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087A - 와치형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형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087A
KR20150010087A KR1020130084567A KR20130084567A KR20150010087A KR 20150010087 A KR20150010087 A KR 20150010087A KR 1020130084567 A KR1020130084567 A KR 1020130084567A KR 20130084567 A KR20130084567 A KR 20130084567A KR 20150010087 A KR20150010087 A KR 20150010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user
image information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812B1 (ko
Inventor
홍규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812B1/ko
Priority to US14/065,577 priority patent/US20150022438A1/en
Priority to EP13005134.5A priority patent/EP2827226A3/en
Priority to CN201310723728.2A priority patent/CN104298308B/zh
Publication of KR2015001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1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권취하여 고정하는 스트랩; 상기 본체의 기울기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기 설정된 활성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변화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는 별도의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와치형 단말기의 화면이 활성화되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치형 이동단말기{WATCH 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팔이나 손목 등과 같이 인체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간단히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한꺼번에 탑재되어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기도 한다.
전통적인 휴대 단말기의 기구적인 형태는 기기를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를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 등에 넣고 휴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하는 과정에서 분실 또는 낙하 등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를 손목시계처럼 착용하는 예가 제시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몸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위치가 변화한다. 또한, 착용하는 팔의 위치에 따라 와치형 이동단말기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손이 결정되므로, 입력을 수행하는 손에 편리한 입력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히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권취하여 고정하는 스트랩; 상기 본체의 기울기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기 설정된 활성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변화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활성화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중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제스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멈추는 제2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에,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출력되는 화면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이 상기 중력방향에 대해 (+) 방향인 경우 사용자의 오른팔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이 상기 중력방향에 대해 (-) 방향인 경우 사용자의 왼팔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한 기울기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이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오른팔에 착용한 경우 왼손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왼팔에 착용한 경우 오른손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판단하며,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왼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오른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주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왼손모드 화면은 입력버튼, 스크롤 인덱스 및 세부메뉴 진입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오른손모드 화면은 상기 입력버튼, 스크롤 인덱스 및 세부메뉴 진입 버튼, 세부메뉴 진입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위치가 가변 가능한 터치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한 기울기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이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왼팔에 착용한 경우 상기 터치버튼은 오른쪽 측면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오른팔에 착용한 경우 상기 터치버튼을 왼쪽 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이 소정시간 이상 사용각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각도는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30° 이하로 하측방향으로 60° 이하 상측방향으로 10°이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각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 제2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동기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변화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제2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수신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동일한 진동이 동시에 감지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동기화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동기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왼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오른손모드이고,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오른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왼손모드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팔에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상기 스트랩을 따라 이동 시키는 이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중력 반대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왼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왼손모드이고,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오른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오른손모드일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중 중력방향의 반대 방향에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정보는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시에 복수개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며, 상기 복수개의 화면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형 단말기에 따르면, 별도의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와치형 단말기의 화면이 활성화되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감지하여 터치입력을 하는 손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 및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작은 화면으로 인한 시인성의 어려움과 터치입력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를 활성화 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오른팔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왼팔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잠금해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은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스크롤을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사용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와 외부 단말기를 동기화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뭄선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transparen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RFID 의 일종으로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10m이내의 rkRKdns 거리에서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매우 짧은 거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여타 다른 정보를 편리하게 조회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카드 충전이나 출입문 개폐 등에 사용되며, 손쉽게 단말기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시 그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입력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카메라(121), 마이크(122), 버튼(126) 및 터치 센서(12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버튼(126)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여 압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받으며, 터치센서(137)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시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레이어를 구성하여 적층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 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및 입력장치로서 두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전원 공급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 부(140)에는 근접센서(141), 자이로 센서(143) 및 가속도 센서(144)가 포함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자이로 센서(143)은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로서, 3개의 축으로 이루어진 축의 각도 변화를 감지한다. 축을 기준으로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를 수치로 나타내며, 최근에는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소형의 자이로 센서(143)를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속도, 거리,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4)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감지하여 물체의 운동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압전소자에 힘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전하를 검출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압전형 , 도체가 자계 속을 이동하면 그 속도에 비례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을 검출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동전형, 전자의 변화를 전류로 검출하여 가속도를 구하는 서모형 등이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144)나 자이로 센서(143)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바 , 위치센서(143, 144)로 통칭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제1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151)가 외면에 배치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9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90)는 손목이나 팔 등과 같이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트랩(19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체(190)는 탑 케이스와 바텀 케이스를 포함하며, 탑 케이스와 바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종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텀 케이스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케이스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바텀 케이스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를 제거하면, 상기 바텀 케이스의 표면이 노출된다.
