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976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976A
KR20150122976A KR1020140049195A KR20140049195A KR20150122976A KR 20150122976 A KR20150122976 A KR 20150122976A KR 1020140049195 A KR1020140049195 A KR 1020140049195A KR 20140049195 A KR20140049195 A KR 20140049195A KR 20150122976 A KR20150122976 A KR 2015012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ternal device
displayed
touch inpu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화
김지환
이도영
조은형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976A/ko
Priority to US14/331,738 priority patent/US20150310788A1/en
Priority to PCT/KR2014/006643 priority patent/WO2015163536A1/en
Publication of KR2015012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입력 상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wear)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상태이고,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하되,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executing level)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임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옷이나 시계, 안경, 액세서리처럼 자연스럽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의 접근 및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어 다니거나 손에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만, 몸에 늘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 상, 그 크기나 작거나 무게가 가벼워야 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크기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도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컨텐츠를 보거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휴대성 및 접근성이 약하지만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페어링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미러링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복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불과하여, 두 디바이스를 모두 이용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다양한 실행 레벨로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에 따라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가 제공 중인 컨텐츠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텍트된 터치 입력이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로서 컨텐츠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로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입력 상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wear)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상태이고,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하되,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executing level)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임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므로, 동일한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을 결정하므로, 컨텐츠에 대한 유저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므로, 유저로 하여금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포함된 상위 컨텐츠 및/또는 이웃하는 다른 컨텐츠들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유저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터치 입력의 입력 상태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6a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 및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 및 도 6b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디바이스 및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컨텐츠로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퍼블릭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컨텐츠의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외부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 HMD, HUD, 스마트 렌즈 및 스마트 링 등 유저의 몸에 착용 가능하며,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 수행이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외부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와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1010),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 디스플레이 유닛(1030), 스토리지 유닛(1040) 및 프로세서(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유닛(10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한 결과를 프로세서(10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센서 유닛(101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10)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유저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0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0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0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030)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10)은 디스플레이 유닛(1030)과 하나로 통합되거나, 복수의 레이어층을 이루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10)은 슬라이딩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센서 유닛(1010)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또한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10)은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결과를 프로세서(1050)에 전달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외부 디바이스와 인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체 통신이란, 유저의 신체를 통신 매개체로 한 통신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적어도 하나의 인체 통신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50)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50)는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05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상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프로세서(10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유저의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비디오, 컨텐츠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특정 실행 레벨로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리지 유닛(1040)은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토리지 유닛(1040)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컨텐츠 정보 등의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040)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정보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컨텐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050)는 센서 유닛(10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50)는 디텍트한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상태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디텍트된 제 1 입력 상태 및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미착용된 상태로 디텍트된 제 2 입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상태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이용하여 디텍트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복수의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10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050)는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상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이용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10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미러링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실행 레벨의 컨텐츠들이 복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보다 효율적으로 복수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유저는 각 실행 레벨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입력의 센싱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센싱된 유저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105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5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2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스마트폰, 외부 디바이스(2020)는 스마트 와치일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페어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와 외부 디바이스(2020)간의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와 외부 디바이스(2020)는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일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 및 외부 디바이스(2020)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NFC, 인체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20)들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20)들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페어링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페어링 설정 입력에 의해 특정 외부 디바이스(202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0)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2020)를 디텍트한 경우, 해당 외부 디바이스(202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터치 입력의 입력 상태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상태를 추가로 디텍트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상태는 외부 