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495A -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495A
KR20150011495A KR1020130086477A KR20130086477A KR20150011495A KR 20150011495 A KR20150011495 A KR 20150011495A KR 1020130086477 A KR1020130086477 A KR 1020130086477A KR 20130086477 A KR20130086477 A KR 20130086477A KR 20150011495 A KR20150011495 A KR 2015001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polybenzoxazine
composite
fuel cell
bipo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식
박진주
이단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495A/ko
Publication of KR2015001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t least one additive being also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33Polyamines derived from (poly)oxazolines, (poly)oxazines or having pendant ac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놀수지의 일종인 폴리벤조옥사진의 물리적 성질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래핀 소재를 일부 첨가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폴리벤조옥사진이 가지는 우수한 물성은 유지하면서, 기계적·열적 특성이 우수한 그래핀 소재를 소량 첨가하여 물리적 성질이 강화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에 의하면,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그래핀이 고르게 분산된 복합체를 구성함으로써 열적안정성 및 경도특성이 향상되고, 초발수 특성을 지니게 되며, 전기전도성이 부여됨에 따라 그 응용분야를 전기, 기계, 화학 분야 등 다양한 방면으로 넓힐 수 있으며, 특히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에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COMPOSITE OF GRAPHENE-POLYBENZOXAZINE, AND A BIPOLAR PLATE COMPRISING THE COMPOSITE AND A FUEL CELL INCLUDING THE BIPOLAR PLATE}
본 발명은 페놀수지의 일종인 폴리벤조옥사진의 물리적 성질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래핀 소재를 일부 첨가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류의 축합에 의해서 생기는 열경화성 수지로, 산업 전반에 걸쳐 원자재 및 건축 자재로 널리 사용된다. 페놀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수치 안정성, 내화학성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본 특허에서 실시예로 밝히는 폴리벤조옥사진은 환상 모노머의 개환 중합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페놀수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탄소계 전도성 물질중의 하나인 그래핀은 탄소가 육각형의 형태로 서로 연결된 벌집 모양의 2차원 평면 구조를 이루는 물질이다. 그래핀은 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얇고 투명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탄소로 구성되어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며,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기 전도성이 100배 이상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핀은 외부의 전력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휘거나, 누르거나, 진동을 주면 스스로 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폴리벤조옥사진과 그래핀 소재의 장점들을 결합하고자, 폴리벤조옥사진의 중합과정에서 소량의 그래핀을 첨가하여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을 지니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폴리벤조옥사진이 가지는 우수한 물성은 유지하면서, 기계적·열적 특성이 우수한 그래핀 소재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물리적 성질이 강화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양태로서 벤조옥사진 모노머 및 그래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벤조옥사진 모노머를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1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을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2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에 의하면,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을 지니는 그래핀이 고르게 분산된 복합체를 구성함으로써 열적안정성 및 경도특성이 향상되고, 초발수 특성을 지니게 되며, 전기전도성이 부여됨에 따라 그 응용분야를 전기, 기계, 화학 분야 등 다양한 방면으로 넓힐 수 있으며, 특히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에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조옥사진 모노머(a)와, 그래핀(b), 폴리벤조옥사진(c) 및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d)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에 대한 DSC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에 대한 TGA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에 대한 표면 물방울 접촉각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벤조옥사진 모노머 및 그래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공한다.
폴리벤조옥사진은 분자 내의 고리가 열리면서 중합이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폴리머(Thermosetting polymer)로 기계적·화학적 물성이 우수하며 촉매 없이도 중합이 가능하고, 중합 중에 부피의 변화가 없는 고분자 물질로 가공성도 우수하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플루오르 폴리머나 페놀수지와는 달리 고분자 주사슬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폴러 플레이트에 적당한 재료를 합성해내기가 용이하다.