본체(190) 케이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26, 126'),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탑 케이스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에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26, 126'),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190)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126)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도면상으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 위치하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버튼(126)외에 터치입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버튼(12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활성화시키는 제스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을 중력방향으로 내리고 있는 상태(A)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하도록 팔을 들어올리(B)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사용하려는 활성화 제스처로 인식하고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활성화한다.
활성화 제스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본체(190)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151)가 측면(z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A)에서 중력방향(x 방향)에 수직한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제스처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중력의 반대방향(-x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멈추는 제2 제스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스처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향하는 측면은 반드시 중력방향(x방향)에 90°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소정 오차범위(예를 들면 중력방향에서 60°이상 120°이하)내에서는 측면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력방향에 수직한 방향(y 방향) 또한 반드시 90°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오차범위(예를 들면 중력방향에서 70°이상 110°이하)내에서는 수직방향(y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활성화의 의미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꺼진 상태에서 켜지게 하여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잠금설정한 상황에서는 활성화되면 비밀번호 입력이나, 패턴입력 화면등 잠금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잠금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꺼지기 전까지 사용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시에 복수개의 화면(1510a, 1510b, 1510c, 1510d)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화면(1510a, 1510b, 1510c, 1510d)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51)가 4개로 분할되어 4개의 화면(1510a, 1510b, 1510c, 1510d)을 제공하는 경우 최근에 사용한 4개 까지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거나, 최근 1주일 내에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에 있는 경우 현재 산에서의 위치와 등산로의 안내 및 산의 고도 등을 안내하거나, 사용자가 시속 6km이상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GPS가 감지하면 조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활성화시 첫 화면에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바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할화면(1510a, 1510b, 1510c, 1510d)은 다단계로 이루어진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은 가속도 센서(144)를 통해 중력방향을 감지하여 중력방향에 화면의 하측이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착용한 팔의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화면이 출력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하도록 팔을 든 상태에서는 팔의 안쪽방향(사용자 측을 향하는 방향)이 화면의 하측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A상태에서 움직인 방향(y축 방향)이 팔의 안쪽방향이 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1) A상태에서 움직인 방향에 화면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꺼진 디스플레이부(151)를 켜기 위해 활성화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오른팔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왼팔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을 중력 방향(x축 방향)으로 내린 상태에서 중력방향에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여 활성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방향이 (+) 방향인 경우 오른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방향이 (-) 방향인 경우 왼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방향은 중력방향(x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 방향은 중력방향(x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팔에 착용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는 왼팔에 착용하느냐 오른팔에 착용하느냐에 따라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손이 달라진다.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왼팔에 착용하면 오른손을 이용하여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작동하고,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왼팔에 착용하는 경우 왼손을 이용하여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작동한다.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화면을 사용하는 손의 방향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왼팔에 착용한 경우 오른손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하고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오른팔에 착용한 경우 왼손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한다.
제1 제스처에서 움직이는 방향 외에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 즉, 제2 제스처가 완료된 상태에서 위치센서(143, 144)가 감지한 본체(190)의 기울기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왼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오른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편안한 자세로 팔을 들면 사용자가 착용한 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체(190)에 상하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의 상하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이 경우 중력방향으로 내리고 있을 때 전면 방향(제2 제스처 완료시 사용자 방향)에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본체(190)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스트랩(198)으로 팔에 고정한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팔은 대부분 중력방향을 향하게 위치하는바, 비활성화 상태에서 중력방향을 향하는 쪽이 주로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우측이면 왼팔에 착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좌측이면 오른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왼손모드와 오른손모드의 차이는 입력버튼(1513a, 1513b), 스크롤 인덱스(1512a, 1512b), 세부메뉴 진입 버튼(1514a, 1514b)과 같은 터치 입력부가 어느 쪽에 위치하느냐 차이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방향(1511a, 1511b)도 왼손모드와 오른손 모드에 차이가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왼손모드와 오른손모드의 화면 구성의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잠금해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에 출력되는 화면을 슬라이드하여 특정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오른손모드의 화면에서는 도 5a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1511a) 하여 화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반대로 왼손모드 화면에서는 도 5b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드(1511b) 하여 화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은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스크롤을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화면을 보기 위해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화면으로 빨리 이동하기 위해 스크롤 인덱스(1512a, 1512b)가 제공될 수 있다.
