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715B1 -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715B1
KR101667715B1 KR1020100054017A KR20100054017A KR101667715B1 KR 101667715 B1 KR101667715 B1 KR 101667715B1 KR 1020100054017 A KR1020100054017 A KR 1020100054017A KR 20100054017 A KR20100054017 A KR 20100054017A KR 101667715 B1 KR101667715 B1 KR 10166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delete delete
route guid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177A (ko
Inventor
이태성
김은경
임태현
이주일
전혜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15B1/ko
Priority to US12/942,942 priority patent/US8433336B2/en
Priority to EP10191231.9A priority patent/EP2395326B1/en
Priority to TW099139936A priority patent/TWI410906B/zh
Priority to CN201110006339.9A priority patent/CN102281348B/zh
Publication of KR2011013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9Augment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안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경로 소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경로 소스정보를 근거로 제2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제1 단말기의 주변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주변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게 실시간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본 발명은 경로 안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로 안내(길 안내)가 가능한 종래 단말기는 저장된 지리 정보(맵 정보)에 기반하여 모델링된 지형, 사물을 기준으로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 한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이동 단말기가 서버에 GPS 정보 및/또는 지자기 정보를 제공하면 서버가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상하고 있는 대상에 대한 가이드 정보(AR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로 안내 방법은 미리 확보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거리 및 건물의 변화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 하고,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지리 정보를 다운받아야 한다. 또한, 종래의 증강현실정보 서비스에서는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 없어서 목적지에 대한 길 안내를 제공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경로 안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정보 또는 증강현실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대상자의 위치 및 방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안내 대상자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경로 소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경로 소스정보를 근거로 제2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주변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주변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실시간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증강현실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에서 지표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지표위치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지표위치에 도달되었음이 통보되면, 표시된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단말기로부터 경로 소스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경로 소스정보를 근거로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주변영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주변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실시간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지표위치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임의로 설정한 소정 위치 및 상기 센싱부가 측정한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증강현실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에서 지표위치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표위치에 도달되었음이 통보되면, 표시된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증강현실 기술에 의한 가이드 정보를 실제 영상에 결합함으로써 상대방의 위치 및 방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상대방에게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수단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5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1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2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3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4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5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대상 단말기가 안내 단말기에게 자신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알아낼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면, 안내 단말기는 전송된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대상 단말기가 안내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대상 단말기가 촬상한 영상데이터, 증강현실정보(이하 'AR 정보'라 함), 위치정보,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방향정보는 방위각(方位角)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내 단말기는 대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필요한 경우 안내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추가적으로 획득한 AR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단말기의 위치 및/또는 방향이 판단되면, 다양한 안내 수단을 통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음성,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메모,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화살표 입력, 기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대상 단말기 주변영상과 그 주변영상 내 주요 지점에 대한 AR 정보로부터 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음성, 메모 등을 통하여 목적지로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대상 단말기와 안내 단말기가 각각 1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대상 단말기와 안내 단말기가 각각 1대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대상 단말기가 복수이고 안내 단말기가 1대인 경우 안내 단말기의 화면을 복수로 분할하여 각 대상 단말기에 대해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대상 단말기가 1대이고 안내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대상 단말기에서 각 안내 단말기로부터의 경로 안내를 적절히 결합하여 출력 또는 표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안내 단말기가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안내 단말기가 대상 단말기로부터 (1) 영상데이터 및 AR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2) 영상데이터,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3)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4) 위치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대상 단말기로부터 안내 단말기로 항상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 단말기의 위치 이동 및/또는 방향 변경에 따른 감지 정보(센싱 정보, 센서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정보는 GPS 정보, 방위각(方位角) 정보 및 지자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1) 안내 단말기가 영상데이터 및 AR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A(대상 단말기)의 카메라(121)는 경로 안내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단말기 A의 특정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단말기 A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기 A의 센싱부(140)는 단말기 A의 방향정보(예를 들어, 방위각(方位角)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 A의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소정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AR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AR 정보는 상기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화상 프레임과 함께 단말기 A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 A는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화상 프레임)와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AR 정보를 단말기 B(안내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때, 영상데이터와 AR 정보는 상기 화상 프레임 상에 AR 정보가 합성된 형태(예를 들어, 화상 프레임과 AR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때의 캡쳐 영상)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데이터와 AR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 B는 다양한 안내 수단을 통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음성,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메모,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화살표 입력, 기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수단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말기 B는 단말기 A에게 "a빌딩 건너편으로 오세요."