)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측의 휴대단말기는 카메라130, 위치감지부160, 영상통화시 상대가입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제1표시영역) 및 통화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제2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표시부150과, 수신되는 상대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에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AR 표시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2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표시되는 표시부150의 화면 표시 영역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통화시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상대가입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통화자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2영역220에 표시되는 통화자의 영상은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위치된 카메라13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통화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10과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위치정보 요청메세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을 통해 상대가입자 측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상대가입자의 휴대단말기는 참조번호 320과 같이 표시된다. 이때 상대가입자가 내 위치 공유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현재 위치를 감지한 후 위치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을 통해 통화자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대가입자의 휴대단말기는 위치감지부160이 고도감지부를 구비하면, 위도, 경도 및 고도로 이루어지는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330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통화자 휴대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00은 후면 카메라130을 구동하여 참조번호 340과 같이 표시부150의 제1영역에 표시하고,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감지하고, 방향감지부170을 통해 카메라130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대가입자와 자신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때 상대가입자와 자신의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에 따른 방향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화자는 카메라130의 방향을 회전시키면서 방향감지부170의 출력을 확인하면, 상대가입자 측으로 방향을 설정하면 상기 카메라130의 방향과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30과 상대가입자의 위치가 일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참조번호 340과 같이 제1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의 제2영역에는 사용자가 위치된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가입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위도 및 경도 정보 이외에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화면에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의 고도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상대가입자의 위치 정보는 AR 기술을 추가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상대가입자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의 디테일(detail)을 높이거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영상통화 상태에서 영상을 보여주는 영역(210 및 220)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가입자 위치를 표시할 때 AR기술을 접목시켜 프리뷰(preview) 영역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영상통화 또는 일반통화) 중인 상태에서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에게 위치 공유를 요청하면, 이를 수신하는 상대가입자는 통화를 하는 중에 '내 위치 공유' 메뉴를 선택하여 상대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상대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자의 휴대단말기는 카메라130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전환(switch)한 후, 단말의 정면을 프리뷰(preview)한다. 이때 영상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은 통화자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상대가입자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중에 어느 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방향감지부170으로부터 카메라130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통화자가 단말을 들고 360도 회전을 하는 중간에 미리 파악된 상대가입자의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면 상기 카메라130을 통해 프리뷰되고 있는 영상 위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R로 표시되는 정보는 상대방의 위치 뿐 아니라 360˚ 분포도에서 내 방향에 따른 상대의 방향도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4a는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카메라 영상 및 상대가입자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방향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b는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카메라 영상 및 상대가입자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상대가입자의 영상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c는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상대가입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카메라 영상 및 상대가입자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d는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카메라 영상 및 상대가입자 위치정보가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지도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e는 표시부150의 제1영역210에 지도가 표시되고, 제2영역220에 카메라 영상 및 상대가입자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4e와 같이 위치를 공유하는 방식은 상기 카메라130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제공되나, 전달받은 상대의 위치를 표시하는 영역(여기서는 제1영역 210)에 카메라130의 영상 대신에 지도 정보(map data)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 정보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핀(pin)으로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대가입자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예를들면 제1영역 210)에 카메라 영상이 아닌 지도정보(memo, note 등이 포함될 수도 있음)와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며, 이때 상기 지도정보가 3D 맵이고,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가 고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위치는 3차원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a - 도 4d와 같이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카메라130의 영상에 표시할 때, 상대가입자로부터 위치정보 외에 부가정보(예를들면 note, memo 등)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30의 영상에 표시되는 상대가입자 위치에 부가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대가입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건물명 또는 상호명, 층수, 동반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휴대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중 상태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대가입자와 통화를 서비스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는 일반 통화(음성통화) 및 영상 통화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상통화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2와 같은 화면을 표시부150에 표시하면서 통화를 서비스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자는 상대가입자에게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요청은 위치전송 요청 메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통화 중인 상태에서 음성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메뉴를 통해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며, 통신부120을 통해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통화자가 음성으로 상기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521단계 및 523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에게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한 