주소록과 같이 긴 리스트로 이루어지고, 화면을 순차적으로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스크롤 인덱스(1512a, 1512b)를 터치하여 특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오른손모드에서는 도 6a와 같이 스크롤 인덱스(1512a)가 오른쪽에 위치해야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 인덱스(1512a)를 이용할 수 있으며, 왼손모드에서는 도 6b와 같이 스크롤 인덱스(1512b)가 왼쪽에 위치해야 사용자가 왼손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 인덱스(1512b)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버튼(1513a, 1513b))을 많이 이용하므로, 도 7a와 같이 오른손모드에서는 오른쪽에 입력버튼(1513a)을 위치시키고, 도 7b와 같이 왼손모드에서는 왼쪽에 입력버튼(1513b)을 위치시킨다. 도면 상으로는 입력버튼(1513a, 1513b)만 오른쪽과 왼쪽이 바뀐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자주 사용하는 버튼은 왼손모드에서는 가능한 왼쪽에 오른손 모드에서는 가능한 오른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정화면과 같이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메뉴에 진입을 위해서 하부메뉴 진입을 위한 버튼(1514a, 1514b)은 도 8a와 같이 오른손모드는 오른쪽(1514a)에 위치하고, 도 8b와 같이 왼손모드는 왼쪽(1514b)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왼손모드와 오른손모드에서 하부메뉴 진입버튼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하부메뉴 진입 버튼을 누르면서 화면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면에 제공되는 UI 뿐만 아니라 본체(190) 측면에 배치되는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터치버튼(126')의 위치도 오른손모드와 왼손모드에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왼손에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시에는 오른쪽에 터치버튼(126')을 위치시키고, 오른손에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시에는 왼쪽에 터치버튼(126')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사용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화면을 더 이상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시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보고 있을 때에는 어느 정도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내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사용각도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30°이하의 각도, 그리고 하측방향으로 60°이하 상측방향으로 10°이하의 각도로 사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각도 내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보고 있다고 판단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사용각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디스플레이부(151)를 보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는 바, 디스프레이부(151)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외부 단말기(200)를 동기화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접한 2개의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크기에 제약이 따르는 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를 일정 수준 이상 키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이 작아 글자의 크기가 작거나 한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량이 작으며,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작아 터치 입력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키패드와 같이 작은 크기의 버튼이 여러 개가 필요한 경우에는 더욱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보다 큰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한 외부 단말기(200)가 있는 경우,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하여 외부 단말기(200)를 이용해 제2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외부 단말기(200)의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외부 단말기(200)는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바로 동기화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만, 근접한 외부 단말기(200)와 의도와 상관없이 동기화되지 않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200)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부딪쳐 동시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진동을 가하는 제스처를 동기화 제스처로 할 수 있으며, 동기화 제스처가 감지될 때에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외부 단말기(200)을 동기화한다.
위치센서(143, 144)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외부 단말기(200)에 동일한 형태의 진동이 감지하고 두 개의 단말기(100, 200) 사이의 거리가 동기화 거리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동기화 패턴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한다.
동기화 거리는 부딪쳐 진동을 일으키는 거리이므로 매우 짧은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하여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 설정을 통해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외부 단말기(200)에 제2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200)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터치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입력되는 터치신호 모두 입력신호로 인식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를 한다.