라는 단말기 B의 사용자의 음성(도 3(a)) 또는 메시지(도 3(b))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말기 B의 사용자가 단말기 B의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상에서 "이쪽으로 오세요"라는 메모 및 장소를 가리키는 화살표를 입력하면, 단말기 B는 상기 메모 및 상기 화살표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단말기 A에 전송하고, 단말기 A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도 3(c)). 단말기 B는 단말기 A가 전송한 상기 캡쳐 영상에 상기 메모 및 상기 화살표를 합성한 후, 합성된 영상을 단말기 A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말기 B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상에서 장소를 가리키는 기호(v)를 입력하면, 단말기 B는 상기 기호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단말기 A에 전송하고, 단말기 A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도 3(d)). 단말기 B는 단말기 A가 전송한 상기 캡쳐 영상에 상기 기호를 합성한 후, 합성된 영상을 단말기 A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2) 안내 단말기가 영상데이터,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A(대상 단말기)의 카메라(121)는 경로 안내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단말기 A의 특정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단말기 A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기 A의 센싱부(140)는 단말기 A의 방향정보(예를 들어, 방위각(方位角)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 A는 획득된 영상데이터(화상 프레임),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단말기 B(안내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 B의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 A로부터 전송 받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소정 서버에 전송하고, 소정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AR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데이터와 소정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AR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 B는 다양한 안내 수단을 통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음성,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메모,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화살표 입력, 기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3) 안내 단말기가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 A(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기 A의 센싱부(140)는 단말기 A의 방향정보(예를 들어, 방위각(方位角)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 A는 상기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단말기 B(안내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 B의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 A로부터 전송 받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소정 서버에 전송하고, 소정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한다. 특정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는 실사 이미지(예를 들어, 로드뷰 영상), 모델링 과정을 거친 3차원/2차원 이미지, 지도(맵)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단말기 B는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와 AR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 B는 다양한 안내 수단을 통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음성,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메모,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화살표 입력, 기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4) 안내 단말기가 위치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비교해 보면,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B가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하는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B가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 및 단말기 B의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A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가 변경되는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B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가 변경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A의 방향정보를 수신하므로 단말기 A를 기준으로 한 방향 설명이 가능한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A의 방향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이용하므로 단말기 B를 기준으로 한 방향 설명이 가능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단말기 B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B의 센싱부(140)가 획득한 단말기 B의 방향을 그대로 단말기 B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B의 센싱부(140)가 획득한 단말기 B의 방향을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정한 결과를 단말기 B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B의 실제 방향은 북쪽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운데,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상에서 왼쪽 드래그 입력을 함으로써 서버로 전송되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북서쪽으로 변경하거나, 오른쪽 드래그 입력을 함으로써 서버로 전송되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북동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B의 실제 방향은 북쪽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운데, 사용자 입력부(130)의 제1 조작유닛을 조작함으로써 서버로 전송되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북서쪽으로 변경하거나, 제2 조작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서버로 전송되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북동쪽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 B의 위치 변동을 단말기 A의 위치 변동으로 보고 서버로부터 변경된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단말기 B의 방향정보와 함께 부가적으로 단말기 B의 변위(단말기 B의 원래 위치로부터 변경된 위치까지의 거리 오프셋)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B는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를 단말기 B의 변위에 따라 수정한 결과와 단말기 B의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정보를 단말기 B의 변위에 따라 직접 수정한 결과와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지표 위치 또는 지표 건물을 이용한 경로 안내
한편, 단말기 B는 단말기 B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표 건물 또는 지표 위치를 기준으로 단말기 A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로 안내는 단말기 A의 요청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고, 단말기 B에 의해 임의적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B의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단말기 B는 선택된 위치에 대한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또는 AR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다시 단말기 B의 사용자가 단말기 A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 중간의 지표 건물을 선택하면, 단말기 B는 단말기 A에게 상기 지표 건물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A는 이동 중에 상기 지표 건물에 근접하면 이를 단말기 B에게 알리고, 단말기 A의 알림을 수신한 단말기 B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경로 안내를 제공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한 경로 안내란, 단말기 A에게 실시간으로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경로 안내(예를 들어, 미리 녹음된 음성, 미리 작성된 메시지 또는 메모 등)를 단말기 A에게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5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 A(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단말기 B(안내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전송 받은 단말기 A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B의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단말기 A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 경로 상의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면, 단말기 B의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위치정보 및/또는 단말기 B의 방향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및/또는 단말기 B의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기 B의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상기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B의 사용자는 단말기 B의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하여 단말기 B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표시되는 지리적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서버로 전송될 상기 위치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B의 사용자는 단말기 B의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유닛들을 조작함으로써 직접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위도/경도 정보 등)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단말기 B는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와 AR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단말기 B의 사용자가 지표 위치(예를 들어, 도 7에서는 c빌딩)를 선택하면, 단말기 B는 지표 위치의 위치정보를 단말기 A에 전송한다.