상기 벤조옥사진 모노머(Benzoxazine monomer)는 폴리벤조옥사진 수지를 형성하는 단량체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다이옥세인(Dioxane) 및 메틸아민(Methyl amine)의 존재 하에서 비스페놀A(bisphenol-A)를 첨가하여 환류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진공오븐에서 건조 후 분쇄된 분말상의 벤조옥사진 모노머(Benzoxazine monomer)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그래핀은 폴리벤조옥사진의 물리적인 특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벤조옥사진 모노머 대 그래핀의 중량비는 1 : 0.01 ~ 0.4 이며, 바람직하게는 1 : 0.01 ~ 0.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01 ~ 0.1 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핀의 중량비가 0.01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폴리벤조옥사진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으며, 0.4를 초과하는 경우 그래핀이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여 기계적 물성 및 전기 전도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벤조옥사진 모노머를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1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을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2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THF, NMP, 포름아마이드, DMF, 글리콜에테르, IPA, PGME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THF를 용매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그래핀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벤조옥사진에 비하여 내열특성이 향상되어, 유리전이온도(Tg)가 175 ~ 210℃ 이고, 열분해온도(Td)가 320 ~ 3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그래핀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벤조옥사진과 달리 전기전도특성이 부여되어 표면저항이 1.0×107 ~ 1.0×104 Ω/□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표면 경도 역시 향상되어 연필경도기준 8H 이상, 바람직하게는 8 ~ 9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그래핀(Graphene)의 제조
그래파이트(Graphite) 10g,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5g 및 오산화인(Phosphorus pentoxide) 5g을 진한황산(99.9%) 30ml에 용해하여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4.5시간 동안 충분히 산화반응을 진행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필터링 및 세척 후 건조하여 산화 그래파이트 파우더를 얻는다. 이후 상기 산화 그래파이트 파우더를 진한황산(99.9%) 260ml에 용해하고, 과망간산칼륨(Potassium permanganate) 30g을 20℃ 이하의 온도에서 천천히 첨가한 뒤 35℃에서 2시간동안 1150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물 1.4L와 30% 농도의 과산화수소 25ml를 첨가하여 24시간동안 반응시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한 후, 상기 침전물을 10% 농도의 염산수용액을 이용하여 필터링 및 세척 후 상온에서 건조하고, 증류수에 희석하여 2주간 투석(dialysis)을 진행하였다. 상기 투석작업 이후 3회의 원심분리를 통해 불순물 및 산성 용액을 제거하여 용액의 pH를 중성으로 조절하고, 50℃의 진공오븐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켜 산화그래핀을 포함하는 파우더를 얻었다. 상기 파우더를 0.5mg/ml의 농도로 물에 투입하고 40분간 초음파처리를 실시한 후, 4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 제거하였다. 이후 산화그래핀을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만을 분리하여 동결건조시킨 후 1000℃ 의 전기로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그래핀(Graphene)을 제조하였다.
벤조옥사진 모노머(Benzoxazine monomer)의 제조
0.4mol의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다이옥세인(Dioxane) 80mL를 삼구플라스크에 투입하고, 0.2mol의 메틸아민(Methyl amine)을 천천히 투입하여 10분간 1150rpm으로 강하게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0.1mol의 비스페놀A(bisphenol-A)를 투입하고,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진공오븐에서 용매를 증발 시켜 젤 상태의 물질을 얻었다. 상기 젤 상태의 물질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상의 벤조옥사진 모노머(Benzoxazine monomer)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벤조옥사진 모노머(Benzoxazine monomer) 1g을 THF 5mL에 분산하여 제1용액을 형성하고, 그래핀(Graphene) 0.01g을 THF 10mL에 분산하여 제2용액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두 용액을 혼합하여 스테인리스 용기에 투입한 후 120℃, 140℃, 160℃, 200℃에서 각 2시간, 220℃, 240℃에서 각 30분간 열처리하여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그래핀(Graphene)을 0.02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그래핀(Graphene)을 0.03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그래핀(Graphene)을 0.05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그래핀(Graphene)을 0.07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벤조옥사진 모노머 1g을 THF 10mL에 분산하여 벤조옥사진 모노머 용액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투입한 후 120℃, 140℃, 160℃, 200℃에서 각 2시간, 220℃, 240℃에서 각 30분간 열처리하여 폴리벤조옥사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열 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벤조옥사진의 열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측정기(TA Instruments, Q100)를 이용하여 DSC 분석을, 열중량분석기(TA Instruments, Q50)를 이용하여 TGA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DSC 분석은 질소 분위기에서 승온속도 10℃/min 으로 초기 온도 50℃에서 30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열량을 측정하였고, 상기 TGA 분석은 질소 분위기에서 승온속도 10℃/min 으로 초기 온도 25℃에서 80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시료의 무게 손실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를 참조하면,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의 열적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이 3 중량부 첨가된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의 폴리벤조옥사진에 비하여 유리전이온도가 약 47℃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래핀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뭉쳐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유리전이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량 첨가된 그래핀이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고르게 분포하는 그래핀이 고분자 사슬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유리전이온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그래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에 의해 중량손실이 시작되는 온도가 상승되고, 손실되는 질량 역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이 7 중량부 첨가된 실시예 5의 경우 비교예 1의 폴리벤조옥사진에 비하여 열분해온도가 약 70℃정도 상승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그래핀이 폴리벤조옥사진 수지에 고르게 분포되고 있으며,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2. 표면 경도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벤조옥사진의 표면 경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Pencil hardness tester(Yoshimits사, D-221)를 이용하여 ASTM D 3363-74 방법에 따라 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연필경도 > 9H > 9H > 9H < B <B 7H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폴리벤조옥사진의 표면경도는 7H 이고,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이 1 ~ 3 중량부 첨가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표면경도가 9H로 증가하나, 그래핀의 함량이 5 중량부 이상인 경우 표면경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발수 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벤조옥사진의 발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Drop shape analysis system(Kruss GmbH, DSA 100)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방울 접촉각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방울 접촉각의 측정은, 길이 38mm, 지름 0.5mm의 바늘이 장착된 실린지를 이용하여 물방울을 떨어뜨려 이를 촬영하고, 사진 상에서 시료의 표면과 물방울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래핀이 첨가되지 않은 폴리벤조옥사진(비교예 1)의 물방울 접촉각에 비하여, 그래핀이 첨가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의 물방울 접촉각이 증가되며, 특히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을 7 중량부 함유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실시예 5)의 경우 150±1.2°의 높은 물방울 접촉각을 나타내어, 초발수 특성을 지니는 복합체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소수특성을 지니는 그래핀이 복합체에 고르게 분포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래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래핀-폴리벤조옥사이드 복합체의 소수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4. 전기적 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벤조옥사진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Surface resistance tester(SIMCO사, ST-3)를 이용하여 각각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표면저항 (Ω/□)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1.6×107