디바이스(3010)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디텍트되는 제 1 입력 상태 및 외부 디바이스(3010)가 유저의 신체에 미착용된 상태로 디텍트되는 제 2 입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3010)는 유저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가 착용된 유저의 손에 의한 터치 입력(3030-1)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해당 터치 입력(3030-1)을 제 1 입력 상태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가 착용되지 않은 유저의 손에 의한 터치 입력(3030-2)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해당 터치 입력(3030-2)을 제 2 입력 상태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디텍트한 터치 입력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301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외부 디바이스(30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3010)의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외부 디바이스(3010)에 외부 디바이스(3010)의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3010)는 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응답 정보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3010)는 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착용 센서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센서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3010)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센서 유닛은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센서, 온도 센서, 생체 신호 센서, 모션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이러한 착용 센서 유닛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응답 정보로서 수신하고, 수신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3010)의 착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의 신체 접촉에 따라, 미세 전류가 유저의 신체에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이러한 미세 전류의 변화를 디텍트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3010)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로부터 흐르는 미세 전류를 디텍트한 외부 디바이스(3010)가 미세 전류의 디텍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로 송신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가 외부 디바이스(3010)의 착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20)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외부 디바이스(3010)의 착용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40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1)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외부 디바이스(4020)가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중인지 디텍트할 수 있다.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란, 복수의 단계로서 실행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사진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해당 사진은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진에 대한 상세 정보는 사진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로 볼 수 있다. 또는, 폴더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해당 폴더는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로 볼 수 있다. 또한,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폴더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컨텐츠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가 외부 디바이스(4020)에 디스플레이 중임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외부 디바이스(4020)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인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 디바이스(4020)가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중임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해당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인지를 추가로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실행 레벨이란, 적어도 하나의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이 존재하는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여기서 제 1 실행 레벨은 제 2 실행 레벨에 대한 상위 실행 레벨, 제 2 실행 레벨은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1 실행 레벨의 컨텐츠는 제 2 실행 레벨의 컨텐츠에 대한 상위 컨텐츠, 제 2 실행 레벨의 컨텐츠는 제 1 실행 레벨의 컨텐츠에 대한 하위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를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40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4020)가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컨텐츠를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2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40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4020)로부터 제 2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컨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디바이스(4020)로부터 제 2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외부 디바이스(4020)의 컨텐츠를 단순히 미러링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4020)가 제공 중인 컨텐츠를 다른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복수의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각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하여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는 실행 레벨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4b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1)이 디텍트된 경우 외부 디바이스(402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달리,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기설정된 실행 레벨로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실행 레벨은 실행되는 컨텐츠의 종류, 제조사의 제조 과정, 디바이스의 설계 방법, 유저 등에 의해 다양한 레벨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의 위치를 디텍트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을 제 1 지점에서 디텍트한 경우,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점은 제 1 컨텐츠의 실행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10)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디텍트한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4030-2)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될 컨텐츠가 결정되면, 해당 컨텐츠는 기설정된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a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 및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b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디바이스 및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실행 레벨을 갖는 컨텐츠의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폴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외부 디바이스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로서 폴더(5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이러한 제 1 컨텐츠(5010)에 대응하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컨텐츠(5020)는, 제 1 컨텐츠(5010)에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제 1 컨텐츠(5010)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제 1 컨텐츠(50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컨텐츠(502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컨텐츠(5020-1)는 특정 컨텐츠(5020)와 대응되는 “컨텐츠 실행 아이콘” (5020-1)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컨텐츠(5010)에 포함된 컨텐츠 실행 아이콘(5020-1)에 대응하는 컨텐츠(5020)가 제 2 컨텐츠(50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5010)가 D 폴더이고, D 폴더 안에 뮤직 폴더 실행 아이콘(5020-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2 컨텐츠(5020)는 뮤직 폴더 실행 아이콘(5020-1)에 대응하는 뮤직 폴더(5020)일 수 있다.
만일, 제 1 컨텐츠(5010)에 포함된 서브 컨텐츠(5020-1)가 복수개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서브 컨텐츠(5020-1)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컨텐츠(5020-1)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선택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서브 컨텐츠(들)(5020-1)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들)(502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컨텐츠(5020)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제 2 컨텐츠(들)(5020)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가 D 폴더(5010)를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D 폴더(5010)에는 서브 컨텐츠로서 뮤직 폴더 실행 아이콘(5020-1), 문서 폴더 실행 아이콘, 휴지통 폴더 실행 아이콘 및 메모장 폴더 실행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도 5a 참조).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뮤직 폴더 실행 아이콘(5020-1)을 터치하는 유저의 선택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선택된 뮤직 폴더 실행 아이콘(5020-1)에 대응하는 뮤직 폴더(502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여, 상술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된 뮤직 폴더(5020)를 제 2 컨텐츠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5010)가 포함된 컨텐츠 그룹(5030)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컨텐츠(5030)는 제 1 컨텐츠(5010)에 대응하는 서브 컨텐츠(5010-1)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그룹(5030)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컨텐츠(5010)가 폴더인 경우, 제 2 컨텐츠(5030)는 제 1 컨텐츠(폴더)(5010)에 대응하는 폴더 실행 아이콘(5010-1)을 서브 컨텐츠로서 포함하고 있는 상위 폴더(50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가 D 폴더(5010)인 경우, 제 2 컨텐츠(5030)는 서브 컨텐츠로서 D 폴더 실행 아이콘(5010-1)을 포함하고 있는 C 드라이브 폴더(5030)일 수 있다. 