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958A -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958A
KR20150012958A KR1020130089181A KR20130089181A KR20150012958A KR 20150012958 A KR20150012958 A KR 20150012958A KR 1020130089181 A KR1020130089181 A KR 1020130089181A KR 20130089181 A KR20130089181 A KR 20130089181A KR 20150012958 A KR20150012958 A KR 2015001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ge
lifting
fixed
cur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905B1 (ko
Inventor
박형철
김지현
이진성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주식회사 근하기공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13008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9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과 함께 인양되며, 외벽의 충분한 양생 기간을 두고 외벽에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방수, 방습이 가능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지에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슈로 구성된 갱폼 케이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 고리와, 상기 갱폼의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빗장이 구비되되, 상기 빗장이 상기 이격 고리를 관통하여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연결된 인양레일에 케이지가 고정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Gang Form and Cage System for an EIF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갱폼과 함께 인양되며, 외벽의 충분한 양생 기간을 두고 외벽에 외단열 시공(EIFS :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ing System)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방수, 방습이 가능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운영되는 마감 공사용 가설 자재는 곤도라, 워킹 플랫폼, 케이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마감 공사용 가설 자재는 골조 공사가 12층 이상 진행된 후, 또는 골조 공사가 완료된 후에나 작업이 가능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마감 공사의 시작 시기가 늦어져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곤도라나 워킹 플랫폼의 경우 공종별로 한층씩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일정 층 간격 마다 안전망 등과 같은 별도의 안전시설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함으로 설비비용 및 시공, 해체를 위한 추가적인 인력, 비용,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외단열 시공을 위해서는 외벽의 양생 정도나 수분 차단이 매우 중요하다. 외벽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외벽의 양생이 완료되어 수분이 최소화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외단열 시공 중에 우수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거나 우천시에는 외단열 시공을 중지하고 외벽이 건조 된 후에야 다시 외단열 시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별도의 케이지 운영이 필요하게 되어 시공 기간이 증대되고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조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갱폼)의 하단에 안전발판이 구비된 케이지를 연결하여 다음 층의 골조 공사를 위해 승강되는 갱폼과 함께 상기 케이지가 승강 되도록 함으로써 골조 공사와 마감 공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4751호(발명의 명칭 :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으며, 이는 도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200)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300)의 외측으로부터 일단이 고정 연결됨에 따른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가능하도록 상,하부 발판설치용 지지대(111,121)와 상,하부 세로지지대(112,122)가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작업대 프레임(110,120)로 구성된 작업대 프레임부(13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부(130)의 상,하부 세로지지대(112,122) 사이를 적층시켜 막음시키도록 연결체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위해 구비되는 판넬부(14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부(130)의 하부 작업대 프레임(122) 하부에 낙하물방지를 위해 상기 판넬부(140)가 설치가능하도록 횡방향 고정 구비되는 낙하물 방지용바(150)로 구성되며, 이러한 인용발명은 갱폼(300)의 외측 전체를 소정 거리 이격시켜 막음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위 및 더위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낙하물 방지망과 비닐막을 배제함으로 인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은 케이지가 갱폼에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갱폼에 의해 외벽이 형성되고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다음층 형성을 위해 갱폼이 인양되면 케이지도 함께 인양되어 양생이 덜된 외벽을 케이지에서 작업자가 마감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외벽에 남아있는 고정볼트 자국이나 갱폼 자국 등을 마감하는 작업에는 지장이 없으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양생이 완료되어야 실시할 수 있는 외단열 시공은 함께 실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므로 인용발명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케이지를 설치하고 인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지가 조립식이기는 하나 갱폼과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계된 최고층까지 외벽 형성이 다 되어 갱폼을 해체할 경우 마지막 마감작업을 위하여 또다시 별도의 케이지의 운영이 필요하게 되어 시공 과정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47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벽의 충분한 양생 기간을 두고 외벽에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외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방수, 방습이 가능하여 외단열 시공의 완성도를 높이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지에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슈로 구성된 갱폼 케이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 고리와, 상기 갱폼의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빗장이 구비되되, 상기 빗장이 상기 이격 고리를 관통하여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연결된 인양레일에 케이지가 