도 11은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착용한 팔과 외부 단말기(200)를 든 손이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상으로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왼손에 착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은 오른손모드의 화면이고,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51) 출력되는 화면은 왼손모드의 화면이다. 오른손에 외부 단말기(200)를 파지하는 경우 왼손으로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51)를 터치하여 터치신호를 입력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반대로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착용한 팔과 외부 단말기(200)를 든 손이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상으로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왼손에 착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은 오른손모드의 화면이고,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되는 화면은 오른손모드의 화면이다. 왼손에 외부 단말기(200)를 파지하는 경우 오른손으로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여 터치신호를 입력한다.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착용한 팔과 외부 단말기(200)를 든 손이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와치형 이동단말기(100)를 착용한 방향의 손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200)를 들기 때문에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도 12a와 같이 중력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중력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도 12b와 같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본체(190)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190)가 상측을 향하도록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스트랩(198)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팔에서 상기 본체(190) 케이스의 위치를 상기 스트랩(198)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본체(19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의 내측방향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중력 반대방향을 향하게 된다.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와 외부 단말기(200)에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으나, 도 11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통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2 영상정보를 전달한다.
즉, 복수개의 진입단계로 구성된 메뉴화면에서,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위 메뉴가 표시되고,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하위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스트랩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도 12b의 본체(190)와 스트랩(198)에 대응된다.
이 경우 물리적으로 와치형 이동단말기(100')가 이동할 필요 없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만 변화하도록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는바, 외부 단말기(200)와 동기화 상태에서는, 중력방향의 반대 방향에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와치형 이동단말기(100)의 화면이 활성화되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감지하여 터치입력을 하는 손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 및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작은 화면으로 인한 시인성의 어려움과 터치입력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와치형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전원 공급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본체 198: 스트랩
200: 외부 단말기

Claims (21)

  1. 제1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권취하여 고정하는 스트랩;
    상기 본체의 기울기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기 설정된 활성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변화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중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제스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멈추는 제2 제스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에,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출력되는 화면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이 상기 중력방향에 대해 (+) 방향인 경우 사용자의 오른팔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스처의 방향이 상기 중력방향에 대해 (-) 방향인 경우 사용자의 왼팔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한 기울기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이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오른팔에 착용한 경우 왼손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왼팔에 착용한 경우 오른손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판단하며,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왼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오른팔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주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팔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왼손모드 화면은
    입력버튼, 스크롤 인덱스 및 세부메뉴 진입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오른손모드 화면은
    상기 입력버튼, 스크롤 인덱스 및 세부메뉴 진입 버튼, 세부메뉴 진입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위치가 가변 가능한 터치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한 기울기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용한 팔이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왼팔에 착용한 경우 상기 터치버튼은 오른쪽 측면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오른팔에 착용한 경우 상기 터치버튼을 왼쪽 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이 소정시간 이상 사용각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각도는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30° 이하로 하측방향으로 60° 이하 상측방향으로 10°이하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는
    각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에 제2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동기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변화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제2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수신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동일한 진동이 동시에 감지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이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와 상기 외부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동기화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동기화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왼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오른손모드이고,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오른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왼손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팔에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상기 스트랩을 따라 이동 시키는 이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중력 반대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왼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왼손모드이고,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오른손모드이면,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오른손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상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중 중력방향의 반대 방향에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정보는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영상정보는 상기 와치형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시에 복수개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며,
    상기 복수개의 화면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형 이동단말기.