실시예 3 2.5×105
실시예 4 5.0×104
실시예 5 2.0×10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래 전기전도성을 띄지 않는 폴리벤조옥사진이 그래핀을 함유하는 경우 전기전도특성을 지니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을 1 중량부 함유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실시예 1)의 경우에는 표면저항 측정범위를 벗어난 결과치를 나타냈으나, 벤조옥사진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그래핀을 2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이드 복합체(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 그래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특성 역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수 없고, 이하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벤조옥사진 모노머 및 그래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벤조옥사진 모노머와 그래핀의 혼합비율은 1 : 0.01 ~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175 ~ 210℃ 이고, 열분해온도(Td)가 320 ~ 3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물방울 접촉각이 90 ~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표면저항이 1.0×107 ~ 1.0×104 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는 표면 경도가 연필경도기준 8 ~ 9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7. 벤조옥사진 모노머를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1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을 유기용매에 분산하여 제2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THF, NMP, 포름아마이드, DMF, 글리콜에테르, IPA, PGME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10. 제9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20130086477A 2013-07-23 2013-07-23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KR20150011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77A KR20150011495A (ko) 2013-07-23 2013-07-23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77A KR20150011495A (ko) 2013-07-23 2013-07-23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495A true KR20150011495A (ko) 2015-02-02

Family

ID=5248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477A KR20150011495A (ko) 2013-07-23 2013-07-23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4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4027A (zh) * 2019-10-30 2020-01-03 贵州民族大学 一种具有自修复特性的超疏水b10铜镍合金表面的制备方法
KR20200124356A (ko) 2019-04-23 2020-11-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벤조옥사진 복합체 제조방법 및 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200127767A (ko) * 2019-05-03 2020-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벤즈옥사진기로 개질된 탄소물질 함유 복합체를 이용한 탄소물질 기반 기능성 고분자 섬유의 제조방법
CN113999359A (zh) * 2021-11-08 2022-02-01 山东北理华海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改性苯并噁嗪树脂及其制备方法
CN116231159A (zh) * 2023-05-06 2023-06-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和用电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356A (ko) 2019-04-23 2020-11-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벤조옥사진 복합체 제조방법 및 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200127767A (ko) * 2019-05-03 2020-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벤즈옥사진기로 개질된 탄소물질 함유 복합체를 이용한 탄소물질 기반 기능성 고분자 섬유의 제조방법
CN110644027A (zh) * 2019-10-30 2020-01-03 贵州民族大学 一种具有自修复特性的超疏水b10铜镍合金表面的制备方法
CN113999359A (zh) * 2021-11-08 2022-02-01 山东北理华海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改性苯并噁嗪树脂及其制备方法
CN116231159A (zh) * 2023-05-06 2023-06-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和用电装置
CN116231159B (zh) * 2023-05-06 2023-09-0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和用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805B2 (en) Polyimide-graphen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50011495A (ko) 그래핀-폴리벤조옥사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Luo et al. Conductive shape memory nanocomposites for high speed electrical actuation
EP252060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holly aromatic polyimide powder having an antistatic or conductive property
KR101413237B1 (ko) 고유전 탄성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TWI27947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paper and construction thereof
CN105968393B (zh) 聚酰亚胺与氟化石墨烯氧化物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2453325A (zh) 一种高导热系数聚酰亚胺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8203543B (zh) 石墨烯增强聚酰亚胺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10101347A (ko) 그라펜이 분산된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Yu et al. Conductive properties and mechanism of polyvinyl chloride doped by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pyrrole nano-complex dopant
Fang et al. NH 2-functionalized carbon-coated Fe 3 O 4 core–shell nanoparticles for in situ preparation of robust polyimide composite film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low dielectric loss, and high breakdown strength
KR102198383B1 (ko) 탄소-벤조옥사진 복합체 제조방법 및 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Zhang et al. β-Cyclodextrin toughened polyimide composites toward all-organic dielectric materials
CN103467986A (zh) 有机小分子修饰的纳米碳化钛/聚酰亚胺复合材料
Akhter et al. Enhanc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highly compatible new polyimide/γ-ray irradiated MWCNT nanocomposites
KR102382709B1 (ko) 단분자가 결합된 질화붕소 나노튜브와 이를 이용한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KR101234258B1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그래핀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KR101093056B1 (ko)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그래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504095A (zh) 一种新型高导热导电石墨复合膜的制备方法
Godzierz et al. Design of piez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BiFeO3/epoxy resin with potential application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JP2003213137A (ja)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およびこ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品
KR101329796B1 (ko)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전기 전도성 복합재료용 조성물, 상기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재료
Liu et al. Effects of coupling agents 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imide/Al2O3 nanocomposite films
CN110612322B (zh) 高介电常数和低介电耗散的聚合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