단말기 A는 이동 중에 위치정보 모듈(115)을 통하여 자신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지표 위치(예를 들어, 도 7에서는 c빌딩)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도달하면 상기 지표 위치에 근접했다는 것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 B에 전송한다.
단말기 A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 B는 다양한 안내 수단을 통하여 대상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 또는, 단말기 A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 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음성,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메모, 터치 입력, 키패드 입력, 화살표 입력, 기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경로 안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던 중 통신두절로 종료된 경우, 정상통신 상태로 회복한 후 바로 경로 안내 방법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할 수도 있고, 임시 저장된 이전 상태에 대해 알린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로 안내 방법을 다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1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210). 다음으로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에 대응하는 AR 정보와 함께 단말기 A의 주변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220). 그리고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한다(S230).
여기서, 상기 AR 정보는 단말기 A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안내는 음성, 문자 메시지, 그래픽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2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영상데이터 및 상기 주변에 대한 AR 정보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상기 영상데이터는 단말기 A(예를 들어, 단말기 A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 프레임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 A는 소정 서버에 단말기 A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향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A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영상데이터가 구현된 그래픽 이미지와 AR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가 합성된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상기 AR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320). 그리고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한다(S330).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3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영상데이터와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한다(S410). 여기서,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상기 영상데이터는 단말기 A(예를 들어, 단말기 A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 프레임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이고, 상기 방향정보는 방위각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AR 정보와 함께 단말기 A의 위치 주변에 대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420). 여기서, 단말기 B는 AR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와 영상 데이터가 구현된 그래픽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B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A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한다(S430).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4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수신한다(S510).
다음으로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520). 여기서, 단말기 B는 소정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상기 A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이고, 상기 방향정보는 방위각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한다(S530).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설명하는 제5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 B는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S610), 단말기 A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620).
또는, 단말기 B 자신이 임의로 설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630).
여기서, 단말기 B는 소정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또는 단말기 B가 임의로 설정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A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B는 소정 서버로부터 단말기 A의 위치정보 및 단말기 B의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영상(영상지리 정보) 및 상기 AR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 B의 상기 방향정보는 단말기 B의 실제 방향을 상기 단말기 B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정한 결과일 수 있다.
단말기 B가 지표 위치를 설정하지 않으면(S640),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B는 단말기 A의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한다(S680).
단말기 B가 지표 위치를 설정하면(S640), 단말기 B는 단말기 B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표 위치 또는 지표 건물의 위치정보를 단말기 A에 전송하고(S650),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가 상기 지표 위치에 근접한다는 알림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70). 이때, 단말기 B는 상기 지표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 안내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S660), 단말기 A로부터 단말기 A가 상기 지표 위치에 근접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기 B는 미리 설정된 상기 경로 안내를 단말기 A에 제공할 수 있다(S68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단말기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증강현실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에서 지표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지표위치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지표위치에 도달되었음이 통보되면, 표시된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 입력, 터치 입력 및 키패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는 음성, 메시지, 메모, 기호, 도형,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위치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상기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센싱부;