KR1020130084567A 2013-07-18 2013-07-18 와치형 이동단말기 KR10217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567A KR102179812B1 (ko) 2013-07-18 2013-07-18 와치형 이동단말기
US14/065,577 US20150022438A1 (en) 2013-07-18 2013-10-29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005134.5A EP2827226A3 (en) 2013-07-18 2013-10-29 Watch type mobile terminal
CN201310723728.2A CN104298308B (zh) 2013-07-18 2013-12-24 手表式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567A KR102179812B1 (ko) 2013-07-18 2013-07-18 와치형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87A true KR20150010087A (ko) 2015-01-28
KR102179812B1 KR102179812B1 (ko) 2020-11-17

Family

ID=4951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567A KR102179812B1 (ko) 2013-07-18 2013-07-18 와치형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22438A1 (ko)
EP (1) EP2827226A3 (ko)
KR (1) KR102179812B1 (ko)
CN (1) CN104298308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29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WO2017052163A1 (ko) * 2015-09-21 2017-03-30 김학충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제어방법 및 해당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
KR20170059235A (ko) * 2015-11-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122857A1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9134A (ko) * 2015-09-16 2018-04-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수화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KR20190024297A (ko) * 2017-08-31 2019-03-08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US10380864B2 (en) 2014-08-20 2019-08-13 Finewell Co., Ltd. Watching system, watching detection device, and watching notification device
US10506343B2 (en) 2012-06-29 2019-12-10 Finewell Co., Ltd. Earphone having vibration conductor which conducts vibration, and stereo earphone including the same
US10778824B2 (en) 2016-01-19 2020-09-15 Finewell Co., Ltd. Pen-type handset
US10779075B2 (en) 2010-12-27 2020-09-15 Finewell Co., Ltd. Incoming/outgoing-talk unit and incoming-talk unit
US10778823B2 (en) 2012-01-20 2020-09-15 Finewell Co., Ltd. Mobile telephone and cartilage-conduction vibration source device
US10848607B2 (en) 2014-12-18 2020-11-24 Finewell Co., Ltd. Cycling hearing device and bicycle system
US10967521B2 (en) 2015-07-15 2021-04-06 Finewell Co., Ltd. Robot and robot system
US11526033B2 (en) 2018-09-28 2022-12-13 Finewell Co., Ltd. Hearing device
WO2024085382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4941B2 (en) 2012-10-04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WO2015033153A2 (en) 2013-09-04 2015-03-12 Zero360, Inc.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4580663A (zh) * 2013-10-17 2015-04-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信息推送装置、穿戴式设备及其方法
US11704016B2 (en) * 2013-12-04 2023-07-18 Autodesk, Inc. Techniques for interacting with handheld devices
TWI521382B (zh) * 2013-12-06 2016-02-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裝置之控制方法
CN103677131B (zh) * 2013-12-11 2017-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穿戴式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US9513665B2 (en) * 2013-12-26 2016-12-06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rmable display unit
JP2015141293A (ja) * 2014-01-28 2015-08-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デバイス
JP2015176186A (ja) * 2014-03-13 201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374584B1 (ko) * 2014-03-21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08115B1 (ko) * 2014-03-27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2976A (ko) * 2014-04-24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U2015279544B2 (en) 2014-06-27 2018-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US10037742B2 (en) * 2014-07-18 2018-07-31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ealth data and medium
US10135905B2 (en) 2014-07-21 2018-11-20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9986086B2 (en)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30042141A (ko) * 2014-08-02 2023-03-27 애플 인크. 상황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EP4050467A1 (en)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9547419B2 (en) *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JP2017527033A (ja) 2014-09-02 2017-09-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入力を受信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US9952675B2 (en) 2014-09-23 2018-04-24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display visibility changes responsive to user gestures
CN105511750B (zh) * 2014-09-26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08595002B (zh) * 2014-12-31 2021-03-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353350B1 (ko) * 2015-01-15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239091A1 (en) * 2015-02-12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KR101927323B1 (ko) 2015-04-03 201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155297B (zh) 2015-04-20 2019-06-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解锁方法和设备
US10466861B2 (en) * 2015-04-21 2019-11-05 Apple Inc. Adaptive user interfaces
US20160342327A1 (en) * 2015-05-22 2016-11-24 Lg Electronics Inc.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2394202B1 (ko) * 2015-05-29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간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069785B2 (en) * 2015-06-05 2018-09-04 Apple Inc. Network messaging for paired devices
US9680840B2 (en) * 2015-07-07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ssword protected device unlock based on motion signature and proximity
US20170010695A1 (en) * 2015-07-09 2017-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multi-touch input detection