여기서 D 폴더 실행 아이콘(5010-1)은 D 폴더(5010)에 대응하는 컨텐츠 실행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외부 디바이스에 D 폴더(5010)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C 드라이브 폴더(5030)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C 드라이브 폴더(5030)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5050)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로서 D 폴더(501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40)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로서 D 폴더 실행 아이콘(5010-1)이 포함된 C 드라이브 폴더(5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폴더에 대한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 또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용인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a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 및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b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디바이스 및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로서 이미지(6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6010)란, 유저의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비디오, 컨텐츠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이러한 제 1 컨텐츠(6010)에 대응하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6010)에 대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 (6020)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제 1 컨텐츠(6010)에 대한 제 2 컨텐츠로서, 제 1 컨텐츠(6010)를 편집할 수 있는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60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6010)가 사진인 경우, 제 2 컨텐츠는 해당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사진 편집 인터페이스(6020)일 수 있다(도 6a 참조).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외부 디바이스가 이미지(6010)를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이미지(6010)에 대한 편집 인터페이스(6020)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이미지 편집 인터페이스(6020)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이미지 편집 인터페이스(6020)가 스토리지 유닛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이미지(6010)만 수신하여, 수신한 이미지(6010)에 대한 이미지 편집 인터페이스(6020)를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외부 디바이스의 작은 화면 대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큰 화면을 통해 이미지(6010)를 편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고, 섬세하게 이미지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6010)가 포함된 컨텐츠 그룹(6030)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6010)에 대응하는 서브 컨텐츠(6010-1)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그룹(6030)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컨텐츠가 이미지(6010)인 경우, 제 2 컨텐츠(6030)는 제 1 컨텐츠(6010)에 대응하는 이미지 썸네일(6010-1)을 서브 컨텐츠로서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 그룹(60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가 사진(6010)인 경우, 제 2 컨텐츠는 해당 사진에 대응하는 사진 썸네일(6010-1)을 포함하고 있는 사진 그룹(6030)일 수 있다(도 6a 참조). 따라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외부 디바이스에 이미지(6010)가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해당 이미지(6010)의 썸네일(6010-1)이 포함된 이미지 그룹(6030)을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이미지 그룹(6030)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6050)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로서 사진(6010)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40)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로서 해당 사진의 썸네일(6010-1)이 포함된 사진 그룹(60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에 대한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 또는 제 2 실행 레벨의 제 2 컨텐츠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용인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컨텐츠로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상술한 점을 고려해볼 때, 외부 디바이스(7070)는 제 1 실행 레벨의 제 1 컨텐츠로서 동영상(70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는 제 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로서, 해당 동영상(7030)에 대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이러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영상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유저는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동영상(7030)을 제 2 동영상(7020)으로 삽입하는 동영상 삽입 작업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외부 디바이스(7070)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동영상(7030)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동영상(7020)에 삽입하는 편집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외부 디바이스(7070)에 제 1 동영상(7030)이 디스플레이 중이고, 제 1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는 제 1 동영상(7030)에 대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에 대하여 제 1 동영상(7030)의 삽입 대상인 제 2 동영상(7020)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동영상(70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7070)에 저장되어 있던 동영상으로 외부 디바이스(707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선택 입력에 따라 제 2 동영상(702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는 타임 라인 인터페이스(7050)와 함께 제 2 동영상(70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라인 인터페이스(7050)는 제 2 동영상(7020)의 재생 시퀀스를 시간 단위로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유저는 이러한 제 2 동영상(7020)의 재생 시퀀스에 편집 영역(7060)을 설정하는 설정 입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타임 라인 인터페이스(7050)에 대한 드래그 입력으로서 타임 라인 인터페이스(7050)의 편집 구간(706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구간(7060)이 설정되면, 외부 디바이스(707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동영상(7030)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7070)로부터 제 1 동영상(7030)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는, 제 1 동영상(7030)을 미리 지정된 제 2 동영상(7020)의 편집 구간(7060)에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동영상 중간에 제 2 동영상을 삽입한 제 3 동영상(704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듯, 유저는 간단한 터치 입력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7070)가 제공 중인 제 1 컨텐츠(703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가 제공중인 제 2 컨텐츠(7020)에 간단히 삽입함으로써 손쉬운 편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비록, 외부 디바이스(7070)가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동영상(7030)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가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동영상(7020)에 삽입하는 실시예에 관하여만 상술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방식을 통해 유저는 다양한 제 1 컨텐츠를 제 2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제 1 폴더를 디스플레이 중인 외부 디바이스(7070)를 착용한 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폴더를 터치하는 경우, 제 1 폴더를 제 2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유저는 문서 파일을 디스플레이 중인 외부 디바이스(7070)를 착용한 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10)가 디스플레이 중인 메일 작성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경우, 해당 문서 파일은 현재 작성 중인 메일에 첨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퍼블릭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프라이빗 디스플레이 또는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빗 디스플레이는 개인이 개인적인 사용 용도를 가지고 사용하는 폐쇄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는 퍼블릭 스페이스(예를 들어, 길거리, 지하철, 버스 정류장,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유저는, 프라이빗 디스플레이를 소지하지 않고 있거나, 프라이빗 디스플레이의 화면보다 더 큰 화면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를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20)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저는 제 1 컨텐츠(8030-1)를 디스플레이 중인 외부 디바이스(8010)를 착용한 상태로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를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는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결과,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는 외부 디바이스로(8010)부터 제 2 컨텐츠(8030-2)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컨텐츠(80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퍼블릭 디스플레이(8020)가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하고, 제 2 컨텐츠(8030-2)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앞서 상술한 내용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컨텐츠의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9020)는 페어링되어 있는 상대 디바이스의 컨텐츠 전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는 외부 디바이스(9020)의 컨텐츠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디바이스(90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의 컨텐츠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9020)가 제 1 컨텐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가 제 1 