    지표위치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임의로 설정한 소정 위치 및 상기 센싱부가 측정한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증강현실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영상에서 지표위치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표위치에 도달되었음이 통보되면, 표시된 상기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표위치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상기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54017A 2010-06-08 2010-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6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17A KR101667715B1 (ko) 2010-06-08 2010-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12/942,942 US8433336B2 (en) 2010-06-08 2010-11-09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0191231.9A EP2395326B1 (en) 2010-06-08 2010-11-15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W099139936A TWI410906B (zh) 2010-06-08 2010-11-19 使用擴增實境導航路徑之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終端機
CN201110006339.9A CN102281348B (zh) 2010-06-08 2011-01-10 使用增强现实引导路线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17A KR101667715B1 (ko) 2010-06-08 2010-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77A KR20110134177A (ko) 2011-12-14
KR101667715B1 true KR101667715B1 (ko) 2016-10-19

Family

ID=4424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017A KR101667715B1 (ko) 2010-06-08 2010-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33336B2 (ko)
EP (1) EP2395326B1 (ko)
KR (1) KR101667715B1 (ko)
CN (1) CN102281348B (ko)
TW (1) TWI4109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12B1 (ko) * 2010-06-07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00954B2 (ja) 2010-09-20 2016-10-0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クラウド支援型拡張現実のための適応可能なフレームワーク
KR20120053420A (ko) * 2010-11-17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88048B1 (ko) * 2010-12-02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889538B2 (ja) * 2011-03-25 2016-03-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30116922A1 (en) * 2011-11-08 2013-05-0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mergency guiding system, server and portab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838119B1 (ko) * 2011-12-15 2018-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GB2511663A (en) * 2011-12-20 2014-09-10 Intel Corp Local sensor augmentation of stored content and AR communication
EP2795936B1 (en) * 2011-12-20 2019-06-26 Intel Corporation User-to-user communication enhancement with augmented reality
KR101956634B1 (ko) 2012-01-03 2019-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CN103208244A (zh) * 2012-01-17 2013-07-17 冠捷投资有限公司 结合增强现实与无线识别技术的透明显示器
JP5872923B2 (ja) * 2012-02-22 2016-03-01 株式会社マイクロネット Ar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5899333B2 (ja) * 2012-02-24 2016-04-06 ナ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イピー,エルエルシー 相互作用に基づいた認証を介したコンテンツの活性化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3162583A1 (en) * 2012-04-26 2013-10-31 Intel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device, apparatus and system
CN102801788B (zh) * 2012-07-17 2015-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增强现实信息共享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40036771A1 (en) * 2012-07-31 2014-02-06 Emerson Electric Co. Networked Video Bridge Device
KR101977703B1 (ko) * 2012-08-17 2019-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N109495613B (zh) * 2012-10-17 2022-01-14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1962134B1 (ko) * 2012-10-24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US9953618B2 (en) 2012-11-02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apping and localization
CN103968824B (zh) 2013-01-28 2018-04-10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发现增强现实目标的方法及终端
CN104007889B (zh) * 2013-02-27 2018-03-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反馈方法和电子设备
CN103198694B (zh) * 2013-03-01 2015-04-29 上海喜泊客信息技术有限公司 利用多种网络进行导航的系统
US20140278053A1 (en) * 2013-03-14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vigation system with dynamic updat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I511080B (zh) * 2013-04-03 2015-12-01 Twi Building Man Co Ltd 建築物空間定位資訊系統
CN105890616A (zh) * 2013-07-11 2016-08-2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通过街景服务实现路线指引的方法和系统
JPWO2015145544A1 (ja) * 2014-03-24 2017-04-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50137799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090841A (zh) * 2014-07-09 2014-10-08 戎檄 基于智能移动终端的数字集群对讲蓝牙外设
KR102299487B1 (ko) * 2014-07-17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증강 현실 알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202520A (zh) * 2014-08-28 2014-12-1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资讯传递方法及资讯传递系统
US10438409B2 (en) * 2014-12-15 2019-10-08 Hand Held Products, Inc. Augmented reality asset locator
CN105791729A (zh) * 2014-12-23 2016-07-20 重庆甸甸橙电子商务有限公司 便携式数字巡回法庭系统
US9646400B2 (en) 2015-02-12 2017-05-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rtual doorbell augmentations for communications betwee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9171404B1 (en) 2015-04-20 2015-10-27 Popcards, Llc Augmented reality greeting cards
US9355499B1 (en) 2015-04-20 2016-05-31 Popcards, Llc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print media
DE112015006921T5 (de) * 2015-10-16 2018-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und Verfahren für Pseudonavigationshilfe in einem Fahrzeug
US9863778B2 (en) * 2015-12-18 2018-01-09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direct foot traffic
US10242499B2 (en) 2016-02-16 2019-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ographic map overlay onto a live feed