고정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슈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양생구간 레일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고리와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에 함께 삽입되도록 빗장이 걸려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케이지가 고정된 인양레일이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이 이격고리와 수직프레임의 통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빗장에 의해 양생구간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낙하방지구를 통해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인양레일에 구비된 우수차단막과 케이지를 둘러싼 보양막에 의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케이지에서 외단열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의 인양 시 갱폼에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을 통해 연결된 케이지가 함께 인양되는 단계와,
상기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이 낙하방지구에 의하여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된 후 크레인이 인양레일의 인양고리와 연결되어 인양레일에 고정된 케이지를 인양하는 단계로 구성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의 외단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갱폼과 케이지 사이에 양생구간 레일이 구비되고,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양생구간 레일에 의해 갱폼과 케이지가 이격되어 연결됨에 따라 갱폼과 함께 케이지도 함께 인양되어 외벽 형성 및 외단열 시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갱폼과 케이지가 양생구간 레일에 의하여 외벽의 수분율이 10% 이하로 충분이 양생된 외벽에서 외단열 시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이격됨에 따라 안정적인 접착력으로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최상층 외벽 형성이 완료되어 갱폼을 해체하더라도 상기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을 서로 분리하면 별도의 케이지를 인양 및 설치하여야 하는 공정 없이도 연속적으로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에 구비되는 우수차단막 및 보양막에 의하여 방수, 방습되기 때문에 외단열 시공에 문제를 일으키는 수분을 차단시킬 수 있어서 안정적인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도 2에 의한 본 발명의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을 건축물에 적용 상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에서 갱폼이 해체되었을 때 케이지만이 단독으로 인양되며 외단열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5,6,7,8은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의 이격고리의 구조와, 이격고리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시공용 갱폼(500) 케이지(700)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 내지 4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지(700)에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슈로 구성된 갱폼(500) 케이지(700)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로 구성되며,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고리(610)와,
상기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빗장(540)이 구비되되, 상기 빗장(540)이 상기 이격고리(610)를 관통하여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에 고정되어 갱폼(500)과 양생구간 레일(600)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하부에 연결된 인양레일(710)에 케이지(700)가 고정된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은 하부에 인양레일(710)이 연결되고, 상부에는 이격고리(610)가 고정되어 상기 인양레일(710)에 고정된 케이지(700)와 상기 이격고리(610)를 통해 연결되는 갱폼(50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하는 것이며,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상기 인양레일(710)은 고정된 케이지(700)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외벽에 고정시키고, 상단이 양생구간 레일(600)과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이격고리(610)와 상기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에 형성된 통공(531)에 삽입되어 연결시키는 빗장(540)에 의하여 갱폼(500)의 인양 시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과 연결된 인양레일(710)에 의해 케이지(700)도 함께 인양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에는 다수의 통공(5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빗장(5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이격고리(610)와 겹쳐지는 상기 수직프레임(530)의 통공(531) 위치에 따라 갱폼(500)과 케이지(700)의 이격 거리가 조절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고리(610)는 도 5 내지 도 8로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진 빗장(540)이 사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사선방향 장공(611)과 상기 빗장(54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방향 장공(612)이 형성된 것이어서 크레인이 갱폼(500)을 들어 올리게 되면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의 통공(531)에 삽입된 빗장(540)이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이격고리(610) 내에서 수직방향 장공(612)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방향 장공(612)의 끝에서 이어진 사선방향 장공(6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갱폼(500)이 콘크리트 타설된 외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서 별도의 구조나 공정 없이도 단지 갱폼(500)을 크레인으로 끌어 올리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갱폼(500)이 외벽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승강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 및 상기 인양레일(710)에 고정된 케이지(700)는 외벽에 고정된 슈와 상기 슈에 지지되는 낙하방지구(630)에 의하여 낙하가 방지되면서 좌우로의 흔들림이나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갱폼(500)과 함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낙하방지구(630)가 구비되어 낙하방지구(630)가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됨에 따라 낙하가 방지되는 상기 인양레일(710)이 연결된 양생구간 레일(60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되는 상기 이격고리(610)의 아래에서 위로 이격고리(610)를 관통하여 올라온 레벨조절구(620)에 의해 이격고리(610) 내에 있는 갱폼(500)의 빗장(540)이 승하강 되면서 함께 갱폼(500)도 승하강 될 수 있어서 갱폼(500)의 레벨이 조절 될 수 있다.