컨텐츠에 대한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전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컨텐츠 전환 입력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등 다양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을 컨텐츠 전환 입력으로서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와이프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는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컨텐츠를 제 2 컨텐츠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의 컨텐츠인 제 3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는 컨텐츠 전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902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 디바이스(9020)로부터 제 3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가 제 2 컨텐츠를 제 3 컨텐츠로 전환함과 동시에, 외부 디바이스(9020)는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컨텐츠를 제 2 컨텐츠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가 컨텐츠 전환 입력을 디텍트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으나, 외부 디바이스(9020)가 컨텐츠 전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 역시, 컨텐츠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컨텐츠 전환 입력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10) 및 외부 디바이스(9020)에 대하여 컨텐츠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는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유저는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될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다양한 실시예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10020)은 영역을 구획하는 연속적인 터치 입력(10010-1, 10010-2)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적인 터치 입력(10010-1, 10010-2)은 첫 터치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이동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10010-1, 10010-2)은 크게 디스플레이 영역을 직접 구획하는 입력(10010-1) 및 간적접으로 구획하는 입력(10010-2)으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10010-1)을 통하여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10020)을 특정 도형 형태(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로 직접 구획할 수 있다. 이때, 구획된 영역(10020)은 폐쇄된 영역으로서, 일정한 너비 및 높이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10020)을 구획하는 터치 입력(10010-1)은 첫 터치 지점과 마지막 터치 지점이 일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10020)을 간접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대각선 방향의 직선을 구획(10010-2)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해당 직선을 대각선으로 갖는 직사각형 영역(10020)을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유저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직선을 구획(10010-2)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해당 직선을 너비 또는 높이로 갖는 직사각형 영역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영역(100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직선의 방향, 각도, 및 길이 등에 기초하여 원, 삼각형, 마름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서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10020)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10020)은, 영역(10020)의 위치(10030)를 지정하는 롱-프레스 터치 입력(10010-3)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롱-프레스 터치 입력(10010-3)은 동일한 위치(10030)에 대한 터치를 기설정된 시간(t) 이상 유지하는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롱-프레스 터치 입력(10010-3)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롱-프레스 터치 입력(10010-3)이 디텍트된 지점(10030)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크기 및 형태의 영역(10020)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10010-3)한 뒤, 해당 터치(10010-3)를 t초 동안 유지할 수 있다. t초 동안 유지된 터치 입력(10010-3)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10010-3)이 디텍트된 지점(10030)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영역(1002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10020)은 크기 및/또는 형태가 미리 설정된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조사의 제조 방법, 디바이스의 사용 목적, 설계 방식, 유저의 설정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컨텐츠(1005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10020)이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해당 영역(10020)에 대한 제 1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디바이스의 제 1 컨텐츠(10040)를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컨텐츠(10050)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컨텐츠(10050)를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설정된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00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1은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있어,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1)인지,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2)인지 추가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는, 터치 입력의 방향 및 각도, 터치 입력의 지문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디텍트될 수 있다.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1)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터치 입력(1101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에 의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11010-1)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터치 입력(1101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2)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터치 입력(11010-2)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에 의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11010-2)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터치 입력(11010-2)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손의 인체 구조를 고려해볼 때,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1)은 우측에,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2)은 좌측에 컨텐츠(1103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유저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입력이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2)인지,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11010-1)인지 추가로 디텍트하여, 컨텐츠(11030)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유저에게 컨텐츠(11030)를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a는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010). 여기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 유닛에 의해 센싱 가능한 다양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은 슬라이딩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12020). 여기서 터치 입력의 상태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제 1 입력 상태 및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미착용된 상태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제 2 입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 또는 미착용되었는지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유저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착용식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의 상태를 제 1 입력 상태로서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30).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을 나타내며, 본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2b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만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의 상태를 제 2 입력 상태로서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40).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을 나타내며, 본 단계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2c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2b는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010-1). 여기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은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할 수 있다(S12020-1). 여기서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복수의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디텍트할 수 있다. 컨텐츠는 이미지, 폴더,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030-1). 여기서 제 1 실행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이 존재하는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컨텐츠들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컨텐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5a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2040-1). 여기서 제 2 컨텐츠는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츠 요청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컨텐츠 요청 정보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50-1).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영역에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제 2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유저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a 내지 도 10c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2c는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010-2). 여기서,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은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미착용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을 나타낼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기설정된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20-2).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기설정된 실행 레벨로서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츠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1 실행 레벨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실행 레벨은 제조사,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방식, 유저의 설정 등에 의해 다양한 레벨로서 설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방향은 정확한 방향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방향은 실질적인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40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020: 외부 디바이스