것을 알지 못하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의 영상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0은 5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53단계에서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도 및 경도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감지부160이 고도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555단계에서 위치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20을 통해 통화자의 휴대단말기(즉,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한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통화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음성으로 위치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상대가입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내위치 공유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551단계에서 위치정보 전송이 요청되었음을 감지하고, 553단계에서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555단계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통화자 휴대단말기에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대가입자의 휴대단말기는 통화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가입자에 의해 내위치 공유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은 5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53단계에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555단계에서 이를 메시지화하여 통화자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이외에 고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대가입자는 입력부140을 통해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될 메모 및/또는 노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 및/노트 정보는 상대가입자가 위치된 지역의 부가정보(건물명, 상호면, 도로명, 층수, 주변 정보 등)가 될 수 있다.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한 후 상대가입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7단계에서 수신되는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후면 카메라13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후면 카메라130을 구동하는 이유는 AR 기능으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지도 정보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후면 카메라130의 구동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카메라 구동 후, 상기 제어부100은 527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상대가입자 영상이 표시되는 제1영역 2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상대가입자의 영상은 통화자의 영상이 표시되었던 제2영역2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0은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며, 방향감지부170을 통해 현재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방향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33단계에서 통화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수신된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두 휴대단말기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두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대 휴대단말기가 위치된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방향감지부17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130이 촬영하는 방향과 상대가입자가 위치한 방향이 일치될 때 까지 휴대단말기를 회전시키면, 상대가입자가 위치된 방향에서 촬영되는 카메라130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30이 향하는 방향과 상대가입자가 위치된 방향이 다르면, 상기 제어부100은 위치감지부160을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0의 촬영 방향과 상대가입자의 위치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37단계에서 표시부150 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를 통해 단말기의 방향을 회전시키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30의 촬영 방향과 상대가입자의 위치 방향이 일치하면(즉,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 내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5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39단계에서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상대가입자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가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촬영되는 영상에서 해당 고도 위치에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가입자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도 4a - 도 4e와 같은 표시 방법들 중에 한 가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 거리 및/또는 상대가입자가 전송한 메모/노트 등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통화자는 상기 도 4a - 도 4e 중의 한가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대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대가입자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가입자 위치 표시는 통화자가 위치정보 표시를 종료하거나, 또는 목적지에 도달하게 되면 종료된다. 상기 종료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5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대가입자 위치 표시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도 5와 같은 절차로 진행하는 상대가입자 위치 표시 방법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대가입자 위치 표시방법은 일반통화(음성통화) 시에도 동일한 절차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일반 통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30을 구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표시부150에는 상기 도 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자가 상대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상대가입자는 551단계 - 555단계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통화자에 전송한다. 그러면 통화자 휴대단말기는 525단계에서 위치정보의 수신을 감지하고, 527단계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후면 카메라130을 구동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 영상통화시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화면은 영상통화시의 화면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표시부150의 전체 화면에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화면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4a, 도 4d 및 도 4e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의 전체화면에 카메라130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방향 정보 및/또는 지도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 단말에 있어서,
    통신부와,
    단말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부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와,
    표시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대가입자 단말과 통화 중,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촬영 방향과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 방향 내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로부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하다가,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고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상기 고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과 통화가 영상통화 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영상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통화 영상보다 작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지도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