공지의 레벨조절구는 갱폼(500)과 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최상층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레벨조절구가 상기 슈를 밀어내는 작용의 반작용으로 갱폼(500)을 높이어 갱폼(500)의 레벨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이나 본 발명에 의한 레벨조절구(620)는 종래와 같이 슈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갱폼(500)의 인양 시 자동으로 갱폼(500)을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양생구간 레일(600)의 이격고리(610) 내에서 상기 이격고리(610)에 걸려있는 갱폼(500)의 빗장(540)을 상기 이격고리(610)의 수직방향 장공(612)을 따라 승하강 시켜 갱폼(500)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직 양생이 덜된 최상층에 고정된 슈에 갱폼(500), 레일 및 케이지(700)의 모든 하중을 가하여 외벽에 균열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은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은 하부에 인양레일(710)이 연결되고, 상부에는 이격고리(610)가 고정되어 상기 인양레일(710)에 고정된 케이지(700)와 이격고리(610)를 통해 연결되는 갱폼(50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인양레일(710)은 우천 시 인양레일(710)에 고정된 케이지(700)로 우수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는 우수차단막(730)과, 고정된 케이지(700)의 단독 인양을 위하여 상기 우수차단막(730) 외부로 돌출된 인양레일(710)에 인양고리(720)가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700)는 둘레에 우수를 차단하는 보양막(740)이 구비될 수 있어서 우천시에도 시공중인 외단열에 수분 공급을 차단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우천시에도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외단열 시공의 공기를 단축시키고, 양생이 완료되어 외벽에 수분이 최소화 된 상태에서 우수를 차단하여 외단열 시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외단열 시공용 갱폼(500) 케이지(700) 시스템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은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에 양생구간 레일(600)의 이격고리(610)와 빗장(540)을 통해 양생구간 레일(600)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500)과 연결된 양생구간 레일(600)의 하부에 케이지(700)가 고정된 인양레일(710)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에 의하여 양생이 완료된 층까지 갱폼(500)과 이격되며, 우수차단막(730)과 보양막(740)에 의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케이지(700)에서 외단열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500)의 인양 시 갱폼(500)에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을 통해 연결된 케이지(700)가 함께 인양되되, 상기 갱폼(500)과 케이지(700)가 양생구간 레일(60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갱폼(5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이 양생된 후 상기 케이지(700)에서 외단열 시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슈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양생구간 레일(600)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고리(610)와 갱폼(500)의 수직프레임(530)에 형성된 통공(531)에 함께 삽입되도록 빗장(540)이 걸려 상기 갱폼(500)과 양생구간 레일(600)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의 하부에 케이지(700)가 고정된 인양레일(710)이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500)이 이격고리(610)와 수직프레임(530)의 통공(531)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빗장(540)에 의해 양생구간 레일(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이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낙하방지구(630)를 통해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인양레일(710)에 구비된 우수차단막(730)과 케이지(700)를 둘러싼 보양막(740)에 의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케이지(700)에서 외단열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500)의 인양 시 갱폼(500)에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을 통해 연결된 케이지(700)가 함께 인양되는 단계와,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이 낙하방지구(630)에 의하여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갱폼(500)과 양생구간 레일(600)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500)과 양생구간 레일(600)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된 후 크레인이 인양레일(710)의 인양고리(720)와 연결되어 인양레일(710)에 고정된 케이지(700)를 인양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갱폼(500)과 케이지(700) 사이에 양생구간 레일(600)이 구비되고,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양생구간 레일(600)에 의해 갱폼(500)과 케이지(700)가 이격되어 연결됨에 따라 외벽의 수분율이 10% 이하로 충분이 양생된 외벽에서 외단열 시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지(700) 구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최상층 외벽 형성이 완료되어 갱폼(500)을 해체하더라도 상기 양생구간 레일(600)과 인양레일(710)만 서로 분리하면 별도의 케이지(700)를 제작, 인양, 설치하는 공정 없이도 연속적으로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양레일(710)과 케이지(700)에 구비되는 우수차단막(730) 및 보양막(740)에 의하여 방수, 방습되기 때문에 외단열 시공에 문제를 일으키는 수분을 차단시킬 수 있어서 우천시에도 외단열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외벽에 수분 공급을 차단함에 따라 외단열 시공의 기간 단축 및 안정적인 외단열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500:갱폼 510:내부폼 520:외부폼
530:수직프레임 531:통공 540:빗장
600:양생구간 레일 610:이격고리 611:사선방향 장공
612:수직방향 장공 620:레벨조절구 630:낙하방지구
700:케이지 710:인양레일 720:인양고리
730:우수차단막 740:보양막 800:슈
900:외단열재

Claims (8)

  1. 케이지에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슈로 구성된 갱폼 케이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 고리와,