4030-1: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

Claims (21)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입력 상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wear)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상태이고,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하되,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executing level)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임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2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2 입력 상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유저의 신체에 미착용(unwear)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상태이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행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이 존재하는 레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상태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를 센싱하는 착용 센서 유닛; 을 포함하는 착용식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센서 유닛은,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센서, 온도 센서, 생체 신호 센서, 모션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영역은, 영역을 구획하는 연속적인 터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역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여, 상기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2 컨텐츠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이 오른손 또는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추가로 디텍트하고,
    상기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이 상기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터치 입력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상기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이 상기 왼손에 의한 터치 입력임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터치 입력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상기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제 1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로서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컨텐츠에 포함된 서브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디텍트하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폴더이고, 상기 서브 컨텐츠는 상기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 실행 아이콘인 경우,
    상기 제 2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실행 아이콘 중 상기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편집하는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로서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로서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제 1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컨텐츠로서 상기 제 1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동영상에 삽입하기 위한 동영상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2 컨텐츠에 대하여 제 3 컨텐츠로의 전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전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중이던 제 2 컨텐츠를 상기 제 3 컨텐츠로 전환하고, 상기 컨텐츠 전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컨텐츠는, 상기 제 2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3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전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중이던 제 1 컨텐츠를 상기 제 2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제 1 입력 상태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단계; 로서, 상기 제 1 입력 상태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저의 신체에 착용(wear)된 상태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상태이고,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텍트하는 단계; 로서,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실행 레벨(executing level)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제 1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된 제 1 컨텐츠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실행 레벨에 대한 하위 실행 레벨인 제 2 실행 레벨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컨텐츠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049195A 2014-04-24 2014-04-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2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95A KR20150122976A (ko) 2014-04-24 2014-04-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331,738 US20150310788A1 (en) 2014-04-24 2014-07-1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06643 WO2015163536A1 (en) 2014-04-24 2014-07-2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195A KR20150122976A (ko) 2014-04-24 2014-04-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76A true KR20150122976A (ko) 2015-11-03

Family

ID=5433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195A KR20150122976A (ko) 2014-04-24 2014-04-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310788A1 (ko)
KR (1) KR201501229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732S1 (en) * 2014-12-30 2016-08-0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10831440B2 (en) * 2016-09-26 2020-11-10 Lenovo (Singapore) Pte. Ltd. Coordinating input on multiple local devices
CN110288802A (zh) * 2019-06-28 2019-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提示方法、装置及介质
US11112831B1 (en) * 2020-07-23 2021-09-07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teraction on a multi-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38B1 (ko)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28593B2 (en) * 2012-03-11 2015-01-06 Beijing Hefengxin Keji Co. Ltd. Selecting and updating location of virtual keyboard in a GUI layout in response to orientation change of a portable device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40266694A1 (en) * 2013-03-15 2014-09-18 Samuel Greyson McCluskey Body Temperature Warning System
KR20150006195A (ko) * 2013-07-08 2015-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9812B1 (ko) * 2013-07-18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단말기
US9264421B2 (en) * 2013-08-22 2016-02-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ccessing a primary device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wireless link
US9213413B2 (en) * 2013-12-31 2015-12-15 Google Inc. Device interaction with spatially aware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10788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804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1665983B (zh)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US1029911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3223113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75460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7258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7982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KR2015012938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55082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を通じてユーザの頭部を追跡することによりスクリーン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KR201500104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79837A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CA28496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for generating or modifying a display object
KR102468086B1 (ko)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5012297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A2857232C (en) Actionable user input on displayed items
KR102352390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48101A1 (en)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and/or controlling content item playback formats
US9886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