US10345786B2 (en) 2016-02-16 2019-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active heating-based crack prevention in 3D printing
CN105788020A (zh) * 2016-04-22 2016-07-20 吴乾 一种基于物联网的巡防人员监控系统与方法
CN108697934A (zh) * 2016-04-29 2018-10-23 奥瑞斯玛有限公司 与目标图像有关的引导信息
CN106403971B (zh) * 2016-08-25 2021-10-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2524266B1 (ko) * 2016-08-29 2023-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412524A (zh) * 2016-11-09 2017-02-15 四川诚品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远程案件审理系统
KR101892693B1 (ko) * 2017-03-21 2018-08-29 고현승 위치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7147999A (zh) * 2017-05-04 2017-09-08 北京英贝思科技有限公司 一种远距离无线传输的定位方法
KR20190018243A (ko) * 2017-08-14 2019-02-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10489951B2 (en) * 2017-09-29 2019-11-26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of a live scene and auxiliary object
CN107895325A (zh) * 2017-11-27 2018-04-10 启云科技股份有限公司 社群信息链接系统
CN107959792A (zh) * 2017-11-27 2018-04-24 启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双向操控的拍照系统
CN108596756A (zh) * 2018-04-18 2018-09-28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办理银行业务的方法及装置
CN109005285A (zh) * 2018-07-04 2018-12-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增强现实处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166787B (zh) 2018-07-05 2022-11-29 腾讯数码(天津)有限公司 增强现实数据传播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0763250B (zh) * 2018-07-27 2024-04-09 宝马股份公司 用于处理定位信息的方法和装置以及系统
WO2020056692A1 (zh) * 2018-09-20 2020-03-26 太平洋未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61100B1 (en) 2018-10-26 2023-01-24 Allstate Insurance Company Exit routes
CN112789480B (zh) * 2019-05-24 2023-01-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将两个或更多个用户导航到会面位置的方法和设备
CN110664593A (zh) * 2019-08-21 2020-01-10 重庆邮电大学 基于HoloLens的盲人导航系统及方法
KR102625458B1 (ko) * 2019-08-27 202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컨텐츠 제공 방법 및 xr 컨텐츠 제공 디바이스
US11488235B2 (en) 2019-10-07 2022-11-01 Oculogx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wearable technology to facilitate fulfilling customer orders
US11360576B1 (en) * 2020-12-21 2022-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vement pattern-based mobile device user interfaces
CN114071364A (zh) * 2021-11-26 2022-02-18 深圳市联洲国际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的处理方法、装置以及无线网络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49B1 (ko) * 2000-08-18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에 의한 경로안내 방법
JP4236372B2 (ja) * 2000-09-25 2009-03-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空間情報利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US7522995B2 (en) * 2004-02-05 2009-04-21 Nortrup Edward H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vel time information
US7774044B2 (en) * 2004-02-17 2010-08-1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in a medical intervention procedure
KR20070019813A (ko) * 2005-08-11 2007-02-1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시스템
US7742774B2 (en) * 2007-01-11 2010-06-22 Virgin Mobile Usa, L.P. Location-based text messaging
US20090005076A1 (en) * 2007-06-28 2009-01-01 Scott Forstall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KR101402806B1 (ko) * 2007-12-04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통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US8565780B2 (en) * 2008-01-17 2013-10-22 At&T Mobility Ii Llc Caller identification with caller geographical location
US8144232B2 (en) * 2008-07-03 2012-03-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 sharing using geotagged pictures
US8301996B2 (en) * 2009-03-19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images with instructions
US20100309225A1 (en) * 2009-06-03 2010-12-09 Gray Douglas R Image matching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3336B2 (en) 2013-04-30
EP2395326B1 (en) 2016-08-17
EP2395326A3 (en) 2014-01-29
KR20110134177A (ko) 2011-12-14
TWI410906B (zh) 2013-10-01
EP2395326A2 (en) 2011-12-14
US20110300876A1 (en) 2011-12-08
CN102281348A (zh) 2011-12-14
CN102281348B (zh) 2015-02-25
TW201145226A (en)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580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2073827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28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3207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46776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20049757A (ko) 증강현실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050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실시간 로드뷰 공유방법
KR101726227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20032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101677637B1 (ko) 영상 투사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134556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99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0621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59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786513B1 (ko) 이동 단말기의 화면 조작 방법
KR101708303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21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508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20120026398A (ko)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4280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29981B1 (ko) 콘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8853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69059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