    상기 갱폼의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빗장이 구비되되, 상기 빗장이 상기 이격 고리를 관통하여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연결된 인양레일에 케이지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고리는 끼워진 빗장이 사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사선방향 장공과 상기 빗장이 수직방향으로 기동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방향 장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구간 레일은 하부에 인양레일이 연결되고, 상부에는 이격고리가 고정되어 상기 인양레일에 고정된 케이지와 이격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갱폼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레일은 우천 시 인양레일에 고정된 케이지로 우수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는 우수차단막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레일은 상기 우수차단막 외부로 돌출된 인양레일에 인양고리가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둘레에 우수를 차단하는 보양막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7.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양생구간 레일의 이격고리와 빗장을 통해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과 연결된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케이지가 고정된 인양레일이 연결되는 단계와,
    우수차단막과 보양막에 의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케이지에서 외단열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의 인양 시 갱폼에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을 통해 연결된 케이지가 함께 인양되되, 상기 갱폼과 케이지가 양생구간 레일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갱폼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이 양생된 후 상기 케이지에서 외단열 시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의 외단열 시공방법.
  8. 슈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양생구간 레일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이격고리와 갱폼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에 함께 삽입되도록 빗장이 걸려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연결되고, 상기 양생구간 레일의 하부에 케이지가 고정된 인양레일이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이 이격고리와 수직프레임의 통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빗장에 의해 양생구간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낙하방지구를 통해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인양레일에 구비된 우수차단막과 케이지를 둘러싼 보양막에 의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케이지에서 외단열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의 인양 시 갱폼에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을 통해 연결된 케이지가 함께 인양되는 단계와,
    상기 양생구간 레일과 인양레일이 낙하방지구에 의하여 외벽에 고정된 슈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단계와,
    상기 갱폼과 양생구간 레일이 외벽으로부터 이탈된 후 크레인이 인양레일의 인양고리와 연결되어 인양레일에 고정된 케이지를 인양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의 외단열 시공방법.
KR20130089181A 2013-07-26 2013-07-26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181A KR101509905B1 (ko) 2013-07-26 2013-07-26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181A KR101509905B1 (ko) 2013-07-26 2013-07-26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958A true KR20150012958A (ko) 2015-02-04
KR101509905B1 KR101509905B1 (ko) 2015-04-07

Family

ID=5248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9181A KR101509905B1 (ko) 2013-07-26 2013-07-26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99B1 (ko) * 2015-06-16 2017-04-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648B1 (ko) * 1997-11-27 2000-12-01 노희상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KR20070000811U (ko) * 2007-06-22 2007-07-12 이병영 갱폼 상승유도기
KR100832000B1 (ko) * 2007-07-19 2008-05-26 미진정공(주) 갱폼 장치
KR101219629B1 (ko) * 2010-04-27 2013-01-08 이병영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905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169B1 (ko) 풍력 발전 플랜트용 타워를 세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731327B2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3982040B (zh) 一种超高层建筑施工竖向综合运输装置
WO2020052291A1 (zh) 附着于钢平台模架的施工电梯附墙架安装平台及方法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CN201962932U (zh) 建筑施工分段式悬挑外脚手架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MX2009012985A (es) Sistema automatico de construccion de edificios.
MX2021010866A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encofrado deslizante vertical con plataforma multifuncion, y metodo de construccion de un edificio con el mismo.
KR101509905B1 (ko) 외단열 시공용 갱폼 케이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9564B1 (ko) 피난사다리의 설치 구조
KR20150111075A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JP3204708U (ja) 昇降足場装置
KR101126781B1 (ko)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
CN103950811B (zh) 复杂外型建筑结构的人货梯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1725899B1 (ko)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CN206116598U (zh) 一种高度可调移动式天线抱杆装置
KR101553609B1 (ko)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JP3950800B2 (ja) つり足場
KR20190080023A (ko) 다목적 자동 인양시스템
KR20180107394A (ko)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CN207296369U (zh) 混凝土悬挑构件顶部脚手架外排钢管的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