US10289239B2 (en) 2015-07-09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multi-touch input detection
KR101688167B1 (ko) * 2015-07-29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112A (ko) *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2746B1 (ko) * 2015-08-11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382927B2 (en) * 2015-08-2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xt input for wearable devices
CN105068740A (zh) * 2015-08-26 2015-11-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页面切换的方法及智能手表
CN105138267B (zh) * 2015-08-26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解锁方法及终端
US20180253064A1 (en) * 2015-09-24 2018-09-06 Nec Corporation Arm-wor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973621B2 (en) * 2015-11-23 2018-05-15 Google Llc Cross-device security scheme for tethered devices
CN108292167B (zh) * 2015-11-30 2021-08-03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5467823A (zh) * 2015-12-14 2016-04-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的显示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JP2017126980A (ja) * 2016-01-08 2017-07-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8700958B (zh) 2016-03-01 2021-08-10 麦克赛尔株式会社 可穿戴信息终端
CN107203261B (zh) 2016-03-16 2022-05-24 Lg电子株式会社 手表型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025399B2 (en) 2016-03-16 2018-07-17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265880A4 (en) * 2016-04-27 2019-02-27 Andrey Abramov HYBRID INTELLIGENT CLOCK WITH SEVERAL TIME SOURCES, MULTIPLE POWER SOURCES AND SEVERAL TIME DISPLAY MERCHANISMS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203781B2 (en) * 2016-06-24 2019-0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grated free space and surface input device
CN106228050A (zh) * 2016-07-28 2016-12-14 南京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终端操控方法、终端操控装置和终端
US20180041859A1 (en) * 2016-08-05 2018-02-08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Wearable NFC Device For Secure Data Interaction
US10324538B2 (en) * 2016-08-30 2019-06-18 Garmin Switzerland Gmbh Dynamic watch user interface
US11218586B2 (en) 2016-09-09 2022-01-04 Honor Devic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CN106778153A (zh) * 2016-11-17 2017-05-3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指纹比对方法、指纹解锁设备、穿戴设备及系统
CN106933425B (zh) * 2017-04-26 2021-01-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误触的方法和装置
CN110622105B (zh) * 2017-05-09 2022-06-07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设备上下文执行至少一个操作的方法和装置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EP3612916B1 (en) * 2017-09-05 2022-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ing data items on a computing device
CN108052203A (zh) * 2017-12-12 2018-05-18 深圳金康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环屏幕方向的自动调整系统
US11029834B2 (en) * 2017-12-20 2021-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biometric feedback to allow users to scroll content into a viewable display area
CN108536294B (zh) * 2018-03-30 2021-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随身设备交互调控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CN108961489A (zh) * 2018-05-30 2018-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穿戴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82651B2 (en) * 2018-06-03 2020-09-22 Apple Inc. Image capture to provide advanced features for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CN110139218B (zh) * 2018-09-29 2021-06-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可穿戴设备的追踪方法及可穿戴设备
CN109799912B (zh) * 2019-02-25 2022-08-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340778B2 (en) 2019-05-06 2022-05-24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0852905B1 (en) 2019-09-09 2020-12-0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733789B1 (en) * 2019-09-30 2023-08-22 Snap Inc. Selectively activating a handheld device to control a user interface displayed by a wearable device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N115552375A (zh) 2020-05-11 2022-12-3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JP2022052778A (ja) * 2020-09-24 2022-04-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346560A (zh) * 2020-09-29 2021-02-09 广东乐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环控制应用界面的方法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CN112711334A (zh) * 2021-01-15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747879B1 (en) * 2021-05-28 2023-09-0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wearable device based on a position of a por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0211A1 (en) * 2005-05-11 2006-11-16 Eurotech Spa Energy sav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80102516A (ko) * 2007-05-21 2008-11-26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레이더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100012665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JP2011232806A (ja) * 2010-04-23 2011-11-17 Seiko Epson Corp 携帯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931A (en) * 1994-07-07 1997-03-18 Casio Computer Co., Ltd.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US7881749B2 (en) * 2006-09-28 2011-0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onent activation based on sensed motion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8112281B2 (en) * 2007-12-19 2012-02-07 Enbiomedic Accelerometer-based control of wearable audio recorders
US8344998B2 (en) * 2008-02-01 2013-01-01 Wimm Labs, In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20100079508A1 (en) *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20100167646A1 (en) * 2008-12-30 2010-07-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pairing