  11. 상대가입자 단말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화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과 통화 중,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방향과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방향 내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표시되는 영상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대체하여 상기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가 표시되는 것인,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고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고도정보에 기초하여 표현되는 것인,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관련된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것인,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과 통화가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영상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통화 영상보다 작게 표시되는 것인,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지도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지도에 상기 상대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10135352A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83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52A KR101838119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US13/673,018 US8965400B2 (en) 2011-12-15 2012-11-0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mobile terminal
CN201210538944.5A CN103167412B (zh) 2011-12-15 2012-12-13 用于显示移动终端的位置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52A KR101838119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16A KR20130068316A (ko) 2013-06-26
KR101838119B1 true KR101838119B1 (ko) 2018-03-14

Family

ID=4859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52A KR101838119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65400B2 (ko)
KR (1) KR101838119B1 (ko)
CN (1) CN103167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058B1 (ko) * 2013-07-01 2020-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890616A (zh) * 2013-07-11 2016-08-2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通过街景服务实现路线指引的方法和系统
KR102044493B1 (ko) * 2013-07-30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426939B (zh) * 2013-08-2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533293B (zh) * 2013-10-10 2018-03-0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基于手机视频共享的视觉拓展方法及系统
CN103618991A (zh) * 2013-11-06 2014-03-0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移动通信终端设备的位置分享和导航方法及其系统
CN103916819A (zh) * 2014-04-11 2014-07-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位置信息的显示方法、移动终端以及服务器
US9584980B2 (en) * 2014-05-2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estimation
KR102268540B1 (ko) * 2014-06-26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60092070A1 (en) * 2014-09-30 2016-03-31 Htc Corporation Location display metho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method
CN105988519A (zh) * 2015-02-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5049590B (zh) * 2015-05-1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旋转摄像头的图片定位方法及终端
US9837074B2 (en) * 2015-10-27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exchange during audio conversations
CN106998319A (zh) * 2016-01-25 2017-08-01 滴滴(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位置的方法、服务器以及客户端
CN106375320A (zh) * 2016-09-06 2017-02-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地理位置信息分享方法及装置
KR102608996B1 (ko) 2016-12-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대상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18243A (ko) * 2017-08-14 2019-02-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11044061B (zh) * 2018-10-12 2023-03-28 腾讯大地通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22528B (zh) * 2019-05-24 2021-03-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通话的位置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11083285A (zh) * 2019-12-13 2020-04-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通话定位系统和方法
CN111541815A (zh) * 2020-04-16 2020-08-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罗盘的终端交互方法、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286A (ja) * 1999-06-04 2000-12-15 Sharp Corp 相互通信手段を持つ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27B1 (ko) * 2008-12-16 201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013751B1 (ko) 2009-07-09 2011-02-14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가상화 처리서버 및 dcd 컨텐츠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20110024979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4630B1 (ko) 2009-11-03 2012-01-12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99137B1 (ko) * 2010-01-29 2011-12-27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7715B1 (ko) * 2010-06-08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N101977350A (zh) * 2010-10-09 2011-02-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通话中加入位置信息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US8638720B2 (en) * 2011-01-06 2014-01-28 Apple Inc. Multi-tiered detection of a geofence
KR102086667B1 (ko) * 2012-08-23 2020-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286A (ja) * 1999-06-04 2000-12-15 Sharp Corp 相互通信手段を持つ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16A (ko) 2013-06-26
CN103167412A (zh) 2013-06-19
US20130157697A1 (en) 2013-06-20
CN103167412B (zh) 2018-03-27
US8965400B2 (en)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119B1 (ko)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51508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US9013505B1 (en) Mobile system representing virtual objects on live camera image
JP3729161B2 (ja) 目標位置探索装置、目標位置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20054B2 (ja)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0735463B1 (ko)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36223B1 (ko) 궤적 기반 위치 결정을 이용한 이미지 식별
KR101759912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3160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124530A (ko) 네비게이션을 위한 카메라 인에이블 헤드셋
US20120077437A1 (en) Navigation Using a Headset Having an Integrated Sensor
JP4508031B2 (ja) 目標位置探索装置、目標位置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2806B1 (ko) 화상통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KR20090002848A (ko)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JP7146542B2 (ja) 経路案内プログラム、経路案内装置、および経路案内システム
KR101688033B1 (ko) 영상 전송을 통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331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검색방법
CN110121027B (zh) 图像处理方法及终端
JP201012418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対象物案内表示システム
JP388692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2262338A (ja) 携帯通信機器
KR10166347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163241A (ja) 無線携帯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ナビゲーション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5414572B2 (ja) 地図表示制御装置、地図表示制御方法及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24055A (ko) 차량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