KR101605331B1 (ko) * 2009-08-26 201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138B1 (ko) * 2009-08-27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554076B (zh) * 2009-09-04 2016-10-11 普露諾洛股份有限公司 遠距離的電話管理器
US8489150B2 (en) * 2010-09-13 2013-07-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9155168B2 (en) * 2010-12-03 2015-10-06 Surefire, Llc Wearable lighting device
WO2013032187A1 (en) * 2011-09-01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unlock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101915985B1 (ko) * 2011-11-16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56511B2 (en) * 2012-01-03 2014-06-17 Lg Electronics Inc. Gesture based unlocking of a mobile terminal
US9189062B2 (en) * 2012-03-07 2015-1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based on user motion
US8933877B2 (en) * 2012-03-23 2015-01-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prevention of false gesture trigger input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80595A1 (en) * 2012-12-26 2014-06-26 Fitbit, Inc. Device state dependent user interface management
US11372536B2 (en) *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43731A1 (en) * 2012-11-21 2014-05-22 Harald NEUMAERKER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arching items relating to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arch key
CN103064597A (zh) * 2012-12-28 2013-04-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控制系统及显示控制方法
CN103065434A (zh) * 2013-01-18 2013-04-24 深圳市名宗科技有限公司 一种手表追踪器
US9442570B2 (en) * 2013-03-13 2016-09-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recognition
KR102171444B1 (ko) *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KR102163915B1 (ko) * 2013-09-02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0211A1 (en) * 2005-05-11 2006-11-16 Eurotech Spa Energy sav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80102516A (ko) * 2007-05-21 2008-11-26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레이더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100012665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JP2011232806A (ja) * 2010-04-23 2011-11-17 Seiko Epson Corp 携帯情報端末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9075B2 (en) 2010-12-27 2020-09-15 Finewell Co., Ltd. Incoming/outgoing-talk unit and incoming-talk unit
US10778823B2 (en) 2012-01-20 2020-09-15 Finewell Co., Ltd. Mobile telephone and cartilage-conduction vibration source device
US10834506B2 (en) 2012-06-29 2020-11-10 Finewell Co., Ltd. Stereo earphone
US10506343B2 (en) 2012-06-29 2019-12-10 Finewell Co., Ltd. Earphone having vibration conductor which conducts vibration, and stereo earphone including the same
US10380864B2 (en) 2014-08-20 2019-08-13 Finewell Co., Ltd. Watching system, watching detection device, and watching notification device
US11601538B2 (en) 2014-12-18 2023-03-07 Finewell Co., Ltd. Headset having right- and left-ear sound output units with through-holes formed therein
US10848607B2 (en) 2014-12-18 2020-11-24 Finewell Co., Ltd. Cycling hearing device and bicycle system
US10967521B2 (en) 2015-07-15 2021-04-06 Finewell Co., Ltd. Robot and robot system
WO2017030229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US10606374B2 (en) 2015-08-19 2020-03-31 Lg Electronics Inc. Watch-type mobile terminal
KR20180039134A (ko) * 2015-09-16 2018-04-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수화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US10795321B2 (en) 2015-09-16 2020-10-06 Finewell Co., Ltd. Wrist watch with hearing function
WO2017052163A1 (ko) * 2015-09-21 2017-03-30 김학충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제어방법 및 해당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
KR20170059235A (ko) * 2015-11-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122857A1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78824B2 (en) 2016-01-19 2020-09-15 Finewell Co., Ltd. Pen-type handset
KR20190024297A (ko) * 2017-08-31 2019-03-08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US11526033B2 (en) 2018-09-28 2022-12-13 Finewell Co., Ltd. Hearing device
WO2024085382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7226A2 (en) 2015-01-21
EP2827226A3 (en) 2015-04-08
CN104298308A (zh) 2015-01-21
KR102179812B1 (ko) 2020-11-17
CN104298308B (zh) 2018-02-09
US20150022438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812B1 (ko) 와치형 이동단말기
US10362438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CN105323378B (zh) 移动终端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949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TWI677814B (zh) 可穿戴式手錶及其顯示方法
US20060044265A1 (en) HMD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02643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20130120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99581A1 (ja) 携帯電子機器
US20150253873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10409531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161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033310A (ko) 이동 단말기
KR101560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50131577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10442295A (zh) 可穿戴设备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66827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1518A (ko) 손목 스탭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1325083B (zh) 记录考勤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288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021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47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496828A (zh) 地层倾角参数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